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헤어디자이너의 직무특성 인식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Hairdressers on Job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5):1089-109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5.1089
1Chief Hair Designer, Premium Leekaja Hair
2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Contract), The College of Beauty Art, Seokyeong University
3Lecturer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Beauty’crea
4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Contract), The College of Beauty Art, Seokyeong University
김한별1, 김지영2, 임윤경3, 박은준4,
1프리미엄이가자헤어, 수석디자이너
2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디자인(계약)학과, 겸임교수
3㈜뷰티끄레아, 교육부강사
4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디자인(계약)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Eun-Jun Park Tel : +82-2-940-7846 E-mail : ayamdream@hanmail.net
Received 2024 August 24; Revised 2024 September 16; Accepted 2024 September 24.

Trans Abstract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job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hair designers on job values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by reducing the intention of hair designers to quit the job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realizing their value as professionals in a situation where hair designer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elf-written metho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MZ generations working as hair shop designers. A total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310 copies were collected, and 269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the questionnaire erro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iversity, importance, identity, and feedback factors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 job valu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internal job values, diversity, importance, and feedback factor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ernal values. Third, it was found that diversity, importance, and feedback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on external job satisfaction, importance and feedback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Fifth, it was found that both external and internal values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intrinsic and external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fforts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hair designers through coordination of job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of flexibility.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hair designers, we can expect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hair beauty industry.

I. 서 론

메타버스로 불리는 현대사회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트렌드에 맞춰 현명한 소비(Smart consumption)와 함께 외적인 뷰티미용에 아낌없는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는 MZ세대가 뷰티 산업의 주된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Kim, 2022). 이러한 MZ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자기애가 강하고 스스로의 만족, 기호와 개성을 중시하는 세대로 자기 표현의 욕구가 높기 때문에 외모 관련 산업의 핵심적인 세대이고 나아가 일과 삶의 균형 등을 우선시하는 특성을 보인다. 한편 디지털 문명의 혜택에 중심에 있으면서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경험한 세대이므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등 경제적 위기와 자아실현의 괴리로 스트레스를 받는 양면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세대이다(Lim, 2023). 이러한 MZ세대가 뷰티산업에 관심을 가지면서 고학력 미용 인력의 배출, 전 문화로 거듭나고 있기 때문에 뷰티산업을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뷰티산업이 확장되고 발달하는 것과는 달리 미용업에 속해있는 종사자는 인적 서비스를 주 업무인 근무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노동, 불확실한 임금과 승진, 정신적, 신체적인 스트레스 등 개선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Park et al., 2012). 이에 따른 뷰티산업 성장에 있어서 종사자들의 개인역량과 가치관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직무에 대한 기술 뿐 아니라 직무태도와 지식습득, 업무에 대한 애착이 자기 발전을 해나갈 것이고,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과 현황들을 개선해 나감으로써 직무에 대한 자긍심과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업무의 성과가 극대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Jeong, 2011).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미용업에서는 종사자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이 하나의 상품으로 연결되어 미용실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미용인의 직무 만족도와 긍정적인 직업가치관을 가지고 고객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고객과 교감하여 가지는 상호관계의 질을 높이게 되어 고객만족과 기업 이미지에 좋은 영향을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직무만족, 직업특성, 직업가치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Hong(2023)은 헤어디자이너의 직무만족도와 업무성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고, Choi(2019)은 간호사의 역량이 업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헤어디자이너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련된 연구(Park et al., 2017), Son(2019)의 헤어디자이너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과 삶에 질에 미치는 연구 등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헤어디자이너의 직무특성 인식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헤어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직무특성 인식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헤어디자이너들의 직무만족이 직업 가치관에 긍정적인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어 헤어디자이너의 이직과 전직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직무만족을 통해 직무 이탈의도를 줄이고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I. 이론적 배경

1. MZ 세대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에 출생한 M세대는 과감한 도전과 모험심이 뛰어나고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출생한 Z세대는 높은 자아, 개인주의 경향으로 강한 개성과 유행에 민감하다. M세대와 Z세대는 스스로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고 디지털 문화과 같이 성장한 디지털 세대로 분류된다(Sung, 2022). MZ세대는 새로운 트렌드를 빠르게 흡수하고 이해하는 세대로 국내 총인구의 32.5%(16,299천명)으로 보고되며, 이들은 모든 산업에서 주된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Lee & Kim, 2022). 유행에 민감하고 급변하는 신기술과 산업에 즉각적으로 받아들이며 본인을 과시하고 성공과 가치를 주는 브랜드나 상품은 과감히 소비하는 반면 일상에 필수한 생필품에 대해서는 합리적 소비를 하는 양면적 소비 성향이 있다(Bang, 2021). 또한 MZ세대는 디지털 사용이 능숙하여 사회적 관계망(SNS)에 개인의 일상과 관심사를 빠르게 공유하고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고 상대의 반응에 즉각응답을 할 수 있는 세대이기 때문에 이러한 MZ 사회적, 문화적 특성은 뷰티 산업에서도 매우 영향력을 행사하는 세대로 인지되고 있다(Go et al., 2024).

2. 직무특성

직무특성이란 직무가 가지고 있는 고유적인 특성을 말하며 작업을 분할, 그 일에 사용되는 자격조건, 기술, 작업의 진행 절차를 의미한다(Kim et al., 2009).

직무특성 이론은 직무의 객관적인 특성에 따라서 직무자체가 작업하는 자의 직무동기나 성과 및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개인은 조직에서 주어지는 직무의 중요특성에 의하여 심리상태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만족 및 성과, 동기부여 등이 결정된다고 하였다. 직무특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결근율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소에 대한 조사연구를 하여 조직원들이 도전적이고 복잡한 직무를 선호하는 것을 발견했고, 직무가 도전적이면서 복잡한 속성을 가지려면 직무다양성, 책임감, 자율성 등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Hackman & Oldham, 1980).

Hackman & Oldham는 기능다양성(skill variety), 과업중요성(task significance), 과업정체성(task identity), 자율성(autonomy), 피드백(feedback) 등의 5요소의 핵심직무차원이 포함되는 직무특성모델(Job Characteristics Model: JCM)을 완성하였는데, 이 5가지 핵심직무 차원에 정의를 정리해보면 <Table 1>과 같다.

Definition of core job dimensions

이처럼 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자율성, 피드백 등 다섯가지 핵심직무특성은 작업자의 심리와 태도, 행위에 영향을 미치므로서 직무특성의 수준을 향상시키면 작업자의 내재적 조직몰입, 작업동기, 직무만족, 성과 등이 향상될 수 있다(Park, 2007).

3. 직무만족

직무만족은 작업자 개인이 맡고있는 직무와 그 상황 요인들에 대한 총체적인 정서적, 감정적 태도와 느낌이다. 즉 직무만족은 작업자의 직무경험 평가에서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유쾌한 감정과 정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감정, 성취감, 태도와 같은 심리적 측면을 중시한 직무의 개인 태도와, 보상에 대한 인지수준을 기반으로 보상적 측면을 강조한 주관적 감정 상태를 말한다(Yoon & Kim, 2001). McCormick & Tiffin(1974)은 조직구성원이 직무와 관련하여 갖게 되는 태도, 신념, 가치, 욕구 등의 감정 상태를 직무만족으로 정의하고,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직무만족은 개인의 내적 정서 상태를 나타내는 심리적 측면과 직무외적으로 받는 보상을 의미하는 보상적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될 수 있다.

4. 직업가치관

직업가치관은 개인이 직업이나 직업적 활동에 대한 생각과 의식, 태도, 가치를 부여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일컫는다(Chang, 2008). 직업가치관은 일의 특성, 보상 종류에 따라서 외적 직업 가치관(extrinsicworkvalues)과 내적 직업 가치관(intrinsic work values)으로 나누어진다. 외적 직업 가치관은 후생복지, 임금, 직업 안정과 같이 권력과 경제적인 측면, 사회적 위세에 대한 인식의 물질적 보상과 조건을 말한다. 내적 직업 가치관은 일 자체의 내용과 관련된 일의 흥미, 자율성, 보람 등의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사회에 헌신하며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의식의 표현을 말한다(Kim, 1994).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1) 연구모형의 설정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헤어샵 디자이너로 근무하고 있는 20-30대의 MZ세대를 대상으로 헤어샵의 디자이너로 근무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특성이 디자이너의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수집된 자료분석을 통해 검증하기 위해 연구 모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Fig. 1).

Fig. 1.

Research Model

2) 연구가설의 설정

본 연구는 헤어샵의 디자이너로 근무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특성이 디자이너의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H1: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은 직업가치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업가치관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직업가치관이 매개할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헤어샵 디자이너로 근무하고 있는 20-30대의 MZ세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024년 5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10부가 수거되었고 결측치가 있는 설문을 제외하고 26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헤어샵의 디자이너로 근무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특성이 디자이너의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수집된 자료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가치관이 직무 특성인식과 직무만족 간에서 그 영향관계를 매개하는지를 함께 탐구하였고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직무특성 인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ayes(2017)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간접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성별은 여성이 60.0%, 남성이 40.0%로 헤어디자이너 특성상 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연령은 20대가 52.4%, 30대가 47.6%로 분포되었으며,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업자가 47.5%, 대학원 이상 졸업자가 16.2%로 나타났다. 헤어디자이너로서의 근무 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30.0%로 가장 많았고, 1년 미만 21.6%, 3년 이상 5년 미만 20.4% 순으로 나타났다. 월 수입은 2백만 원 미만이 26.9%로 가장 높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269)

2. 기술통계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변인인 직무특성, 직업가치관, 직무만족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하위요인을 포함한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Table 3>과 같다.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직무특성중 자율성은 4.13, 다양성은 4.19, 중요성은 4.24, 정체성은 4.16, 피드백은 4.24로 각각 나타나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은 중요성과 피드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내적 가치관 4.26, 외적 가치관 4.25로 나타나 두 요인의 특성이 유사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 변수에서는 내적 만족이 4.27, 외적 만족이 4.16으로 나타나 내적 만족을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변수 간의 영향관계

본 연구에서는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전제하였고, 이러한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의 <Table 4>와 같다.

Analysis Results of Regression between Variables.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이 직업가치관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외적 직업가치관에는 직무특성 요인 중 다양성, 중요성, 정체성, 피드백 요인이 모두 외적 직업가치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요인이 외적 가치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정체성 요인은 오히려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외적 직업 가치관에 대한 인식이 감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적 가치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 요인 중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부분과 관련된 피드백 특성인식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특성이 내적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직무특성 요인 중 자율성과 정체성을 제외한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요인이 내적 가치관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조직성과와 관련이 깊은 중요성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직무가 조직의 성과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러한 조직성과와 관련한 자신의 직무의 중요성을 스스로 높게 인식할수록 내적 가치관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Hyung(2017)의 연구에서 직업무용수의 직무 특성이 외재적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연구에서 피드백 요인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치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고, 내재적 직업가치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 요인 또한 동일한 결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직무특성이 내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직무특성을 구성하는 요인 중 자율성과 정체성을 제외한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요인이 내적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는 중요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특성이 외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직무특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자율성과 다양성, 정체성 등을 제외한 중요성과 피드백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의 영향 요인 중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Yeo(2012)의 가발관리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연구에서 다양성,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요인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직업가치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내적 만족에는 직업가치관을 구성하는 외적 가치관과 내적 가치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내적 가치관이 내적 만족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적 만족의 경우에도 직업가치관을 구성하는 외적 가치관과 내적 가치관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내적 만족에서와 동일하게 내적 가치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외적 만족을 유인할 수 있는 중요한 영향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Hyung(2017)의 직업무용수의 직업가치관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4.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내적 가치관과 외적 가치관으로 구성된 직업가치관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이러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이용해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의 <Table 5> 및 <Table 6>과 같다.

Indirect Effect of Internal Value

Indirect Effect of External Value

외적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경로에 대한 분석을 위해 변수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5>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총 영향 0.577 중 직접 효과는 0.496으로 나타났고, 외적 가치관의 간접 효과는 0.079로 나타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 가치관의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내적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경로에 대한 분석을 위해 변수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에 제시되었다. 분석결과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총 영향 0.573 중 직접 효과는 0.398으로 나타났고, 내적 가치관의 간접 효과는 0.175로 나타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 가치관은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내적 직업가치관과 외적 직업가치관이 모두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경로에서 정(+)의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내적 가치관이 외적 가치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매개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의 이직과 전직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직무만족을 통해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이탈의도를 줄이고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발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의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디자이너가 인식하는 직무특성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적 직업가치관에 직무특성 요인 중 다양성, 중요성, 정체성, 피드백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요인이 외적 가치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체성 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이 내적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요인이 내적 가치관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중요성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이 내재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요인이 내재적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특성이 외재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중요성과 피드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가치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 모두에 외적 가치관과 내적 가치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헤어디자이너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업 가치관은 내적 가치관인 것이 확인된 것이다. 즉, 성취감을 중요시 하고, 적성과 흥미 및 능력발휘가 가능한 직업을 선택하여 종사하고자 하는 직업적 가치관이 결과적으로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헤어디자이너를 양성하는 교육기관 및 고용기관에서는 헤어디자이너의 직무에서 요구되는 적성과 흥미, 그리고 능력을 개발하게 해주고, 무엇보다 직무수행을 통해 성취감을 인식할 수 있는 내적인 직업 가치관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 코칭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내적 직업가치관을 함양하고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직무 특성 중 다양성, 중요성, 피드백 등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헤어디자이너 직무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자체가 조직의 성과와 직결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며, 자신의 직무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직무특성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중요성 요인은 자신의 직무가 조직의 성과 및 개인의성과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 수준에 있느냐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으므로 헤어디자이너의 직무와 조직과 개인의 성과목표를 이루게 하는 요인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직무를 스스로 경시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 모든 것을 수행해야 하며, 주어진 절차와 방법으로만 일을 해야 한다는 소극적 인식은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므로 이 부분을 극복할 수 있도록 타인과의 공동 작업을 통해 기술과 능력의 다양성과 조직성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의 조사 대상자들을 서울과 경기지역으로 한정하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을 더 확대하여 지역별 비교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빠르게 발전하는 뷰티산업에서 소비자의 욕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연령별 소비가치와 다양한 변수의 요인을 추가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Boo S. J.. 2009;Relationship of Job Characteristics to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27(9):101–127.
2. Bang Y. J.. 2021;MZers’ Consumption Trends, What Makes Them Open Their Wallets. Chungbuk Issues & Trends 45:20–27.
3. Chang G. H.. 2008;Transactions : A Study on the Work Values of th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Clothing and Textiles Major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10–122.
4. Choi, S. E. (2019).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Individuals’ Job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0.
5. Go S. M., Mun S. H., Lee J. S.. 2024;The Effect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30(2):286–298.
6. Hackman J. R., Oldham C. R.. 1980. work redesign. Rending MA: Addison-wesley. p. 273.
7. Hong, B. D. (2023). Effect of hairdresser’s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28.
8. Hyung, N. H. (2017).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Dancers’ Job Characteristics on the Job Values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9. Jeong, S. Y. (2011). The Effects of Beauty Care Worker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10. Kim N. J.. 1994;Effects of Social Factor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Occupational Values. Jou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Sociology 8(1):233–266.
11. Kim K. L., Lee J. S., Choe T. B.. 2009;A Study o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in Various Cosmetics Fields on Beauty Professional’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2):408–417.
12. Kim H. J.. 2022. MZ generation user manual written by the MZ generation Nexus Biz.
13. Lee S. M., Kim K. E.. 2022;SNS Marketing’s effect on the MZ generation’s vega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5):1113–1123.
14. Lim, M. Y. (2023).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xperienti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and makeup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the MZ gener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Graduate, Doctor’s thesis. Kwangju.
15. McCormick E. J., Tiffin J.. 1974. Industr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I: Prentice-Hall.
16. Park, O. F. (2007).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p. 36.
17. Park J. H., Kim S. J., Kim S. G., Park J. Y., Park E. J.. 2012;The Differ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Working Terms of Middle Management in the Beauty Industry.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6(3):117–124.
18. Park M. H., Park J. H., Park E. J.. 2017;The Effect of Beauty Service Industry`s Service Directivity on Organization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3):506–514.
19. Son J. S., Yang E. J.. 2019;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of Hairdres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4):955–963.
20. Sung, Y. L. (2022). Sustainability of Consumption According to Consumers’ Environmental Values and Consumption Values of Vegan Cosmetics: Focused on MZ genera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1. Yoon J. H., Kim J. M.. 2001;A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between Special Hotel Dispatched Workers and Regular Worker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5(2):275–294.
22. Yeo, C. H. (2012). The Effects of the Wig Expert’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Research Model

Table 1.

Definition of core job dimensions

Classification factor Definition
skill variety It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 worker requires various activities to perform his/her duties in relation to the use of various skills and talents
task significance In general, people think that it is meaningful when they feel that their job has a real effect on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ituation of others.
task identity It refers to the degree of completion as a whole required by the job, and it refers to the degree of scope occupied in the total work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job.
autonomy It refers to the degree of freedom, independence, and discretionary authority given to individuals in carrying out a series of work processes that plan and decide on the worker's own work schedule and method.
feedback If a job performer hears information from job positions, bosses, colleagues, and subordinates about his or her work result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his or her job, a feedback effect can be expected.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269)

Classification Number of People %
Gender M 108 40.0
F 161 60.0
Age Twenty 141 52.4
Thirty 128 47.6
Education Highschool 18 6.7
College 80 29.6
University 128 47.5
Graduate School 44 16.2
Career Under 1 Year 58 21.6
Over 1 Year, Under 3 Years 81 30.0
Over 3 Years, Under 5 Years 55 20.4
Over 5 Years, Under 10 Years 39 14.5
Over 10 Years 36 13.5
Income Under 200 72 26.9
Over 200, Under 300 68 25.3
Over 300, Under 400 70 26.2
Over 400, Under 500 36 13.2
Over 500 23 8.4
Total 269 100.0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Factors Mean Standard Deviation
Job Characteristics Autonomy 4.1290 .65941
Diversity 4.1935 .63765
Meaning 4.2394 .56028
Identity 4.1556 .63329
Feedback 4.2355 .57224
Occupational Values External Value 4.2613 .75943
Internal Value 4.2540 .56208
Job Satisfaction Internal Satisfaction 4.2729 .55922
External Satisfaction 4.1613 .65758

Table 4.

Analysis Results of Regression between Variables.

Dependent Independent NS-Coefficient
S-Coefficient
t p Model
B S-Error β
External Value (Constant) 1.857 .373 4.984 .000
Autonomy -.014 .076 -.012 -.188 .851 R²=.168
Diversity .241 .076 .203 3.194** .002 F=12.254
Meaning .247 .090 .182 2.743** .006 p=.000
Identity -.225 .081 -.188 -2.774** .006
Feedback .316 .083 .238 3.805** .000
Internal Value (Constant) 1.940 .268 7.244 .000
Autonomy .006 .055 .006 .101 .920 R²=.217
Diversity .143 .055 .163 2.629** .009 F=16.839
Meaning .265 .065 .265 4.093** .000 p=.000
Identity -.070 .059 -.078 -1.177 .240
Feedback .202 .060 .206 3.384** .001
Internal Satisfaction (Constant) 1.936 .266 7.267 .000
Autonomy .000 .054 -.001 -.008 .993 R²=.215
Diversity .172 .054 .196 3.185** .002 F=16.697
Meaning .237 .064 .237 3.674** .000 p=.000
Identity -.025 .058 -.028 -.423 .673
Feedback .169 .059 .173 2.844** .005
External Satisfaction (Constant) 1.270 .308 4.126 .000
Autonomy .104 .063 .105 1.665 .097 R²=.243
Diversity .078 .062 .075 1.245 .214 F=19.514
Meaning .371 .074 .316 4.989** .000 p=.000
Identity -.063 .067 -.061 -.939 .348
Feedback .194 .069 .169 2.828** .005
Internal Satisfaction (Constant) 1.860 .223 8.337 .000 R²=.280
External Value .145 .038 .197 3.776** .000 F=59.369
Internal Value .422 .052 .423 8.104** .000 p=.000
External Satisfaction (Constant) 1.906 .277 6.875 .000 R²=.181
External Value .129 .048 .150 2.699** .007 F=33.822
Internal Value .402 .065 .346 6.223** .000 p=.000
**

p<.01

*

p<.05

Table 5.

Indirect Effect of Internal Value

b SE t p LLCI ULCI
Total Effect .577 .056 10.279 .000 .466 .687
Direct Effect .498 .057 8.739 .000 .385 .609
Indirect Effect .079 .043 .025 .186
Y: Job Satisfaction, X: Job Characteristics, M: External Value

b=No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SE=Standard Error; LLCI=Lower Limit Confidence Interval; ULCI=Upper Limit Conficence Interval.

Table 6.

Indirect Effect of External Value

b SE t p LLCI ULCI
Total Effect .573 .056 10.183 .000 .462 .683
Direct Effect .398 .057 7.015 .000 .286 .510
Indirect Effect .175 .048 .085 .268
Y: Job Satisfaction, X: Job Characteristics, M: Internal Value

b=No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SE=Standard Error; LLCI=Lower Limit Confidence Interval; ULCI=Upper Limit Conficence Inter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