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1(2); 2025 > Article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collec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of beauty college students an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27.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validity, and Cronbach’s α value was checked for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elasticity in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collection behavior. Career elastic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or complete mediating effect depending on the sub-factors in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collection behavior. In the influence of the job information factor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collection behavior, career elastic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is,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In the influence of the self-clarity factor and the future factor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collection behavior, career elasticit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at is, a direct effect.

I. 서 론

고용노동부 발표에 의하면. 2021년 대학생 취업률은 67.7%로 조사되고 있으며 2023년 8월 기준 청년층 고용률은 64%이며, 청년층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10만 3천명이 감소하였다(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23). 이러한 사회적인 현실에서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취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불안은 계속되고 있다. 또한 AI와 디지털 기술로 대체되는 업무 환경속에서 취업은 더욱 문턱이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정부에서는 대학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운영하여 취업지원사업 확대 운영을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5).
이러한 사회적인 현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각 대학에서는 전공뿐만 아니라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개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대학은 교양과정과 전공수업을 통하여 진로 준비하면서 성숙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시기이며, 진로와 관련된 욕구, 가치관, 흥미, 능력 등을 고려해 구체화하며 그에 맞는 준비를 통하여 직업에 입문해야 하는 중요한 성장 과제를 가지고 있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경우 타 전공자들에 비해 적성에 맞는 진로를 결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진학 후 교육과정에 대한 부적응 및 자신감 상실 등으로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Jeon, 2015). 또한 미용의 직업 특성상 졸업 후에 숙련과정이 필요하다는 것과 그에 따르는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가 더욱 심해진다는 것에 대하여 졸업예정자들은 진로 결정을 앞두고 갈등을 겪고, 전공 분야로 진출하였더라도 현장 상황에 부적응하여 중도 포기하는 경우들이 있다(Song, 2022). 이처럼 미용관련 학과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장애 요소를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는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실천은 그 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대학생의 진로수집행동은 개인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자신이 사회에서 어떻게 활동하고 발전할지 체계적으로 고민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Oh, 2014). 이는 취업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취업 후의 직장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다. 진로장벽은 진로와 관련된 진행 과정에서 개인의 진로 결정, 동기, 목표 등에 영향을 주거나 방해하는 요인(Kim, 2020)으로 부정적인 심리요인이 확대되면 자신의 한계에 낙담하여 학업을 포기하거나 자퇴, 무단결석, 다른 전공으로 변경하는 등 미래를 향하던 꿈을 회피하거나 포기하게 된다(Lee, 2016).
한편, 진로수집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 중 하나인 진로탄력성은 진로와 관련하여 스트레스적인 상황이나 좌절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하는 개인의 능력 및 태도이다(Kang, 2015). 진로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며, 좌절에도 끈질기게 대처하여 직업 적응과 성공을 위해 노력하는 특징을 지닌다(London & Mone, 1987). 그러므로 진로탄력성은 진로장벽을 극복하는 핵심 요소로 논의된 바 있으므로 진로수집행동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선행연구(Sim & Kown, 2024; Shin & Lee 2019; Lee et al., 2016)는 주로 진로장벽과 진로수집행동의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진로장벽과 진로수집행동에 있어서 진로탄력성의 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직접효과 뿐만아니라 간접효과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수집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진로탄력성이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진로장벽

진로장벽은 개인의 진로 준비를 방해하거나 직업 선택과정을 막는 요인으로서 주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분류된다(Crites, 1969). 또한 진로장벽은 개인의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데, 개인이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처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Jang, 2015).
개인의 심리적 요인, 정서, 인지구조에 따라 진로 장벽의 인식과 대처 방식이 다르며, 진로 장벽은 개인의 지각과 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주관적이라고 할 수 있다(Choi & Lee, 2025). 이로 인해 개인별로 진로 선택 및 준비과정에 미치는 영향도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므로 단편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이므로 개인의 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2. 진로수집행동

진로수집행동은 자신에 대한 인지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더해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준비 및 실천 행동을 하는 것이다(Phillips, 1992). 진로수집행동은 진로 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 수집, 진로 목표 설정, 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능력 획득 등을 포함한 행동들을 말한다(Kim et al., 2024).
진로수집행동은 대학생의 사회적 진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진로발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2020a). 그러므로 대학생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취업과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미용전공 대학생은 실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진로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기술, 서비스, 마케팅 등과 관련된 교육과 진로 상담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학생 시기의 진로 결정은 자신의 적성 뿐만아니라 직업과 직결되어 현실적인 부분까지 고려 해서 단기간에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목표에 따라 신중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Lim & Park, 2017). 따라서 진로수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진로탄력성

진로탄력성은 개인이 진로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으로 인한 불리한 상황에서 스스로에 대한 확신으로 미래의 진로목표 성취를 위하여 꾸준한 학습과 자기계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적극적인 진로관리를 해 나가는 역량(London, 1983; Rickwood, 2002)이다.
진로는 개인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변화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Yu & Song, 2017). Kim(2020b)은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탄력성과 진로스트레스가 중요한 조절역할을 하며, 진로장벽이 높더라도 진로탄력성을 높여준다면 진로수집행동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였고, Lee(2021)는 대학 졸업예정자의 진로준비에 있어 진로탄력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높은 진로탄력성을 가진 사람들은 어려운 진로 환경에서도 자신의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진로수집행동을 취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진로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자율성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며, 긍정적 정서와 자아통제감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험에도 개방적이고, 삶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며 위기 대처 능력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Kang & Seo, 2024). 그러므로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위기 관리 능력에 해당하는 진로탄력성을 대학생에게 증진 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장벽, 진로수집행동,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어떠한가?
셋째,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2.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조사 기간은 2023년 9월 4일부터 2023년 9월 26일까지 부산, 경남 소재의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으로 추출하여 실시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로 병행 수집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06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방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진로장벽은 Kim(2020)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은 총 1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진로수집행동은 Park & Cho(2019)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설문지 문항은 총 8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진로탄력성은 Kim(2014) & Lee(2021)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은 총 10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진로장벽, 진로수집행동, 진로탄력성의 타당도는 선행연구의 요인 적재치는 0.4 이상이 모두 확보되었다.

4. 자료분석 방법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다.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탄력성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의 경우 여성 174명(84.5%)으로 남성 32명(15.5%), 학년 구분의 경우, 1학년이 110명(53.4%), 전문학사과정이 170명(82.5%), 전공의 경우, 헤어전공이 92명(44.7%)로 각각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전공 만족도의 경우, 중간정도 113명(54.9%), 한달 용돈의 경우, 30만원 이하가 81명(39.39%),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없음이 113명(54.9%)으로 각각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Table 1).

2.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1) 진로장벽 요인분석

진로장벽의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 및 베리멕스(varimax) 요인회전을 실시하였으며, 총 16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KMO 측도 값이 0.854,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써 신뢰수준 95%하에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의 비율이 68.264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각 요인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요인 부하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문항의 타당도가 만족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요인1을 자기명확성, 요인2를 직업정보, 요인3을 미래성, 요인4를 대인관계 요인으로 각각 명명하였다(Table 2).

2) 진로수집행동 요인분석

진로수집행동의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 및 베리멕스 요인회전을 실시하였으며, KMO 측도 값이 0.823,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분산의 비율이 47.058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문항에 대한 요인 부하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문항의 타당도가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Table 3).

3) 진로탄력성 요인분석

진로탄력성의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 및 베리멕스 요인회전을 실시하였으며, 10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KMO 측도 값이 0.920,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의 비율이 78.504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각 요인의 모든 항목에 대한 요인 부하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문항의 타당도가 만족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요인1을 도전정신, 요인2를 진로자립으로 각각 명명하였다(Table 4).

3.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탄력성(도전정신, 진로자립)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은 1단계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2단계에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 값이 0.05이상 이면 유의하지 않으므로,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와의 회귀분석 결과, 회귀계수의 값(β)이 1단계의 회귀계수의 값보다 작게 나타나 그 영향력이 작아지면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 진로장벽과 진로수집행동 관계에서 도전정신의 매개효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직업정보)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 도전정신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회귀분석의 결과, 회귀계수의 값이 0.218로서 1단계의 회귀계수의 값 0.362보다 작게 나타나 그 영향력이 작아지므로 도전정신은 직업정보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장벽(미래성)과 진로수집행동 사이에 도전정신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3단계에서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를 회귀분석 한 결과, 유의확률 값이 0.9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미래성과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도전정신이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장벽(대인관계)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 도전정신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3단계에서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한 결과, 유의확률 값이 0.11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도전정신이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Table 5).

2) 진로장벽과 진로수집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자립의 매개효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직업정보)와 진로수집행동에서 진로자립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한 결과, 회귀계수의 값이 0.198로서 1단계의 회귀계수의 값 0.362 보다 작게 나타나 그 영향력이 작아지므로 진로자립은 직업정보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장벽(미래성)과 진로수집행동 사이에 진로자립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한 결과, 유의확률 값이 0.61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미래성과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진로자립이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장벽(대인관계)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 진로자립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한 결과, 회귀계수의 값이 0.162로서 1단계의 회귀계수의 값 0.289 보다 작게 나타나 그 영향력이 작아지므로 진로자립은 대인관계와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Table 6).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에서 진로탄력성(도전정신, 진로자립)은 하위요인에 따라 직업정보 요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미래성 요인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직접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대인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에서도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나 본 연구와 부분 일치하고 있다(Jang & Song, 2015). 또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서 진로탄력성의 다중매개효과 검증에서 진로자립 요인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Kim, 2020b). 진로자립은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서 개인의 일을 조직 내외에서 관리하는 능력이므로, 개인의 진로자립적 태도와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즉,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이 하위요인에 따라 부분 또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미용전공 대학생에게 진로탄력성을 높여주면 진로장벽을 높게 인식하더라도 진로수집행동을 계속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진로장벽의 직업정보요인과 진로수집행동 사이에서 진로탄력성은 모두 부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분야의 직업정보가 직·간접 경험이나 전문가와의 소통이 필요하므로 진로탄력성만으로 극복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진로탄력성은 경험과 학습에 의해 끌어올릴 수 있는 개인의 특성이므로 대학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진로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법이 요구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수집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도전정신)의 매개효과에서는 대인관계요인과 미래성요인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직접효과가 있었고, 직업정보요인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진로자립)의 매개효과에서는 직업정보요인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있었고, 대인관계요인과 미래성요인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직접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수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탄력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전공 분야 중 대학생 개개인의 강점을 파악하여 동기유발과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지지가 필요하다. 교내에서는 전공뿐만아니라 비교과프로그램 활동으로 소소한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점차 성취감을 찾아갈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자신의 역량과 상황을 명확히 인식하고 집중력과 통제력을 높여주는 수업 과정을 포함시키거나 선후배 또는 산업체 인사와 공감에 기반한 소통의 장을 마련해서 힘든 일이 있어도 좌절하지 않고 스트레스를 극복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처럼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을 점진적으로 증진시켜주면 이들이 사회에 진출해서도 위기에 강한 미용인으로써 꾸준히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정 지역의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전체 미용 전공 대학생에게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전공분야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등 세부 전공으로 구분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세부 전공별로 다른 진로의 위기와 극복 방안을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1.
Analys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Properties Category Frequency (people) Percentage (%)
Gender Male 32 15.5
Female 174 84.5
School year Year 1 110 53.4
Year 2 54 26.2
Year 3 13 6.3
Year 4 29 14.1
Degree Associate’s degree 170 82.5
Bachelor's degree 36 17.5
Major Hair 92 44.7
Skin 85 41.3
Make-up 17 8.3
Nail 12 5.8
Major satisfaction High 84 40.8
Medium 113 54.9
Low 9 4.4
Monthly allowance (won) below 300,000 81 39.3
300,000 to 500,000 62 30.1
500,000 to 700,000 34 16.5
over 700,000 29 14.1
Part-time job experience Yes 93 45.1
No 113 54.9
Total 206 100.0
Table 2.
Factor Analysis of Career Barriers
Factors Questionnaire Factor loadings
Self-Clarity I am indecisive and find it difficult to decide on something. 0.858
I lack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job I want. 0.568
My physical condition is not good enough to do the job I want to do. 0.533
I find it difficult to make decisions in general. 0.865
Occupation Information I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prospects of the job I want. 0.800
There is enough information about careers suitable for my major. 0.834
I have the job I want and know how to get it. 0.821
It is easy to get resources about what I want to do and how to get there. 0.853
Futurism Changing trends in the world confuse me about my career choices. 0.771
I have vague anxiety about my future career path. 0.737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greatly affect my career choice. 0.806
I am anxious that I will not have the career I want in the future. 0.697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 find it easier to build relationships with people than to adapt to work. 0.729
I will be able to get along well with my colleagues in my future work life. 0.761
I get along well with people, so I am more comfortable working with a group than alone. 0.752
I do not expect to have any difficulties at work because I have a wide range of relationships. 0.791
Eigen value 6.131 1.927 1.846 1.019
Percentage of variance 38.317 12.046 11.536 6.366
Percentage of cumulative variance 38.317 50.362 61.898 68.264
KMO value = 0.854, Bartlett’s p-value = 0.000

*** p<.001

Table 3.
Factor Analysis of Career Collection Behavior
Factors Questionnaire Factor loadings
Career collection behavior I have discussed my aptitude and future career (employment) with family and friends in the past few weeks. 0.589
In the past few months, I have talked to professionals about jobs or careers I am interested in. 0.778
In the past few weeks, I have used internet sites or social media to get information about a job or career I am interested in. 0.824
I have gathered or plan to gather a variety of information (how to get hired, compensation, promotion system, prospects) about an industry or business that I am deeply interested in. 0.788
Eigen value 3.765
Percentage of variance 47.058
Percentage of cumulative variance 47.058
KMO value = 0.823, Bartlett’s p-value = 0.000

*** p<.001

Table 4.
Factor Analysis of Career Resilience
Factors Questionnaire Factor loadings
Challenge mindset I believe that I will be able to do well. 0.790
I am not afraid of change. 0.865
I am confident that I can succeed in my career. 0.798
I am able to adapt well in any situation. 0.784
I accept difficulties to achieve better results. 0.632
Career independence I am constantly learning to improve in my career. 0.817
I strive to improve my professional development. 0.850
I continue to learn to become an expert in my career. 0.865
I try to learn new skills related to my career. 0.883
I work hard to prepare for my career. 0.864
Eigen value 6.618 1.232
Percentage of variance 66.181 12.323
Percentage of cumulative variance 66.181 78.504
KMO value = 0.920, Bartlett’s p-value = 0.000

*** p<.001

Table 5.
Mediating effect of challe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Parameter Mediating effects Validation phases B β t P Mediating role
Self-Clarity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Challenge mindset Phase 1 0.234 0.262 3.873 0.000 Full mediating
Phase 2 0.473 0.520 8.691 0.000
Phase 3 Mediating 0.440 0.448 7.156 0.000
Independent 0.035 0.040 0.540 0.590
Career Information Phase 1 0.345 0.362 5.541 0.000 Partial mediating
Phase 2 0.386 0.397 6.180 0.000
Phase 3 Mediating 0.440 0.448 7.156 0.000
Independent 0.208 0.218 3.275 0.001
Futurity Phase 1 0.182 0.228 3.342 0.001 Full mediating
Phase 2 0.414 0.509 8.446 0.000
Phase 3 Mediating 0.440 0.448 7.156 0.000
Independent 0.000 0.000 -0.003 0.998
Interpersonal relationship Phase 1 0.299 0.289 4.318 0.000 Full mediating
Phase 2 0.471 0.447 7.142 0.000
Phase 3 Mediating 0.440 0.448 7.156 0.000
Independent 0.115 0.111 1.596 0.112
Table 6.
Mediating Effect of Career Independence between Career Barrier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Parameter Mediating effects Validation phases B β t P Mediating role
Self-Clarity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Challenge mindset Phase 1 0.234 0.262 3.873 0.000 Full mediating
Phase 2 0.316 0.372 5.715 0.000
Phase 3 Mediating 0.512 0.487 7.964 0.000
Independent 0.084 0.094 1.427 0.155
Career Information Phase 1 0.345 0.362 5.541 0.000 Partial mediating
Phase 2 0.364 0.401 6.249 0.000
Phase 3 Mediating 0.512 0.487 7.964 0.000
Independent 0.189 0.198 3.031 0.003
Futurity Phase 1 0.182 0.228 3.342 0.001 Full mediating
Phase 2 0.312 0.410 6.413 0.000
Phase 3 Mediating 0.512 0.487 7.964 0.000
Independent 0.027 0.034 0.507 0.613
Interpersonal relationship Phase 1 0.299 0.289 4.318 0.000 Partial mediating
Phase 2 0.286 0.290 4.325 0.000
Phase 3 Mediating 0.512 0.487 7.964 0.000
Independent 0.167 0.162 2.567 0.011

REFERENCES

Choi, K. W., & Lee, Y. M. (2025).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Typ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36(1), 141-159, doi: 10.16881/jss.2025.01.36.1.14
crossref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Kopleman, R. E., Rovenpor, J. L., & Millsap, R. E. (1992). Rationale and construct validity evidence for the job search behavior index.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0(3), 269-287.
crossref
Jang, I. 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urs of college student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Journal of Youth Studies, 22(7), 363-329.
Jang, Y. S., & Song, B. K. (2015).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7), 363-392.
Jeon, H. J. (2015).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ur of beauty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smetology, 21(6), 1212-1223.
Kang, H. H. (2015). Effect of Career barrier on Polytechnics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1), 59-78.
Kang, Y. B., & Seo, H. R. (2024).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GRIT in relation of Occupational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Youth worker.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2(3), 01-14, doi: 10.55063/KIYFE.2024.22.3.1
Kim, B. H. (1997). Development and two-dimensional typology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of college student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im, B. M., Kim, N. Y., & Jo, H. (2024). Effects of Career Barrie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Local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lf-Regulation and Career Motivation. Local Society Issues and Discourse(LSID), 23(1), 77-103.
Kim, H. S. (2020a).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u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Economics and Technology, 21(12), 291-299.
Kim, H. S. (2020b).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n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12), 291-299.
Lee, M. J., Chu, S. W., & Lee, J. H. (2016).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ody and Beauty Arts, 17(2), 57-71.
Lee, S. W. (2021).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of college graduate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91-92.
Lee, Y. I.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ng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167-178.
crossref
Lim, M. J., & Park, E. J. (2017). A study on the level of major awareness according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Korean Journal of Cosmetology and Beauty, 7(2), 129-137.
London, M., & Mone, E. M.. (1987).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SanFrancisco, CA, Jossey-Bass.
London, M. (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620-630.
crossre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5). Announcement NO. 2024-15(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7425 2025. 01.0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5). Expanding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projects, including establishing graduate-specific programs(https://www.moel.go.kr/news/, 2025.1.7.).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23). Employment Trends in August 2023’ and ‘Employment Trends of College Students in 2021.
Park, J. Y., & Cho, K. D.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1), 61-76.
crossref
Phillips, S. D.. (1992). Career counseling: Choice and implementation. In: BrownS. D., LentR. W., editor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2nd ed. p.513-547. Oxford, UK, Wiley.
Rickwood, R. R.. (2002). Enabling high-risk clients: Exploring a career resiliencymodel. NATCON Papers2002 LesactesduCONAT.1-8.
Shin, S. J., & Lee, I. H. (2019). The effect that the Beauty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Beauty Major influences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Abili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2), 446-454.
Sim, H. Y., & Kown, S. K. (2024).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20(1), 105-117.
Yu, J. W., & Song, Y. H. (2017). Comparison of latent mean of practical skill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with and without on-the-job training experience. Career Education Research, 30(1), 181-200.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