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5); 2024 > Article
2015개정 교육과정·2022개정 교육과정·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in aspect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specialized beauty subject curricula, to provide criteria for better development. The stud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argeted the specialized beauty subject curricula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The result were as follows : First,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revealed that while there is not connection wit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school settings, the lack of applicability in the field suggests a need for greater specific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format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confirmed the validity and consistency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core competencies were more concretely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The support for school curricula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with each presented according to the supporting institutions. Third, in the format comparison of the specialized beauty subject curricula betwee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additional elements such as the beauty subject curriculum, curriculum notes, and appendices were included, with the appendices providing abbreviations for the subject names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Fourth, the analysis of the general guidelines and specialized beauty subject curricula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dentified changes in the specialized subject areas and terminology errors, particularly noting that the abbreviated achievement standard codes and abbreviations resulted in a format that lacks practical applicability in educational activities. National-level curricula are the design of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and since the curriculum must be understood and familiarized with before implementation in school settings, the connection with the general guidelines, specificity, and efficiency should be ensured in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1945년을 시작으로 긴급조치기를 거쳐 교수요목기(1946~1954), 제1차 교육과정기(1955~1963),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제6차 교육과정시기(1992~1997), 제7차 교육과정시기(1997~2007)와 2007 개정 교육과정(2007~2008), 2009 개정 교육과정(2009~2015)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거쳐 2022개정 교육과정이 출범되었다(Kim, 2022; Kim, 2015). 이러한 교육과정 개정은 사회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환경 변화와 맥을 함께하여 왔다.
지난 COVID-19 팬데믹 상황이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직접 경험하면서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이는 사회 전반에 변화를 불러왔고 특히 교육 즉 학교, 교실, 수업에 있어 기존과 전혀 다른 방법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 및 사회변화와 감염병 확산, 기상이변, 기후환경 변화 등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시대 상황을 예측이라도 하듯 2022개정 교육과정은 2021년 11월 24일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을 발표하였다(Yoo & Kim, 2024; Kang, 2023; Kim, 2022).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국민 참여를 제도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학계·관계기관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여 자문·조정, 현장의견 수렴을 통해 확정되었다. 그 이후 심의·의결을 거쳐 교육부 장관이 최종 확정·고시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고시될 때마다 초·중등학교 현장과 학계의 대응과 반응은 연구로 이어졌다. 2022개정 교육과정 논의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교과보다 보통교과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 전문교과는 교육과정의 인식과 활용에 대한 연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 하지만 보통교과의 연구는 2022개정 통합 교과 교육과정의 재음미, 2022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각론 문서체제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22개정 교육과정 ‘문법’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22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비판적 시선: 역량 교육 담론에서 질 높은 지식교육으로의 방향과 과제외 다수의 연구들이 있었다(Yoo & Kim, 2024; Lee, 2024; Bang, 2023; Lee, 2023; Kang, 2023; Kim, 2022; Lim, 2015; Kim, 2007). 이는 학교급 별, 보통교과의 교과군 별,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미용과 관련한 연구들은 고교 학점제와 관련한 인식·사례조사 중심으로 연구되고 총론뿐 아니라 각론에 해당하는 분석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Lee, 2024; Lee et al., 2023; Kim, 2022; Lee & Kwon, 2022).
이에 미용 교과는 2015개정 교육과정의 미용·관광·레저 교과(군)에서 분리되어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별도의 교과(군)으로 독립되었다. 이 시점에서 미용과의 독립성을 확고히하고 미용교육을 활성화하는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과 미용교과 교육과정 분석연구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학교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그 개선점들은 차기 교육과정 개발의 기틀을 마련하는 일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2015, 2022개정 교육과정 문서와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의 주요사항을 비교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과 미용전문 교과교육과정의 문제를 개선하고 나은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국가교육과정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초·중등 교육법에 의거하여 고시되며 교과 및 비교과 등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공통적이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것이며, 학교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기준이 되고, 교육지원과 관계되는 교육행정 및 재정 등 이와 관계되는 정책수립과 집행근거가 되기 때문에 청사진 또는 설계도라고 한다(2022 revised curriculum, Lim, 2015).
국가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 기준, 국가수준 교육과정 등 동일한 의미로 혼용 사용되어 오고 있다. 흔히 사용하는 국가 교육과정을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는데 ‘총론’은 사전적인 의미로 ‘어떤 부분의 일반적 이론을 총괄하여 서술한 해설이나 저작, 근 줄거리’로 해석되며(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p. of Korea) ‘전체를 포괄하는 규칙이나 법칙으로 해석된 ’총칙’이라는 단어가 적절하다고 하였다. ‘총론’은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라 교육과정 중 총론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지칭해 온 비공식 용어이지만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교과교육과정과외 교과외교육과정을 합쳐 ‘각론’으로 사용해 왔다(Ministry of Education 2022; Lim, 2015).
개념을 정의하면 국가교육과정은 ‘국가의 교육비젼과 방향을 안내하고 교과 및 교과 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자치 및 지역, 학교 수준의 역할을 제시하여 교육의 전체성, 군형성, 통일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적이고 일반적이며 법적 구속력을 가진 국가교육의 기준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22; Lim, 2015).

2. 교과 교육과정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과 교육과정은 총론을 기반으로 학교 급별 교과군에 대한 성격, 목표, 편성 운영의 기준을 말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되고 교과는 보통교과 전문교과로 되어 있다. 이는 이론성 교과 또는 실제성 교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보통교과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역사/도덕 포함), 과학, 체육, 예술, 기술·가정/정보/제2외국어/한문/교양으로 구분한다. 보통교과는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되며, 선택과목은 일반선택 과목과 진로선택 과목, 융합선택과목으로 구분된다.
전문교과의 교과(군)은 2022개정 교육과정 기준 국가직무능력표준(NCS:National Competion Standard: 이하 NCS)을 고려하여 경영∙금융, 보건∙복지, 문화∙예술∙디자인∙방송, 미용, 관광∙레저, 식품∙조리, 건축∙토목, 기계, 재료, 화학 공업, 섬유∙의류, 전기∙전자, 정보∙통신, 환경∙안전∙소방, 농림∙축산, 수산∙해운, 융복합∙지식 재산 과목으로 구성되며 전문교과의 과목은 전문 공통 과목, 전공 일반 과목, 전공 실무과목으로 구분한다. 기준학과인 미용과는 전문공통과목으로 성공적인 직업생활, 노동인권과 직업생활, 디지털과 직업생활로 편성, 전공일반과목은 미용의 기초, 미용 안전·보건, 전공실무과목은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으로 편성되어 있다(2022 revised curriculum(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Vol 2022-33).

III. 내용 및 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

본 연구의 대상은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홈페이지(www.ncic.re.kr)에 탑재된 2015개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 미용·관광·레저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28]), 2022개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과 미용교과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별책 26])문서로 하였다.

2.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로 총론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을 비교 분석하였고, 각 개정 시기의 총론과 각론 즉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교육과정의 목차와 내용을 분석하고 총론에서 제시한 내용이 각론 즉 미용교과 교육과정의 연계하여 맥락을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3. 연구문제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 각 개정시기의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를 분석하여 문서 구성을 통한 전반적인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2.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형식을 비교 분석한다
3.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형식 비교 분석한다
4. 2022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문제점을 분석한다

IV. 결과 및 고찰

1.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1) 2015개정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2015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주요 쟁점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인재상 외에 핵심역량이 처음 등장하고,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도입 그리고 문·이과 통합이었다.
문서상 목차 순으로 형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과정의 중점, 학교 급별 교육목표를 제시하였다. 학교 교육 전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은 궁극적으로 학교 급별 교육과정에서 역량이 함양되어야 하므로 각론에 해당하는 목표, 교수·학습, 평가에 교과내용을 토대로 한 역량 기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교과를 담당하는 현장 교사들이 이해하고 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내용과 교과교육과정과의 연계 문제의 지적이 있었다(Kim, 2020; Lee, 2018).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에서 특히 편제와 단위 배당기준에 특성화고와 산업수요 고등학교의 단위배당 기준표는 시간표를 작성하는 현장의 교사와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 교사들에게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시간표 작성 시 필수이수단위를 중심으로 의미와 정확한 활용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학교 교육과정 지원에 대한 부분이다. 이는 국가수준과 교육청 수준의 지원의 문제는 포괄적이고 구체성이 부족하여 현장과의 괴리감이 있어 보였다(Cho, 2018).

2) 2022개정 교육과정 특징

2022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은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는 고교학점제 도입, 디지털 기반 학습환경 구축 등이 있다.
문서상 목차 순으로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을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을 먼저 제시하고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제시한 것은 지난 개정 시기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구성 방식이라 생각된다.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에서는 학교급 전환시기에 학교급 간 연계 및 진로 교육의 강화내용을 특성화고 등학교에서 적용하기에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다.

2.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형식 분석

2015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면 2022개정 교육과정은 전 개정보다 구성이 개선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각 장마다 서두에 개요를 정리하여 내용을 구조적으로 체계적으로 이해를 돕게 했다는 점이다. 먼저 단원별로 살펴보면 학교 교육과 설계 운영이 2015개정 교육과정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 기준보다 선행되어 제시되었다. 이는 설계의 원칙을 먼저 제시하고 학교 급별 운영 계획을 후에 제시함으로써 목차의 타당성과 일관성을 확보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 등장한 핵심역량 제시가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포함한 학교 교육과정 전 과정과 각론의 목표에 언급함으로써 구체적이고 명료화되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학교 교육과정 지원에서는 지원처별로 제시되었던 2015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지원의 중점 내용을 3가지 제시한 국가수준과 교육청 수준별로 제시함으로써 지원처별 지원내용을 구체화하여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접근하여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교육과정 문서의 목차 비교는 Table 1과 같다.

3.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형식 비교

Table 2에 두 개정시기의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의 목차를 제시하였다.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은 두 개정 교육과정의 형식을 비교하면 2022개정 교육과정은 전 개정보다 구성이 체계화, 세분화, 정교화되었다.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아래 미용과목 교육과정, 교육과정 일러두기, 부록이 추가하였고 부록에는 성취기준의 과목명 축약글자가 제시되었다.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의 형식 비교는 Table 3과 같다. 분석결과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구조, 편성·운영의 방향이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각각의 단일 목차로 분리되었고, 미용 교과 교육과정의 이수와 진로 설계가 추가되었다. 이는 2015개정 교육과정의 모호성과 학교현장의 적용 구체성에 따른 의견을 수렴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수와 진로 설계 추가는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에 대한 2022개정 교육과정 내용과 학점제의 등장으로 해석된다. 미용과목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과 평가가 방향과 유의사항을 구분하여 구체적 지시사항과 유의점을 제시하였다(Kim, 2023; Kim, 2023; Bang, 2023).

4.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문제점 분석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 중 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에 기술된 내용을 살펴보면 ‘미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관리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 역량, 디지털 역량 등과 같은 핵심역량을 습득하여 실무에서 미용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전공실무과목에서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에서 교수·학습 방향과 전공실무과목 교수·학습 방향과 유의사항에 핵심역량을 미용서비스에 활용하여 습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이 제시되어야 함과 동시에 핵심역량과 성취기준과 연계성, 명료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두 개정 시기의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전문교과의 계열 변화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고시된 학교 급별(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의 내용 중 ‘실무과목을 편성할 경우, 해당 과목의 내용 영역(능력 단위)를 기준으로 학년별, 학기별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로 다음 항에 ‘실무과목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성취기준에 적합하게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로 명기되어 있다. 이를 기준으로 미용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면, 실무과목 2. 내용의 a. 내용체계에서 내용영역(능력 단위)과 내용영역요소(능력단위요소)로 되어 있다(Fig. 1). Fig 1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는 NCS에서 사용된 단어를 교육부 교육과정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내용영역과 내용영역요소라는 단어를 사용하였고 괄호안에 NCS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가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을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에는 ‘전공 실무과목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성취기준에 적합하게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용영역인 능력단위 기준으로 평가한다’라는 내용이 있다. 미용과목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면, 전공실무과목 2.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의 a. 내용체계에서 학습영역과 학습요소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Fig. 2). 위의 총론 내용이 학습영역(능력단위) 학습요소(능력역단위요소)로 수정되어야 마땅하다. 이는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의 통일성 정합성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2015개정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각론의 변경 내용을 총론에서 검토가 미흡한 결과로 분석된다. NCS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살펴보면 능력단위, 능력단위 요소, 성취기준이 아닌 수행 준거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학습모듈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정도 성취 여부의 기준을 제시하는 부분으로 평가준거라는 단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성취기준을 학습목표 대신 사용하기도 한지만 NCS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혼용해서 사용할 때는 독자의 혼란이 없도록 면밀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 2015개정 교육과정부터 현재 교육과정까지 특성화고와 산업수요 맞춤형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NCS에 근간을 두고 있다. 2015개정 전문교과 교육과정은 NCS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했다고 분석되었다. 하지만 2022개정 전문교과 교육과정에서는 각론의 문서의 형식에서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이 미흡하며 추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검토와 확인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Kim, 2023; Kim, 2022).
미용전문 교과교육과정에 목차에서 부록에는 전문교과 교육과정의 과목별 성취기준이 ‘성취기준코드’와 ‘문장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교육활동에 활용하라고 제시하였다. 하지만 성취기준 코드는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에 예시가 제시되어 있지만 교육활동의 시 적용에 대한 예시나 방법이 결여된 형식에 치우친 보여주기식에 불과하다. 또한 교수학습과 평가에도 성취기준코드의 활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

V. 결 론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에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조직하고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의 종합적 교육계획이다. 이를 국가수준에서 사회적 변화를 파악하여 개발하면서 수차례의 국가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다. 미용은 2007개정 시기에 교과로 체제를 갖추면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독립된 계열로 자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NCS의 중심에 있던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각각의 미용 전문교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미래의 교육 과정에 개선과 방향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제시하였지만 교육과정 내에서 핵심역량의 학교 현장성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며 현장 적용성의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2022개정 교육과정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통해 개선사항 반영을 통해 교육과정의 문서의 형식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형식 분석은 목차의 타당성과 일관성을 확보,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 구체화시켰으며 학교 교육과정 지원은 지원내용을 지원처별로 제시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미용 전문교과 교육과정 형식 비교에서는 미용 과목교육과정, 교육과정 일러두기, 부록을 추가하였고, 부록에는 성취기준의 과목명 축약글자가 제시하였다. 2022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미용 전문교과 교육과정 분석은 계열의 변화, 용어의 오류, 성취기준 코드는 의미 없는 축약 글자로 활용성이 결여된 형식에 치우친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교육의 설계이며,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은 운영하기 전 이해하고 숙지해야 할 중요한 과정이다. 교육과정과 미용전문 교과교육과정의 문제를 개선하고 나은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과정의 비전과 방향을 실행하기 위한 실제적 지원병행을 위한 관심을 주장하는 바이다. 핵심역량 또한 중요한 부분이지만 교과의 특성에 맞는 지식과 기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핵심역량 또한 중요한 부분이지만 교과의 특성에 맞는 지식과 기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은 구성 항목 간에 유기적으로 연관성을 가져야 하고 미용 교육활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와 순서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해야 한다. 넷째, 문서에 치우치지 않고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현 교육과정에서 최종 사용자인 교사, 학부모 학생이 주된 독자로 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한다. 다섯째, NCS를 기반으로 한 미용전문교과 교육과정에 총론의 사항과 항목들의 조정이 필요하다. 여섯째, 타 전문교과에 비해 과목수가 적은 미용과목을 미용교과 내에서 융합 개발하여 과목을 증설하고 진로를 확장하여 미용분야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계기 마련이 필요하다.

Fig. 1.
A part content system of hair beauty Subject in 2015 revised curriculum-Beauty·Tour·Leisure curriculum
JKSC-2024-30-5-1106f1.jpg
Fig. 2.
A part content system of hair beauty Subject in 2015 revised curriculum-beauty subject curriculum
JKSC-2024-30-5-1106f2.jpg
Fig. 3.
A part content system of hair beauty Subject in 2022 revised curriculum-beauty subject curriculum
JKSC-2024-30-5-1106f3.jpg
Table 1.
Comparison of the Format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Category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tructur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ontents I. Direction for Curriculum Composition I. Direction for Curriculum Composition
 1. Desired Attributes of Students  1. Focus of Curriculum Composition
 2. Focus of Curriculum Composition  2. Desired Attributes of Students and Core Competencies
 3. Educational Goals by School Level  3. Educational Goals by School Level
  a. Educational Goals for Elementary School   a. Educational Goals for Elementary School
  b. Educational Goals for Middle School   b. Educational Goals for Middle School
  c. Educational Goals for High School   c. Educational Goals for High School
II. Standard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by School Level
 1. Basic Requirements
 4. High School
  a. Structure and Time Allocation Criteria
   1) Structure
   2) Unit Allocation Criteria II.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3) General Subjects  1. Principles of Design
   4) Specialized Subjects  2. Teaching and Learning
  b.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3. Assessment
   1) General Provisions  4.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2) General High Schools (Including Autonomous High Schools)
   3)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4)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ndustry Demand-Focused High Schools
 5.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in Special Schools
III.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by School Level
 1. Basic Requirements
 4. High School
  a. Structure and Time Allocation Criteria
   1) Structure
Ⅱ.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2) Unit Allocation Criteria
 1. Principles of Design    3) General Subjects
 2. Teaching and Learning    4) Specialized Subjects
 3. Assessment   b.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4.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1) General Provisions
   2) General High Schools (Including Autonomous High Schools)
   3)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4)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ndustry Demand-Focused High Schools
 5. Special Schools
IV. School Curriculum Support
 1.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a. National-Level Support
Ⅳ. School Curriculum Support   b. Regional Education Office-Level Support
 1. National-Level Support  2. Enhance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2. Regional Education Office-Level Support   a. National-Level Support
  b. Regional Education Office-Level Support
 3. Cre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in Schools
  a. National-Level Support
  b. Regional Education Office-Level Support
Table 2.
Comparison of the Table of Contents for Specialized Subjects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2015 Revised Specialized Subject Curriculum
2022 Revised Specialized Subject Curriculum
Beauty, Tourism, and Leisure Specialized Subjects Curriculum Beauty Specialized Subject Curriculum
Curriculum Notes
Beauty Specialized Subject Curriculum
Curriculum by Subject Beauty Subject Curriculum
 Common Specialized Subjects Common Specialized Subjects
 Basic Subjects General Major Subjects
 Practical Subjects Practical Major Subjects
Appendix
Abbreviations for Subject Names
Table 3.
Comparison of the Format of Specialized Subjects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2015 Revised Curriculum for Specialized Subjects Structur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pecialized Subjects Structure
Beauty, Tourism, and Leisure Specialized Subjects Curriculum Beauty Specialized Subject Curriculum
1.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the Subject Curriculum
1. Objectives and Structure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Direction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a. Characteristics
 b. Objectives
 1-1. Objectives of the Subject Curriculum 2. Structure and Design of the Subject Curriculum
 1-2. Structure of the Subject Curriculum  a. Structure of the Subject Curriculum
 1-3. Direction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ubject Curriculum  b. Practical Aspects of the Subject Curriculum
3.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ubject Curriculum
4. Completion and Career Design for the Subject Curriculum
Common Specialized Subjects / Basic Subjects / Practical Subjects Common Specialized Subjects / General Major Subjects / Practical Major Subjects
1.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1. Characteristics  a. Characteristics
 a. Nature  b. Objectives
 b. Objectives 2. Content Framework and Achievement Standards
2. Content  a. Content Framework
 a. Content Framework  b. Achievement Standards
 b. Achievement Standards by Area 3. Teaching and Learning
3. Teaching and Learning  a.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4. Assessment  b. Consider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 Key Focus of Assessment 4. Assessment
 b. Achievement Levels by Area  a. Assessment Directions
 b. Assessment Methods

References

2015 revised curriculum(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Vol 2015-74 [separate volume1]), Beauty·Tour·Leisure curriculum(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Vol 2015-74 [separate volume28]).
2015 revised curriculum, 2022 revised curriculum, specialized beauty subject curriculum, beauty subject curriculum.
2022 revised curriculum(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Vol 2022-33 [separate volume 1]).
Bang, Y. J. (2023). A Critical Review of Grammar Area 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eld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17(1), 68-71.
Cho, Y. H. (2018).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Competency as a National Curriculum Construction Princi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ajor in Sociolog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6-28.
Kang, H. Y. (2023). Critical Perspective o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Direction and Challenges from Competency Education Discourse to High-Quality Educ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Curriculum Development, 1(2), 15-17.
Kim, J. G. (2007). A Critical Review of Curriculum Revision Process.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 164-169.
Kim, J. H. (2023).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Government Policy Documents Related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1(3), 163-166.
crossref
Kim, S. H. (2015). Analysis of curriculum cosmetology department of the division of home·economics-based on the instruction· learn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2(6), 1131-1138.
Kim, S. H. (2022).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3), 518-524.
crossref pdf
Kim, S. Y. (2020).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itical Reading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8(4), 192-196.
Kim, S. Y. (2023).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The Research Journal of Curriculum Development, 1(2), 135-138.
Lee, J. Y. (2023). An Overview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Specialized Subjects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3(12), 299-317.
crossref
Lee, R. (2018). Explor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Document Format in Korean Curriculum: Focusing on the term ‘standard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4(2), 55-81.
crossref
Lee, S. W. (2024). A Study on How to Operate Beauty Course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Based on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Beauty Art Car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Seoul, 8-26.
Lee, S. W., & Kwon, K. H. (2022). A Critical Review of 2015 Revised Beauty Curriculum. J. Korea Soc. Beauty Art, 23(3), 329-352.
crossref
Lee, S. W., Ahn, J. M., & Kwon, K. H. (2023). A Survey on the Operation Case and the Course-Type Satisfactory of Curriculum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Beauty Departmen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3(3), 585-599.
crossref
Lim, Y. N. (2015). A Study on the Form and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ajor in Curriculum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12-38.
Ministry of Education (2022) A Study for Developing a Draf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pecialized subject curriculum revised, 11-1342000-00095.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www.ncic.re.kr).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public of Korea, The Standard Dictionary of Korean.
Specialized beauty subject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fied Vol 2022-33[separate volume 26]).
Yoo, H. J., & Kim, S. H. (2024). A Critical Review of Main Components in the 2022 Revised Second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72(2), 93-125.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296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