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의 관계 연구

Correlation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Among College Studen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4;30(5):1114-112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4.30.5.1114
1Graduate School,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양지영1, 김선형2,
1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본 연구는 양지영의 석사학위논문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Corresponding author: Sun-Hyoung Kim Tel : +82-62-950-3765 E-mail : sun@kwu.ac.kr
Received 2024 August 30; Revised 2024 September 17; Accepted 2024 September 25.

Tran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earning satisfaction affect one another among college students. It also seeks to find ways to develop programs in communities and schools that can enhance all three aspects together, while collecting crucial data to support these initiativ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0 college students from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Before starting the survey, the study’s purpose was explained, and it was administered only to those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earning satisfaction revealed that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satisfaction—such as self-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mass media—ar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factors, including personal, family, and social self-esteem. Furthermo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dditionally, personal, family, and social self-esteem were all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a strong connection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earning satisfac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hese aspects among college students.

I. 서 론

외모(外貌)는 자신을 표현하고 알리는 비언어적 수단으로 내면적 요인과 외형적 형상의 결합으로 나타나며, 상대방에게 강한 인상을 주는 요소이다(Lee & Ahn, 2023). 오래전부터 외모지상주의(外貌至上主義)라는 말이 사용되어 온 것을 보면 현대사회에서 외모는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며 그에 따라 외모에 대한 집착이 늘고 있다. 또한 Kim et al.(2022)는 외모는 사회생활의 성패나 개인 간의 우열을 가르는 기준이라고 말했으며 외모가 개인의 가치를 평가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Yu & Lee, 2022). 대중은 마른 몸과 예쁜 얼굴과 같이 다수가 선호하는 모습이 되기를 지향하여 지나친 외모와 몸매에 대한 집착이 형성되며 외모에 대한 개인의 관념이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여 외적인 조건과 아름다움의 정도가 타인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Park & Chun, 2020).

특히 대학생들은 사회진출을 앞두고 있어 타인을 의식하는 특성이 커지면서 좋은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이성 교제 및 취업과 관련한 외적인 아름다움을 변화시키는 성형, 다이어트 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18). 대학생에게 외모는 취업, 연애, 결혼, 등과 직결되어 중요하며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큰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외모관심도에서 외모 만족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외모만족도가 형성된다. 외모만족도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이미지와 자신과 타인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에 대한 주관적 판단을 의미하는데, 이때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형성된다(Kim, 2019). 또한 자신 외모에 만족하는 대학생은 스스로도 만족감을 느끼고 사회생활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학생은 학교나 사회에서 위축될 수 있다(Kim & Kim, 2014). 외모만족도의 상승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판단하는 정도를 말한다(Lee & Kim, 2012).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대학생들은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맺으며(Lee, 2019), 높은 성취와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지니게 되어 대학 생활을 더 잘하게 된다(Kim, 2013). 그리고 대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자신의 직업과 전공 학문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게 되며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Kim & Lee, 2020). 또한 학습(學習)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높은 호기심, 참여도를 가지게 되는 반면 낮은 학업 동기와 자아존중감은 학습에 어려움을 준다(Choi & Kim, 2018). 학습 부진 학생은 계속된 실패로 인해 부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게 되며 부정적인 자아존중감과 낮은 학업성취도를 가져오게 된다(Kim, 2018).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 수준과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Oh, 2017).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습 동기에서 이어진 학습 행동의 결과인 학업 성취도와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에서 초기 성인기에 접어든 대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은 학업과 대학생활에 있어 여러 방면으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Park(2023), Heo(2017), Kim & Kim(2016)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Yoo(2020), Oh(2017)은 자아존중감과 학습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보고자 한다. 먼저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한 이후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외모만족도

외모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신체의 생김새인 얼굴, 몸매에서부터 그 신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헤어스타일, 의복, 장식물 등을 포함하여 겉으로 보이는 전체적인 모습을 의미한다(Han, 2024). 이러한 외모는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성공적인 사회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Kim & Kim, 2022). 외모만족도는 외모와 만족도의 합성어로 외모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외모만족도의 개념 및 정의를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살펴보면 Choi(2006)는 ‘외모만족도란 외모에 대해 만족하거나 불만족하는 느낌의 정도를 말하며 자신의 겉모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Choi, 2006). 외모만족도는 Secord와 Jourard(1953)에 의해 처음 도입되어 사용된 개념으로 외모만족은 자신의 신체 이미지가 외부로 표출되어 상대방에게 매력적인 모습으로 인식되어 좋은 인상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긍정적 태도라 할 수 있다(Secord & Jourard, 1953).

2.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높여 소중하게 대하고 긍정적인 존재로 느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은 자신을 수용 및 존중하고 자신을 좋아하며 스스로를 가치 있는 인간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Rosenberg, 1985; Lee, 2019).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자신을 좋아하고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은 물론 모든 일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자아존중감의 개념을 선행연구에서 살펴보면 Rosenberg (1965)는 자아존중감은 자아에 대한 긍정과 부정적 태도이며, 개인이 자신 있고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자신에 관해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낮은 자존감은 자신감과 지도력의 결여, 대인관계의 원만치 않음, 같은 부정적인 자기평가를 나타낸다고 한다(Rosenberg, 1965; Lee, 2011).

3. 학습만족도

학습만족도의 개념을 선행연구에서는 Campbell(1976)은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부족함이 없이 흡족한 상태의 정도를 의미하고 학습 만족을 일정한 학습 목표나 욕구의 도달 정도를 통한 학생들의 만족스러운 주관적 감정 상태라고 말하였다(Campbell, 1976).

Locke(1995)는 학습에서의 만족이란 ‘개인 내적과정에서만 발견될 수 있는 정서적 반응(emotional response)으로 개인이 교육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을 평가한 결과로부터 긍정적이고 유쾌한 정서적 상태를 느꼈을 때’를 의미한다고 말하고 있으며(Locke, 1995), Astin(1993)은 학습자의 학습경험의 주관적 반응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Astin, 1993; Lee 202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를 위하여 대전·충남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2024년 3월 7일부터 3월 28일까지 설문지를 집단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네이버 폼을 통해 인터넷을 활용하여 설문을 받았다. 또한 학습만족이라는 변수 특성에 따라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위한 유의수준(α)=0.05, 검정력(1-β)=0.95, 효과크기(f²)=0.15, 예측인자 6개로 하였을 때 필요한 최소 표본 수는 총 146명이다. 이에 탈락 인원 10% 내외를 예상하고, 160명에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한 152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를 수집하였다. 본 조사 전에 연구대상에 포함하지 않은 대학생 1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조사대상자 대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에는 비밀을 보장하며 순수한 연구목적으로 사용할 것을 설명하였다.

2. 연구내용 및 설문지의 구성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의 경우 성별, 학년, 전공계열, 학업성적, 거주지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외모만족도는 Park(2023), Hwang(2023), Kim & Kim(2016)의 연구를 참고하여 16문항, 자아존중감은 Kim(2019), Ko(2018), Heo(2017)의 연구를 참고하여 15문항, 학습만족도는 Yoo(2020), Choi(2017)의 연구를 참고하여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본 연구의 구체적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에 대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 73명(48.0%), 여자 79명(52.0%)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1학년 39명(25.7%), 2학년 52명(34.2%), 3학년 22명(14.5%), 4학년 39명(25.7%)으로 나타났으며, 전공계열은 인문사회/사범/상경계열 83명(54.6%), 의학계열 30명(19.7%), 자연과학/공학계열 22명(14.5%), 예체능계열 17명(11.2%)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은 3.0 미만 9명(5.9%), 3.0 이상-3.5 미만 33명(21.7%), 3.5 이상-4.0 미만 73명(48.0%), 4.0 이상-4.5 이하 37명(24.3%)으로 나타났고, 거주지는 충청남도 76명(50.0%), 대전광역시 76명(50.0%)으로 나타났다.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외모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외모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결과 KMO는 0.875,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1664.486(df=120, p=0.0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3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70.879%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3개의 요인은 각각 ‘타인만족도’(26.330%), ‘대중매체만족도’(22.380%), ‘자기만족도’(22.168%)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타인만족도’는 0.912, ‘대중매체만족도’는 0.886, ‘자기만족도’는 0.881로 분석되어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earance Satisfaction

2) 자아존중감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자아존중감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결과 KMO는 0.902,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1939.139(df=105, p=0.0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3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77.481%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3개의 요인은 각각 ‘사회적 자아존중감’(26.637%), ‘개인적 자아존중감’(25.996%), ‘가정적 자아존중감’(24.847%)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0.931, ‘개인적 자아존중감’은 0.929,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0.901로 분석되어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lf-esteem

3) 학습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학습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결과 KMO는 0.923,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823.684(df=28, p=0.0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요인은 총 1개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66.936%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이 갖는 요인적재치가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성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1개의 요인은 ‘학습만족도’(66.936%)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만족도’는 0.929로 분석되어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Satisfaction

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검증

주요 변수에 대해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결과 외모만족도는 하위요인별 ‘대중매체만족도’(M=3.50), ‘자기만족도’(M=3.28), ‘타인만족도’(M=2.93) 순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하위요인별 ‘사회적 자아존중감’(M=4.13), ‘가정적 자아존중감’(M=4.08), ‘개인적 자아존중감’(M=3.80)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만족도는 평균 3.90점으로 나타났다.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상관관계 분석결과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 타인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는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학습만족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Lee & Lee(2019)의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가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Kim(2014)의 연구에서도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Oh(2017)의 연구에서도 자아존중감은 학습만족도와 보통 수준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4.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먼저 개인적 자아존중감에 있어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49.885(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50.3%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자기만족도(β=.514, p<.001), 타인만족도(β=.219, p<.01), 대중매체만족도(β=.133, p<.05)가 개인적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 타인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적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한 Ko(2018)의 연구에서 외모만족도가 높으면 개인적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Kim & Choi(2016)의 연구에서도 외모만족도가 높아지면 개인적 자아존중감이 상승했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The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있어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20.632(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29.5%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자기만족도(β=.552, p<.001)가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정적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Kim & Choi(2016)의 연구에서 외모만족도가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Ko(2018)의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가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상반된 결과를 볼 수 있다.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있어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19.332 (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28.2%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타인만족도(β=.288, p<.01), 자기만족도(β=.213, p<.05), 대중매체만족도(β=.191, p<.05)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타인만족도, 자기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Kim & Choi(2016)의 연구에서 외모만족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또한 Lee(2013)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많아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Ko(2018)의 연구에서는 외모만족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상반된 결과를 볼 수 있다.

5.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35.014(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41.5%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자기만족도(β=.356, p<.001), 타인만족도(β=.289, p<.001), 대중매체만족도(β=.180, p<.01)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 타인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외모만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 높다는 Kim(2018)의 연구와 관련이 있으며, 외모만족이 학업성취에 매개효과가 있다는 Oh & Min(2021)의 연구와도 관련이 깊다.

The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F통계량은 54.024(p<.001)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52.3%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개인적 자아존중감(β=.482, p<.001), 사회적 자아존중감(β=.280, p<.001)이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자기존중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Seo & Chung(2015)의 연구와 관련이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Byeon(2017)의 연구와도 관련이 깊다.

The Impact of Self-esteem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V. 결 론

대학생들에게 외모는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또한 취업, 연애, 결혼 등과 직결되어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크다. 외모 관심도에서 형성된 외모에 대한 만족도는 스스로가 만족감을 느끼고 사회생활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반면 그렇지 않은 학생은 사회생활에서 위축될 수 있다. 이러한 외모만족도의 상승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대학 생활을 더 잘하게 되고 학습에 높은 호기심과 참여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습행동의 결과인 학업 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가 높아진다. 대학생에게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는 서로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의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 타인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는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학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 타인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적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정적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타인만족도, 자기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자기만족도, 타인만족도, 대중매체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며 외모만족도가 높으면 자아존중감과 학습만족도가 향상되고,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학습만족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외모만족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설명계수가 .403이며, 자아존중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513으로 나타나 외모만족도 보다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노력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도구개발을 위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나타냈으며,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외모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면 사회생활에서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취업, 결혼, 연애 등에서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학업과 학습에 있어서 만족감을 가지며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의 연관성에 대한 Kim(2019)의 연구, 대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Kim(2018)의 연구, 또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학 생활적응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한 Kim(2018)의 연구, 중학생의 도덕성,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Oh(2017)의 연구 등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학습만족도 세 가지 요인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연구는 미흡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 의의가 있다. 하지만 대전광역시, 충청남도로 지역을 제한하여 특정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하였기 때문에 모든 대학생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더욱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Byeon H. S.. 2017;The Effect of Parental Involvement, Academic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Logos Management Review 15(1):105–122.
2. Campbell A.. 1976;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levels and standards of living. Journal of Home Economics 57(1):4–63.
3. Choi J. Y., Kim K. H.. 2018;The Effect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6(12):87–95.
4. Choi, K. M. (2017). Effects of Lecture Qua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Iksan, 109.
5. Choi, M.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Irrational Belief and Self-appearance Satisfaction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Seoul, 8.
6. Han, Y. S. (2024).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and usage statu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ocial usefulness of appearance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Art Hansung University, Seoul, 4.
7. Heo, H. H. (2017). Analysis of Differences in Adolescents’ Appearance Satisfaction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24.
8. Hwang, J. O. (2023).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fficacy as a mediating effect-.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gi-do, 15.
9. Kim C. G.. 2013;Effects of Perceived Death and Self-esteem on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and Nursing 27(3):539–550.
10. Kim E. H., Choi E. M.. 2016;Appearance Satisfaction has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Junior High School Girl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17(4):263–272.
11. Kim, E. S. (2018).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s thesis, Jeju Inter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and Clinical Therapy, Jeju, 1.
12. Kim H. Y., Kim S. H.. 2022;The Influence of Appearance Interest on Makeup Behavior i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2):323–333.
13. Kim H. K.. 2018;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4):415–429.
14. Kim J. H., Lee Y. R., Yu J. W.. 2022;The Perception of Fashion and Emotional Tendency in Look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Academic Technology 23(4):303–313.
15. Kim. M. Y.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Self-Esteem, Sexual Consciousness, and Self-Appearance Satisfactio.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Baekseok University, Cheonan, 47-65.
16. Kim S. H.. 2019;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5):1201–1211.
17. Kim S. H., Kim E. H.. 2016;Study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1275–1285.
18. Kim S. J., Kim H. H.. 2014;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on employment stres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4(1):75–84.
19. Kim S. S., Lee J. S.. 2020;The Effect of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College Life Adaptation on Overuse of Smartphones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1(3):1023–1038.
20. Kim, Y. S. (2018). Correlation Research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Self-esteem and Creativit to Academic achievement level.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10.
21. Ko, M. J. (2018). The Effects of Makeup Training on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27-42.
22. Lee B. H.. 2019;Effects of Empathy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Focused o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7(2):5–24.
23. Lee, H. T. (2011). The 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pirituality, Self-Esteem and Ego-Resilienc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uc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9.
24. Lee J. Y., Ahn J. J.. 2023;The Effect of Interest in Appearance According to Self-consciousness on Makeup Behavior: Focusing on men in their 20s to 4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3):777–784.
25. Lee, K. H. (2013). The Effect of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Appeara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of Adolesc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anam University, Seoul, 26.
26. Lee, S. G.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aboration Loa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27. Lee S. H., Kim S. J.. 2012;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 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and Nursing 26(3):453–464.
28. Lee, S. Y. (2019).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Silla University, Busan, 13.
29. Lee S. Y., Lee K. S.. 2019;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Self-esteem as a Mediator.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5):227–249.
30. Locke E. A.. 1995;The micro-analysis of job satisfaction: Comments on taber and allige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2):123.
31. Oh, H. K.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morality, self-esteem,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level.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30-31.
32. Oh S. H., Min Y. J.. 2021;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Being Bullied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Social Work 55:1–26.
33. Park J. H., Chun J. H.. 2020;A Study on Lookism Expressed in YouTube’s Fashion Contents - Focused on Videos and Comments -. Journal of Fashion Design 20(1):35–53.
34. Park, K. H. (2023). The Effect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28.
35. Secord P. F., Jourard S. M.. 1953;The Appraisal of Body Cathexis: Body Cathexis and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343–347.
36. Seo E. S., Chung K. A.. 2015;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Poetry Science 17(3):213–226.
37. Yoo, H. J. (2020). The impact of communication skills 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Focused on the homeroom teacher of Beauty High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 Seoul, 52.
38. Yu X. Y., Lee S. J.. 2022;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Lookism on Appearance Beliefs and Appearance Anxiety: Focusing on the Role of Appearance Conversations.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21(4):163–19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73 48.0
Female 79 52.0
Academic Year Freshman 39 25.7
Sophomore 52 34.2
Junior 22 14.5
Senior 39 25.7
Academic Major Humanities & Social Sciences, Education, Business & Economics 83 54.6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22 14.5
Medicine 30 19.7
Sports & Arts 17 11.2
GPA Below 3.0 9 5.9
3.0 to under 3.5 33 21.7
3.5 to under 4.0 73 48.0
4.0 to 4.5 or Above 37 24.3
Residence Chungcheongnam-do 76 50.0
Daejeon 76 50.0
Total 152 100

Table 2.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earance Satisfaction

Question Category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Self-Satisfaction
10. I’d like to hear from people around me that I look good or pretty (r). .901 .058 .178
8. I’m concerned about how others see me (r). .813 .075 .376
9. I feel uncomfortable when my friends comment on how I look (r). .807 .044 .201
7. Sometimes I find myself feeling envious of friends who are stylish or attractive (r). .805 .122 .285
11. I struggle with dating because of how I look (r). .776 .272 -.012
6. My friends like how I look. .692 .017 .219
14. I tend to favor celebrities who are stylish and attractive over those who might have more talent (r). -.045 .875 -.011
12. I wish I looked as handsome or pretty as celebrities do (r). .129 .862 .182
16. I watch weight loss and fitness YouTube videos because I find them useful (r). .071 .855 .074
15. I want to look good and beautiful, even if it means considering plastic surgery (r). .124 .762 .011
13. Sometimes looking at celebrities makes me feel inadequate (r). .189 .710 .299
3. I'm happy with my body shape. .160 .056 .906
4. I am confident in my first impression. .115 .029 .837
2. I wish I were slimmer (r). .278 .030 .788
1. I am happy with how I look. .308 .230 .783
5. I used to be treated poorly because of my appearance, whether it was my face or body (r). .272 .315 .567
Eigenvalue 4.213 3.581 3.547
Variance (%) 26.330 22.380 22.168
Cumulative Variance (%) 26.330 48.710 70.879
Cronbach’s α .912 .886 .881
KMO=.875, Bartlett's test χ²=1664.486 (df=120, p=.000)

Table 3.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lf-esteem

Question Category
Social Self-esteem Person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15. I have a close friend. .854 .127 .122
12. I make others happy. .851 .238 .241
14. I believe I am a good friend to others. .847 .299 .106
13. My friends usually agree with my opinions. .816 .277 .142
11. I have the ability to make friends easily at any time. .807 .364 .144
2. I am able to handle my own problems. .230 .887 .134
5. I know myself very well. .220 .804 .200
3. I am satisfied with who I am. .281 .802 .340
1. I can manage anything effectively. .353 .798 .285
4. I make decisions quickly and confidently. .268 .775 .200
9. My family is the happiest in the world. .100 .158 .891
10. My parents really understand me. .186 .117 .808
8. I am an important part of my family. .149 .247 .807
7. My parents are proud of me. .249 .292 .784
6. I spend a lot of good time with my parents. .045 .172 .773
Eigenvalue 3.996 3.899 3.727
Variance (%) 26.637 25.996 24.847
Cumulative Variance (%) 26.637 52.634 77.481
Cronbach’s α .931 .929 .901
KMO=.902, Bartlett's test χ²=1939.139 (df=105, p=.000)

Table 4.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earning Satisfaction

Question Category
Learning Satisfaction
8. I’m satisfied with both the content and quality of the lectures provided by the professors. .875
3. The courses are high-quality and specialized. .847
5. I believe the number of courses is sufficient for effective learning. .835
1. The school curriculum is diverse and well-organized. .824
2. The courses are easy for me to grasp. .815
4. The length of each class is appropriate. .811
7. I receive satisfactory answers to my questions during class. .783
6. Professors are specialized in the subjects they teach. .750
Eigenvalue 5.355
Variance (%) 66.936
Cumulative Variance (%) 66.936
Cronbach’s α .929
KMO=.923, Bartlett's test χ²=823.684 (df=28, p=.000)

Table 5.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Category M±SD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Learning Satisfaction
Self-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Person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Self-satisfaction 3.28±.974 1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2.93±.999 .516*** 1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3.50±1.042 .301*** .262** 1
Personal Self-esteem 3.80±.908 .667*** .519*** .345*** 1
Family Self-esteem 4.08±.803 .541*** .253** .188* .510*** 1
Social Self-esteem 4.13±.787 .419*** .448*** .330*** .601*** .391*** 1
Learning Satisfaction 3.90±.661 .560*** .520*** .363 .683*** .420*** .595*** 1
*

p<.05,

**

p<.01,

***

p<.001

Table 6.

The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E. β Tolerance Limit VIF
Personal Self-esteem (Constant) 1.241 .233 5.334 .000
Self-satisfaction .479 .064 .514 7.444*** .000 .705 1.419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200 .062 .219 3.216** .002 .722 1.386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116 .053 .133 2.170* .032 .894 1.118
R²=.503, Adj. R²=.493, F=49.885***, p=.000
Family Self-esteem (Constant) 2.598 .245 10.610 .000
Self-satisfaction .455 .068 .552 6.716*** .000 .705 1.419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032 .065 -.040 -.495 .622 .722 1.386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025 .056 .033 .447 .656 .894 1.118
R²=.295, Adj. R²=.281, F=20.632***, p=.000
Social Self-esteem (Constant) 2.393 .242 9.878 .000
Self-satisfaction .172 .067 .213 2.565* .011 .705 1.419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227 .065 .288 3.516** .001 .722 1.386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144 .056 .191 2.591* .011 .894 1.118
R²=.282, Adj. R²=.267, F=19.332***, p=.000
*

p<.05,

**

p<.01,

***

p<.001

Table 7.

The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E. β Tolerance Limit VIF
Learning Satisfaction (Constant) 2.149 .184 11.705 .000
Self-satisfaction .242 .051 .356 4.757*** .000 .705 1.419
Satisfaction with Others' Perception .191 .049 .289 3.909*** .000 .722 1.386
Satisfaction with Mass Media .114 .042 .180 2.708** .008 .894 1.118
R²=.415, Adj. R²=.403, F=35.014***, p=.000
**

p<.01,

***

p<.001

Table 8.

The Impact of Self-esteem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E. β Tolerance Limit VIF
Learning Satisfaction (Constant) 1.380 .236 5.861 .000
Personal Self-esteem .351 .056 .482 6.289*** .000 .550 1.820
Family Self-esteem .053 .055 .065 .974 .331 .728 1.373
Social Self-esteem .235 .060 .280 3.910*** .000 .630 1.589
R²=.523, Adj. R²=.513, F=54.024***, p=.000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