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전공 프로그램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at Vocational High Schools in Daeje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2;28(6):1348-135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December 29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2.28.6.1348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The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Global Medical Beauty, Konyang University
정소임1, 노영희2,
1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대학원생
2건양대학교 글로벌의료뷰티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Young-Hee Noh Tel : +82-41-730-5443 E-mail : nyh@konyang.ac.kr
Received 2022 October 19; Revised 2022 December 13; Accepted 2022 December 20.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beauty depart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at Vocational high schools. All five cosmetic departments of Daejeon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elected and the status of each school's after-school program operation was sampled for a total of 7 semesters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19 to the first semester of 2022. For data collection, public information (data for public use) of the school reminder system and the school website were referred to, and deficiencies were supplemented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name of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department of beauty is mainly determined similarly to the certificate and course name by us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for cosmetologist and the name of the cosmetology course in 4 schools. Second, as for the operating hours of the program, 40 sessions (hours) were the most common at 28,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ranged from 2 to 27, showing differences by school and program. It implies the need to unify and operate the classes in order to increase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Second, hair program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program opening because the hair field had a high rate of employment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but more diverse education is needed to ensure well-rounded employment opportunity. Third, after-school program instructors were mostly taught by beauty department teachers. Since this is often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school class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ubject teacher alignment with after school programs were chosen over an external instructor to increase efficiency. Fourth, after-school tuition support varied by school, but tuition support increased in 2022 compared to 2019 showing each school’s growing efforts to relieve the financial pressure of after school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various majors of the after-school program, systematize the time period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afterschool tuition support should be continued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prevent class loss. Such effort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whole country and continue research on the operation status of other majo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fter-school programs in non-specialized high schools.

I. 서 론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1조 1항을 살펴보면 특성화고등학교는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라고 명시되어 있다(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제7차 교육과정에서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을 ‘학생에게 직업인으로서 기본적 교양을 함양시켜서, 관련 직업분야의 직무를 필요로 기초전문지식과 기술습득과 태도를 가지게 하며, 직업세계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평생교육 체제 내에서 관련 분야에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라고 정의하였다(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2010).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전문교과 수업시간을 통해 이론과 실기 수업을 병행하여 직업인을 양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으나, 3년에 걸쳐 총 192학점 중 전문교과에 해당하는 필수 이수 학점은 86학점에 불과하다(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ublic notification 2022-3). 관련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전문교과 시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미용 사교육 시설이 더욱 늘어나고 있으며 사교육 증대의 대안으로 ‘방과 후 학교(Ministry of Education, www.afterschool.go.kr)’가 실행되었다.

사교육의 경우 가구 소득수준별에 따라 지출이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으며,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와 200만원 미만 가구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격차는 약 5.1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사교육비 총액‧참여율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반등하였으며 모든 학교급에서 사교육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학교 참여율은 2020년보다 2021년에 높아졌으나 여전히 코로나19 이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교육부에서는 방과후 학교 활성화를 위해 교육청의 ‘방과 후 학교 지원센터’의 역할을 강화해 학교 지원 기능을 확대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22.03.11.).

‘방과 후 학교’란 학교 정규 시간 이외의 시간에 학교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일반 학생 및 다양한 교육 취약집단이 필요로 하는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사업(Shin, 2011)이다. 방과 후 학교는 정규교육과정을 보완하고 교육복지를 구현함으로써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측면으로 학교의 지역사회화라는 정책목표를 가졌으며, 기존의 방과 후 교육활동의 운영방식을 새롭게 변화시켜 2006년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Choi, 2012). 사교육 증대에 대한 대안과 교육수요자의 공교육에 대한 욕구가 맞물리면서 사회 양극화 해소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학습자의 진로와 연계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의 미용 교과의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로 Park(2016)은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후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연구 요인들에 대한 하위요인들의 확대 및 축소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Kim(2017)는 방과후 미용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성별, 학년에 따른 교육만족도, 교육과정, 유형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방과후 미용교육에 대한 교육 정책 수립 및 현 방과 후 교육의 개선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Kim & Choi(2018)는 방과 후 미용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고등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이 높았고 일상적 스트레스가 낮았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향후 방과 후 미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화고등학교 미용 방과 후 수업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방과 후 학교에 대한 학생, 교사의 만족도, 진로성숙도, 자기효능감, 요구분석 등에 관한 연구들이었다. 현재 우리나라에 미용 교육과정이 편성되어있는 고등학교가 총 60개(특성화고등학교 48개, 마이스터고등학교 1개, 학력인정학교 11개)(Kwak, 2021)인 것에 비하면 미용과 특성화고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실태나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학교를 제외한 대전 소재의 특성화고등학교 중 미용학과가 있으며 방과 후 학교를 실시하는 5개 학교를 모두 선정하여 2019학년도 1학기부터 2022학년도 1학기 현재까지 총 7학기에 걸쳐 각 학교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명칭, 차시, 개설 과목, 참여인원, 참여학년, 강사 현황, 수강료 지원 등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성화고등학교 미용과 방과 후 수업이 어떻게 설계되어 적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각 학교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실태를 바탕으로 미용과 방과 후 학교프로그램 개설및 운영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특성화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91조 1항에서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라고 정의하고 있다(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2010년 관련 부처에서 발표한 ’고등학교 직업 선진화 방안‘의 목적으로 과거 농업고등학교, 공업고등학교, 상업고등학교, 수산해양고등학교, 가사실업고등학교, 전문계고등학교, 종합고등학교로 다양하게 세분되었던 전문계고등학교가 2011년부터는 특성화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구분되었다(Kim et al., 2013).

2. 방과 후 학교 교육의 개념 및 정의

방과 후 학교 교육은 수요자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하여,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및 돌봄활동으로, 학교 계획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학교 교육활동이다(Ministry of Education, www.afterschool.go.kr).

‘방과 후 학교’라는 개념과 명칭이 도입된 기원은 1995년 5월 31일 교육개혁대통령 제2차보고서에서 제시된 ‘특기·적성교육’에서 시작되었으며, 당시의 ‘특기·적성교육’은 인성 및 창의성을 함양하고 개인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1996년에는 개인의 소질 적성 및 취미·특기 신장과 사교육비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방과 후 교육활동’이 교육부 시달로 각 시·도교육청별로 실시되었다. 그 이후 방과 후 교육활동은 사교육비 경감의 방안과 개인의 소질 계발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되었으며, 1999년부터는 ‘특기·적성교육’이란 명칭으로 변경되어 실시되었다. 2004년에는 사교육비 경감대책으로 ‘특기·적성교육’에 ‘수준별 보충학습’이 덧붙여졌으며 이와 더불어 ‘방과 후 교실’도 함께 추가되었다. 2005년에는 ‘특기·적성교육’과 ‘수준별 보충학습’을 포괄하여 정규교육과정 이외 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체제로서의 ‘방과 후 학교’의 개념이 정의되고, 2005년에 연구학교가 시행되기 시작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07).

3. 선행연구 고찰

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관련 선행 연구로 Park(2016)은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에 대한 결론으로 첫째,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과의 변인관계는 서로 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 생활만족도와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만족도와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현용은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2018~2020년 사이 방과 후 학교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론으로 첫째, COVID-19 영향으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 운영이 대폭 축소 운영되었다. 둘째, 온라인으로 운영하는 방과 후 학교의 사례가 나타났다. 셋째, COVID-19의 영향에서 벗어나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기 위하여 온라인 방과 후 학교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Jeon & Chung(2020)은 방과 후 학교 참여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국어, 수학, 영어 교과에서 모두 방과 후 학교 참여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ng et al.(2020)은 고등학생의 방과 후 학교 참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을 성취수준별 비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에 대한 결론으로 첫째, 학력 수준과 중학교 시기의 사전 특성에 따라 방과 후 학교 참여비율은 다른 양상을 보여, 방과 후 학교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참여를 선택할 편의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학과 영어 과목에서 성취수준과 상관없이 방과 후 학교에 참여하는 경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기초이하 학력일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 후 학교 참여여부와 학업성취도 점수는 지역규모에 따라서 그 차이가 크게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Kim & Choi(2018)은 방과 후 미용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의 창의성, 인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방과 후 미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이 미 참여한 학생보다 자아존중감, 창의성, 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적 스트레스는 참여한 학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인성이 증가할 수 록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적 스트레스는 창의성과 인성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만족도, 진로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식, 요구사항,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미용과 방과 후 학교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추후 미용과 방과 후 학교 개설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운영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각 학교의 방과 후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자료 분석과 문헌연구를 하였다. 문헌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미용 방과 후 관련 연구자료와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대전시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현황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알리미의 공시정보(공개용 데이터) 및 학교 홈페이지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교사를 통한 자료수집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를 실시하는 학교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

- 미용학과의 신설년도, 학과명, 학급수, 학생수, 교사 수, 교사1인당 학생수

둘째,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의 개설현황은 어떠한가?

- 프로그램 명칭, 운영 차시, 전공과목

셋째,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의 학생 참여현황은 어떠한가?

- 참여학년

넷째,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의 강사구성 및 수강료 지원현황은 어떠한가?

IV. 결과 및 고찰

각종학교를 제외한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가 실시되고 있는 학교는 총 5개교이며 미용학과가 신설된 순서에 따라 A-E로 지정하였다(A: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B: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C: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D: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E: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세부적으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방과 후 학교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프로그램 명칭, 차시, 개설 과목, 참여인원, 참여학년, 강사현황, 수강료 지원현황으로 분류하여 분석·제시하였다.

1. 대전지역 특성화고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실시 현황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가 실시되고 있는 학교는 총 5개로 학교의 순서는 미용학과가 신설된 순서대로 알파벳 A-E까지 선정하였다(Table 1). A학교는 2000년, B학교는 2015년, C학교는 2016년, D와 E학교는 2019년부터 미용학과 학생을 모집하였다. 각 학교마다 학년당 모집학급을 살펴보면 A학교와 B는 2개 학급, C학교, D학교, E학교는 1개 학급을 모집하고 있다. 학교별 학생수와 교사인원수를 살펴보면 A학교는 총 학생수 114명에 교사 6명, B학교는 총 학생수 110명에 교사 6명, C학교는 총 학생수 53명에 교사 3명, D학교는 총 학생수 38명에 교사 4명, E학교는 총 학생수 56명에 교사 4명으로 나타났다. 미용학과가 먼저 설립된 A학교와 B학교가 2학급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급수에 비례하여 미용교사가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교사 1인당 학생수를 보면 A학교 19명, B학교 18.33명, C학교 17.66명, D학교 9.5명, E학교 14명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부(2016)가 발표한 교사 1인당 학생 수를 OECD 수준(2013)인 13.3명으로 감축하는 계획(Kwak, 2021)에 비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Current condition of beauty department in Daejeon

2. 대전지역 특성화고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설현황

2019년~2022년도 1학기까지의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명칭을 살펴보면 자격증 명칭은 국가 자격증 시험 종목에 사용되는 명칭이며 미용교과목은 고등학교 미용교과서 명칭이다. A학교는 29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중 미용사 국가자격증 명칭이 사용된 것이 19개, 미용 교과목 명칭이 사용된 것이 10개로 나타났다. B학교에서는 총 36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그 중 미용사 국가자격증 명칭이 35개, 미용 교과목 명칭이 1개로 운영되었다. C학교는 총 38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그 중 미용사 국가자격증 명칭이 5개, 미용 교과목 명칭이 33개 운영되었다. D학교에서는 10개의 프로그램 가운데 미용사 국가자격증 명칭이 2개, 미용실무 명칭이 8개 운영되었다. E학교에서는 총 13개의 프로그램 모두 미용 교과목 명칭으로 운영되었다. 5개 고등학교 모두 미용사 국가자격증과 미용 교과목의 명칭을 사용했고 그 프로그램 명칭을 보고 어떤 과정을 배우는 수업인지 바로 알 수 있었으며, D학교만 실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창의적인 명칭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교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명칭은 미용 뿐만 아니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서도 전공 자격증과 교과목으로 프로그램 명칭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Jung, 2021). 이는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명칭 결정 시 해당전공 국가자격증 명칭과 전공 교과목명을 많이 반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 1).

Fig. 1.

The program’s name of after school

The program’s nam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2019년~2022년도 1학기까지의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차시는 A 학교는 9~120차시까지 다양하게 운영되었으며, 120차시 6개, 24차시 6개, 30차시 4개, 32차시가 3개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B 학교는 10~57차시 중 24차시가 7개, 30차시가 각 8개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C 학교는 20~80차시 중 40차시가 21개로 가장 많이 운영되었다. D 학교는 20~40차시 중 20차시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되었으며, E 학교는 10~40차시 중 30차시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되었다. 5개교를 비교해 본 결과 40차시가 28개로 가장 많았고 그 중 헤어가 11개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30차시는 23개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역시 헤어가 12개로 가장 많았다. 20차시는 15개로 세 번째로 많았으며 그 중 헤어가 7개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방과 후 학교 수업이 2~4시간 연강을 하고 실기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어 각 학교마다 비슷한 차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차시와 상관없이 헤어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기서 1차시는 1시간을 의미한다.

The program’s tim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2019년~2022년도 1학기까지의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전공을 살펴보면 A학교는 헤어미용 11회, 피부미용 6회, 메이크업 6회, 네일미용 6회로 헤어미용 방과 후 학교의 빈도가 높았다. B학교는 헤어미용 20회, 피부미용 10회, 메이크업 3회, 네일미용 3회로 헤어미용이 가장 빈도가 높았고, 피부가 두 번째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C학교는 헤어미용 19회, 피부미용 13회, 메이크업 9회, 네일미용 7회로 헤어미용의 비중이 가장 높고, 네일미용의 비중이 제일 낮았다. D학교도 헤어미용 7회, 피부미용 1회, 네일미용 1회, 메이크업1회 로 10개의 과정이 운영되는 동안 헤어미용이 7번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다. E학교는 헤어미용 5회, 피부미용 3회, 메이크업 3회, 네일미용 2회로 역시 헤어미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5개 학교 모두 헤어미용의 수업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차이가 많이 나는 학교는 적은 빈도를 가진 과목보다 6배 정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방과 후 학교의 주 목적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은 진로선택과 고용가능성 고취에 있다. 통계청(2020)의 뷰티서비스 산업 매출액, 종사자수, 사업체수 조사에서 두발이용업이 다른 분야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m & Choi(2018)의 연구에서도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강교육에 헤어미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Park(2016)의 연구에서도 헤어미용 방과후수업에 참여한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전지역 미용학과 전공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서 헤어미용이 학교에 상관없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헤어미용 서비스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되어 다른 과목에 비해 비중이 높아졌다고 사료된다.

The program’s subject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The program’s participants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

3. 대전지역 특성화고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학생참여 현황

2019년부터 2022년도 1학기까지의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A학교는 4명~18명, B학교는 8~21명, C학교는 2~27명, D학교는 6~10명, E학교는 6~23명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 인원의 범위는 2~27명으로 학교와 프로그램별로 다양하였지만, 교사 1명이 수업시간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과 학교마다 정해진 방과 후 학교 정원이 있어 큰 차이는 없었다. Jung(2021)의 연구에 따르면 공업계고등학교의 경우 공립학교보다 사립학교에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인원이 많았으나, 미용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공립, 사립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용학과 전체 인원에 따른 비율로 비교했을 때, 학생 수가 적은 C~E학교에서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부담과 교육여건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의 질을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지표가 되므로(Kwak, 2021), 인원이 적은 프로그램보다 인원이 많은 프로그램의 학습자들이 교사의 개별 피드백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을 해볼 수 있다.

4.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강사 구성 및 수강료지원 현황

2019년부터 2022년도 1학기까지의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강사 구성을 보면 C학교, D학교, E학교는 해당 학교 교사로 강사가 구성되었고, A학교와 B학교만 일부 강의에서 외부 강사가 채용되어 수업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교마다 방과 후 학교 강사 채용 규정이 달라서 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 방과 후 학교 수업이 학교 수업의 연장선으로 진행되다 보니 외부 강사를 채용하기보다 교사가 진행함으로써 학교수업내용과 연계를 통해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외부 강사가 채용된 방과 후의 경우 기초과정보다 현장실무를 배워야 하는 목적을 가진 방과 후 학교 수업인 경우가 있어 필요에 의해 적합한 외부 강사가 채용되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수강료 지원은 C학교와 D학교는 사업비로 방과 후 학교 수강료가 지원되어 학습자둘의 부담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고, A학교와 B학교, E학교는 일부만 사업비로 지원되고 대부분의 방과 후 학교 수업료가 수익자부담으로 학습자들이 방과 후 수업료를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마다 예산의 편성과 학습자 수 등 여건에 따라 방과 후 학교 수강료 지원에 차이가 있었으나,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수강료 지원이 늘어난 것으로 보아 점차 많은 학교에서 방과 후 학교 수강료를 지원하여 학습자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Jung(2021)의 연구에 의하면 대전지역 방과 후 학교 지원금액은 COVID-19가 없었던 2018년에는 타 지역에 비해 지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방과 후 학교 수강료 지원이 더 늘어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ogram’s teacher/instructor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The program’s tuition fe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V. 결 론

대전 소재 미용학과가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미용 방과 후 학교가 실시되고 있는 학교는 총 5개교이며, 미용학과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세부적으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방과 후 학교의 개설현황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 명칭, 운영 차시, 전공과목을 알아보고 참여 인원과 강사구성, 수강료 지원현황을 조사하여 각 학교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지역 특성화고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가 실시되고 있는 학교는 총 5개교로 미용학과가 먼저 신설된 A학교와 B학교가 학년별로 2학급, C~E학교는 1학급으로 구성되어 학급수에 비례하여 미용교사 인원수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오히려 교사 수가 많은 A, B학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들에게 교육의 기회가 균등하게 주어지기 위해 학생 수와 교사 수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대전지역 특성화고등학교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전공 프로그램 개설현황을 살펴본 결과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주요 명칭은 4개교에서 미용사 국가자격증과 미용 교과목의 명칭을 주로 사용하였고, 1개교만 창의적인 명칭을 사용하여 주로 자격증 및 과목 명칭에서 프로그램 명칭을 결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가정통신문에 안내되어 있는 프로그램 명칭만을 보고 신청해야 하므로, 공식적으로 알려져있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5개교의 방과 후 학교 운영 차시를 비교해 본 결과 40차시가 28개로 가장 많았고, 30차시가 23개로 두 번째, 20차시가 15개로 세 번째로 많았다. 각각의 학교에서 비슷한 차시로 운영되어 방과 후 학교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지만, 학습자의 교육 기회 균등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방과 후 학교 시행 차시를 통일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Jeon & Chung(2020)의 연구에서 방과 후 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높아진 점으로 보아, 방과 후 학교 차시를 늘린다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학교마다 헤어미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헤어분야의 산업체 비율이 높고, 고등학교 취업이 헤어가 높은 결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다양한 전공 분야의 교육 기회를 증가시켜, 다방면의 고용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셋째, 대전지역 특성화고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2~27명으로 학교와 프로그램별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교사 1명이 수업시간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과 학교마다 정해진 방과 후 학교 정원이 있어 큰 차이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다만 인원이 적은 프로그램보다 인원이 많은 프로그램의 학습자들이, 교사의 개별 피드백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을 해볼 수 있어 학습자들에게 배움의 기회가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이를 해결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미용학과 방과 후 학교 강사는 거의 대부분 미용과 교사로 진행되었다. 방과 후 학교 수업이 학교 수업과 연계되어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외부 강사를 사용하기보다 해당 교과 교사가 진행하여 효율을 높이기 위함 임을 알 수 있다. 다만 현장실무를 배워야 하는 방과 후 수업인 경우 현장에 근무경력이 있는 외부 강사가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현장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맞춤 교육이 실시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과 후 학교 수강료 지원은 학교마다 예산의 편성과 학생 수 등 여건에 따라 방과 후 학교 수강료 지원에 차이가 있었으나,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수강료 지원이 늘어난 것으로 보아 점차 많은 학교에서 방과 후 학교 수강료를 지원하여 학습자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자들의 사교육비 절감과 수업결손 방지 등을 위해 방과 후 학교 수강료 지원이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추후 미용고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운영 및 프로그램 개설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명칭, 전공과목의 다양화, 강사 구성 현황 등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전국의 미용고등학교로 대상을 확대하여,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상의 문제점 등에 관한 심도 있는 질적 연구를 통해 방과 후 학교의 내실화를 다지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Choi, S. R. (2012). The Influence of career awareness on Satisfaction in After-school Programs, Based on the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honam University.
2. Jeon H. J., Chung H. W.. 2020;The Effec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Propensity Score.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38(19):155–182.
3. Jung H. Y.. 2021;An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 of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The Journal of After-School Research 8(1):49–74.
4. Kim, M. H. (2017). A study on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the afterschool beauty education on students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ong In University.
5. Kim M. H., Choi E. J.. 2018;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Beauty Education Program. J. Korea Soc. Beauty Art 19(4):69–79.
6. Kim S. B., Yoon K. H., Kim D. K.. 2013;The Condi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Specialized High School. Korean Business Education Association 24(1):13–24.
7. Kwak, G. W. (2021). Introduction Case Analysis Study to appl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in Vocational High School.
8. Park, G. K. (2016). Impact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on School Life Satisfaction(Focused on the students attending in after-school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honam University.
9. Shin, J. H. (2011). The Effect of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on Physical Self-Efficiency an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1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10). The condi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2010.
11.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22.3.12.(Fri), Major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of the 2021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13. www.khidi.or.kr(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The program’s name of after school

Table 1.

Current condition of beauty department in Daejeon

School Year of establishment Department Class per grade Total class Total student Teac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 2000 Total Beauty 2 6 114 6 19.0
B 2015 Total Beauty 2 6 110 6 18.3
C 2016 Beauty Art 1 3 53 3 17.7
D 2019 Total Beauty 1 3 38 4 9.5
E 2019 Beauty Design 1 3 56 4 14.0
Total 7 21 371 23 16.1

Table 2.

The program’s nam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School The program’s nam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of practice for beauty artist (general, skin care, makeup, nail ar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beauty artist (general) preparati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beauty artist (makeup, skin care), practical nail art skil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of practical skill for beauty artist (general, skin care, makeup, nail art), industrial educational cooperative for beauty artist(total beauty, skin care, hair)
B beauty artist (general, skin care, nail art), beauty artist for exam(nail art), advanced level for skin car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beauty artist (hai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beauty artist (general, makeup, nail art), beauty artist (skin care assignment 1), beauty artist (skin care assignment 2-3), practice for beauty artist (skin care)
C club for majoring in hair, basic hair, NCS for employment(hair), club for majoring in skin care, industrial educational cooperative for beauty art, NCS for employment(skin care & makeup), makeup&nail art, nail art, total beauty, makeup, industrial educational cooperative for beauty art hair&skin care, makeup&nail art, special lecture of NCS certification(makeup&nail art, skin care, hair)
D hair stylist, credits for makeup, preparing hair dresser, aesthetic, pre-hair dresser, practical skills for hair designer, trend nail ar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of practice for beauty artist (general)
E beauty design, beauty, makeup, hair, skin care, nail art

Table 3.

The program’s tim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School 2019
2020
2021
2022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A 28 30 24(x3) 32(x3) 36
18 24
12 12 30(x2)
30
120(x2) 11 40 24(x2)
16
10 120(x2) 9 120(x2)
B 10(x2) 10 24(x7) 57 30(x8) 20
50(x2) 30 42 20(x2) 40 23(x2)
40 20 40 30
30 30 24
C 50(x2) 40(x3) 50(x2) 50 50(x3) 40(x8) 40(x3)
80 40(x3) 40(x4) 36 80
20(x2) 80 60(x3)
D 30 20(x2) 20(x2)
20(x2) 40 40(x2)
E 20 12 30(x2) 10(x2)
18 20 30(x4)
36

Table 4.

The program’s subject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School 2019
2020
2021
2022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A hair hair hair hair makeup hair
makeup nail art skin care
hair nail art skin care makeup makeup
nail art skin care hair
skin care hair nail art nail art nail art
makeup hair makeup hair
skin care hair skin care
B skin care nail art nail art skin care hair hair
skin care hair skin care hair hair hair
skin care skin care skin care hair hair hair
hair hair hair makeup
hair hair hair skin care
hair hair nail art
hair makeup
hair skin care
makeup skin care
hair
C hair hair hair hair hair hair hair
skin care hair skin care hair skin care skin care skin care
hair hair/skin care skin care/makeup makeup nail art nail art makeup
hair/skin care makeup nail art hair/skin care
hair hair/skin care makeup nail art makeup nail art
makeup hair hair hair
skin care skin care skin care
makeup nail art makeup nail art
hair
D hair makeup hair
skin care hair hair
nail art hair hair
hair
E nail art hair makeup hair
skin care makeup hair
makeup
hair hair
skin care skin care
nail art

Table 5.

The program’s participants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

School 2019
2020
2021
2022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2nd Semester 1st Semester
A 10 (8.7) 17 (14.9) 13 (11.4) 17 (14.9) 8 (7) 14 (12.2)
13 (11.4) 8 (7) 10 (8.7)
14 (12.2) 12 (10.5) 18 (15.7) 10 (8.7) 15 (13.1)
13 (11.4) 9 (7.8) 10 (8.7)
4 (3.5) 11 (9.6) 10 (8.7) 5 (4.3) 8 (7)
10 (8.7) 11 (9.6) 9 (7.8) 10 (8.7)
4 (3.5) 5 (4.3) 6 (5.2)
B 14 (12.7) 15 (13.1) 15 (13.1) 8 (7) 15 (13.1 15 (13.1)
14 (12.7) 21 (18.4) 15 (13.1) 11 (10) 15 (13.1) 15 (13.1)
14 (12.7) 13 (11.4) 15 (13.1) 10 (9) 15 (13.1) 15 (13.1)
21 (18.4) 15 (13.1) 15 (13.1) 15 (13.1)
21 (18.4) 15 (13.1) 15 (13.1) 15 (13.1)
21 (18.4) 15 (13.1) 15 (13.1)
15 (13.1) 15 (13.1)
15 (13.1) 15 (13.1)
15 (13.1) 15 (13.1)
20 (18.1)
C 22 (41.5) 21 (39.6) 14 (26.4) 6 (11.3) 27 (50.9) 15 (28.3) 12 (22.6)
16 (30.1) 24 (45.2) 10 (18.8) 6 (11.3) 12 (22.6) 10 (18.8) 10 (18.8)
18 (33.9) 15 (28.3) 6 (11.3) 16 (30.1) 14 (26.4) 15 (28.3)
14 (26.4) 16 (30.1) 13 (24.5) 10 (18.8)
10 (18.8) 12 (22.6) 11 (20.7) 15 (28.3)
10 (18.8) 18 (33.9) 11 (20.7) 12 (22.6)
12 (22.6) 9 (16.9) 10 (18.8)
13 (24.5) 9 (16.9)
2 (3.77)
D 8 (21) 6 (15.7) 10 (26.3)
6 (15.7) 8 (21) 10 (26.3)
8 (21) 8 (21) 10 (26.3)
10 (26.3)
E 23 (41) 13 (23.2) 18 (32.1) 7 (12.5)
8 (14.2) 12 (21.4) 19 (33.9)
19 (33.9) 8 (14.2)
18 (32.1) 11 (19.6)
11 (19.6)
6 (10.7)

Table 7.

The program’s teacher/instructor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School A B C D E
Teacher 23 33 38 9 13
Instructor 3
Teacher/Instructor 6

Table 8.

The program’s tuition fee of after school (2019~2022 1st Semester)

School A B C D E
School payment 17 29 38 10 4
Student payment 12 7 0 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