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사회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추구 이미지와 이미지에 적합한 눈썹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의 20~30대 남성을 기준으로-
Study on Eyebrow Shape and Image Suitable for Men’s Social Image -Focusing on South Korean and Chinese Men in their 20’s and 30’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run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ferred eyebrow shapes among South Korean and Chinese men in their 20’s and 30’s, to present their desirable eyebrow shape effective for giving an impression. Furthermore, the renewed recognition of the social function of eyebrow shapes,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their impression formation depending upon desirable images, could help ramp up the related cosmetics industry.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survey and did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preferred eyebrow shape, there turned out a common predominant preference for ‘standard type’ among South Korean and Chinese men. However, South Korean men had the least preference for ‘angled type’, while Chinese men had the least preference for ‘straight type’. This means Chinese men go after a ‘masculine’ image, compared with South Korean men. Second, among both South Korean and Chinese men, a ‘natural’ image was commonly the most popular, with ‘cute’ image the least popular. However, ‘simple’, ‘tender’, ‘refined’, and ‘urbane’ images ranked high in popularity among South Korean men; on the other hand, Chinese men had a preference for ‘masculine’, ‘simple’, ‘decent’, ‘dynamic’, and ‘tough’ images. Third, among men with sales/service or self-employed jobs which entail face to face contact with people, a ‘natural’ image without revealing their personality was commonly most popula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tendency to raise their energy through ‘dynamic’ images among men with office/administrative jobs which nee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rough work concentration and hierarchy. And men with production/engineering jobs which entail lots of movements tended to seek toughness through a ‘masculine’ image. There was a preference for bright and affirmative energy through ‘lively’ image among students who was building relationships with friends with no occupational image. Finally, as regards socially desirable eyebrow shapes of those surveyed by job, ‘standard type’ or ‘straight type’ is suitable for men with sales/service or self-employed jobs requiring a ‘natural image’. On the other hand, ‘upward type’ is suitable for men with production/engineering job in need of a ‘masculine image’. And also, ‘angled type’ goes well with a ‘dynamic image’ which men with office/administrative job need.
I. 서 론
외모와 이미지는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가치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외모는 타고난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도 필요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소셜 미디어가 보편화하면서 외모와 개인 이미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외모도 능력 중 하나로 인식되면서(Choi, 2019), 자신의 외모와 이미지 개선을 위해 전문 컨설팅을 받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자기중심적 성향이 두드러진 서양인과 달리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 문화에서 더 많이 나타나며(Jung, 2021), 여성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남성들도 예외가 아니다. ‘여성이 하는 일은 남성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기면서(Son, 2010),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외모와 이미지를 위해 자신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남성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Jung, 2020).
레윈 코넬(Raewyn Connell, 1944~2021)은 ‘남성의 성향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다원적인 것으로, 성 정체성, 계급, 인종,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남성이 추구하는 이미지도 달라진다’고 하였다. 현대 남성에게 이미지는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이며, 자신에게 어울리는 이미지나 갖고 싶은 이미지의 추구를 통하여 자신의 품성과 능력을 드러내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중국도 다르지 않다. 현재 중국 남성들 사이에서도 이미지를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화장품을 구입하여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자 하는 관심과 욕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新華网, 2022). 최근 남성 소비자의 구매력이 상승하면서 화장품 시장에서도 18~25세 남성이 전체 남성 화장품 소비의 59.5%를 차지하였고, 26~30세가 21.3%로 그 뒤를 잇고 있다(中商情报网, 2021). 2023년에는 이러한 추세가 가속되어 중국 남성 화장품 시장 규모가 2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2021).
외모와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메이크업은 자신의 가치를 높여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행위로(Han & Han, 2016; Jung et al., 2020), 외모에 대한 변화뿐 아니라 자기 형성, 사회생활, 심리적 만족감에 이르는 광범위한 기능을 하고 있다. 메이크업의 표현 부위 중 눈썹은 남성들에게 매우 중요하다(Han, 2020). 눈썹은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위이고(Cho, 2018), 눈썹 형태와 눈썹의 짙음 정도에 따라 인상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눈썹 화장은 가장 간편하게 효과적으로 인상을 바꾸는 방법이다(Zhang, 2021; Shin, 2018).
본 연구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시작하는 20~30대 한국과 중국 남성을 대상으로 직업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사회적 이미지 형성에 효과적인 눈썹 형태를 추론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문화적으로 비슷한 성향이 있어(Lee, 2020), 두 나라의 비교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자신의 추구 이미지에 따라 인상 형성에 주요 변인이 되는 눈썹 형태를 표현하는 데 활용하고, 눈썹이 이미지 형성에 기인하는 기능적 측면을 제고하여 남성들에게 눈썹의 중요성을 알려 관련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이미지의 이해
이미지(Image)란 어떤 사람이나 사물로부터 받은 ‘느낌’, ‘심상(心狀)’, ‘영상(映像)’ 등을 말하며, 개인의 이미지는 그 사람에 대한 고유한 느낌이다(Choi, 2019). 이미지는 언어 이상으로 그 범위가 넓고, 직접 호소하는 힘을 가지고 있어 두뇌만의 이해를 초월한 오감을 자극하여 감각적이고 신체적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23; Lee & Park, 2022). 특히나 개인의 이미지는 자기로부터 시작되며, 자기는 ‘다른 사람들’ 또는 자기 외부의 대상들과 대조되는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Kim et al., 2014).
자기 이미지의 유형은 실제적 이미지, 이상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사회적 이미지는 타인에게 보이는 이미지로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이미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과 같은 시대적 요인과 TV, 신문 등 대중 매체 적인 요인 등 다양한 필요와 요구로 형성되기 때문에(Choi & Kwon, 2023),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에 관습, 규범, 도덕성 등의 사회적 압력을 받고 있다고 하였다(Vera, 2022).
2. 눈썹의 기능 및 형태별 이미지 특징
눈썹은 땀 등 액체 성분이 눈 속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강렬한 빛을 차단해주는 생리적인 기능을 할 뿐 아니라(Son et al., 2016), 얼굴 전체의 느낌과 인상을 좌우하는 부위로 눈썹 길이, 두께, 방향, 숱의 많고 적음, 각도 등의 다양한 요소에 따라 인상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Park, 2018).
눈썹의 형태는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표준형 눈썹’은 가장 이상적인 비율의 눈썹으로써, 모든 얼굴형에 자연스럽게 잘 어울리고(Shim, 2019), ‘깨끗한’, ‘젊은’, ‘친절한’, ‘발랄한’ 이미지를 준다(Park, 2018; Kim, 2016). ‘일자형 눈썹’은 눈썹의 시작과 끝부분의 큰 차이가 없고 눈썹 앞머리 시작점과 눈썹꼬리 끝의 위치가 같고 아랫선이 수평에 가까운 형태로(Shim, 2019), ‘젊은’, ‘단정한’, ‘온화한’, ‘단순한’ 이미지를 준다(Kim, 2016; Jung, 2019). ‘아치형 눈썹’은 눈썹 앞머리 부분의 시작과 눈썹꼬리가 일직선이거나 조금 더 내려가는 형태로(Zhang, 2021), ‘부드러운’, ‘우아한’, ‘여성적인’, ‘노숙한’ 이미지를 준다(Kim, 2016; Cho, 2013). ‘상승형 눈썹’은 눈썹 앞머리 시작 부분과 눈썹꼬리 부분에 높이 차이가 크게 나는 눈썹으로, 화살형 눈썹이라고도 부르며(Kim, 2016), ‘활동적인’, ‘적극적인’, ‘개성적인’, ‘야성적인’ 이미지를 준다(Lee & Kim, 2023; Kim, 2016). ‘각진형 눈썹’은 표준형보다 기울기가 높고 눈썹 산부터 눈썹꼬리까지의 각이 급격히 꺾이는 형태로(Bayarmaa, 2019), ‘개성적인’, ‘자심감 있는’, ‘샤프한’, ‘현대적인’, ‘지적인’ 이미지를 준다(Jung, 2019; Shim, 2019; Kim, 2016).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20~30대 한국과 중국 남성을 대상으로 직업에 따른 추구하는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효과적인 눈썹 형태를 추론하여 사회적 이미지 형성을 고취하는 데 적절한 눈썹 형태를 제안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한국과 중국 남성의 선호하는 눈썹 형태의 차이를 알아본다.
연구문제 2. 한국과 중국 남성의 선호하는 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본다.
연구문제 3. 한국과 중국 남성의 직업에 따른 추구하는 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본다.
연구문제 4. 직업에 따른 사회적 이미지 추구에 적합한 눈썹 형태를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30대 남학생이나 직장 남성의 경우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외모와 이미지를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Choi, 2019)는 연구를 근거로, 한국과 중국 국적을 가진 20~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비대면 설문 조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 남성에 대한 설문 조사는 설문 조사 기관인 ㈜데이터 스프링을 통해서 2021년 9월 24일부터 2021년 10월 7일까지 14일 동안 20~30대 2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중국 남성에 대한 설문 조사는 ‘ ’ 웹사이트(http://www.wjx.cn)와 Wechat을 통해서 2021년 9월 24일부터 2021년 10월 4일까지 11일 동안 20~30대 3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 605부를 모두 회수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설문지 구성
본 연구의 설문지 문항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선호하는 눈썹 형태 5문항, 추구하는 이미지 16문항으로 총 24문항을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설문 연구의 인구학적 특성에서 기본으로 조사하는 나이와 최종학력 및 개인의 사회적 역할로서의 책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직업’(Kim, 2016)으로 구성하였다.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 ‘아치형’, ‘상승형’, ‘일자형’, ‘각진형’의 총 5가지 형태로 선정하였다(Shim, 2019; Shin, 2016; Kim, 2015).
추구하는 이미지는 관련 연구에서 사용된 12문항(Seo, 2013)과 연구자가 설계한 4문항을 추가하여 총 16개로 ‘정적인’ 이미지와 ‘동적인’ 이미지로 분류하였다. 정적인 이미지는 ‘세련된’,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지적인’, ‘도시적인’, ‘부드러운’, ‘심플한’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동적인 이미지는 ‘개성 있는’, ‘귀여운’, ‘강인한’, ‘발랄한’, ‘남성적인’, ‘역동적인’, ‘화려한’, ‘카리스마’, ‘매혹적인’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추구하는 이미지에 대한 설문을 응답자가 일관성 있게 응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모든 변수의 알파 계수가 0.6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자료 분석 방법
1) 이미지와 눈썹 형태 추론 방법
직업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추구하는 이미지를 분류하고, 추구하는 이미지에 적합한 눈썹 형태를 추론하기 위해 직업, 이미지, 눈썹을 키워드로 한 선행 연구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Shim, 2019; Jung, 2019; Kim, 2016; Park, 2000).
2) 통계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선호하는 눈썹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고, 추구 이미지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직업과 최종학력에 따라 선호하는 눈썹 형태와 추구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d test),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통계 분석은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를 위해 한국 남성 294명과 중국 남성 311명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2).
한국 남성의 경우 나이는 ‘26~30세’가 92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직업은 ‘사무/관리직’이 91명(31%)으로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178명(60.5%)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 남성의 경우 나이는 ‘20~25세’가 121명(38.9%)으로 가장 많았고, 직업은 ‘생산/기술직’이 106명(34.1%)으로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140명(45%)으로 가장 많았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최종학력’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 남성 모두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가장 많아 양국의 교육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업’에서 한국 남성은 ‘사무/관리직’이 가장 많지만, 중국 남성은 ‘생산/관리직’이 가장 많아 직종의 차이가 있었다.
2. 선호하는 눈썹 형태
20~30대 남성의 선호하는 눈썹 형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Fig. 1).
한국 남성의 경우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이 178명(60.5%)으로 가장 높았고, ‘일자형’ 55명(18.7%), ‘아치형’ 31명(10.5%), ‘상승형’ 16명(5.4%), ‘각진형’ 14명(4.8%) 순이었다.
중국 남성의 경우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이 128명(41.2%)으로 가장 높았고, ‘아치형’ 52명(16.7%), ‘각진형’ 49명(15.8%), ‘상승형’ 48명(15.4%), ‘일자형’ 34명(10.9%) 순이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한국 남성과 중국 남성 모두 가장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표준형’으로, 표준형 눈썹은 얼굴형과 관계없이 가장 무난하게 어울리는 눈썹 형태(Shim, 2019)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가장 선호하지 않는 눈썹 형태는 한국은 ‘각진형’, 중국은 ‘일자형’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일자형 눈썹이 착하고 어린 이미지와 온순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는 심하윤(2019)의 연구결과처럼, 중국 남성들은 부드럽고 온순해 보이는 일자형 눈썹은 별로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중국 남성들은 힘이 있는 눈썹 형태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新氧, 2021).
3. 추구하는 이미지
20~30대 한국과 중국 남성의 추구 이미지의 구체적인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추구 이미지의 개별 항목별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한 결과와 변수들의 정규성 가정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산출한 결과 모든 변수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Fig. 2).
한국 남성의 경우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5점 만점에 평균 3.8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심플한’ 3.77, ‘부드러운’ 3.57, ‘세련된’ 3.54, ‘도시적인’ 3.52 순이었고, ‘귀여운’ 이미지는 2.69 순으로 가장 낮았다.
중국 남성의 경우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5점 만점에 평균 3.66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남성적인’ 3.59, ‘심플한’ 3.52, ‘품위 있는’ 3.49, ‘역동적인’ 3.48 순이었고, ‘귀여운’ 이미지는 2.69 순으로 가장 낮았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한국 남성과 중국 남성 모두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는 ‘자연스러운’이었고, 추구하고 싶지 않은 이미지는 모두 ‘귀여운’이었다. 그러나 한국 남성들은 다음으로 추구하는 이미지가 ‘심플한’, ‘부드러운’, ‘세련된’, ‘도시적인’ 반면, 중국 남성들은 ‘남성적인’, ‘심플한’, ‘품위 있는’, ‘역동적인’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Choi(2019), Han(2013)의 연구에서 한국 남성들은 원만한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을 위해 깔끔한 이미지를 보여주려는 경향이 강하여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 결과와 남성은 남성적이어야 한다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귀여운’, ‘매혹적인’, ‘화려한’, ‘부드러운’ 등의 이미지를 추구하기 시작한다(Choi & Cai Xinxin, 2020)는 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 결과였다. 반면, 중국 남성들은 ‘용감하고 책임감 있고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선호하며 기대고 믿음을 줄 수 있는 느낌을 좋아하는 편’이라고 한 第一財經(2021)의 보도자료처럼 남성적인 이미지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른 한국과 중국 남성의 선호하는 눈썹 형태의 차이
한국과 중국 남성의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라 선호하는 눈썹 형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6, Fig. 3).
한국 남성의 경우 최종학력과 직업 모두 선호하는 눈썹 형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중국 남성의 경우 직업에 있어 전문직과 기타는 ‘각진형’ 눈썹을 가장 선호하였고, 그 외 직업군에서는 ‘표준형’ 눈썹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46.516, p<.05). 최종학력에 따른 선호하는 눈썹 형태를 알아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이상을 종합해보면, 중국 남성이 가장 선호하는 눈썹이 ‘표준형’이었던 결과와 비교하여 직업군에 있어서도 대부분 ‘표준형’ 눈썹을 선호하였지만, ‘전문직’ 종사자들은 ‘각진형’ 눈썹을 선호한다는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각진형’ 눈썹이 강하고 카리스마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는 장소쌍, 최민령(2021)의 연구결과처럼, 자신의 전문성을 드러내는 전문직종의 직업군에서 각진형 눈썹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른 한국과 중국 남성의 추구하는 이미지의 차이
1) 한국 남성의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른 추구 이미지의 차이
한국 남성의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7).
직업의 경우 ‘세련된’ 이미지(F=3.097, p<.01), ‘귀여운’ 이미지(F=2.100, p<.05), ‘자연스러운’ 이미지(F=2.245, p<.05), ‘품위 있는’ 이미지(F=2.997, p<.01), ‘강인한’ 이미지(F=2.478, p<.05), ‘역동적인’ 이미지(F=3.357, p<.01), ‘도시적인’ 이미지(F=3.365, p<.02)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스러운’ 이미지는 ‘판매/서비스직’, ‘자영업’이 ‘생산/기술직’보다 높았고, ‘역동적인’ 이미지는 ‘사무/관리직’이 ‘기타’보다 높았으며, ‘도시적인’ 이미지는 ‘학생’이 ‘기타’보다 높았다.
최종학력에 따른 추구 이미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람과의 접촉과 대면이 많은 ‘판매/서비스직’과 ‘자영업’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더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박견예(2000)의 직업적 성격유형을 분류한 연구에서 ‘사회형(social)’이 높은 직업일수록 ‘친절한’, ‘공감적’, ‘친화력’의 성격 차원이 높다는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결과였다.
2) 중국 남성의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른 추구 이미지의 차이
중국 남성의 최종학력과 직업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8, 9).
최종학력은 ‘세련된’ 이미지(F=6.707, p<.001), ‘귀여운’ 이미지(F=3.996, p<.01), ‘자연스러운’ 이미지(F=8.204, p<.001), ‘품위 있는’ 이미지(F=4.424, p<.01), ‘강인한’ 이미지(F=4.818, p<.001), ‘남성적인’ 이미지(F=5.918, p<.001), ‘역동적인’ 이미지(F=5.105, p<.001), ‘부드러운’ 이미지(F=4.293, p<.01), ‘심플한’ 이미지(F=3.314, p<.05)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련된’ 이미지는 ‘고등학교 졸업’이 ‘기타’보다 높았고, ‘귀여운’ 이미지는 ‘전문대학 재학 및 졸업’과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대학원 재학 및 졸업’보다 높았으며 ‘자연스러운 이미지’는 ‘대학교 재학 및 졸업’, ‘대학원 재학 및 졸업’, ‘기타’가 ‘고등학교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품위 있는’ 이미지는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이 ‘전문대학 재학 및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고, ‘강인한’ 이미지는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이 ‘고등학교 졸업’, ‘전문대학 재학 및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적인’ 이미지는 ‘대학교 재학 및 졸업’, ‘대학원 재학 및 졸업’, ‘기타’가 ‘고등학교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역동적인 이미지’는 ‘대학원 재학 및 졸업’, ‘기타’가 ‘고등학교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고, ‘부드러운 이미지’는 ‘전문대학 재학 및 졸업’과 ‘대학교 재학 및 졸업’이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이 ‘고등학교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심플한 이미지’는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이 ‘고등학교 졸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성 있는’, ‘지적인’, ‘발랄한’, ‘도시적인’, ‘화려한’, ‘카리스마’, ‘매혹적인’ 이미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직업의 경우 ‘세련된’ 이미지(F=2.896, p<.05), ‘발랄한’ 이미지(F=3.239, p<.01), ‘남성적인’ 이미지(F=2.321, p<.05), ‘역동적인’ 이미지(F=3.191, p<.01), ‘카리스마’ 이미지(F=2.127, p<.05)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랄한’ 이미지는 ‘학생’과 ‘기타’가 ‘전문직’보다 높았고, ‘남성적인’ 이미지는 ‘생산/기술직’이 ‘판매/서비스직’보다 높았으며, ‘역동적인’ 이미지는 ‘기타’가 ‘판매/서비스직’보다 높았다. ‘귀여운’, ‘자연스러운’, ‘품위 있는’, ‘지적인’, ‘강인한’, ‘도시적인’, ‘화려한’, ‘부드러운’, ‘심플한’, ‘매혹적인’ 이미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학력이 높을수록 ‘세련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품위 있는’ 이미지, ‘강인한’ 이미지, ‘남성적인’ 이미지, ‘역동적인’ 이미지, ‘부드러운’ 이미지, ‘심플한’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를 추구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에 있어 활동성이 높은 ‘생산/기술직’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남성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박견예(2000)의 직업적 성격유형을 분류한 연구에서 기술자, 기계 기사 등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실제형(social)’이 높아 ‘신체 활동적’의 성격 차원이 높다는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결과였다.
V. 결 론
본 연구는 20~30대 한국과 중국 남성을 대상으로 추구하는 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이미지 형성에 효과적인 눈썹 형태를 추론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의 추구 이미지에 따라 인상 형성에 주요 변인이 되는 눈썹 형태를 표현하는 데 활용하고, 눈썹이 이미지 형성에 기인하는 기능적 측면을 제고하여 눈썹의 중요성을 알려 관련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 및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20~30대 한국과 중국 남성의 선호하는 눈썹 형태는 양국 모두 ‘표준형’ 눈썹으로 같았지만, 가장 선호하지 않는 눈썹이 한국은 ‘각진형’이었고, 중국은 ‘일자형’이라는 것을 통해, 중국 남성들이 한국 남성들보다는 남성적인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같은 연령층에서 양국의 직업을 비교했을 때, 한국은 ‘사무/관리직’이, 중국은 ‘생산/관리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사료되며, 중국 사회의 남성상이 강하고 남성적인 것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둘째, 추구하는 이미지에 있어 양국 모두 ‘자연스러운’ 이미지였고, 가장 추구하고 싶지 않은 이미지는 ‘귀여운’으로 같았다. 그러나 한국 남성들은 ‘심플한’, ‘부드러운’, ‘세련된’, ‘도시적인’ 이미지도 많이 추구하는 반면, 중국 남성들은 ‘남성적인’, ‘심플한’, ‘품위 있는’, ‘역동적인’, ‘강인한’ 이미지를 추구하여 선호하지 않는 눈썹 형태에서도 성향의 차이를 알 수 있었던 것처럼, 용감하고 책임감 있는 남자다운 이미지를 선호하여 남성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를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고학력일수록 더 높게 나타나 남성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를 통해 자존감과 자부심을 드러내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판매/서비스직’, ‘자영업’과 같이 사람과의 접촉과 대면을 통해 서비스 행위가 이루어지는 직업을 가진 사람일수록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통한 대인관계를 추구하고자 하였고, ‘사무/관리직’과 같이 업무의 집중과 위계질서를 통한 사람의 관리가 필요한 직업을 가진 사람일수록 ‘역동적인’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에너지를 높이려는 성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술직‘과 같이 움직임이 많은 직업을 가진 사람일수록 ’남성적인‘ 이미지를 통한 힘과 강인함을 추구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과 같이 직업적인 사회적 이미지가 형성되지 않고 친구와의 관계 형성이 많은 사람일수록 ’활발한‘ 이미지를 통한 밝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추구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직업을 기준으로 사회적으로 추구하는 이미지에 적합한 눈썹 형태는 ‘판매/서비스직’과 ‘자영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이미지‘ 추구에 적합한 눈썹 형태는 ‘표준형‘이나 ’일자형‘ 눈썹’을, 생산/기술직‘에 종사하는 사람의 ’남성적인‘ 이미지 추구에 적합한 눈썹 형태는 ’상승형‘ 눈썹을, ‘사무/관리직’에 종사하는 사람의 ’역동적인‘ 이미지 추구에 적합한 눈썹 형태는 ’각진형‘ 눈썹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중국 남성들에게 눈썹이 이미지 형성에 기인하는 기능적 측면이 있음을 알리고, 이미지에 따라 눈썹화장을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20~30대의 성인 남성의 직업군을 공무원, 사무/관리직, 전문직, 판매/서비스직, 자영업. 생상/기술직. 학생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지만, 직업이 더욱 다양하고 세분되는 현대의 추세를 고려할 때 직업군을 더욱 세분화하여 추구 이미지를 심층 분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미지가 눈썹만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남성들의 메이크업 및 외모 인식과 그에 따른 외모 행동 및 관리에 대한 연관성을 분석하여 추구 이미지에 더욱 활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