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해지역 미용전공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nese Coastal Areas Cosmetolog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Major Satisfac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2;28(6):1254-126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December 29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2.28.6.1254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왕동정1, 김경란2,
1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과학과,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Kyeong-Ran Kim Tel : +82-62-950-3617 E-mail : krkim@kwu.ac.kr
Received 2022 September 19; Revised 2022 December 2; Accepted 2022 December 16.

Trans Abstract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cultivating personal ability and humanity, but choosing a major that suits the individual will improve learning ability and point out a specific direction for determining the future. In order to grasp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among Chinese Cosmetolog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Major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survey conducted by WeChat and Wenjuanxing program from June 25 to July 25, 2022. A total of 18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via SPSSWIN 21.0 with frequenc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o test validity. Reliability was assessed by Cronbach‘s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emale (gender), The 19-20 years old (age), higher vocational school (education), 1st grade (grade), skin care (major) . I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correlation. It also can be seen that the economic motivation factor of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s a very high effect on the career plan and the career confidence factor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personal motivation, economic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ve a very high effect on all factors. The study found that the econom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reer plan factor of career decision making and the social identity factor of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cosmetology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career planning and social awareness in th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cess.

I. 서 론

중국은 경제 발전과 더불어 산업고도화는 지역균형의 발전과 소비활성화 등은 거시적 경제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국민들은 개인소득(Disposable income)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인 안정감은 미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키고 있다. 미용산업은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예술분야로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아름다움과 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Pyo, 2021). 중국의 미용산업은 그동안 단일한 미용과 피부미용이 몇 십 년동안 거듭된 발전되었으나. 현재는 헤어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 등의 광범위한 업종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상무부(中國商務部) 2021년 중국 미용산업발전보고서(中國美容産業發展報告書)에 따르면 2017~2021년 미용 관련 업체 등록이 매년 30% 이상씩 증가하였고, 2022년 1월말 미용 업체 누 적 등록 수는 84만개를 넘어섰다. 미용산업체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업계 시장규모도 꾸준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에 근무할 전문인력이 필요한 실정으로 미용전문기술인을 양성할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세계는 COVID 19의 장기화로 인해 펜데믹시대가 돌입되면서 교육의 패러다임도 급속도로 변화하면서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이 양립하면서, 교육방법 또한 다양한 교수법이 필요하다.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에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문 인 재 양성을 위해 AI와 VR을 접목한 다양성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한편, 사회적 환경에서 교육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Li, 2018). 그러나 미용의 직무특성상 숙련과정이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직업군으로 미용 전공 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내·외적 갈등을 겪기도 한다(Choi, 2015). 따라서 미용전공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이론과 기술을 잘 습득하여 전문미용인으로서의 자질과 자부심을 함양시키고, 직업에 대한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가치관과 소신있는 진로결정이 요구된다(Choi, 2015).

선행연구에서 Han(2014)은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었고, Lim(2018)은 전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Sun(2022)은 뷰티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 및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크게 미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미용관련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국 미용 종사자 및 전공학생의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인식(Wang, 2019), 중국 미용 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 만족도와 교육만족도 및 직무효능감(Jeon & Park, 2018), 중국 미용 교육현황 및 교육과정(Li, 2018) 등의 자격증, 교육과정, 교육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었으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 및 전공만족도와의 관련성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미용 산업을 이끌어갈 미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용전공 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과 전공만족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세부요인들간의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미용관련 학과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세부전공 선택에 필요한 의사결정 요인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전공선택동기

동기(Motivation)란 라틴어로 ‘움직이다’의 ‘Movere’에서 생겨난 것으로 인간이 어떠한 행동을 지속시키는 원인이 되는 요소이다. 동기는 먼저 일차적 동기와 이차적 동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일차적 동기는 학습되지 않은 선천적 성향인 신체적 동기로 휴식, 배설, 성욕, 수면 등을 의미하고, 이차적 동기는 학습 및 경험에 의한 후천적 성향인 사회적 동기로 독립, 경쟁, 소속감, 사회적 인정 등을 의미한다(Kim, 2018).

전공(Major)이란 개인이 어떠한 자격 수준까지 도달하기 위해 이론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을 집중적,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서 학문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학교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성장시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되기 위한 첫걸음으로서 중요한 선택 중의 하나이다(Choi, 2015). 학교에서의 전공선택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선택되며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Kim, 2020). 내부적 요인이란 전공선택 후 학업성과와 적성, 흥미와 소질 등을 뜻하며, 외부적 요인은 사회적 배경이나 인식을 의미한다(Han, 2014). 이러한 요인들은 학생들의 자신의 진로나 전공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Kim(2020)Song(2014)의 연구에서도 전공선택은 내부적 요인의 경험, 적성, 흥미, 성적, 성격, 가치, 재능 등의 개인으로 결정되는 것과, 외부적인 요인의 취업전망, 직업프로그램, 사회적 인식,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되어진 것으로 보고하였다(Kim, 2018). 하지만 부모님이나 지인 등 주변의 조언을 따르거나 불확실한 취업전망 등의 이유로 부적응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Ko, 2013). Jeong(2010)은 외재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의 평균값은 예체능계열이 가장 높았으나, 전공계열에 따라 수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Kim, 2020). 때문에 학생들은 각 학과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자기이해를 도움으로써 자신의 특성과 전공의 특성이 최대한 일치하여야 한다(Lim, 1995). 특히 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학과 선택동기가 학교선택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Kim, 2018). 따라서 증국 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전공선택동기의 요인으로 Choi(2015)는 내재적 요인(성별, 학업성과, 적성, 지능, 소질)과 외재적인 요인(가정환경, 학교, 스승, 배경, 교육의 질, 산업구조)으로 분류하였고(Choi, 2015), Kim(2020)은 미용과 재학생들은 외부적 요인(학교선택, 지역적, 경제적, 사회적 배경이나 인식)과 내부적 요인(학업성과, 적성, 흥미와 소질)으로 분류하였다.

전공선택동기는 진로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여 스스로 직업을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전공선택동기의 영향 요인은 Choi(2015), Kim(2018), Kim(2020)의 선행연구와 유사한 개인적 동기, 직업적 동기, 사회적 동기, 경제적 동기를 설명하고 있다.

2. 진로의사결정

진로란 단순히 직업의 선택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살아가는 과정 전체와 관련되는 일이다. 또한 취미생활, 여가, 가정생활 전반을 포함하기도 한다. 사람은 자신을 정확히 이해하고 주위여건을 충분히 고려함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계획하고, 선택하여 이를 스스로 개척해 나감으로 자기 자신 및 사회에 공헌을 한다(Kim, 2011). Ginzberg(1951)이 진로의사결정의 타협 과정을 제시한 이후 의사결정 이론은 많은 진로상담 이론가들에 의해 관심을 끌게 되면서(Shin, 2004), 많은 연구자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다양하게 그 결과물을 양적 또는 질적으로 제시하였다(Shin, 2004). 일반적으로 여러 대안들 중에서 가능성 있는 대안들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행위를 의사결정이라고 한다면, 진로와 관련하여 대안적 활동과정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진로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Park, 2013). Super(1953)Ginzberg(1951)는 진로 과정에서 개인은 점차 흥미, 능력, 가치관 등의 내적요인과 교육기획, 직업의 요구조건과 같은 외적요인을 모두 고려하게 되고 점차 구체적으로 체계화 되면서 진로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Kim, 2011).

Krumboltz와 Hamel(1977)에서 진로의사결정 문제를 7단계로 정의(Define the problem)하였다. 먼저 계획을 수립한다(Establish an action plan). 가치를 명료화한다(Clarify value). 대안을 모색한다(Identify alternatives). 결과를 예측해본다(Discover probable outcomes). 대안을 체계적으로 배제해 나간다(Eliminate alternatives systematically). 행동을 시작한다(Start action)의 단계이다(Shin, 2004). Krumboltz와 Hamel(1977)은 진로의사결정의 단계를 7단계 모형을 머리글자를 따서 약어로 “DECIDES”라고 명명하였다. 진로의사결정은 다양한 대안을 통해 진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진로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단기회기의 교육이 아닌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직업 세계의 탐색과 직업체험활동 위주의 진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Kim, 2011). Lee & Na(2013)는 진로의사결정을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는 진행정도와 진로에 대한 확고한 정도로 보고, 개인이 인식하는 진로에 대해 강조하며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Kim, 2013).

선행연구에서 의사결정요인을 개인이 진로를 선택할 때 다양한 유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신과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는 ‘합리적 유형’, 정보탐색이나 대안평가 없이 상상과 현재의 정서적 자각에 기초하는 ‘직관적 유형’, 타인에 의한 영향과 사회적으로 인정을 추구하는 ‘의존적 유형’ 등이다(Choi, 2015). Kim(2020)은 의사결정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연구에서 의사결정요인을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성별, 학년, 학과 등의 요인으로 분류하였고(Kim, 2020). Choi(2021)는 의사결정요인을 자기 능력에 대한 개인의 평가와 계획된 활동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평가, 정보수집, 진로탐색 요인으로 분류하였다(Choi, 2021). 이는 개인의 진로의사결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정보를 탐색하여 스스로 직업을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수립하는 과정으로 해석된다(Kim, 2020).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사 결정요인은 선행연구의 Choi(2015), Kim(2020), Choi(2021)와 유사한 진로계획, 진로확신, 진로이행을 설명하고 있다.

3.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란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가지고 있던 전공 기대감과 선택한 다음의 실제 경험을 비교하여 부합하는 정도를 말하고(Yoon, 2013), 선택한 전공교과가 개인의 진로, 즐거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가 결합된 결과라고 정의하였다(Lee, 2004). 즉, 전공만족이란 개인이 설정한 직업과 진로에 대한 기준과 비교했을 때 현재 자신이 소속된 전공학과를 평가하고 판단하는 과정의 산물이다(Kim, 2015). 이는 학생들이 느끼는 주관적, 내면적 경험을 의미하고, 본인의 학과에서의 행동은 개인 특성, 지인의 영향, 사회구조 등 외부환경과 상호작용이 있다(Kim, 2020). 따라서 현재의 전공학과가 미래 진로 또는 직업에 대한 기준과 일치된다면 전공학과 만족이 높아진다(Kim, 2015).

선행연구에서 Kim(2018)은 출신 고교, 학년, 학점 성취도 수준(평균 학점), 전공분야 요인들이 전공만족도와 관련성이 매우 높고, 대학생들의 사회적 인식에 따른 만족과 학교만족이 학과만족의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Ha, 2000). 학생의 학과만족요인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 사회인식만족, 학교 만족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선택한 전공만족도는 그들의 진로나 직업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Han, 2014).

선행연구에서 Choi는 전공만족을 교과목의 만족도는 ‘교과만족’, 수업방식 및 진행방식은 ‘수업만족’ 학교생활 관계는 ‘관계만족’ 학과의 사회적 인식 그리고 개인인식은 ‘인식만족’ 요인으로 분류하였다(Choi, 2015). Bai는 미용전공 만족도에 대한 하위차원을 밝히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그 결과를 토대로 3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교과만족, 관계인식만족, 수업만족 분류하였고(Baek, 2020), Kim은 2년제, 4년제 대학 유형중의 전공만족도를 영향요인은 인식만족도, 교과만족도, 관계만족도를 분류하고 있다(Kim, 2015). 이러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미용 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서 전공학과에 대한 평가정도를 예측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의 결정요인은 선행연구의 Choi (2015), Baek(2020), Kim(2015)과유사한 교과만족, 교수만족, 인식만족을 설명하고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교육은 개인의 능력과 인성을 함양시키는데 중요하지만, 개인의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진로를 결정하고 스스로 직업을 선택하는데 구체적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미용전공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의사결정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를 알아본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중국의 연해지역(산동성, 절강성)의 미용전공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위쳇(WeChat), 왠쥬엔망 프로그램(Wenjuanwang program)에서 연구목적을 읽고 동의한 후 전자 설문지에 무기명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2년 6월 25일에서 7월 25일까지이었으며, 응답된 자료는 엑셀프로그램(Excel 2013 program)으로 자동 코딩된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및 내용

본 연구의 설문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맞게 총 57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6문항은 명목척도로 설문하였고, 전공선택동기 16문항(Kim, 2018), 진로의사결정 17문항(Choi, 2015), 전공만족도 18문항(Jeong, 2010)은 5점 리커트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그렇다 5점’으로 설문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측정 변수의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설문지는 중국어로 번역하여 20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불성실한 응답자 20부를 제외한 180부를 최종 선택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WIN 21.0프로그램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에 대한 문항들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남성’이 26.7%, ‘여성’가 73.3%이었고, 연령은 ‘19세’가 33.9%, ‘20세’가 31.1%, ‘18세 이하’가 20.0%, ‘21세 이상’이 15.0%이었다. 교육을 받는 곳으로 ‘중등직업학교(전문중학교)’는 13.3%, ‘고등직업학교(전문고등학교, 2년제 전문학교)’는 86.7%이었으며, 학년은 ‘1학년’이 51.7%, ‘2학년’이 34.4%, ‘3학년’이 8.3%, ‘4학년’이 5.6%이었다. 전공은 ‘피부전공’이 32.3%, ‘메이크업전공’이 28.0%, ‘네일전공’이 23.0%, ‘헤어전공’이 16.7%이었다. 취득 자격증은 ‘국가직업자격5급(초급미용)’이 8.8%, ‘국가직업자격3급(고급미용)’이 7.8%, ‘국가직업자격4급(중급미용)’이 6.4%순이었고, ‘자격증 없음’은 69.1%로 조사되었다.

2. 설문도구의 신뢰도검증 및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란 동일한 대상, 특성 또는 구성을 비교가능하고 독자적인 측정으로 나타난 결과들이 어느 정도 유사한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존가능성, 안전성, 일관성,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신뢰성이란 동일한 개념에 대하여 측정을 되풀이했을 때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을 말한다. 신뢰성의 측정방법은 동일한 측정도구를 동일한 대상에 시간을 달리하여 적용결과를 비교하는 검증-재검증, 항목분할 측정치의 상관도, 내적 일관성 등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신뢰성은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Reliability appraisal and motivation for major choice, career decision-making, satisfaction in major

본 연구의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를 기술통계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전공선택동기 전체의 평균은 3.00으로 ‘직업적 동기’(M=3.63), ‘개인적 동기’(M=3.22), ‘경제적 동기’(M=3.07), ‘사회적 동기’(M=2.24)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진로의사결정 전체의 평균은 3 . 08로 ‘진로계획’(M=3.36), ‘진로확신’(M=3.12), ‘진로이행’(M=2.76)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전공만족도 전체의 평균은 3.37로 ‘교과만족’(M=3.42), ‘교수만족’(M=3.41), ‘인식만족’(M=3.26)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전공선택동기를 요인분석한 Kim(2020)의 연구에서 개인적 동기과 직업적동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는 유사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개인의 소질이나 적성 또는 흥미와 가치관 등 개인적 동기들이 크게 작용한다는 이론적 배경을 지지하고 있다(Kim, 2020). Song(2014) 또한 흥미, 적성과 같은 내재적 동기와 취업전망, 인기학과, 주변권유와 같은 외재적 동기가 작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전공선택은 대학생활 뿐만 아니라 미래 직업과 삶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개인적 자질을 고려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Kim, 2020). 하지만 부모님이나 지인 등 주변의 조언을 따르거나 불확실한 취업전망 등의 이유로 부적응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Kim, 2013).

진로의사결정을 요인분석한 Sun(2022)의 연구에서 계획수립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그 외에 의사결정할 때 연령 성별, 교육유형, 교육연수, 고용여부, 고용연수, 국적, 종교 등 요인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진로지도에 고려할 사항으로 판단된다(Kim, 2013). 전공만족을 요인분석한 Choi(2021)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순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특히 개인의 직업이나 진로집단에 대한 기대와 판단은 사회적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인식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 전공학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이론적 배경을 지지하고 있다(Choi, 2021).

3.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and major satisfaction

진로의사결정은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r=.426, p<.001), 개인적 동기(r=.275, p<.001), 사회적 동기(r=.241, p<.01), 직업적 동기(r=.197, p<.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다. 세부적으로 진로의사결정의 진로계획, 진로확신은 전공선택동기와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진로이행은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와만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r=.363, p<.001), 개인적 동기(r=.349, p<.001), 사회적 동기(r=.314, p<.001)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으나, 직업적 동기와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전공만족도의 교과만족, 교수만족, 인식만족은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경제적 동기, 사회적 동기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직업적 동기와의 상관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가 증가하면 취업 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Choi, 2015; Han, 2014) 개인적 동기는 자발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목표도 확실하고 수업의 성취도가 높아져 진로의사결정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사회적 동기는 취업 준비행동에 영향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취업준비 행동에 개인적 동기가 사회적 동기보다 역량이 높다. 즉, 개인적 동기가 증가하면 취업준비 행동도 높아지고, 진로의사결정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Choi, 2015).

선행연구에서 미용전공학생들의 미용전공선택동기에서 사회적 동기가 높으면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의 관계를 보였다(Choi, 2015; Han, 2014). 개인적 동기가 전공에 대해 적성, 흥미, 재능, 장래직업과 일치하기 때문에 전공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동기부여가 잘 되며 학점취득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Wang, 2019).

위의 결과 미용전공선택 동기요인의 개인적 동기는 진로의사결정과 관계가 높고, 사회적 동기는 전공만족도와의 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4.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다중회귀분석 R2=0.197로 전체 변동의 19.7%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수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 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 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F=10.749, p<.001),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β=.339, p<.001)만 진로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74로 전체 변동의 17.4%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9.206, p<.001).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β=.325, p<.001), 개인적 동기(β=.196, p<.05) 순으로 진로계획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과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진로계획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전공선택동기가 진로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87로 전체 변동의 18.7%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10.060, p<.001).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β=.294, p<.01)만 진로확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이 높을수록 진로확신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049로 전체 변동의 4.9%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나, 추정된 회귀식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의 진로확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선행연구에서 Choi(2015)은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가 증가할수록 진로의사결정 높아진 것으로 본 연구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의 미용전공학생들이 미용직업에 대한 사회적인식이 한국보다 낮기 때문에 경제적인 안정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된다. 중국 미용은 현대적 의미에서 개혁개방 이후 홍콩과 대만, 일본, 한국 등으로부터 받아들여 용모개념, 미용교육, 미용기술, 미용제품, 그리고 서비스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은 2014년까지는 교육과정 또한 전공과목보다 교양과목에 편중되어 있어 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인재를 배출하기에는 전공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Li, 2018). 특히 미용은 실용학문으로 전문교육기관이 부족한 실정에서 사회적 인식이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도 미용직업은 경제적인 안정을 찾기 위해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정화미용고등기술학교를 시작으로 1991년 전문대학에 미용학과가 신설되었고, 1999년 광주여자대학교 4년제 대학에 미용과학과가 신설되었고, 석·박사과정과정 등의 체계적인 미용교육이 확립되면서 미용인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인 위상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Kim & Choi, 2006).

Kim(2018)은 한국의 미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의 진로계획은 영향을 주었으나. 진로확신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지만, 미용전문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숙련기간이 오래 걸려 전과를 하거나, 연봉, 복지, 근무시간의 열악함 등 현실문제도 중요시하고 있다(Kim, 2011). 그러나 중국은 미용교육전문기관과 재교육장의 부족으로 일반 미용학원, 직업훈련원, 미용전문기술대학의 재학생들은 전공에 대한 진로계획과 진로확신이 경제적 동기에 의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i(2018)의 연구에서는 중국 미용교육기관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안정감을 기대하면서 진로의사결정이 높아진 것으로 사료되며, 중국의 미용교육기관에서 미용전문기술인을 양성함으로서 미용산업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Li, 2018).

5.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R2=0.210으로 전체 변동의 21.0%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11.645, p<.001).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β=.261, p<.01), 경제적 동기(β=.201, p<.05), 사회적 동기(β=.172, p<.05) 순으로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와 경제적 동기,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전공선택동기가 교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77로 전체 변동의 17.7%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9.439, p<.001). 전공선택 동기의 경제적 동기(β=.248, p<.01), 개인적 동기(β=.224, p<.01) 순으로 교과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와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교과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전공선택동기가 교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110으로 전체 변동의 11. 0%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5.384, p<.001).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β=.201, p<.05), 개인적 동기(β=.200, p<.05) 순으로 교수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공선택 동기의 경제적 동기와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교수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전공선택동기가 인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R2=0.235로 전체 변동의 23.5%로 회귀모형을 설명하고 있으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13.461, p<.001). 전공선택동기의 사회적 동기(β=.304, p<.001), 개인적 동기(β=.269, p<.01) 순으로 인식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공선택동기의 사회적 동기와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인식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 에서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와 경제적 동기,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Effects of satisfaction in major on the major satisfaction

Lee(2022), Xu(2020), Yoon(2019)의 선행연구에서 전공선택 동기의 개인적동기와 사회적동기가 전공만족도의 교과만족, 인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전공만족은 개인적 또는 사회적 인식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학생들의 전공만족이 결정되기도 한다(Seo, 2019).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전공에 대한 자긍심이 높고, 만족도가 낮으면 학업에 대한 흥미를 잃게된다. 그 결과는 전공 선택에 대한 후회와 함께 휴학, 자퇴 또는 다른전공을 선택할 것이다(Jeon & Park, 2018). 현재 학교에서는 COVID 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 부족은 학생들의 심리적인 불안을 초래하여 학교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대학생은 오로지 대학입학을 목표로 한 입시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전공 선택 시 학교의 대외적 인지도나 성적에 맞춰 자신의 계획과는 무관한 전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대학 진학 시 개인의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지 못하거나 혹은 개인의 직업가치관, 개인의 소질이 배제되고 있는 실정이다(Choi, 2015). 개인의 직업이나 진로집단에 대한 기대와 판단은 사회적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인식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Choi, 2015).

V. 결 론

본 연구는 중국의 연해지역(산동성, 절강성)의 직업전문학교(고등학생, 전문대생)의 미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의사결정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2022년 6월 25일에서 7월 25일까지 180부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 연령은 19~20세, 교육은 받는 곳은 고등직업학교, 학년은 전문고등학교 1학년, 전공은 피부전공에서 각각 높았다. 요인분석한 실시한 결과 전공선택동기 전체의 평균은 3.00점, 직업적 동기 3.63점, 개인적 동기 3.22점, 경제적 동기 3.07점, 사회적 동기 2.24점 순으로 도출되었고, 진로의사결정 전체의 평균은 3.08점, 진로계획 3.36점, 진로확신 3.12점, 진로이행 2.76점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전공만족도 전체의 평균은 3.37점, 교과만족 3.42점, 교수만족 3.41점, 인식만족 3.26점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 나타내었다. 전공선택동기의 경제적 동기요인이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의 진로계획, 진로확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경제적 동기,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의 모든 요인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중국의 미용전공 학생들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의사결정과 전공만족도에 영향이 매우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일부지역의 미용전문학교 학생만을 대상을 설문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향후 중국에 미용관련 학과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중국미용직업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변화하는 교육과정의 대응하기 위하여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전공만족도에 대한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용 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전문적 미용인재를 양성하고, 진로를 설정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는 기대한다.

References

1. Baek, S. H. (2020).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s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NCS-based course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2. Choi E.. 2020;The Case Study on the Change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by Tactil Care in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1474–1483.
3. Choi, J. A. (2015).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otives for Choosing Beauty Art Major and Career Values on Their Class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4. Choi, S. L. (2021).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among Followership Types and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oul.
5. Choi, Y. J. (2015). The Effects of Sense of Values·Major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Doctoral dissertation, SeoKyoung University, Seoul.
6. Ginzberg, E. (1951). OccupationaI choic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Volume 11, Issue 3, December 1977, Pages 332-346.
7. Ha, H. S. (2000).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Han, Y. J. (2014).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jor Selection Motive and their Work Valuer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9. Jeong, B. Y. (2010).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Major choice of University Students on Vocation Choice Factor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10. Jeon H. S., Park D. E.. 2018;Preparation for University Examination of Students Admitted to Department of Cosmetology. Jounal of Korea Beauty Society of cosmetology 14(2):227–236.
11. Jeong, H. Y. (2010). A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Values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12. Kim, B. K. (2018). Factors and Satisfaction of Departmental and Major Selection of Beauty-Related Students.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13. Kim, B. R. (2020).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on Career Resilience as a Mediating Factor on Career Decision Making Ability.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14. Kim, E. H. (2011). A Study of Skin and Hair Care Department Graduates'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nd Processes of Beauty Care Educatio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5. Kim, H. S. (2020). The Effect of Foreign College Students’ Korean Communication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Majo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Cheonan.
16. Kim, J. A.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thical Decision Making of Public Service-Related Organ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17. Kim, J. Y. (2018).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of Beauty Major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8. Kim, M. A. (2015). A Study on University Beauty Major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Choice. Beautycare Education Departmen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19. Kim, S. J. (2020).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behind Major Sele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 Kim, S. S. (2011). The Influence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rturity's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21. Kim K. T., Choi K. H.. 2006;An Activation Plan for Make-up Illustration Education. Jounal of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 Beauty 3:5–12.
22. Ko, B. S. (2013). A Qualitative Study On Housewives of Counseling Graduate School Experience.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Seoul.
23. Krumboltz, J. D., & Hamel, D. A. (1977). Guide to career decision making Guide to career decision making skills. New York: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24. Lee, D. J. (2004).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for Programming Education.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5. Lee, J. H. (2022). Selection Motivation of Aerial Service Student Influencing Satisfaction for Academic Major Field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as a Moderating Variable.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6. Lee M. J., Na W. H.. 2013;The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on of Career Decision Making. Korea Citation Index 20(1):1–23. doi: 10.22779/kadw.2013.20.1.
27. Li, L. (2018). A Study on the Beauty Education and Curriculum Improvement of China -Focus on Students, Professors, Beauty practitioners. Doctoral dissert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28. Lim, E. (1995). Underachievement : Consistency Across Academic Subjects and Relationships with Attribution,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ew York.
29. Lim, H. Y. (2018). The Effect of Vocational Values and Major Selection Lim, H. Y. (2018). The Effect of Vocational Values and Major Selection.
30. Park, S. H. (2013). The Influence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s on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31. Pyo Y. H.. 2021;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K-Beauty Beauty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12):229–235. doi: 10.22156/CS4SMB.2021.11.12.229.
32. Seo R. S.. 2019;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ehavior of field Students in Cosmetology University. Jounal of Korea Beauty Society of Cosmetology 25(1):1–9.
33. Shin, Y. K. (2004). A Study upon Preference Degree of Compromise Process in Decision-Making of Students Who Failed College-Entrance Exam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4. Song, Y. J. (2014).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i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35. Sun, S. H. (2022). The Effect of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Value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Kwangju.
36. Super D. E.. 1953;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5):185–190. doi: 10.1037/h0056046.
37. Wang, Y. Y. (2019). The Effects of Self-efficiency and Self-esteem on Major Selection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 Xu, M. X. (2020). The Effects of Motives for Major Choose of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s.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39. Yoon J. H.. 2013;A Study on Relationship with Selection Factors of Tourism Majors, Major Satisfaction, and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5(4):239–257.
40. Yoon, S. H. (2019).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on the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Reliability appraisal and motivation for major choice, career decision-making, satisfaction in major

Classification Number of questions Average (M) Standard deviation (SD) Cronbach's α
Major selection motivation Personal motivation 4 3.22 .71 .704
Professional motivation 3 3.63 .75 .738
Economic motivation 5 3.07 .72 .822
Social motivation 4 2.24 .89 .824
Major selection motivation 16 3.00 .53 .839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conviction 6 3.36 .70 .868
Career conviction 5 3.12 .66 .755
Career transition 6 2.76 .79 .865
Career decision-making 17 3.08 .54 .870
Major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8 3.42 .65 .885
Tutor satisfaction 4 3.41 .78 .851
Perception satisfaction 6 3.26 .67 .804
Major satisfaction 18 3.37 .61 .928

Table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and major satisfaction

Factor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Major?satisfaction
individual job economy society all planning conviction transition all major Professor cognition all
Major selection motivation Personal motivation 1
Professional motivation 477*** 1
Economic motivation 415*** .340*** 1
Social motivation .198** -.040 .438*** 1
Major selection motivation .714*** .547*** .828*** .655*** 1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planning .305*** .157* .383*** .166* .372*** 1
Career conviction .243** .172* 404*** .290*** .416*** 501*** 1
Career transition .096 .124 .209** .121 .202** .174* 430*** 1
Career decision-making .275*** .197** .426*** .241** .421*** 725*** 805*** 745*** 1
Major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320*** .136 .363*** .247** .397*** .525*** 410*** 190* 483*** 1
Tutor satisfaction .243** .050 273*** .193* .288*** 561*** 352*** 286*** 528*** 732*** 1
Perception satisfaction .354*** .128 .314*** .390*** 445*** 448*** 462*** 182* 462*** 690*** 634*** 1
Major satisfaction .349*** .125 .363*** .314*** .431*** 570*** 462*** 236** 546*** 931*** 859*** 870*** 1
*

p<.05,

**

p<.01,

***

p<.001

Table 3.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b t p R2 adj R2 F
Career decision-making Constant 1.842 8.222*** .000 .197 .179 10.749***
P ersonal motivation .078 .103 1.257 .210
P rofessional motivation .026 .035 .438 .662
E conomic motivation .257 .339 4.024*** .000
Social motivation .045 .074 .949 .344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planning Constant 1.946 6.609*** .000 .174 .155 9.206***
P ersonal motivation .194 .196 2.365* .019
P rofessional motivation -.045 -.048 -.580 .563
E conomic motivation .320 .325 3.809*** .000
Social motivation -.014 -.017 -.217 .829
Career conviction Constant 1.695 6.212*** .000 .187 .168 10.060***
P ersonal motivation .064 .069 .844 .400
P rofessional motivation .039 .045 .554 .580
E conomic motivation .270 .294 3.475** .001
S ocial motivation .110 .149 1.906 .058
Career transition Constant 1.861 5.254*** .000 .049 .027 2.264
P ersonal motivation -.025 -.023 -.255 .799
P rofessional motivation .084 .080 .911 .364
E conomic motivation .183 .166 1.816 .071
S ocial motivation .049 .056 .657 .512
*

p<.05,

**

p<.01,

***

p<.001

Table 4.

Effects of satisfaction in major on the major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p R2 adj R2 F
Major satisfaction Constant 2.027 8.063*** .000 .210 .192 11.645***
Personal motivation .225 .261 3.225** .002
Professional motivation -.050 -.061 -.755 .451
Economic motivation .172 .201 2.401* .017
Social motivation .118 .172 2.223* .027
Major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Constant 2.078 7.609*** .000 .177 .159 9.439***
Personal motivation .206 .224 2.714** .007
Professional motivation -.045 -.052 -.629 .530
Economic motivation .226 .248 2.905** .004
Social motivation .068 .092 1.167 .245
Tutor satisfaction Constant 2.334 6.923*** .000 .110 .089 5.384***
Personal motivation .219 .200 2.333* .021
Professional motivation -.115 -.111 -1.306 .193
Economic motivation .218 .201 2.267* .025
Social motivation .053 .061 .738 .462
Perception satisfaction Constant 1.754 6.461*** .000 .235 .218 13.461***
Personal motivation .256 .269 3.386** .001
Professional motivation -.012 -.014 -.172 .863
Economic motivation .069 .074 .896 .371
Social motivation .230 .304 3.999*** .000
*

p<.05,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