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Gri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Beauty Continuous Intention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grit impacts academic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in cosmetology among students from beauty-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this,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74 students from beauty-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Jeollabuk-do over approximately a month,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3. All 374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Gr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cademic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in cosmetology. As grit increases, it is believ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forms the foundation for proactive actions in preparing for the future and deciding on a career path, also improves. Based on these results, if one of the core objectives of beauty-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s to cultivate professional beauty experts, fostering students’ grit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achieving these goals.
I. 서 론
특성화고등학교는 중등 직업교육 단계의 대표적인 기관으로써 경제 발전과 필요한 산업인재 양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재학 기간 동안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을 중점적으로 학습하며, 이를 토대로 취업과 진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교육 받고 있다(Park & Na, 2019).
특성화고등학교란, 전문 분야에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고, 전문적인 직업교육을 통하여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는 교육기관으로서 일반 고등학교와 다르게 특성성이 강조되며 자율적 운영이 가능한 학교를 의미한다(Park et al., 2019). 특성화고등학교는 교과수업 외에도 학생들의 다양한 직업적 체험과 현장 적응력 제공 등을 위해 현장실습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이 주도적으로 진로를 설계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이수 단위에 포함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Lee(2022)에 의하면 특성화고등학교 포털(www.hifive)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는 전국 465개 학교, 9,599개 학급, 178,716명이 재학 중으로, 이중 미용(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을 전공하는 특성화고등학교는 전국 총 58개 학교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의 궁극적 목표는 현장 중심적 교육을 기초로 전문인력양성 수준을 높여 다양한 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양질의 인력을 교육시키는 것에 그 목표가 있다. 그러나 한국 교육개발원 통계에 의하면 2020년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률은 44.3%, 2021년 47.4%, 2022년 47.7%로 매년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물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대학진학률도 학생들의 학업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고무적 현상으로 볼 수 있으나, 특성화고등학교의 본연의 목적에 부합하는 현상인지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Lim & Lee(2014)의 보고에 의하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일부는 학교가 정한 교육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학년만 진급하는 학습 결손을 경험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일부 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잃은 학습된 무기력감을 경험하기도 한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에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의 비율은 1.14%로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0.33%보다 약 3배 이상 높다는 보고가 있었으며(Ministry of Education, 2017), 잠재적으로 학업 중단 의도를 가진 학생 비율 역시 상대적으로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제 특성화고등학교 본연의 설립 취지를 실현하고,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양질의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전략과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용특성화고등학교도 넓은 범주에서 특성화고등학교 목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미용특성화고등학교는 현대사회 사람들의 아름다워지고 싶은 강한 욕구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고급 인력으로 양성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웹 3.0세대, 메타버스로 요약되는(Kim & Kim, 2023) 시대적 상황에서 창의성과 전문성 그리고 유연한 사고를 가진 미용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은 시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나아가 미용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 취지와도 부합한다. 따라서 미용 산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인재의 양성과 미용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미용 분야에서 성공을 예측하는 개인의 심리적 자원으로 그릿(Grit)이 각광받고 있다. 그릿은 장기작인 목표 달성을 위한 개인의 끈기와 열정으로 정의되며, 역경과 실패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노력과 열정을 지속·유지하는 것을 말한다(Duckworth et al., 2007; Duckworth, 2016). 그릿은 미용종사자뿐만 아니라 미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미용인으로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하기 위한 개인의 역량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수년간 뷰티 분야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례에서 그릿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릿과 삶의 만족(Ha, 2022), 긍정심리자본(Lee & Tae, 2022), 직무성과(Kim, 2023), 직무만족(Jeong, 2021), 미용지속의도(Lee & Woo, 2022), 이직의도(Lee, 2023)와 같은 연구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도 그릿은 학생들의 개인적 역량과 관련하여 다양한 변수들과 높은 상관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취업과 같은 미래를 준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선행연구를 통하여 입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Kim & Kong(2021)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그릿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Lee(2015)도 그릿이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진로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그릿은 진로선택이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전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었다. Ahn(2019)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소수의 연구들(Mun & Joo, 2020; Jang & Huh, 2019)이라는 사실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이 아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제한점을 감안하더라도 시사 하는 바가 크다.
한편으로 그릿이 사람들의 행동을 지속하고 유지하려는 동기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사례에 그릿이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고 지목하고 있다. 최근 Ko(2023)는 대학생의 그릿이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Kwon & Jung(2020)도 대학생의 그릿이 학업지속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미용분야에서도 Lee & Woo(2022)는 미용학원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그릿이 미용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어쩌면 그릿의 정의와 구성개념에도 알 수 있듯이 그릿은 어떠한 과제나 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열정 그리고 끈기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릿의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다양한 속성의 과제를 지속하고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금까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선행연구들은 그릿이 학생들의 진로선택, 진로준비, 진로결정 효능감과 같은 진로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Park, 2021; Lee & Lee, 2023)이 대부분 이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핵심은 그릿이 직업을 선택하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그릿이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그릿이 학생들의 진로를 준비하는데 역할을 하는 것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매우 명백한 사실이지만 이러한 결과들을 보다 폭넓고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 외의 연구에서는 그릿과 진로와 관련된 변수와 함께 전공만족도(Kim & Lee, 2022; Lim & Kim, 2022)를 포함하여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이는 그릿이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 학교 교육과정에서 인지하는 전공만족도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릿과 진로변수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해석하려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그릿과 진로와 관련된 변수들과의 관련성 연구들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들이(Lee et al., 2022; Jeong, 2023) 대부분이다.
따라서 시대적으로 청소년기에 빠르게 전공을 선택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그릿,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들이 인내력, 끈기 그리고 열정이 부족하다는 실증적 연구(Park & Yuh, 2021; Yun, 2020)를 토대로 볼 때, 청소년기의 그릿이 미용 전공을 만족하고 지속하려는 의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그릿(Grit)
그릿(Grit)은 미국의 심리학자 안젤라 리 덕워스(Angela Lee Duckworth)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2007년 Duckworth 등(2007)이 그릿 척도(Grit-O)를 개발하게 되면서 그 정의와 구성개념이 정립되었다. 그릿은 성장(Growth), 회복력(Resilience), 내적동기(Intrinsic Motivation), 끈기(Tenacity)의 앞 글자를 따서 개념화된 단어이다(Duckworth, 2016). 그릿은 개인의 역량 강화를 통해 역경을 극복하고 목표달성을 하는 열정과 노력(Duckworth et al., 2007)으로 정의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2021). 특히 한국인의 성취의식을 분석한 연구들의 상당수 공통점은 한국인들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 짖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정환경이나 개인이 타고난 천부적 재능보다 꾸준한 노력, 자기조절을 꼽았다(Kim & Park, 1998; Park & Kim, 1999). 이러한 한국인의 토착적 심리는 그릿의 개념과 매우 유사함을 보여, 심리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교육학, 스포츠, 서비스 등 많은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물이 창출되고 있다.
2. 전공만족도
전공이란 지식이나 기술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이론적 부분과 실제적 부분을 통합적,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의미하며(Lee, 2016), 그 중 전공 선택은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결정중 하나일 수 있다(Poter & Umbach, 2006). 전공만족도는 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학습자가 개인적인 특성요인과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의해, 전공에 대한 만족과 수업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이며 만족스러운 감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Lee, 2022). 개인의 전공만족도는 성격적 특성도 일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지만(Harrington & Lofredo, 2001), 대부분 학습자의 학업 성취감으로 오는 정서적 경험에 기인한다. 전공만족도 어떤 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닌 다차원적 속성을 보인다. 전공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일반적 만족감,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은 Bandura(1997)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기초로 진로와 관련한 개인의 심리적 영역에 적용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Bandura(1997)는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사회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Kim et al., 2021). Bandura(1997)의 사회인지이론은 성공적인 경험, 격려, 학습의 긍정적 경험 등이 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고 하면서, 이러한 효능감 증가는 진로를 선택, 유지, 준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관련 업무를 보다 유능하게 완료하는데 도움을 주며 개인의 자신감에 반영되어 향후 직업 탐색 및 결정에 긍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etz & Voyten, 1997).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전반적인 자기존중감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Betz & Klein, 1996). 이러한 자기존중감은 직업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업에 대한 효율적인 지속성 증가(Sandler, 2000), 직업 세계에서의 성공달성에 대한 확실성과 직업 탐색과 준비(Fouad & Guillen, 2006)에 더 효율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고 하였다.
4. 미용학업지속의도
미용학업 지속의도는 학습자가 학업 완료에 대한 의지로서, 학생 신분으로 전공에 대한 학업을 매진하고 완료하고자 하는 의지를 의미한다(Lee & Woo, 2022). 또한 Lee(2018)의 연구에서 학습 지속 의도는 학습자가 자신의 교육적인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 또는 의도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미용학업 지속 의도는 미용 직업을 가지기 위한 미용전공에 대한 학업을 완료하고자 하는 의지라고 할 수 있다.
Parker(1999)는 학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내적, 외적 동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 주도성을 강조하였는데, 특히 학습에 대한 자기 주도성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업 지속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그릿을 보고하고 있다. 그릿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끈기와 노력으로 정의되는 바, 그릿은 학업 지속의지와의 관련성을 의미 있게 해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라고 할 수 있다(Kim, 2021; Je et al., 2022).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그들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이런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심도 있는 선행연구 고찰을 기초로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을 확립하고 구체적인 가설을 설정하였다.
2. 연구가설
가설 1.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전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7.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3. 연구대상자 및 연구 기간
본 연구는 2023년 전라북도 미용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3년 11월-12월까지 약1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최초 질문지 투여는 399부를 투여하였으나, 수집된 자료 중 일렬응답이나 중복 응답 등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25부를 제외하여 최종 374부가 연구에 최종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 방법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 및 관계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이에 설문에 동의한 학생만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학교 수업을 모두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실에서 선생님 및 모든 학교 관계자와 분리되어 차분하게 응답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한 후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구체적인 정보는 <Table 1>과 같다.
4.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과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국내 선행연구를 심도 있게 참고하여 연구에 부합되는 척도를 선별하고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문항의 일부 수정은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기초로 수정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응답 객관성과 타당성을 위해 5점 Likert 평정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Table 2>은 본 연구에 사용한 척도의 구체적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AMO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SMA: Structural Modeling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이 때 매개효과 분석은 부트스트레핑(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간접효과로 평가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자료의 정규성 검증
자료 수집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들의 정규성(Normality)을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Mean), 표준편차(SD), 첨도(Kurtosis), 왜도(Skewness)의 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Table 3>. 변수들의 평균을 살펴보면 그릿의 평균은 3.68~3.73, 전공만족도는 3.79~3.95,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3.68~3.86, 미용학업 지속의도는 3.84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된 자료의 편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살펴보았다. Kim et al.(2009)에 의하면 잠재변수의 왜도는 ±2, 첨도 ±4 범주 안에 있어야 자료의 정규성이 확보되며, 상관계수는 .8보다 낮아야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선행연구가 제시된 지표를 토대로 살펴본 결과 본 연구의 모든 잠재변수들의 왜도, 첨도는 모두 절대 값 1미만으로 나타나 정규성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본 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의 적합도 지수 기준은 CMIN(χ2/df),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GFI(Goodness of Fit Index), CFI(Comparative Fit Index), TLI(Turker-Lewis Index), IFI(Incremental Fit Index)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은 CMIN(χ2/df) 값은 작을수록 좋으나 통상 3보다 작을 때 적합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CMIN 지수는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측정모형 적합도의 절대치로 사용하기에는 주의를 요망한다. 또한 CMIN의 대인으로 RMR 지수는 .05이하, RMSEA은 .05-.08의 수치를 보일 때 수렴 가능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밖에도 GFI, CFI, NFI, TLI, IFI 지수는 .90 이상을 수렴 가능지수로 보고 있다(Lee et al., 2023). 선행연구들은 모형 평가의 적합도에 기준을 RMSEA와 TLI 그리고 CFI 지수가 표본크기에 민감하지 않고, 모형의 간명성을 고려한 동시에 명료한 분석 기준이 확보된 적합도 지수로 보고하고 있다(Bentler, 1990). 본 연구에서 문항 추출은 모형의 적합도를 위하여 요인적채지(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값 .50이하 기준으로 순차적 제거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하여 최적의 모형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자 하였다(Lee & Yang, 2023).
<Table 4>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이다. 먼저 그릿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2번 문항(열정-즐거움)1문항이 삭제되어, χ2=492.774, df=149, p<.001, CMIN(χ2/df)=3.307, CFI=.931, TLI=.921, IFI=.931, RMR=.034, RMSEA=.079로 확인되었다. 각각 문항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644~.881로 나타났으며, 평균분산추출(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지수는 노력지속성 .670, 열정-즐거움 .524, 열정-의미 .602의 값을 보였다. 또한 개념신뢰도(CR: Critical Ratio) 값은 노력지속성 .953, 열정-즐거움 .814, 열정-의미 .883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은 평균분산추출(AVE) 지수는 .50이상 개념신뢰도(CR) 지수는 .70 이상을 집중타당도의 이상적인 수렴 기준으로 보고하고 있다(Fornell & Larcker, 1981). 따라서 그릿 척도의 집중타당성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그릿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 값은 노력지속성 .948, 열정-즐거움 .785, 열정-의미 .862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공만족도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번 문항(교과수업만족도)1문항이 삭제되어, χ2=169.014, df=62, p<.001, CMIN(χ2/df)=2.726, CFI=.961, GFI=.935, TLI=.951, IFI=.962, RMR=.030, RMSEA=.068로 확인되었다. 각각 문항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641~.848, AVE 지수는 교과수업만족도 .605, 전공만족도 .680, CR 지수는 교과수업만족도 .924, 전공만족도 .914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 값은 전공만족도 .900, 전공만족도 .88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문항(직업정보수집 1번문항; 목표설정 16번 문항; 문제해결 17번문항)삭제되어, χ2=547.083, df=213, p<.001, CMIN(χ2/df)=2.695, CFI=.921, TLI=.906, IFI=.921, RMR=.033, RMSEA=.067로 확인되었다. 각각 문항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592~.730, AVE 지수는 직업정보수집 .543, 목표 설정 .554, 계획수립 .533, 문제해결 .515, 자기평가 .567, CR 지수는 직업정보수집 .826, 목표설정 .832, 계획수립 .851, 문제해결 .808, 자기평가 .867의 지수를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 값은 직업정보수집 .789, 목표설정 .784, 계획수립 .825, 문제해결 .749, 자기평가 .823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용학업 지속의도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삭제된 문항 없이, χ2=31.775, df=5, p<.001, CMIN (χ2/df)=6.355, CFI=.980, GFI=.965, TLI=.959, IFI=.980, RMR=.028로 확인되었다. 각각 문항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653~.914, AVE 지수는 .666, CR 지수는 .908,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 값은 .908로 나타났다.
3. 변수들 간 상관관계 검증
<Table 5>은 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이다. 분석 결과 그릿,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지속의도 변수 간 모두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4. 가설 검증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나아가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전공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보다 타당성 있게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는 χ2 (Chi-square)=242.075, df(degrees of freedom)=84, p<.001, CMIN(χ2/df)=2.882, RMR=.031, RMSEA=.071, GFI=.921, CFI=.967, TLI=.958, RFI=.938, NFI=.950, IFI=.969로 나타나 연구모형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6>.
먼저 가설 검증을 위하여 경로 모형의 모수추정 계수가 유의한 값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Fig. 2>. 먼저 독립변수인 그릿과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β=.823, SD=.051, t=15.476, p<.001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인 그릿과 종속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학업 지속의도의 관련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9, SD=.076, t=6.516, p<.001), 미용지속의도(β=.195, SD=.136, t=1.966, p<.05)에 각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련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326, SD=.078, t=3.895, p<.001), 미용지속의도(β=.540, SD=.145, t=5.284, p<.001)로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 가설 5은 모두 채택되었다(Fig. 2).
본 연구에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모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에 근간을 두고 발전한 그릿(grit)은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열정과 노력으로 정의된다. 또한 장기적인 목표 추구 과정에서 역경과 어려움에 직면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관심과 열정을 유지하며 꾸준히 노력하는 특성으로 정의된다(Duckworth et al., 2007). 선행연구들은 그릿이 학업 적응과 성취를 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Akos & Kretchmar, 2017), 진로에 대한 준비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 Kong, 2021).
Cha(2018)는 예비교사의 그릿과 전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그릿과 전공만족도 간에는 정적 영향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Kim & Lee(2022)도 대학생의 그릿이 전공만족도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제한점은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일부 지지하고 있다.
Duckworth et al.(2007)의 그릿은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의 두 개의 구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다. 흥미유지는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관심을 얼마나 꾸준하게 유지하는지에 대한 하위요인이고, 노력지속은 긴 시간에 걸쳐 꾸준히 노력을 기울이는 것과 관련된 요인이다(Duckworth & Quinn, 2009).
이러한 그릿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의 하위 차원은 학업과 관련된 성취도(Park & Hwang, 2019; Hwang et al., 2017)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그릿은 학업열의(Ham, 2023)와 높은 상관을 가지며, 일반적 삶의 만족도도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은 학업성취도, 학업열의, 삶의 만족도와 같은 학습 성취 요인들을 높이고 이는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만족도에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 학업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은 그릿이 미래 진로와 관련한 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진로를 주체적으로 결정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릿을 개인의 상황과 경험으로 변화될 수 있는 비인지적 능력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확실성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는 내적요인으로 학생들의 진로에 매우 필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Heo, 2020).
이와 관련하여 그릿은 개인적 측면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목표를 달성하고 인내하는 개인의 비인지적 특성으로(Slick & Lee, 2014),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신의 주관적 신념인 자기효능감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으며(Lent et al., 1994), 그릿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Kang et al., 2016; Hong et al., 2017).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상반되지 않는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그릿이 미용학업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Slick & Lee(2014)은 그릿이 높은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하여 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 생활 만족도가 높고, 학업을 중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대다수의 연구에서 동일하게 그릿이 개인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다(Cho et al., 2017; Lucas et al., 2015). 또한 최근 Lee & Woo(2022)은 미용학원 수강생의 그릿이 미용학업 지속의도와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상당히 일치한다.
본 연구에 가설 6. 가설 7은 각각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매개효과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립변수인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과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와의 직접효과는 β=.823, t=15.476, p<.001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직접효과도 β=.326, t=3.895, p<.001로 통계적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 관계에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간접효과 크기는 .269, p<.05로 나타났으며, 이 간접효과 값을 95% 신뢰구간에 의해 검증한 결과 신뢰구간 범위가 .048에서 .484로 범위 내 0을 포함하지 않아 전공만족도의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용학업 지속의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살펴보면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수인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직접효과는 β=.540, t=5.284, p<.001로 통계적 유의한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로 관계에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미용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간접효과 크기는 .445, p<.01로 나타났으며, 이 간접효과 값을 95% 신뢰구간에 의해 검증한 결과 신뢰구간 범위가 .263에서 .819로 범위 내 0을 포함하지 않아 전공만족도의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6과 가설 7은 모두 채택되었다<Table 7>, <Table 8>.
결과적으로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그릿이 전공만족도를 통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용지속의도에 통계적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하여 Kim & Lee(2022)은 대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를 위한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교과 수업 과정에서 전공의 만족을 충분히 느끼고 공감하는 일련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 과정에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일선 교사들의 수업 방식, 전략 등도 미래지향적으로 변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미용학업 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2023년도 전라북도 소재 미용 특성화고 학생 374명 이였으며, 이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부트스트레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뷰티학업 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그릿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미래를 준비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보다 진취적 행동의 근간이 되는 진로결정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용 특성화고 핵심적 목표 중 하나가 미용 전문 인력 양성이라고 한다면, 일정부분 학생들의 심리적 자원인 그릿 함양이 미용특성화고등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미용특성화고등학교는 교육과정과 학교생활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그릿의 힘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뚜렷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시로 평가하며 나아가 설정된 목표를 끈기와 인내로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뷰티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뷰티학업 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교과수업, 교사·학생 상호작용 등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더욱더 촘촘하게 계획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공만족도는 학생들의 진로 설정에 대한 출발점이며, 나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업을 지속하려는 의도를 증진시키는데 핵심적 전제로 볼 수 있겠다.
지금까지 미용특성화고등학교는 미용 전문교육을 기초로 현장성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대한민국 뷰티 산업을 주도하는 인재를 양성해 왔다. 그러나 상반되게 특성화고등학교 전반에 걸쳐 취업률이 감소하고, 학교, 학업중단 비율의 증가하는 등 다소의 부작용도 소수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용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선택, 진로준비, 미용학습 지속의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으로 그릿의 심리적 자원에 대한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 수행과정을 통하여 아쉬운 점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 취지와 목적이 전문미용인의 양성이라는 것은 확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미용특성 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 또는 취업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과 심리적 자원에 대한 연구들은 상당히 미흡하다. 미래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과 관련한 변수들의 연구들이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설정한 그릿의 측정은 한국판 그릿척도(K-GRIT)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그릿 척도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그릿 전문 척도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 대상자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을 측정함에 있어 한국판 그릿척도가 정확하게 그릿이라는 심리적 속성을 측정할 수 있는지 다소 의문이다. 따라서 미용 교육 현장이나 산업의 특성과 정서에 부합된 미용인의 그릿 척도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표집 하였다. 미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