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Effect of Skin Change Awareness Due to Mask Wearing on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5):1018-102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5.1018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2An Out Professor, Department of Scented Skin Beauty, Cheongam College
3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Art, Youngsan University
4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an University
임채원1, 김태희2, 백원진3, 윤미영4,
1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대학원생
2청암대학교 향장피부미용학과, 외래교수
3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4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Mi-Young Yun Tel : +82-62 950 3853 E-mail : beauty@kwu.ac.kr
Received 2024 August 5; Revised 2024 October 6; Accepted 2024 October 13.

Trans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skin change recognition due to mask wearing in this study on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s, a total of 308 women in their 20s were surveyed. As a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on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home beauty devices due to mask wearing,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kin changes due to mask wearing, the higher the brand, quality, and price of home beauty devices.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beauty devices also shows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kin changes caused by mask wearing,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beauty devic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price, quality, and brand of skin change recognition due to mask wearing,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I. 서 론

오늘날 현대 사회는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삶의 수준이 높아지고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 욕구가 높아지는 추세이다(Kim, 2023).

미적 욕구가 높아지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사진, 동영상 등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타인으로부터 집중되고 관심을 받고 싶어한다. 따라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뷰티 분야에 새로운 트랜드로 이어지고 있다(Park, 2021).

현대인들은 이상적인 외모를 갖기 위하여 외모에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다(Jin, 2019). 이러한 외모관리의 관심은 피부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피부관리, 화장품, 성형수술, 피부 시술 등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Kim, 2019).

현대 사회에서의 외모는 경쟁력의 요소 중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으며, 그 중 첫인상이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Lee, 2020). 또한 단순히 외모의 아름다움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15).

외모관리와 인간의 미적 욕구는 인류 역사 속에서 항상 공존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경제적 수준의 향상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기대 욕구도 상승하게 된다(Moon, 2010).

외모관리에서 피부는 여성에게 가장 외적인 모습으로 외모를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하여 미의 추구 측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피부이다(Kim & Lee, 1998). 피부는 외모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현대인들은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갖고 싶어 한다(Lee, 2003), 피부관리를 통하여 피부에 대한 자신감으로 삶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게 된다(Kim, 1999).

특히, 피부는 신체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며 대기오염, 화학물질, 병원균 및 자외선, 미세먼지 등 유해인자들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한다(Jung et al., 2022). 따라서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fine dust, F.D)는 지름이 10 μm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발암물질, 내분비계 교란물질(VOC) 등)과 다량의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다(Lee & Choi, 2020). 이러한 미세먼지로 인하여 피부는 홍반, 피부염, 피부 알러지, 건선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Wang et al., 2019).

미세먼지가 피부에 축적되면 세포 내 산화질소와 염증 물질의 과량분비로 세포 사멸, 피부 내 수분 손실, 염증 및 노화를 일으킨다(Kang & Lee, 2022).

따라서 미세먼지의 흡입 및 체내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마스크에 대한 사람들의 필요가 커지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출시하여 불안감을 해소하였다(Gwak, 2017).

하지만 장시간 마스크 착용 시 장시간 사용으로 피부 이상 등의 2차적 문제가 발생하였다(Lee et al., 2019). 민감한 피부나 여드름, 안면홍조등 피부질환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으로 피부온도의 상승과 마스크 재질에 대한 마찰로 트러블 등을 호소하며, 피지분비의 불안정화로 여드름을 유발한다(Kim & Yu, 2020).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품 피부관리 행동 등의 다양한 행동으로 문제해결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중 요즘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홈 뷰티디바이스 제품에 대하여 주목되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지만 계속되는 경기 불황으로 편의성과 가성비를 추구하는 트랜드의 확산으로 홈 뷰티디바이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Park, 2019).

과거 병원 또는 피부관리실에서 받을 수 있었던 피부미용 서비스를 사용자가 개인적인 공간에서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만든 기기로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Kim, 2017).

이에 본 연구자는 SNS 활동이 가장 활발하며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대를 대상으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뷰티디바이스

뷰티디바이스란 과거에 병원 혹은 피부관리실에서 받을 수 있었던 피부미용서비스를 사용자가 개인적인 공간에서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만든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기기를 말하며, COVID-19의 영향으로 뷰티디바이스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뷰티 관련 디바이스의 구분은 의료용, 가정용으로 분류되어 있고,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기 현행법상 의사 및 의료기사만 사용 가능 하며, 가정용 미용기기는 홈케어 디바이스로 대상은 일반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다(Kim, 2017).

뷰티디바이스는 인체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해주며, 전기적·물리적 에너지를 통해 화장품의 침투 효과를 촉진 시켜 세정 및 각질 정리,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원활, 보습 및 피부 탄력을 증대시켜준다. 기존의 손과 화장품을 이용한 피부의 손질과 관리보다 높은 효과를 부여한다(Hong et al., 2017). 특히, 개인용 뷰티디바이스는 병원 시술과 전문가의 케어로만 해결할 수 있었던 피부 고민을 시간적인 제약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 적은 비용으로 장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Kim, 2016).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뷰티 디바이스도 세분화되어 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 피부관리실에서 사용하거나 화장품 판매 증진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지만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활성화하여 다양한 브랜드에서 출시하고 있다(Kim, 2018).

2. 선택속성

선택속성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다양한 경쟁상품의 상품을 비교하는 기준으로, 소비자가 최종 구매 시 고려되는 상품의 특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품이 가지고 고유의 특징을 포함하여,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Oh & Ko, 2009).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소비자는 상품 구매 시 정보탐색, 대안의 평가, 구매 결정, 문제 인식, 구매 후 행동으로 이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품 선택, 제품 선택, 상가 선택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Kim & Um, 1997). 즉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 행동, 구매 의사 결정, 재방문 등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을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Song & Ha, 2015). 결과적으로 선택속성은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수많은 선택속성 중 구매과정에서 선택할 시 중요하게 생각하고 제품 구매 후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비자의 태도를 결정하는 것이다(Yu, 2015). 이러한 선택속성은 뷰티디바이스 구매에 적용하면 소비자는 뷰티디바이스의 품질, 가격, 인식, 브랜드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되고, 이러한 선택을 위한 사회적 영향,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된 요소들을 뷰티디바이스의 선택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7). 따라서 소비자들은 뷰티디바이스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다(Kim, 2015).

Measuring Instrument

3. 구매의향

구매란 어떤 제품을 고르는 것을 의미하지만 의향은 소비자가 하고자하는 미래의 행동 가능성 또는 행동이므로 구매의향은 소비자가 표출하지 않으며, 주관적인 태도와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구매할 확률을 의미한다(Yu, 2008). 또한 구매의향은 내적으로 기획하는 향후 계획된 행동의 양식으로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구매하는 행동의 전제이며, 내부적인 요인으로는 정체성, 성격, 심리적인 태도 등이 포함되어 있고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브랜드, 가격 등으로 통합적인 평가로서 소비자의 구매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Kim & Son, 2010). 따라서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의향은 소비자의 소비행동과 구매태도을 결합한 것으로 소비자의 실질적인 구매의향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Kim & Park, 2019). 즉, 개인의 계획된 신념과 태도가 행위로 옮겨지는 것으로 구매의향결정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Kang & Park, 2020). 이러한 구매의향에 따라 구매가 결정이 행하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시대의 비대면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하여 피부의 변화를 인식하고 뷰티디바이스의 구매의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23년 2월 9일부터 2023년 2월 21일까지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약 2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은 카카오톡, 구글 설문지, 네이버 오피스에서 연구 목적을 읽고 동의한 후 전자 설문지에 무기명으로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설문하였다. 응답 된 자료는 엑셀 프로그램으로 자동 코딩된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 방법은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URL을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조사에 동의한 308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나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212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2.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방법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직업은 대학생 182명(85.8%), 사무직 14명(6.6%), 전문직 6명(2.8%), 사업/자영업 4명(1.9%) 순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 165명(77.8%), 200만원 이상 47명(22.2%)으로 나타났다. 또한 홈 뷰티디바이스 소지여부는 있다 130명(61.3%), 없다 82명(38.7%)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1) 피부변화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피부변화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값이 0.855,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432.808(df=10,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3.762%로 나타났다. 즉, 요인 1(63.762%)은 ‘피부변화 인식’으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Skin Change Recognition

2)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값이 0.707,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677.932(df=45,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5.616%로 나타났다. 즉, 요인 1(22.990%)은 ‘품질’, 요인 2(22.006%)는 ‘브랜드’, 요인 3(20.620%)은 ‘가격’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s

3)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KMO값이 0.789,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231.348(df=6,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1.408%로 나타났다. 즉, 요인 1(61.408%)은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으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alid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ntion to Purchase Home Beauty Devices

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과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 및 구매의향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은 평균 4.03점으로 나타났고,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은 하위요인별 ‘품질’이 평균 4.04점, ‘가격’이 평균 3.84점, ‘브랜드’가 평균 3.52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향은 평균 3.70점으로 나타났다.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은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의 하위요인별 브랜드(r=.381, p<.001), 품질(r=.366, p<.001), 가격(r=.34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r=.410, p<.001)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의 하위요인별 브랜드(r=.282, p<.001), 품질(r=.267, p<.001), 가격(r=.404, p<.001)은 구매의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17)의 논문에서는 피부변화 인식으로 홈 뷰티디바이스를 구매의향이 브랜드, 기술, 서비스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으로 홈 뷰티디바이스를 구매 시 품질과 브랜드의 가치 그리고 가격을 중심으로 구매의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Lim(2019)의 논문에서는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 후 재구입하는 경우에는 가격대비 브랜드 가치성이 높고 품질이 좋은 제품이라면 재구입의 구매의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4. 가설의 검증

1) 가설1의 검증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먼저 브랜드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4.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5.608, p<.001). 독립변수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β=.381, p<.001)은 브랜드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높을수록 홈 뷰티디바이스의 브랜드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Effect of Skin Change Awareness Due to Wearing a Mask on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Beauty Devices

품질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2.464, p<.001). 독립변수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β=.366, p<.001)은 품질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높을수록 홈 뷰티디바이스의 품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격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1.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8.317, p<.001). 독립변수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β=.345, p<.001)은 가격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높을수록 홈 뷰티디바이스의 가격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i(2020)의 논문에서는 피부변화 인식이 높을수록 자신의 피부 타입에 따른 자세한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브랜드의 선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의 영향으로 마스크 착용이 피부변화에 있어 브랜드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Cha(2020)의 논문에서도 현재에도 가격도 중요하지만 뷰티디바이스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거에는 가격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재 마스크 착용으로 피부변화가 나타나면서 홈 뷰티디바이스의 품질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가설2의 검증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6.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42.524, p<.001). 독립변수로써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β=.410, p<.001)은 구매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높을수록 홈 뷰티디바이스의 구매의향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Effect of Skin Change Awareness Due to Mask Wearing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Home Beauty Devices

피부변화 인식에 따라 뷰티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피부변화에 신뢰가 생겨 꾸준하게 사용한다는 Kim(2016) 연구 결과로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뷰티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이 높아져 재구매로도 이어진다는 Baek & Lee(2021)의 연구 결과가 본 연구와 유사하다.

3) 가설3의 검증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이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3.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1.748, p<.001). 독립 변수별로는 가격(β=.321, p<.001), 품질(β=.226, p<.001), 브랜드(β=.173, p<.01)는 구매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 중 가격, 품질, 브랜드가 높을수록 구매의향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Effect of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이와 같은 결과는 Kim(2021)의 논문에서는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 시 경제적가치가 가장 고려사항으로 나타났으며, Ok(2021)의 논문에서는 피부변화 인식에 따른 제품 선호도는 품질을 추구하고 있다고 나타내었다. Kim(2021)의 논문에서는 브랜드의 신뢰감이 홈뷰티디바이스의 만족에 미치며 소비 심리에도 관계가 나타난다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홈 뷰티디바이스는 가격, 품질, 브랜드에 따라 구매의향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4) 가설검증 결과요약

이상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Table 10>과 같다.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Summary

V. 결 론

본 연구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 속성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모바일을 이용하여 총 212명의 설문조사를 진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직업은 대학생, 월 평균 소득은 200만 원 미만, 홈 뷰티디바이스 소지여부는 있다가 높았다.

둘째,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과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 및 구매의향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은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품질’, ‘가격’, ‘브랜드’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향도 높게 나타났다.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은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브랜드, 품질, 가격이 유의미하였으며,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이 홈 뷰티디바이스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분석한 결과,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변화 인식은 구매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홈 뷰티디바이스 선택속성이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분석한 결과, 가격, 품질, 브랜드는 구매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하여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예민해진 피부 상태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홈 뷰티디바이스의 종류를 구매하고 있다. 계속적인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개인별 피부관리를 제공하고 홈케어 족이 많이 사용하는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의향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피부상태, 연령, 성별에 따른 선택속성과 구매의향을 알아보고 자료를 제공한다면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 온라인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뷰티 플렛폼 등을 지원 할 수 있을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홈 뷰티디바이스의 실태를 보아 적은 비용으로 가성비 높게 피부관리를 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고 더 나아가 높아지는 기술력과 합리적인 비용으로 접근하여 훗날 높은 미용 서비스로 다가갈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조사 대상의 선정 및 지역의 한계성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홈 뷰티 디바이스는 피부, 두피, 바디 등 다양한 용도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는 여러 가지 변수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활용한 양적 연구 뿐 만 아니라 질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Baek H. J., Lee J. N.. 2021;Influence of Value Consciousness on Purchase Behavior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Personal Beauty Devices among Women in Self-Beauty Care. Journal of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7(4):958–968. doi: 10.12925.
2. Cha, M. K. (2020). Impact on Buying inten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perience helped Cosmetic brand of device AI Beauty.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23.
3. Choi, S. A. (2020). Develop a Touchpoint Strategy to Improve the Customer Experience in the Home Care Beauty Market -Focusing on Home Beauty Device Information Search-.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28-130.
4. Gwak, C. S. (2017). A Study on The Risk Perception of Fine Particle and Strategy Development for Enhancement of Wearing Mask.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67-68.
5. Hong C. E., Park H. R., Kim K. Y.. 2017;Purchase Behavior,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Home Use Skin Care Devices during Home Shopping: Focus on 20’s A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5):1059–1070.
6. Jin, M. (2019). The effect of influencer’s video in Youtube on lookism: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reator type and media type. Master’s thesis, Soggang Unversity, Seoul, 5.
7. Jung Y. H., Roh Y. W., Chong M. S.. 2022;Anti-inflammatory Effects of Myrrh Ethanol Extract on Particulate Matter-induced Skin Injury. Journal of Korean Medicine 43(3):1–15.
8. Kang E. M., Park E. J.. 2020;A Study on the Influence Variables of Purchasing Intentions of Apparel Products Using Virtual Fit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6(1):1–13.
9. Kang S. W., Lee H. W.. 2022;Effect of Ambient Air Pollution on Outpatient Department Visits for Atopic Dermatitis: Focused on Inche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7(3):61–69. doi: 10.21097.
10. Kim, B. G. (2018).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of Self-face Care Device.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1-24.
11. Kim B. I.. 1999;An Attitude and Practical Behavior for Middle-Aged Women’s Skin Health C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5(1):123–166.
12. Kim, E. J. (2021). Effects of Risk Perception in the Untact Era on Consumption Value and Beauty Device Purchasing Behavior.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67-72.
13. Kim H. J., Um S. H.. 1997;A Study on the Regulation of Perceptive Behavior as a Determinant of Vacation Destination Selec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1(1):11–29.
14. Kim H. K., Son S. J.. 2010;The Effect of Utilizing StarMarketing on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s - in the DaeMyung Resort Vivaldi Park.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5(2):229–251.
15. Kim, H. K. (2021).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Propensity to buy, Consumer Sentiments in Life Beauty Device Us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93-97.
16. Kim, J. H. (2019). The influence of the appearance interest of the 20-30 age group on the perception of skin health care and practice behavior.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
17. Kim, J. Y. (2016). Study on design usability of vibrating cleanser: Focused on self-beauty group.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93-96.
18. Kim J. Y., Jang M. Y., Park E. J.. 2017;A Comparison by Characteristics of Cosmetology Maj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5):986–993.
19. Kim K. O., Lee J. R.. 1998;Impact Degrees of Self-esteem and Facial Care Habits of Women to Epidermal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4(1):39–63.
20. Kim, M. J. (2015).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
21. Kim M. J., Yu C. M.. 2020;The Effects of Long-term Mask Wearing on Aesthetic Behavior: Focusing on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1(3):17–35. doi: 10.18693.
22. Kim, T. I. (2023). A Study on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kin Type, and Skin Care Attitude on Perception of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
23. Kim, T. Y. (2016). A Study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t the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i-do, 54-56.
24. Kim, S. H. (2017). Study on product service design of the vibrating cleanser - With focus on experiences of women users aged from 20 to 30 years old -.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8-41.
25. Kim, S. Y. (2015). A Study on the Hair Salon Selection Factor and Hair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Hair Involvemen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Gyeonggi-do, 64-67.
26. Kim Y. J., Park S. B.. 2019;A Study on the Effects of SNS Informativeness, Playfulness and Reliability on Purchase Inten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the Management & Information Sustems Review 38(3):113–125. doi: 10.29214.
27. Lee, A. N. (2003). A Study on Knowledge and Behavior for Middle-aged Women’s Skin Health Care.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1.
28. Lee H. S., Choi Y. H.. 2020;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Particulate Matter-mediated Ocular Diseases. Journal of Life Science 30(8):722–730. doi: 10.5352.
29. Lee J. M., Kim H. J., Kim J. Y., Han C. J.. 2019;A Study on the Awareness of Skin Harmfulness and Skin Reaction Symptoms and Skin Care Behavior about the Particulate Matter of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6):1309–1315.
30. Lee, J. S. (2020). A Study on the Label-Checking Behavior and Actual Use State of Adult Women When Purchasing Cosmetic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31. Lim, J. S. (2019).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tate of Usage of Facial Beauty Devices.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77-78.
32. Moon, H. J. (2010). A study of the Intention of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Valuation and the Attitude of Skin Health Care.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
33. OH J. H., Ko H. S.. 2009;A Study on Satisfaction with Choice Attributes of a Family Restaurant and Customer Loyalty using Importance-Satisfaction Index. Journal of Foodservice Mangement 12(4):193–216.
34. Ok, B. K.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home beauty devices in the non-contact era on purchase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Risk. Master’s thesis, Westminster University, Gyeonggi-do, 89-91.
35. Park, J. B. (2019). Beauty Device Home Care Status Stud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3.
36. Park, M. S. (2021). Effects of Adult Women’s Lifestyle on the Use of SNS Beauty Information and Motivation for Skin Care Purchasing. Master’s thesis, Yewon Arts University, Jeonbuk, 1.
37. Song J. M., Ha Y. H.. 2015;The Consumer Responses of Direct Comparative and In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Based on the Brand’s Market Positio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6(1):63–82. doi: 10.21074.
38. Wang L., Lee W. W., Cui Y. R., Ahn G. N., Jeon Y. J.. 2019;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catechin against urban fine dust particleinduced skin aging by regulation of NF-kB, AP-1, and MAPKs signaling pathways. Journal of Marine Science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43(-):64–70.
39. Yu, J. J. (2015). A Study of The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s in The Coffee Shop – Using Decision Tree Model -.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5.
40. Yu, M. H. (2008). The Influence of Fashion Brands’ Color Marketing upon Consumers’ Brand Awareness 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9-4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Measuring Instrument

Variable Factor No. Prior study
Difference between selectivity and purchase Skin Condition 7 Choi (2018), Eo (2017)
Choice Attribute 10 Gong (2021), Baek (2019), Lee (2019)
Purchase Intention 4 Kang (2012), Ok (2021)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

Sort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Job A university student 182 85.8
Specialized job 6 2.8
A white-collar job 14 6.6
Business / Self-employment 4 1.9
Etc 6 2.8
Averge monthly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165 77.8
More than 2 million won 47 22.2
Possession of a home beauty device Have in one's possession 130 61.3
Keep nothing in one's possession 82 38.7
Total 212 100.0

Table 3.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Skin Change Recognition

Question Ingredient
Skin Change Awareness
3. After wearing a mask, I get stressed out from skin problems. .827
2. I have experienced changing cosmetics after wearing a mask. .813
4. I am willing to try to improve my skin after wearing a mask. .795
5. After wearing a mask, I became interested in skin care. .793
1. There is a change in skin condition after wearing a mask. .762
Eigenvalue 3.188
Explanation of variance (%) 63.762
Cumulative explanation (%) 63.762
Reliability .857

Table 4.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s

Question Ingredient
Quality Brand Price
5. Efficacy effect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841 -.120 .034
7. Safety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725 -.040 -.057
4. Convenience of use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714 .055 .061
6. Durability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703 .115 .126
1. Brand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012 .890 .148
2. When purchasing a home beauty device, compare the brands and buy them. .106 .822 .076
3. When you purchase a home beauty device, you purchase it through an advertisement. -.105 .802 .210
10. Discount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141 .105 .876
8. Price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110 .119 .822
9. Option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home beauty devices. -.087 .184 .724
Eigenvalue 2.299 2.201 2.062
Explanation of variance (%) 22.990 22.006 20.620
Cumulative explanation (%) 22.990 44.996 65.616
Reliability .737 .812 .754

KMO=.707, Bartlett's test χ²=677.932 (df=45, p=.000)

Table 5.

Valid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ntion to Purchase Home Beauty Devices

Question Ingredient
Intention to Buy Home Beauty Devices
3. I'm looking into purchasing a home beauty device. .806
1. I'm willing to buy a home beauty device .795
2. I want to have my own home beauty device. .771
4. I'm willing to buy a home beauty device in the future. .761
Eigenvalue 2.456
Explanation of variance (%) 61.408
Cumulative explanation (%) 61.408
Reliability .789

KMO=.789, Bartlett's test χ²=231.348 (df=6, p=.000)

Table 6.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Sortation M±SD Skin Change Awareness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Properties
Intention to purchase
Brand Quality Price
Skin Change Awareness 4.03±.651 1
Brand 3.52±.812 .381*** 1
Quality 4.04±.611 .366*** .019 1
Price 3.84±.696 .345*** .328*** .118 1
Intention to purchase 3.70±.725 .410*** .282*** .267*** .404*** 1
***

p<.001

Table 7.

Effect of Skin Change Awareness Due to Wearing a Mask on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Beauty Devices

Dependent variable An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ition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Brand (Constant) 1.602 .325 . 4.930 .000
Skin Change Awareness .475 .080 .381 5.967*** .000
R2=.145, Adj. R2=.141, F=35.608***, p=.000
Quality (Constant) 2.655 .246 . 10.796 .000
Skin Change Awareness .344 .060 .366 5.698*** .000
R2=.134, Adj. R2=.130, F=32.464***, p=.000
Price (Constant) 2.357 .283 . 8.335 .000
Skin Change Awareness .369 .069 .345 5.321*** .000
R2=.119, Adj. R2=.115, F=28.317***, p=.000
***

p<.001

Table 8.

The Effect of Skin Change Awareness Due to Mask Wearing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Home Beauty Devices

Dependent variable An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Intention to purchase (Constant) 1.859 .286 6.502 .000
Skin Change Awareness .457 .070 .410 6.521*** .000
R2=.168, Adj. R2=.164, F=42.524***, p=.000
***

p<.001

Table 9.

The Effect of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An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Intention to purchase (Constant) .791 .380 2.080 .039
Brand .154 .057 .173 2.698** .008
Quality .269 .072 .226 3.714*** .000
Price .334 .067 .321 4.970*** .000
R2=.239, Adj. R2=.228, F=21.748***, p=.000
**

p<.01,

***

p<.001

Table 10.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Summary

Sortation Hypothesis Adoption status
H1 HI. Recognition of skin changes caused by wearing a mask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ome beauty devices. Adopt
 H1-1 Recognition of skin changes caused by mask wearing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brand selection. Adopt
 H1-2 Recognition of skin changes caused by mask wearing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quality selection. Adopt
 H1-3 Recognition of skin changes caused by mask wearing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price selection. Adopt
H2 Recognition of skin changes caused by mask wearing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home beauty devices. Adopt
H3 The home beauty device selection attribut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dopt
 H3-1 The brand selection of home beauty devic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Adopt
 H3-2 The quality selection of home beauty devic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Adopt
 H3-3 The price selection of home beauty devic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do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