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종사자가 인식하는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SG Facilitation Factors Perceived by Franchise Hair Salon Workers on Adoption Intention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SG promotion factors and adoption intentions among franchise hair salon employees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ESG promotion factors on adoption inten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necessary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franchise hair salon employees from Generation Z to older generations, resulting in 492 valid response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employ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in ESG promotion factors based on generation, education level, position, and work experience. Adoption intentions varied by generation, education level, and position. ESG promotion factors, including management willingness, government policy, and consumer demand, significantly influenced adoption intentions, with management willingness being the most crucial factor.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insights for establishing ESG adop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the franchise hair salon industry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generational differences in ESG perception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collecting more diverse data and conducting detailed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franchise hair salon managers.
I. 서 론
환경오염, 기후변화, COVID-19와 같은 글로벌 위기가 계속되면서, 기업은 재무적 성과와 함께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포함한 비재무적 성과를 경영 목표로 삼고 실천하는 전사적 혁신의 일환으로 ESG 경영을 도입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해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Lee, 2023), 우리 정부도 이에 발맞춰「환경 관련 표시·광고에 관한 심사지침」개정안을 발표하고, 「인권정책기본법」과 「환경·사회·지배구조 관리촉진에 관한 법률」이 22대 국회에서 논의될 예정이며, ESG 도입에 따른 세제 혜택과 금융지원 등의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Yoon & Lee, 2024). 이러한 변화와 함께 환경·사회·윤리 경영에 책임감 있게 행동하는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ESG 경영을 도입하려는 경영자의 혁신적이고 강한 의지(Lee et al., 2021) 역시 매우 중요한 촉진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형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ESG 활동을 시작하고 있지만, 자발적으로 ESG를 도입하려는 대다수의 프랜차이즈 헤어살롱들은 경영자의 낮은 ESG 인식과 제한된 재원,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Kang et al., 2022). 이러한 상황에서,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이 장기적인 ESG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사자들이 고객과 가장 가까이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내부 고객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들의 인식이 경영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Jeong et al., 2023).
기업의 ESG 활동과 종사자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ung et al.(2023)은 종사자의 ESG 활동 인식은 상품 가치, 직원 만족도, 고객 만족도, 이직률 등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기업 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Jeong et al.(2023)은 감정노동 종사자의 ESG 활동 인지는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조직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자발적인 업무 참여와 동기를 높여 감정노동의 강도를 줄이며, 유지의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프랜차이즈의 ESG 활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2022)은 이타주의 성향이 강한 소비자일수록 ESG 활동을 실천하는 프랜차이즈 기업에 호의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고,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였다. Park(2023)은 치킨프랜차이즈의 ESG 활동은 경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장기적으로 ESG 전략 수립에 대한 체계적 시스템 구축과 진정성 있는 실행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하고, 이것은 기업 이미지 상승과 소비자와의 관계 강화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Kwak et al.(2024)은 “스타벅스의 ESG 경영이 진정성과 신뢰를 매개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프랜차이즈는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그린워싱을 지양한 진정성 있는 환경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선행행연구들은 ESG 활동이 종사자 인식 개선과 기업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프랜차이즈 기업의 브랜드 태도, 충성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이 ESG 경영을 도입하고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뷰티 서비스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며, 서비스 산업 내 다른 업종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소비자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제로 ESG 경영을 수행해야 하는 종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설문을 통해 ESG에 관한 견해를 측정하는 것은 종사자들의 주관적 의견 파악과 동시에 조직의 ESG 활동에 관한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Jung et al., 2023).
또한,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은 조직 내 각기 다른 사고 체계를 가진 세대가 공존하며 충돌하는 조직 문화와 내수 부진의 장기화로 인해 불안정한 환경 속에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헤어살롱 업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세대별 ESG 인식 차이를 반영한 맞춤형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며, 이는 조직 가치 실현과 기업 전략의 평가 및 향상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Jo, 2024).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성별, 세대, 학력, 직위, 경력)을 고려한 ESG 경영 도입에 대한 조직 내부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고,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새로운 시스템의 수용 여부를 예측하여, 정책 결정자들이 실효성 있는 ESG 도입 계획 및 실행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ESG에 관한 종사자 교육, 내부 정책 개발, 지속 가능한 경영 방안 마련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I. 이론적 배경
1.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현황과 ESG 활동
1)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현황
헤어살롱의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은 1980년대에서 1990년대 미용 서비스산업의 활성화 시기에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일본 인구의 41%인 한국의 가맹본부 수는 일본의 3.5배로 국내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이고, 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영역 확장이 불가피한 상황 속에 상당수 가맹본부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해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MOTIE, 2019).
1970년대에서 1980년대 개인 살롱으로 시작하여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대표적인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으로는 이철헤어커커와 준오헤어가 있다. 이철헤어커커는 현재 국내 162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KFTC, 2024), 2007년 커커차이나 법인을 설립하고 중국에 2호점을 오픈 후 2015년 중국 북경 미조형상설계 법인과 MOU를 맺고, 트리코드 아카데미도 북경에 오픈하는 등 중국간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였다(KerKer, 2024). 한편, 준오헤어는 1982년 시작하여 170여 개 매장과 3,300여 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며, 지난해 기준 전체 사업 매출액은 2,600억 원을 달성하였다(Moon, 2024). 준오헤어는 인구 감소로 인한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23년 1월 필리핀 클락에서 첫 해외 진출을 시작했으며, 현재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미국 애틀랜타 등에서 준오아카데미 진출 계약을 완료한 상태이다. 향후 5년 이내에 미주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300개 매장, 애브뉴준오 100개, 준오 토탈뷰티 아카데미 10곳을 열 계획이다(Kim, 2023). 또한, 준오헤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동남아와 유럽에서는 석회질 제거 두피 케어 제품을, 두바이에서는 히잡을 쓰는 문화로 인하여 문제시되는 두피 트러블을 고려한 마케팅과 같은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Moon, 2024).
이처럼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은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며, 전략적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ESG 활동
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이 경영 활동을 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3가지 요소를 의미하며, 비재무적 성과를 위한 투자 계획과 조직 구도의 조정 등을 포함하는 경영 지표로 작용한다(Kim et al., 2022). 환경(E)은 기업 경영 활동 전반에서 환경 영역을 포함하고,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등 기후 관련 항목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S)는 더 나은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기업이 지역사회, 직원, 고객 등 이해관계자의 권리와 의무, 인권, 안전 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배구조(G)는 경영진과 주주, 이해관계자의 권리와 책임, 투명성, 윤리경영 및 감사기구 등이 강조된다(MOTIE, 2021). ESG는 착한 기업의 이미지 제고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기준을 제공하고 수치화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있다(Huh, 2021).
대형 프랜차이즈 헤어살롱들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통적으로 산학협력과 정기적인 봉사 및 후원 등을 실시하며, 친환경 원료에 대해 접근하고 있다(JUNO HAIR, 2024; KERKER, 2024; LEEGAJA HAIRVIS, 2024). 또한, 지배구조 영역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가맹점 정보공개서를 통해 가맹본부의 현황과 임원의 법 위반 사실, 가맹점 평균 매출 등과 같은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공개하는 등 윤리경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KFTC, 2024), 대형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정보공개서를 가맹점 사업 개시년 순으로 정리한 것은 <Table 1>과 같다.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ESG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철헤어커커는 환경(E) 부문에서 친환경 제품인 O’right 제품을 선택하여 판매함으로써 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O’right는 세계 최초 탄소중립 인증 브랜드로, 일부 제품은 재생 가능한 생물학적 성분(바이오 기반 함량)을 사용하여 USDA(미국 농무부)의 BioPreferred 인증을 받았다(O’right, n.d.; USDA, n.d.). 이철헤어커커는 O’right 제품 독점 수입·판매는 프로페셔널 뷰티제품의 제조판매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중간 소비자로서의 환경적 선택의 예시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헤어살롱 종사자들의 ESG 인식 개선이 앞으로 프로페셔널 뷰티 기업에 대한 ESG 촉진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사회(S) 부문에서 2002년 업계 최초로 아름다운 재단의 ‘나눔 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커커엔젤 봉사단을 창설하여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베트남에 커커타운을 조성하고 쩐몽중학교를 건립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KerKer, 2024). 마지막으로 지배구조(G) 부문은 2008년 외부 감사(금감원 기업공시)를 시행하여(KerKer, 2024)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고, 회사의 경영 상태를 명확하게 공개함으로써 기업의 신뢰성을 높혔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준오헤어는 환경(E) 부문에서 친환경 원료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위해 노력한 결과물인 트리아 밀리아(헤어케어 브랜드)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성분을 사용하여 EWG 인증(1~2등급: 매우 안전)을 획득하였다(EWG, n.d.; JUNOHAIR, 2024). 사회(S) 부문에서는 2024년 미용 전문 구인·구직 플랫폼 헤어베어와 협력하여 미용 사회발전을 위해 기부금을 지원하고, 맞춤형 실습과 아카데미 제공을 통해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Lee, 2024). 지배구조(G) 부문에서는 2005년 헤어살롱 최초로 전문 경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Yoon, 2023) 경영 투명성과 책임성이 강화되었으며, 장기적인 비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지배구조 개선이 지속되고 있다.
2. ESG 촉진요인
촉진요인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Abdeta & Zewdie, 2021).
ESG를 촉진하게 된 환경·기후변화 요인은 기업의 ESG 경영을 대두하게 만든 근본 원인으로, 기업의 환경(E) 요인은 환경 경영을 기업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게 하여 경영 메커니즘 전환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Han, 2021). 우리 정부는 ESG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들의 ESG 경영 확산과 활동을 촉구하며, 2030년까지의 부처별 중장기 계획과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Kim, 2022). 정부의 ESG 규제와 지원 정책은 기업의 혁신 활동에 강력한 동기 부여와 혁신 역량 강화 효과를 주는 촉진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Kim & Park, 2023). 더불어, COVID-19 이후, MZ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Samjeong KPMG, 2021). 2030년이 되면 환경과 윤리경영을 중요시하는 Z세대가 전 세계 소득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소비와 조직의 주체가 될 것이며(Hlinka, 2020), 이들은 기업이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지, 제품이 윤리적으로 생산되는지 등을 고려해 구매를 결정하는 등의 행동으로 기업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Son & Hwang, 2021). 이러한 변화는 기업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ESG 경영의 전략적 방향 설정과 실행을 고려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재원이 부족한 중소기업 규모의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경영자는 환경·사회적 목표와 경제적 목표가 서로 상충할 수 있는 현실과 투입 비용에 대한 회수가 불확실한 상황을 타개하면서도 기업가치 상승 및 경쟁사 차별화로 시장 우위를 지켜야 하는 과업이 있기 때문에 ESG 전략의 최종 의사결정자인 경영자 의지 요인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Lee et al., 2021).
기업의 ESG 촉진요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Lee(2023)는 ‘경영자 인식’, ‘기후·환경 문제’, ‘정부정책’, ‘ESG 정보’, ‘이해관계자 요구’로 구성하였고, Lee(2023)는 ‘CEO 의지’, ‘고객사 요구’, ‘정부지원’ 등을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Park(2022)은 ‘경영자 압력’, ‘임직원 압력’과 ‘정부압력’, ‘투자자 압력’, ‘고객압력’으로 요인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 ESG 촉진요인들은 산업, 업종, 경영자 특성, 국가법 제도 운영과 같은 다양한 영향 요인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ESG 촉진요인을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ESG 경영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작적 정의하였으며, 하위요인을 ‘경영자 의지’, ‘환경·기후 변화’, ‘정부정책’, ‘소비자 요구’로 구성하였다.
3. ESG 도입의도
도입의도에서의 의도는 개인이 특정 행동을 수행하려는 주관적인 확률이나 의지이며, 이는 개인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취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로 정의된다(Bagozzi, 1981). 도입의도는 사용의도, 수용의도 등으로 표현할 수 있고, 기업이나 조직 구성원이 서비스나 제품, 기술을 도입 수행하려는 의도이며,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의사가 있고 도입하도록 노력할 것인가이다(Heo, 2022).
미용산업의 뷰티 브랜드들은 친환경 트렌드에 따라 친환경 제품 라인을 출시하고, 환경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며, 뷰티 업계의 ESG 경영 성과는 소비자들과 투자자들로부터 큰 신뢰와 지지를 받아 경쟁력을 강화하게 될 것이다(Seo, 2023). 이와 같은 흐름에 발맞춰, 이가자헤어비스는 친환경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매장별 친환경 교육을 진행하고 ‘에코 살롱’ 자격을 부여하며, 친환경 살롱 제품을 연구 개발하는 등의 노력으로 친환경 살롱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Hwang, 2022).
도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ang et al.(2022)은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할 경우 투자 유치와 인재 고용 유지 및 유치가 원활해져 직원의 이직률과 산업재해율이 감소하고 불량률은 낮아지며 생산성은 높아져, 결과적으로 수익성 증대와 기업 가치 상승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Kim(2022)은 ESG 경영 도입을 통해 기업들은 소비자 요구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유럽 등 해외시장 개척에 유리하며, 기업의 명성이나 이미지 등 평판이 향상될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입의도를 ‘ESG 시스템을 채택하고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나 계획하는 정도’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2.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본다.
3.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4.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 방법을 선택하여 20세 이상의 Z세대부터 기성세대, 경력 1년 미만의 인턴부터 경력 10년 이상의 최고 경영자까지를 포함하여 대형 프랜차이즈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총 49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은 Lee(2023), Lee(2023), Park(2022)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ESG 촉진요인 16문항, 도입의도 4문항, 총 20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고, 일반적 특성 5문항은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구체적 실증분석은 SPS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일반적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 측정 문항의 타당성 검증은 탐색적 요인 분석과 Cronbach's 계수를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사항에 따른 ESG 촉진요인과 도입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과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하고,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성별은 여자 401명(81.5%), 세대(연령)는 Z세대(20세 이상~29세 이하)가 413명(83.9%), 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이 359명(73.0%), 근무 기간은 1년에서 5년 미만이 230명(46.7%), 직위는 인턴이 367명(7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ESG 촉진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ESG 촉진요인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이 네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c2=6174.586(df=120, Sig=.000), KMO값 0.937, 공통성은 0.708 이상으로 나타났다. 요인1은 ‘경영자 의지’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48~0.876, 고유값은 4.113, 분산설명비율은 25.7%로 나타났다. 요인2는 ‘환경·기후변화’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30~0.825, 고유값은 3.825, 분산설명비율은 23.9%로 나타났다. 요인3은 ‘정부정책’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41~0.818, 고유값은 2.908, 분산설명비율은 18.7%로 나타났고, 요인4는 ‘소비자 요구’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95~0.785, 고유값은 1.567, 분산설명비율은 9.7%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네 개의 요인은 전체 분산의 77.5% 이상을 설명하고 있으며, 신뢰도 검증에서 Cronbach’s α가 0.814~0.934로 측정되어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의 평균값과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1)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의 기술통계 분석
전반적인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ESG 촉진요인은 환경·기후변화(M=4.11)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부정책(M=3.97), 소비자 요구(M=3.97), 경영자 의지(M=3.72)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ESG 촉진요인은 평균 3.94점이고, 도입의도 요인은 평균 3.75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G 촉진요인, 도입의도의 차이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G 촉진요인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G 촉진요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성별은 경영자 의지, 환경·기후변화, 정부정책, 소비자 요구 요인 모두에서 남자의 평균이 여자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세대(연령)는 경영자 의지(p<.01) 요인에서, Z세대의 평균이 기성세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경영자 의지(p<.01)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교 재학/졸업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사후분석결과 집단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환경·기후변화는 대학원 재학/졸업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직위는 경영자 의지(p<.001), 정부정책(p<.05), 소비자 요구(p<.05) 요인에서 모두 인턴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사후분석결과 정부정책 요인은 집단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경력은 경영자 의지(p<.01), 환경·기후변화(p<.05), 소비자 요구(p<.01) 요인 모두에서 1년 미만 그룹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Z세대가 기성세대보다 경영자 의지 요인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인다는 것은, 기업이 ESG 활동과 같은 시스템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경영자의 강한 의지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위와 경력에 따라 사회 초년생인 인턴과 1년 미만에서 경영자 의지, 정부정책, 소비자 요구 요인에서 가장 높은 인식을 보여, 직위와 경력이 낮은 직책에서 ESG 촉진 요인에 대한 압력의 민감도가 가장 높음을 의미한다.
Niu et al.(2022)의 디지털 리더십과 ESG 관리에 관한 연구에서 Z세대는 결과 중심적이고 실천적인 리더십 스타일, 경영자의 모범적 행동을 중시한다고 하였으며, Zhu & Huang(2023)은 변혁적 리더십이 ESG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 혁신이 이 관계를 매개한다는 결과는 사회 초년생인 조사 대상자들이 경영자의 의지를 중시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ESG 실태조사에 따르면, ‘ESG에 대해 전혀 모른다’가 49.7%, ‘ESG의 중요성을 못 느끼고 있다’가 1/3,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있다’가 61.9%로 파악되어(Kang et al., 2022), 본 연구 결과에서 중소기업 규모의 프랜차이즈 경영자와 관리자들의 낮은 ESG 인식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입의도의 차이
다음의 <Table 7>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도입의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이다. 성별은 여자의 평균이 남자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연령)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Z세대의 평균이 기성세대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1),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평균이 전문대 재학/졸업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인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사후 분석 결과 집단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경력은 1년 미만 그룹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Z세대가 가장 높은 도입의도를 보이는 것은 이들이 공정성을 중시하며, 기업의 미래와 자신의 경력 발전을 연관 짓기 때문에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학력별로는 환경·기후변화에서 대학원 재학/졸업자가 높은 촉진요인을 보였으며,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연령층이 가장 높은 도입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력에 따른 ESG 인식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대학원의 환경과 기후와 관련된 심도있는 학습으로 인해 높은 인식을 형성한 결과일 수 있으며,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층은 사회 초년생으로 실질적인 이로운 변화를 기대하며 ESG 도입에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Ohk et al.(2022)의 연구에서 Z세대는 공정성을 개인의 가치로 인식하여, 개인의 권리 의식에 의해 영향받고 있으며, 연령이 낮아질수록 권리의식과 관계 공정성이 높아지는 Z세대들이 ESG 활동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하였다. Puriwat & Tripopsaku(2023)에 따르면 기성세대보다 젊은 세대에서 ESG 활동 기업에 대한 사랑이 높고, 환경과 사회 문제에 관여하며, 자신의 가치에 부합하는 브랜드를 지지하고, ESG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면 브랜드를 바꿀 의사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Kim(2024)은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ESG 교육 전과 후 설문을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ESG를 기반으로 한 교육은 교육생의 환경 인식과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는 교육을 통한 환경 인식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어 본 연구와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4.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ESG 촉진요인의 하위요인인 경영자 의지, 정부정책, 소비자 요구 요인이 도입의도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경영자 의지, 정부정책, 소비자 요구 변수가 도입의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48.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경영자 의지 β=.478, 정부정책 β=.224, 소비자 요구 β=.103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종사자는 조직의 ESG 도입에 있어 환경·기후변화의 압력보다 프랜차이즈 기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인 경영자의 의지와 정부의 규제·지원, 친환경 상품 및 소비자 관련 법규 준수에 대한 요구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Kim(2022)은 ESG 경영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 정도를 알아본 결과, ‘경영자∙내부 임직원의 의지’와 ‘정부의 방침∙규제 움직임’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다고 하였고, Park(2022)의 연구에서도 정부, 고객보다 경영자와 임직원의 압력이 기업의 ESG 활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검증하여 본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ESG 촉진 요인과 도입 의도에 관한 차이를 알아보고, 촉진 요인이 도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새로운 시스템의 수용 여부를 예측하여, 정책 결정자들의 실효성 있는 도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Z세대에서 기성세대까지의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492부를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여성(81.5%), Z세대(83.9%), 대학교 재학/졸업(73.0%), 근무기간 1년 이상~5년 미만(46.7%), 인턴(74.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ESG 촉진요인은 경영자 의지, 환경·기후변화, 정부정책, 소비자 요구로 네 개의 요인이, 도입의도는 하나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경영자 의지 요인은 모든 촉진요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Z세대, 인턴, 1년 미만의 경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도입의도에서는 Z세대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에서 가장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촉진요인의 영향력 순위는 경영자 의지, 정부 정책, 소비자 요구 순으로 도입의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SG 인식이 높은 Z세대 인턴들을 대상으로 심화한 ESG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들이 회사 내에서 ESG 활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그 방안으로 ESG 도입을 위해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최신 트렌드와 모범 사례를 제공받고, 도입 과정에서의 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최신 정보를 접하고 이론과 실무를 결합한 교육을 통해 이니셔티브를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이며, Z세대 직원이 미래의 ESG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리더십 코칭을 제공하여, 그들이 조직 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영향력을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해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의 토대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는 경영자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촉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차이분석 결과 원장 직위에서 가장 낮은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경영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지를 유도하기 위한 정부정책으로 산업별 특성에 맞는 경영자 및 임원진의 인식 개선과 기업의 ESG 전략 수립을 위한 교육이 최우선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ESG 도입의 장기적인 이점과 성과를 강조하고 초기 비용과 리스크를 관리할 방안을 제공해야 하며, ESG 태그(Tag)가 붙었을 때, 투자 유치 및 대출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기존의 M세대 및 기성세대의 경영자들은 당면한 인력 수급, 교육 및 운영관리와 함께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 신뢰성, 고객 서비스와 같은 측면까지 조직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경영관리를 감당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환경적, 사회적 문제까지 살필 여력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ESG에 관한 전 세계적인 파도는 100년에 한 번 나올까 하는 메가트렌드로 피해 갈 수 없는 시대적 상황임을 직시하여야 한다. 특히 글로벌 시장지배력을 확장하려는 대형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경영자들은 기업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과 같은 SWOT 분석을 통해 ESG 경영 전략을 도입하여 선제적으로 ESG 시장에 반응해야 할 것이다.
넷째, 경영자는 내·외부 이해관계자와 협의 후 자사의 ESG 요소를 파악하고, 정부지원 정책을 활용하여 ESG 수준 측정, 이해관계자 분석 등 개선 과제를 도출해야 한다. 경영자는 업종, 규모, 기업의 특성을 반영해 세분되고 있는 정부지원 정책 중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ESG 자가진단을 활용하여 ESG 수준 측정, 이해관계자 분석 등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핵심과제 선정과 우선 수행 과제를 분류하여 중장기 추진 전략 수립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진단 결과에 따라 ESG 등급을 부여받고 정부 정책자금 지원, 은행기관 자금대출 등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으며, 투자자의 ESG 요구에 대응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민간·정부에서 지원하는 경영자 대상의 온오프라인 교육과 사례를 활용함과 동시에 종사자들의 참여로 동기부여 기회를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기업가치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산업 내에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특성과 종사자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ESG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또한, Z세대와 M세대 및 기성세대 간의 ESG 인식 차이를 명확히 밝혀 세대별 인식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촉진요인들이 ESG 도입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더불어, ESG를 프랜차이즈 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보는 관점을 강조하여 ESG 경영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각시켰으며, 프랜차이즈 헤어살롱과 같은 특정 산업에 초점을 맞춘 종사자 관점의 ESG 도입과 실행에 관한 학문적 논의를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표본이 균등 분배되지 못한 점과 각 세대를 전기·후기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 후기 M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인식을 가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 프랜차이즈 헤어살롱의 ESG 도입 의도에 있어서 경영자의 의지가 종사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영자의 특성과 인식에 대한 세밀한 연구와 ESG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