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련시 거주 중년여성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 특성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Dalian, China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1;27(5):1159-116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1.27.5.1159
1Graduate Student, Dept. of Beauty Science,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박연연1, 강수경2,
1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과학과,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oo-Kyung Kang Tel : +82-62-950-3674 E-mail : skkang@kwu.ac.kr
*본 논문은 저자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일부임
Received 2021 June 8; Revised 2021 July 5; Accepted 2021 September 17.

Trans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Dalian, China. As a result,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skin care information source, preferred facial care, academic background showed differences from skin care information source, preferred facial care, occupations showed differences in skin care method, average monthly income from skin care information source, skin care methods, and preferred facial care.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Dalian, China. In particular, skin care information sources were most introduced by friends and acquaintances, and they mainly take care of their skin through home care. This seems to have an impact on relationship culture based on experience and trust even though middle-aged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educational background are gradually increasing under China's reform and opening policy. Therefore, skin care marketing for middle-aged women, who are emerging as a new blue ocean in the Chinese skin beauty market, needs to establish a strategy based on China's relationship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skin care programs for middle-aged Chinese women.

I. 서 론

오늘날 중국의 중년여성들은 학력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진출이 확대되었으며, 그로 인한 사회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었다. 사회적 지위 향상 및 능동적이며 주도적인 활동으로 더욱 더 젊고 아름다운 외모를 가꾸고자 하는 욕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중년여성들은 피부미용 산업의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강한 소비력을 지닌 주체로 자리 잡고 있다(Son, 2018). 특히 워너비가 될 수 있는 중년 여배우들의 외모 및 패션 등이 각종 매체를 통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외모 관리에 시간과 돈을 아끼지 않는 적극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Pyo, 2015). 또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의 질에 대한 가치를 중요시 여기면서 피부관리 및 미용성형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Tong, 2018).

중년여성이 가장 크게 느끼는 신체적 변화는 젊음과 매력이 상실되어 가며 노년기가 된다는 것이며, 48~55세 사이에 오는 폐경으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Park, 2004). 이에 중년여성의 외모 관리는 다양한 사회 심리적 측면에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며, 외모 관리 중에 피부관리는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Son, 2018).

중년여성들의 피부관리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Yoon & Kim(2010)은 50대 이후 중·노년 여성들의 피부미용관리가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피부관리는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함으로써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간접적 효과가 있으며, 중년기에 경험하는 우울, 위기감을 벗어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Son, 2018). Cai(2018)는 중년여성들이 헬스, 미용성형, 피부관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관리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밝혔다.

상기와 같이 중년여성들의 피부관리에 관련된 선행연구는 피부관리가 외모 만족도 및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루어졌으며, 대부분 국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피부관리는 중년여성들이 외모관리를 하는데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에 비해 피부관리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관리 특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상자 선정은 중국 동북 3성의 항구, 금융, 관광, 무역의 중심지로 국제간의 경제 및 정보교류가 활발하고(Zhao, 2012), 중국의 대표적인 휴양 및 관광, 패션 도시로 알려져 있는 대련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으로 하였다. 구체적 연구목적은 중국 대련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관리 특성을 파악하고, 두 변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피부미용 산업의 주요 소비계층으로 부상되고 중년여성의 피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중년여성

중년기는 연령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생물학적 과정, 가족, 역사적·사회적 배경에 따라 종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여성들은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함께 자녀독립 등의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이나 삶의 내용이 영향을 미치면서 중년기를 맞이한다(Yun, 2014).

중년여성은 신체 기능 감퇴, 호르몬 변화로 인한 갱년기 및 만성질환에 노출되기도 하지만, 폐경기를 겪으면서 노화되는 것에 대한 무가치함, 우울, 분노, 허무함, 슬픔 등의 여러 감정을 느끼면서 여자로서의 매력을 상실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로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Kim, 2015). 체형상 변화는 보편적으로 젊었을 때 보다 살이 많이 찌는 편이고 특히 허리 복부비만이 가장 큰 특징으로 보여지며, 심리적 변화는 갱년기에 접어들면서 식욕 감소,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체중감소, 변비, 불안감, 무기력증, 결단력 저하, 의욕 상실 등의 우울 증세를 경험한다고 하였다(Hur, 2011). 외모의 변화에서도 내인성 피부노화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및 환경적 요소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피부 건조, 주름, 피부 광택과 탄력저하, 색소침착 등의 피부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성들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신체적, 심리적, 외모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 중년기를 맞이하게 된다.

중년기의 연령대는 한국의 경우, Kim(1993)은 35~60세, Kim(1989)은 40~59세, Jeong(1996)은 30~55세, Kim(2015)은 40~65세로 정의하였다. 중국의 경우, Ge(2007)는 40~60세, Wang(2015)은 30~45세, Ding(2015)은 45~55세로 정의하였다.

이렇듯 중년기의 연령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중년여성은 중국 학자들이 제시한 연령 범위,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중국 나이 35세에서 59세까지로 정하였다.

2. 피부관리 특성

피부관리는 피부의 생리 기능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정의하였다(Kim, 2002). Choi(1998)는 피부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미안술을 이용하여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려는 작업을 피부관리 행동이라고 하였으며, Myong(2001)은 개인이 피부 질환을 최소화하고 피부노화 예방을 목적으로 피부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하여 실천하는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중국의 미용은 얼굴이나 피부를 고쳐 외모의 이미지를 변하게 하는 과정이며 이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Yu et al., 2020).

피부상태는 신체 건강, 호르몬 변화, 영양소 등의 내적 요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요인, 기후, 계절, 환경, 화장품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내적, 심리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지만, 피부관리를 통한 외적 관리도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중년이 될 수록 깨끗한 피부를 갖는 것은 호감 가는 인상으로 평가받기 때문에 의복만큼이나 중요한 관리영역이라 할 수 있다(Moon, 1992).

피부관리 특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피부관리를 Oh(2020)는 얼굴관리와 바디관리로 구분하였고, Kim(2012)은 셀프관리, 메디컬센터, 전문피부관리실의 세 가지 이용형태로 분류하였으며, Jeon(2015)은 중년의 뷰티관리 방법을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스타일링, 두피관리, 체형관리로 구분하였다. 중년여성의 피부관리 특성은 건성피부, 탄력과 주름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지하였다. 피부관리실 이용 의사는 높았으며(Lim, 2011), 정기적으로 피부관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2019).

중년여성들은 스스로 피부가 건강하다고 인지할수록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피부관리 행동도 적극적이다고 밝혔다(Shin, 2016). 또한 Kim(2015)은 중년여성들이 피부건강관리를 통해 외모만족도가 높아지면 자아존중감도 상승한다는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이외에도 Gao(2012)는 중국 일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피부관리 지식과 피부관리 행동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Kim(2012)의 연구에서도 피부상태에 대한 이해가 낮을수록 피부관리가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밝혔다. 주로 선행연구에서는 피부관리실 이용의사, 피부관리 이용형태 분류, 피부관리 지식과 행동과의 관련성 등을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부관리 특성을 개인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행해지는 정보수집부터 피부관리 방법 등으로 정의하였으며, 정보수집, 피부관리 방법, 그리고 선호하는 피부관리, 선호하는 안면관리를 하위요인으로 정하였다.

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본 연구는 중국 대련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피부관리 특성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기간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국 대련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 450명이었으며, 온라인 조사 방법을 선택하였다. 전자조사 기간은 2019년 1월 20일부터 2019년 3월 5일까지였으며, 성실하게 응답한 43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관리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문항구성은 Seo(2009), Cho(2018), Kim(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토대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수입 등 4문항, 피부관리 특성은 피부관리 정보원, 피부관리 방법, 선호 피부관리, 선호 안면관리 등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령은 35세부터 5세 단위로 분류하였으며 중국 연령 기준으로 59세까지로 하였다. 또한 직업은 스튜어디스, 의사, 간호사, 선생님, 변호사 등 소수로 응답한 경우를 기타 직업군으로 유목화하였으며, 월 평균 수입은 중국의 급여 수준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피부관리 특성 중 피부관리 방법은 피부관리실 및 메디컬 피부관리실을 이용한 전문 피부관리와 홈케어, 피부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홈케어는 피부에 관심을 갖고 마사지 또는 팩을 가정에서 주기적으로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최종 설문 도구는 1차 중국어로 번역하였고, 다시 한국어로 재번역하는 확인 절차를 거쳐 제작하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 23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피부관리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 특성의 차이는 교차분석(2-test)을 통해 검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 한 결과, 연령은 35~39세 105명(23.9%)으로 가장 많았고, 40~44세 20.5%, 45~49세 19.6%, 55~59세 18.2%, 50~54세 17.8%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225명(51.3%)으로 다수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고등학교 졸업 31.0%, 대학원졸업 이상 9.8%, 중학교졸업 이하 8.0%로 나타났다. 직업 분포는 일반사무직 113명(25.7%), 자영업 21.9%, 기타 직업군 15.9%, 전업주부 13.9%, 공무원 12.1%, 서비스직 10.5%로 나타났다. 월 평균 수입은 170만원 이상이 172명(39.2%)가 가장 많았고 100만~170만원 미만이 36.2%, 50만~100만원 미만 18.9%, 50만원 미만 5.7% 순이었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itcs of survey subjects (N=439)

2. 피부관리 특성

피부관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결과, 피부관리 정보원은 친구나 지인 210명(47.8%), 피부관리실 22.1%, 인터넷 16.9%, 대중매체광고 8.7%, 기타 4.6% 순으로 나타났고, 피부관리 방법은 홈케어 226명(51.5%), 피부관리실 20.7%, 관리안함 14.8%, 메디컬피부관리 13.0%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 피부 관리는 안면피부 200명(45.6%), 전신 38.7%, 체형 12.1%, 기타 순이었으며, 선호 안면관리는 탄력강화 147명(33.5%), 주름 29.2%, 보습 14.1%, 색소침착 12.8%, 피부결 5.2%, 피부붉음, 여드름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Frequency analysis of skin care characteristics (N=439)

Wu(2014)Gao(2012)는 중국 여성들의 피부관리 정보원으로 지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의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한 Liu(2014)의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들은 대중매체, 중국 여성들은 인터넷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상이하였으며, Park et al.(2016)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피부관리 정보습득 경로가 인터넷으로 본 연구 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대상자의 국적, 직업 및 연령대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로 해석된다. 피부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중국 20대에서 59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Pei(2016)의 연구에서는 피부관리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Pei(2016)의 설문 문항 구성이 홈케어를 포함하지 않고 전문피부관리로만 한정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가장 선호하는 안면관리에 대한 Lee et al.(2014)의 연구에서는 색소에 대한 문제가 가장 높았지만, 색소 이외에도 수분과 탄력 주름의 문제를 자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중년여성의 경우 탄력과 주름관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Lee(2017)의 연구는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3. 연령과 피부관리 특성과의 관련성

연령에 따른 피부관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관리 정보원, 선호 안면관리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피부관리 방법, 피부관리 경험 여부, 선호 피부관리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N (%)

35~39세와 40~44세의 연령대에서는 친구나 지인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한 경우가 각각 40.0%, 36.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터넷이었다. 45~49세 연령대부터는 친구나 지인, 피부관리실 순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피부관리 정보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호 안면관리는 35~39세에서 탄력강화라고 응답한 사람이 27명(25.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색소 침착, 주름, 수분 순이었다. 40~44세는 탄력강화, 주름, 수분, 색소침착 순이었으며, 45~49세와 50~54세는 주름, 55~59세는 탄력강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0세 미만의 여성들은 주름과 탄력강화 이외에도 색소침착를 선호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름과 탄력강화를 선호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령대가 높을수록 지인 소개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에 비해 인터넷을 정보원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50대 이상이 주 고객층일 경우, 고객 맞춤형의 관리를 통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50대 이전에는 주름 및 탄력관리와 함께 수분관리도 선호하는 반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분보다는 주름과 탄력 강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이 갱년기 및 폐경기를 맞이하면서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하여 주름과 탄력 저하를 더 많이 경험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학력과 피부관리 특성과의 관련성

학력에 따른 피부관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관리 정보원, 선호 안면관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피부관리 방법, 선호 피부관리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N (%)

피부관리 정보원은 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 친구나 지인 소개가 각각 71명(52.2%), 113명(50.2%)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학원 이상 졸업자는 인터넷이 16명(37.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호 안면관리는 중학교 졸업 이하에서는 주름 13명(37.1%), 탄력강화 25.7%, 색소침착 순으로 나타났다. 고졸에서는 탄력강화 53명(39.0%), 주름 33.1%, 색소침착 순이었다. 대졸은 탄력강화 75명(33.3%), 주름 26.2%, 수분, 대학원 졸업 이상에서는 주름 11명(25.6%), 탄력강화 23.3%, 수분 14.0%, 색소침착 11.6%, 피부붉음 11.6%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학력에서 주름과 탄력강화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아질수록 여드름과 피부결 관리를 제외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관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대학원 이상 졸업자인 경우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며, 피부관리 경험은 고졸과 대졸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선호 안면관리에서는 고졸과 대졸인 경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대학원 이상 졸업자들은 주름관리와 탄력 강화관리가 높았으며 수분관리, 색소침착, 피부붉음관리 등 선호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였다. 중국 상하이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Yu et al.(2020)의 연구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피부관리행동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피부에 대한 지식 및 관심 증대로 인하여 피부관리 태도도 더불어 향상된다고 제시한 Kim(1999), Kim(2002), Cho(2017)의 연구 결과가 본 연구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5. 직업과 피부관리 특성과의 관련성

직업에 따른 피부관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관리 방법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피부관리정보원, 피부관리 경험, 선호 피부관리, 선호 안면관리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ccupational N (%)

피부관리 방법은 모든 직업에서 홈케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업주부는 홈케어 36명(59.0%), 피부관리실, 관리안함, 메디컬 순이었으며, 자영업은 홈케어 40명(41.7%), 메디컬피부관리, 피부관리실, 관리안함 순이었다. 공무원과 서비스직은 홈케어가 각각 30명(56.6%), 20명(43.5%), 그 다음으로 관리안함, 피부관리실, 메디컬관리로 나타났다. 일반사무직과 기타직업군은 홈케어가 각각 57명(50.4%), 43명(61.4%), 피부관리실, 메디컬피부관리, 관리안함 순이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공무원과 서비스직, 일반사무직과 기타 직업군은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며, 전업주부와 자영업자들은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이한 점은 자영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메디컬피부관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았으며, 전업주부의 경우 홈케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리를 안하는 경우는 주로 전문직이 많은 기타 직업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전문직 여성이 피부관리 태도가 높다라는 Moon(2010), Kim et al.(2010)의 연구결과가 뒷받침 해주고 있으며, Park & Jung(2017)의 연구에서도 중년여성은 노화방지를 위해 홈케어와 피부관리실 이용 빈도가 높은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6. 월 평균 수입과 피부관리 특성과의 관련성

수입에 따른 피부관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관리 정보원, 피부관리 방법, 선호 안면관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선호 피부관리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verage monthly income N (%)

피부관리 정보원에서는 50만원 미만 친구나 지인 12명(48.0%), 대중매체광고, 50만~100만원 미만은 친구나 지인 46명(55.4%), 피부관리실, 100만~170만원 미만과 170만원 이상의 경우 친구나 지인이 각각 73명(45.9%), 79명(45.9%)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피부관리실, 인터넷, 대중매체광고,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피부관리 방법에서 50만원 미만은 홈케어 12명(48.0%), 관리안함 28.0%, 50만~100만원 미만은 홈케어 60명(72.3%), 피부관리실과 관리안함이 높게 나타났으며, 100만~170만원 미만은 홈케어 87명(54.7%), 피부관리실, 관리안함, 메디컬피부관리 순이었다. 170만원 이상은 홈케어 67명(39.0%), 피부관리실, 메디컬피부관리, 관리안함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 안면관리에서 50만원 미만은 주름 13명(52.0%), 50만~100만원 미만은 주름 22명(26.5%), 탄력강화가 높게 나타났다. 100만~170만원 미만과 170만원 이상은 탄력강화가 각각 63명(39.6%), 62명(36.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주름, 수분, 색소침착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월 소득 100만~170만원 미만과 170만원 이상의 경우, 피부관리 정보원 및 선호하는 안면관리가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소득이 높을수록 본인이 경험하거나 신뢰가 높은 경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득이 낮을수록 피부관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Kim & Han(2017)의 연구에서 총소득이 높을수록 피부관리에 높은 관심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가 본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는 경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국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피부관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 경제 수준 향상에 따라 뷰티산업 시장의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상되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피부관리 특성을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중국의 대표적인 휴양 및 관광, 패션 도시인 대련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의 연령과 학력은 피부관리 정보원, 선호 안면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고, 직업은 피부관리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월 평균 수입에서는 피부관리 정보원, 피부관리방법, 선호 안면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대련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피부관리 정보원으로 친구나 지인의 소개가 가장 높았으며, 주로 홈케어를 통해 피부관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중국의 개방주의 정책에 따라 중년여성들의 사회진출 확대 및 학력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경험과 신뢰를 토대로 한 꽌시문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선호하는 안면관리는 연령 및 학력, 월 소득이 높을수록 주름과 탄력강화를 희망하였으며,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홈케어 다음으로 피부관리실에서 전문케어를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중국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피부관리 마케팅은 중국의 꽌시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략 수립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중년여성들의 피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중국 동북지역인 대련시로 한정하여 조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중국 및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소비자 계층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References

1. Cai, J. J. (2018). Astudy of skin aging awareness and cosmetic surgery behavior in Chinese women, focusing on Beijing and Shanghai.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pp. 42-54.
2. Cho, H. S. (2018). A study on the skin care center, according to the lifestyle choice propeties and consumer behavior.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pp. 43-44.
3. Cho, S. J. (2017).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recognition of middle aged women anti-ageing and survey of satisfaction of look: women in their 50s from the late 30s.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pp. 29-31.
4. Choi, E. Y. (1998). Factors affecting skin care behavior in women based on HPM.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pp. 5-7.
5. Ding, Y. (2015). A research on female consumer behavior in the gender perspective. Master's thesis, Tianjin University, pp. 6-7.
6. Gao, Y. (2012). The effects skin care behavior on the skin knowledge and attitude of some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ina.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pp. 21-22 pp. 33-34.
7. Ge, Y. (2007). Research on attitude towards self-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middle-aged and aged in Jiang Su Province. Master's thesis, Suzhou University, pp. 5-6.
8. Hur, Y. D. (2011).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Woman's skin care and depression in middle age.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pp. 2-3.
9. Jeon, H. N. (2015). 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beauty care behaviors in the middle-ag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pp. 37-38.
10. Jeong, O. R. (1996). A study on the self-respect, marit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5-6.
11. Kim, A. S. (1993). The Mid-life crisis as a function of openness and relations to spouses, children, or job setting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8-9.
12. Kim, B. Y. (1999). An attitude and practical behavior for middle-aged women's skin health care.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pp. 48-52.
13. Kim, E. O. (2002). Factors related to skin health practices among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pp. 5-6.
14. Kim K. L., Lee Y. M., Jang S. N., Lee J. N., Choe T. B.. 2010;The differences of skin conditions of face according to facial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3):871–874.
15. Kim, H. J. (2012). A study on the women's conducting of skin care and its cas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29-37 pp. 58-60.
16. Kim, J. H. (2015). Effects of skin health care of women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in relation to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p. 46-51.
17. Kim M. J., Han Ch. J.. 2017;Skin care and intention to receive K-Beauty education of some Chin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1):126–138.
18. Kim, M. J. (1989). A study on middle-aged crisis and related variable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p. 11-12.
19. Kim, S. J. (2015).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pp. 6-8.
20. Kim, Y. J. (2002). A study on the middle-aged women's level of requirement for the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 of skin health car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 29-30.
21. Lee, B. K. (2017). The effect of skin aging stress on the skin care style of middle aged women.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pp. 32-33.
22. Lee M. N., Jang M. H., Lee I. H.. 2014;The status of skin dondition and using of cosmetic for 50's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5(12):7005–7011.
23. Lee, S. Y.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beauty recognition and experiences in middle and middle-aged women on happiness; According to beauty care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 pp. 62-64.
24. Lim, Y. H. (2011). A study on skin and body care behaviors by lifestyle of women in their 40s to 50s.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pp. 24-25.
25. Liu, M. (2014). Office ladies skin in level and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skin care shop in Korea&China. Master's thesis, Kwangju University, pp. 16-19 pp. 29-32.
26. Moon, H. J. (2010). A study of the intention of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valuayion and the attitude of skin health care.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 28-30.
27. Moon, Y. B. (1992). Study on the influence of clothing and face variables upon the impression formation.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pp. 14-16.
28. Myong, E. J. (2001). A study on knowledge and behavior for skin health care: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and 30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9-10.
29. Oh, H. H. (202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and skin care behavior of men in their 20s and 30s, the mediation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p. 27-28.
30. Park, H. R. (2004). The research regarding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weight and skin care of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Kukmin University, pp. 1-2.
31. Park J. Y., Jung I. S.. 2017;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preferences od skin care programs for users in skin care centers.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3):387–400.
32. Park S. Y., Oh S. A., So Y. J.. 2016;Skin Care and utiliza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20's women student o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3):552–559.
33. Pei, Z. J. (2016). Relationship between skin condition and skin health care of women in China.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pp. 17-18.
34. Pyo, M. G. (2015). Study of desired image and behavior of appearance management by their perceived age differential of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p. 1-2.
35. Seo, Y. H. (2009). A study on the utilization pattern of female baby boom generation on skin care shops and their services. Master's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pp. 16-28.
36. Shin, S. G.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kin cindi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skin care in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pp. 35-37.
37. Son, G. B. (2018). Influence of skin care management behaviors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3.
38. Tong, X. Q. (2018). A study on skin and whitening cosmetic product awareness, care attitude for whitening, and whitening cosmetic product purchase attitude of adult Chinese women.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pp. 1-2.
39. Wang, J. M. (2015). The clothing display under middle-aged women consumer behavior. Master's thesis, Shandong polytechnic University, pp. 11-12.
40. Wu, X. B. (2014). Comparison of skin condition, skin care perception, and skin care behavio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pp. 40-41.
41. Yoon C. S., Kim J. S.. 2010;The effect of middle and elderly women's skin care on happiness.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8(4):1–14.
42. Yu P. F., Lee S., Seo S. M., Ko K. S.. 2020;Skin care behavior of women's lifestyle in ShangHai,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1439–1447.
43. Yun, S. M. (2014). Middle aged women percep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according to their hair style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p. 6-8.
44. Zhao, W. (2012). Astudy on the selection of tourist destinations by China's Dalian citizens to their attributes of travel preference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pp. 14-1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itcs of survey subjects (N=439)

Factor Category N %
Age 35~39 105 23.9
40~44 90 20.5
45~49 86 19.6
50~54 78 17.8
55~59 80 18.2
Academic background junior high school or below 35 8.0
high school 136 31.0
university 225 51.3
Master degree or above 43 9.8
Occupation Housewife 61 13.9
Individual business 96 21.9
Civil servant 53 12.1
Office job 113 25.7
Service job 46 10.5
Other 70 15.9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500thousand won 25 5.7
500thousand-Less than 1million 83 18.9
1million -Less than 1.7million 159 36.2
More than 1.7million 172 39.2

Table 2.

Frequency analysis of skin care characteristics (N=439)

Factor Category N %
Information source for skin care Media 38 8.7
Internet 74 16.9
Skin care center 97 22.1
Friend or acquaintance 210 47.8
Other 20 4.6
Skin care method Skin care center 91 20.7
Medical skin care 57 13.0
Home care 226 51.5
Not to care 65 14.8
Preferred skin care Body type 53 12.1
Whole body 170 38.7
Facial skin 200 45.6
Other 16 3.6
Preferred facial care Wrinkle 128 29.2
Strengthen elasticity 147 33.5
Moisturizing 62 14.1
Pigmentation 56 12.8
Redness 12 2.7
Acne 11 2.5
Skin texture 23 5.2

Table 3.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N (%)

Category Age
χ2-Value P-Value
35~39 40~44 45~49 50~54 55~59
Information source for skin care Media 11 (10.5) 12 (13.3) 3 (3.5) 6 (7.7) 6 (7.5) 42.912*** .000
Internet 30 (28.6) 21 (23.3) 12 (14.0) 4 (5.1) 7 (8.8)
Skin care center 16 (15.2) 20 (22.2) 26 (30.2) 22 (28.2) 13 (16.3)
Friend or acquaintance 42 (40.0) 33 (36.7) 43 (50.0) 42 (53.8) 50 (62.5)
Other 6 (5.7) 4 (4.4) 2 (2.3) 4 (5.1) 4 (5.0)
Skin care method Skin care center 19 (18.1) 18 (20.0) 24 (27.9) 18 (23.1) 12 (15.0) 17.215 .142
Medical skin care 13 (12.4) 8 (8.9) 15 (17.4) 10 (12.8) 11 (13.8)
Home care 61 (58.1) 52 (57.8) 38 (44.2) 38 (48.7) 37 (46.3)
Not to care 12 (11.4) 12 (13.3) 9 (10.5) 12 (15.4) 20 (25.0)
Preferred skin care Body type 9 (8.6) 12 (13.3) 9 (10.5) 12 (15.4) 11 (13.8) 7.796 .801
Whole body 44 (41.9) 31 (34.4) 29 (33.7) 35 (44.9) 31 (38.8)
Facial skin 49 (46.7) 42 (46.7) 45 (52.3) 29 (37.2) 35 (43.8)
Other 3 (2.9) 5 (5.6) 3 (3.5) 2 (2.6) 3 (3.8)
Preferred facial care Wrinkle 20 (19.0) 17 (18.9) 35 (40.7) 34 (43.6) 22 (27.5) 57.467*** .000
Strengthen elasticity 27 (25.7) 35 (38.9) 23 (26.7) 24 (30.8) 38 (47.5)
Moisturizing 19 (18.1) 16 (17.8) 16 (18.6) 7 (9.0) 4 (5.0)
Pigmentation 23 (21.9) 8 (8.9) 7 (8.1) 9 (11.5) 9 (11.3)
Redness 3 (2.9) 4 (4.4) 2 (2.3) 0 (0) 3 (3.8)
Acne 5 (4.8) 4 (4.4) 1 (1.2) 1 (1.3) 0 (0)
Skin texture 8 (7.6) 6 (6.7) 2 (2.3) 3 (3.8) 4 (5.0)
***

p<0.001

Table 4.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N (%)

Category Academic background
χ2-Value P-Value
junior high school or below high school university Master degree or above
Information source for skin care Media 4 (11.4) 10 (7.4) 18 (8.0) 6 (14.0) 21.915* .038
Internet 8 (22.9) 17 (12.5) 33 (14.7) 16 (37.2)
Skin care center 6 (17.1) 32 (23.5) 51 (22.7) 8 (18.6)
Friend or acquaintance 15 (42.9) 71 (52.2) 113 (50.2) 11 (25.6)
Other 2 (5.7) 6 (4.4) 10 (4.4) 2 (4.7)
Skin care method Skin care center 5 (14.3) 31 (22.8) 50 (22.2) 5 (11.6) 10.607 .304
Medical skin care 5 (14.3) 21 (15.4) 26 (11.6) 5 (11.6)
Home care 18 (51.4) 71 (52.2) 115 (51.1) 22 (51.2)
Not to care 7 (20.0) 13 (9.6) 34 (15.1) 11 (25.6)
Preferred skin care Body type 1 (2.9) 14 (10.3) 31 (13.8) 7 (16.3) 12.056 .210
Whole body 9 (25.7) 54 (39.7) 92 (40.9) 15 (34.9)
Facial skin 24 (68.6) 64 (47.1) 92 (40.9) 20 (46.5)
Other 1 (2.9) 4 (2.9) 10 (4.4) 1 (2.3)
Preferred facial care Wrinkle 13 (37.1) 45 (33.1) 59 (26.2) 11 (25.6) 30.528* .033
Strengthen elasticity 9 (25.7) 53 (39.0) 75 (33.3) 10 (23.3)
Moisturizing 4 (11.4) 11 (8.1) 41 (18.2) 6 (14.0)
Pigmentation 5 (14.3) 18 (13.2) 28 (12.4) 5 (11.6)
Redness 1 (2.9) 3 (2.2) 3 (1.3) 5 (11.6)
Acne 1 (2.9) 2 (1.5) 6 (2.7) 2 (4.7)
Skin texture 2 (5.7) 4 (2.9) 13 (5.8) 4 (9.3)
*

p<0.05

Table 5.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ccupational N (%)

Category Occupation
χ2-Value P-Value
House wife Individual business Civil servant Office job Service job Other
Information source for skin care Media 8 (13.1) 6 (6.3) 4 (7.5) 9 (8.0) 5 (10.9) 6 (8.6) 28.054 .108
Internet 8 (13.1) 13 (13.5) 7 (13.2) 31 (27.4) 4 (8.7) 11 (15.7)
Skin care center 11 (18.0) 30 (31.3) 13 (24.5) 21 (18.6) 11 (23.9) 11 (15.7)
Friend or acquaintance 33 (54.1) 43 (44.8) 27 (50.9) 49 (43.4) 23 (50.0) 35 (50.0)
Other 1 (1.6) 4 (4.2) 2 (3.8) 3 (2.7) 3 (6.5) 7 (10.0)
Skin care method Skin care center 13 (21.3) 20 (20.8) 9 (17.0) 28 (24.8) 7 (15.2) 14 (20.0) 26.749* .031
Medical skin care 3 (4.9) 21 (21.9) 4 (7.5) 15 (13.3) 6 (13.0) 8 (11.4)
Home care 36 (59.0) 40 (41.7) 30 (56.6) 57 (50.4) 20 (43.5) 43 (61.4)
Not to care 9 (14.8) 15 (15.6) 10 (18.9) 13 (11.5) 13 (28.3) 5 (7.1)
Preferred skin care Body type 9 (14.8) 14 (14.6) 6 (11.3) 10 (8.8) 6 (13.0) 8 (11.4) 7.647 .937
Whole body 18 (29.5) 37 (38.5) 19 (35.8) 49 (43.4) 20 (43.5) 27 (38.6)
Facial skin 32 (52.5) 40 (41.7) 26 (49.1) 50 (44.2) 18 (39.1) 34 (48.6)
Other 2 (3.3) 5 (5.2) 2 (3.8) 4 (3.5) 2 (4.3) 1 (1.4)
Preferred facial care Wrinkle 21 (34.4) 34 (35.4) 15 (28.3) 24 (21.2) 12 (26.1) 22 (31.4) 29.974 .467
Strengthen elasticity 17 (27.9) 34 (35.4) 16 (30.2) 43 (38.1) 18 (39.1) 19 (27.1)
Moisturizing 6 (9.8) 16 (16.7) 9 (17.0) 16 (14.2) 4 (8.7) 11 (15.7)
Pigmentation 12 (19.7) 5 (5.2) 8 (15.1) 15 (13.3) 5 (10.9) 11 (15.7)
Redness 1 (1.6) 0 (0) 2 (3.8) 4 (3.5) 3 (6.5) 2 (2.9)
Acne 0 (0) 1 (1.0) 2 (3.8) 4 (3.5) 1 (2.2) 3 (4.3)
Skin texture 4 (6.6) 6 (6.3) 1 (1.9) 7 (6.2) 3 (6.5) 2 (2.9)
*

p<0.05

Table 6.

Relevance in skin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verage monthly income N (%)

Category Average monthly income
χ2-Value P-Value
Less than 500 thousand won 500thousand-Less than 1million 1million-Less than 1.7million More than 1.7million
Information source for skin care Media 6 (24.0) 10 (12.0) 16 (10.1) 6 (3.5) 35.917*** .000
Internet 3 (12.0) 8 (9.6) 31 (19.5) 32 (18.6)
Skin care center 2 (8.0) 11 (13.3) 33 (20.8) 51 (29.7)
Friend or acquaintance 12 (48.0) 46 (55.4) 73 (45.9) 79 (45.9)
Other 2 (8.0) 8 (9.6) 6 (3.8) 4 (2.3)
Skin care method Skin care center 4 (16.0) 9 (10.8) 30 (18.9) 48 (27.9) 40.855*** .000
Home care 12 (48.0) 60 (72.3) 87 (54.7) 67 (39.0)
Not to care 7 (28.0) 9 (10.8) 28 (17.6) 21 (12.2)
Preferred skin care Body type 3 (12.0) 7 (8.4) 21 (13.2) 22 (12.8) 7.306 .605
Whole body 6 (24.0) 32 (28.6) 65 (40.9) 67 (39.0)
Facial skin 16 (64.0) 40 (48.2) 69 (43.3) 75 (43.6)
Other 0 (0) 4 (4.8) 4 (2.5) 8 (4.7)
Preferred facial care Wrinkle 13 (52.0) 22 (26.5) 42 (26.4) 51 (29.7) 31.176* .027
Strengthen elasticity 3 (12.0) 19 (22.9) 63 (39.6) 62 (36.0)
Moisturizing 5 (20.0) 15 (18.1) 18 (11.3) 24 (14.0)
Pigmentation 2 (8.0) 19 (22.9) 17 (10.7) 18 (10.5)
Redness 1 (4.0) 3 (3.6) 5 (3.1) 3 (1.7)
Acne 0 (0) 2 (2.4) 7 (4.4) 2 (1.2)
Skin texture 1 (4.0) 3 (3.6) 7 (4.4) 12 (7.0)
*

p<0.05,

**

p<0.01,

***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