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및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연령지각 기준으로-

The Impact of the Consumer-Brand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on Motivation to Buy Cosmetics in Social Media -Based on Cognitive Ag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1):145-15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1.145
1Adjunct Professor,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Department of Beauty Art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김인옥1, 권오혁,2
1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뷰티예술학과, 겸임교수
2한성대학교 디자인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Oh-Hyeok Kwon Tel : +82-2-760-4150 E-mail : oh-hair67@hanmail.net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Received 2022 October 29; Revised 2022 December 22; Accepted 2023 January 27.

Trans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metho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brand interaction an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on the motivation to buy cosmetics based on the cognitive age of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and 50s with social media accounts. As a result, as a result of classifying cognitive age based on the actual age of the subjects and their perceived age, 'same cognitive group (61.2%)' > 'lower cognitive group (24.0%)' > 'higher cognitive group (14.8%)'. In the three groups, the consumer-brand interaction an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consumer-brand interaction and the motivation to buy cosmetics also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the motivation to buy cosmetic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ccording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consumer-brand interaction an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by subjective age grou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smetics purchase motive. A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cognitive age on cosmetics brand marketing in social media, it is considered to be a practical implication for establishing basic data and cosmetics sales strategies that can be used for marketing.

I. 서 론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의 발달과 비대면(untact) 사회현상으로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소비자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필요한 화장품 정보를 찾아보고 공유하며 자발적으로 제품을 구매한다. 구매한 제품에 대한 후기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연령대와 사람들에게 공유되거나 관련 제품의 소비자 평가정보로 화장품 브랜드에 수집되어 소비트렌드(consumer-trend)를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바탕자료가 되고 있다(Saleem et al., 2021). 소셜미디어에서 수집되는 소비자의 연령, 생활양식, 관심 키워드(keywords) 및 제품 평가정보 등의 분석 · 예측자료는 화장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에 중요한 부분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소셜미디어는 단순한 소통공간이 아닌 소비자와 화장품 브랜드가 쌍방향 소통을 통해 긴밀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Wang et al., 2021). 쌍방향 소통으로 형성되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interactivity)과 관계(relationship)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Gwak, 2018).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가 화장품 정보를 찾거나 수집하려는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구매동기이다. 구매동기란 소비자가 자신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적절한 화장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스스로 다양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구매행동 자극 요인이다(Kim & Park, 2011; Shin & Choi, 2022). ICT의 발달로 자발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찾아 정보를 공유하는 현대의 소비자들에게 화장품 구매동기를 자극하는 것은 화장품 마케팅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에서 형성되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성과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먼저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은 분석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인 중 하나는 연령이다. 연령에 따라 선호하는 화장품 구매 품목이 다르므로, 화장품 판매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Chawla, 2006). 그러나, 생물학적인 연령인 실제연령(chronological)은 소비자가 스스로 지각하는 연령과 차이가 있어 단순히 실제연령으로 연령대을 구분해서 제품 판매 마케팅을 결정하기는 실무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소비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소비자가 스스로 지각하는 주관적 연령(cognitive age)은 실제 연령보다 소비자의 구매결정과 행동에 관련된 더 많은 정보와 관점을 제공한다고 하였다(Rahman, Chang, 2018). 이에 따라, 주관적 연령을 기준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는 소셜미디어 계정을 가지고 있는 10대에서 50대 남녀의 주관적 연령을 기준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관계)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 내에서 주관적 연령이 화장품 브랜드와 화장품 판매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주관적 연령을 기준으로 구매 대상자가 될 수 있는 MZ세대들을 타켓으로한 SNS 마케팅, 바이럴 마케팅 등을 선정하여 온라인 광고와 판촉에 관련된 실무적 화장품 판매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것으로 사료된다.

II. 이론적 배경

1. 주관적 연령지각 개념 및 정의

실제연령은 자신이 태어난 년도를 기본으로 계산되어지며, 전통적으로 마케팅 영역에서 고려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Schewe(1989)은 나이가 들어가는 생물학적 현상은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개인의 노화 현상은 생활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나이가 들어가는 모습이 개인 간 차이가 존재하며, 같은 연령이라도 동일하게 지각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연령보다 주관적 연령이 개인의 가치관을 진정으로 반영하고 그들의 소비 경향과 행동을 더 예측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Wei, 2005). 주관적 연령이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나이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나이라고 정의된다. 실제연령과 같게 또는 다르게 지각될 수 있고, 10살에서 15살까지도 차이 날 수 있다. 주관적 연령은 건강적(health-age), 사고적(think-age), 관심적(interest-age), 감정적(feel-age), 외모적(biological), 사회적(societal) 및 인지적(interest-age) 등이 고려된다(Rahman, Yu, 2019). 자신의 실제연령보다 주관적 연령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감(self-confidence)과 자부심(self-esteem)이 더 낮으며,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불안을 느끼고, 생활습관(lifestyle routine)에 변화가 없다고 하였다. 반면 실제 연령보다 주관적 연령이 낮은 사람들은 자신감과 자부심이 높고, 긍정적 자기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모험적으로 받아들이고 혁신을 추구한다고 하였다(Chen & Chan, 2014). Bergman & Bodner(2019)는 어리게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보호받는다고 하였다. 주관적 연령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에서 Jeong(2019)은 실제나이 보다 어려 보이는 집단의 화장품 구매행동과 화장품 구매 비용이 다른 집단보다 높다고 하였다. 또한 화장품 광고의 소구 메시지에 따른 제품 태도에서 소비자들의 실제 연령과 주관적연령의 차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Ko & Lee, 2017). 이런 결과들은 주관적 연령에 따라 개인의 심리와 사회적 특성 등에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구매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주관적 연령이란 스스로 지각하는 나이로 정의하였고, 실제 연령보다 주관적 연령이 낮게 지각하는 집단, 실제연령과 주관적 연령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집단과 실제연령 보다 주관적 연령이 높게 지각하는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2.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개념 및 정의

참여와 공유의 가치로 요약되는 웹 2.0 ICT을 기반으로 개인의 정보, 경험 및 가치관 등을 이용자들이 쌍방향 공유하고 관계를 맺는 개방형 온라인 플랫폼을 소셜미디어라고 한다(Hew & Kadir, 2016). 전통적인 대중매체와 다르게 소셜미디어는 엄청나게 복잡한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s)로 연결되어, 서로 지역적 거리와 상관없이 연결된 사용자들 간의 교류와 반응을 통해 상호작용이 일어난다(Lu et al., 2018). Haffman & Novak(1996)은 상호작용 개념을 2가지로 정리하였다. 먼저, 이용자 간 상호작용은 정보 제공자와 수용자 사이에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이라 하였다. 두 번째는 이용자와 시스템(system)간 상호작용성은 ICT 또는 유튜브 같은 플랫폼(platform)과 이용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행동, 작용과 반응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하였다.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상호작용은 쇼셜미디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받고, 개인의 특성에 따라 받은 정보에 대해서 반응하는 과정이라 하였다. 이런 상호작용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브랜드과 소비자 사이에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핵심적인 수단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하였다(Deighton, 1996). Kim(2021)You(2019)는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은 소셜미디어 내에서 소비자-브랜드 간의 협업으로 창조된 작업이며, 소셜미디어 내에서 이뤄지는 소비자-브랜드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브랜드가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상호작용을 구성하는 요소로 호혜적 커뮤니케이션, 참여성과 반응성 등을 제시하였다. 호혜적 커뮤티케이션은 소비자-브랜드가 서로 혜택을 주고받는 관계를 의미하며 서로 공생관계로 지각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개념이라고 하였다. 참여성은 소비자들이 소셜미디어에서 일어나는 기업이나 브랜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이벤트에 직접 참여하거나 관련 컨텐츠를 공유하는 등 자발적인 참여 활동을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응성은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즉각적인 반응을 해주는 것으로, 빠른 반응성과 진실된 피드백이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위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비자와 화장품 브랜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쌍방향 상호작용으로, 소비자와 화장품 브랜드 사이의 특별한 혜택을 주고 받는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호혜성 요인,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의 새로운 정보에 빠르게 반응하고 화장품 브랜드는 소비자의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수용하는 브랜드 반응성 요인 및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의 이벤트 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개인공감 참여성 요인이 구성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3. 소비자-브랜드의 관계 개념 및 정의

화장품 브랜드가 소비자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브랜드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를 장기적으로 맺을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요인이자 화장품 브랜드의 이윤을 증가시키는 브랜드 충성심의 변수로 인정받고 있다(Dey et al., 2018).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의 시작은 소비자가 직접 브랜드의 제품을 경험하면서 형성되며,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를 소비자들이 긍정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또한, 화장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경험한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을 느끼면 긍정적인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구축된다(Lee, 2010).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하루에도 수백 개의 브랜드와 상호 작용을 하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 형성이 어려워지고 있다. 화장품 브랜드들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이미지(brand image), 소비자 경험(consumer experience) 및 브랜드 평판(brand reputation) 등을 통해서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를 더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Kumar & Kaushik, 2020). 위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와 화장품 브랜드 사이에서 경험적으로 형성된 신뢰 관계로 정의하였다.

4. 화장품 구매동기 개념 및 정의

구매란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 행위이고, 구매행동은 소비자가 욕구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고 구매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정들을 의미한다(Choi, 2022; Gomes & Jeive, 2018). 구매동기는 개인이 각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이유이자, 제품이나 서비스의 구매행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자극 요인이다(Kim & Kim, 2018; Lim & Lee, 2017). Handriana & Tan(2015)는 구매동기란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미래에 구매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지표이며, 소비자가 사용하고 싶은 제품이나 가지고 싶은 물건에 대한 구매 욕구에 대한 경향이라고 하였다. 구매동기를 측정하는 것은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이며, 소비자의 생리 · 심리적 욕구를 바탕으로 구매 욕구를 자극하므로 제품을 선택과 구매에 관련된 중요한 지표가 된다(Kim, 2017). 화장품 구매동기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아름다워지도록 미적표현을 하거나 피부보호, 노화예방 및 결점보완처럼 피부의 매력과 건강을 위한 것으로 나눠진다. 그 외에도 기분전환, 사회적 자기보호, 여성적 표현 및 타인의식 같은 소비적 요소 등이 포함된다(Lee et al., 2020). 위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화장품 구매동기는 화장품을 구매하려는 욕구를 자극하는 요소로 매력과 소비 요인이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연령 유형에 따른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하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연령에 따른 집단 유형(주관적 연령집단)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2.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화장품 구매동기의 하위차원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주관적 연령집단에 따른, 소비자-브랜드의 상호 작용과 관계 및 화장품 구매동기 간의 관련성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 경험이 풍부한 10대 남녀부터 소셜미디어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는 50대 남녀들 중 국내 소셜미디어 개인계정으로 화장품 브랜드를 한 개 이상 팔로잉(following)하고 있는 10대에서 50대 남녀를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Jeong, 2022).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설문 조사는 오프라인(offline)과 온라인(online)으로 모두 진행하였다. 오프라인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출력하여 대면으로 배포와 수거하였고, 온라인은 구글 폼(google form) 설문지를 제작하여 모바일로 배포와 수거하였다. 사전조사는 오프라인으로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조사대상자 50명에게 2021년 6월 1일부터 15일까지 총 15일간 배포하고 수거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 타당도 및 이해도를 분석한 후 문항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조사는 2021년 7월 1일부터 25일까지 25일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오프라인으로 500부 배포하고 483부 수거한 후 미응답과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456부를 사용하였다. 온라인은 비대면으로 459부를 수거하여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449부를 분석하였다. 총 90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number of people, %)

3. 조작적 정의 및 설문문항

본 연구 변인들의 조작적 정의와 설문문항은 다음과 같다.

주관적 연령은 스스로 지각하는 나이이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된 Formula 1이 적용된 연령으로 정의하였다(Rahman & Yu, 2019).

Formula 1을 적용하여 실제연령보다 지각된 연령이 낮아 주관적 연령이 (-)인 집단(‘낮은 지각 집단’), 지각된 연령이 실제 연령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주관적 연령이 (0)에 가까운 집단(‘동일 지각 집단’) 및 실제연령보다 지각된 연령이 높아 주관적 연령이 (+)인 집단(‘높은 지각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셜미디어는 2020년 갤럽조사의 이용률 순위를 바탕으로 네이버 밴드(naver band), 카카오스토리(Kakaostory),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egram), 트위터(twitter) 및 유튜브(youtube) 계정으로 정의하였다(Shin, 2020).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비자와 화장품 브랜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쌍방향 상호작용으로, 호혜성, 반응성 및 개인 참여성 가치로 구성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측정문항은 Kim(2021)You(2019)의 연구를 토대로 SNS에서 호혜적 관계에 관련된 10문항, 소비자와 브랜드 반응성에 관련된 6문항 그리고 개인 참여성에 관련된 6문항으로 총 22개를 선정하였다.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와 화장품 브랜드 사이에서 경험적으로 형성된 신뢰 관계로 정의하였다. 측정문항은 Suh(2011)Hong(2014)의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과 보완을 거친 총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화장품 구매동기는 화장품을 구매하려는 욕구를 자극하는 요소로 매력과 소비 욕구로 구성된 개념이며, Go(2018)와 Lee(2012)의 연구를 토대로 구성된 총 10문항으로 측정이 가능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대상자들의 특성이 측정이나 분류가 가능한 항목이라고 정의하였고, 연령, 성별, 최종학력, 월평균 소득 및 월평균 화장품 구매비용에 대한 총 5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설문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구성되었고, 숫자가 높을수록 점수도 증가하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문제별로 적용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관적 연령으로 조사대상을 분류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변인인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소비자-브랜드의 관계, 화장품 구매동기의 각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KMO(Kaise-Mayer-Olkin) 측도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으로 요인분석의 기본가정을 확인하였고, 주성분법(Principle Components), 베리멕스(Varimax), 요인적재량(Factor loading) ± 0.40 이상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요인추출은 진행하였다. 척도의 신뢰성은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넷째, 세분 집단을 대상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관계 및 화장품 구매동기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세분 집단별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방법을 적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주관적 연령집단 분류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화장품 구매동기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에 앞서 조사대상의 주관적 연령을 기준으로 <Table 2>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실제 연령과 자신이 지각하는 연령을 토대로 주관적 연령을 분류한 결과, ‘동일 지각 집단(61.2%)’ > ‘낮은 지각 집단(24.0%)’ > ‘높은 지각 집단(14.8%)’ 순으로 나타났다.

Group classification based on Cognitive age groups (N=905, %)

2. 연구변인들의 하위차원

연구변인들 각각의 측정항목들에 대해 타당성을 검정하고 공통요인을 찾아내 변수로 활용하기 위해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소비자-브랜드의 관계, 화장품 구매동기 각각을 대상으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1)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의 차원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이다. Bartlett의 단위행렬을 점검한 결과 χ²값은 13641.503(df=231, Sig.=0.000)으로 나타나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를 점검한 결과 KMO값은 0.959로 나타나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공통성은 0.478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가정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은 세 개의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64.2%로 나타났고, 재상관행렬 결과는 25.0%로 나타났고, 전체 항목들의 신뢰도계수는 0.952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 수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1(26.3%)은 SNS으로 화장품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며 특별한 관계를 형성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호혜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2(20.3%)는 SNS에서 화장품 브랜드가 팔로워들에게 빠르게 반응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브랜드 반응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3(17.6%)은 팔로워들이 SNS을 통해 화장품 브랜드와 공감하여 친밀감을 느끼고, 화장품 브랜드의 정보를 공유하는 등 참여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개인공감 참여성’으로 명명하였다.

Dimensions of consumer-brand interaction

2)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의 차원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4>이다. Bartlett의 단위행렬을 점검한 결과 χ²값은 5717.781(df=36, Sig.=0.000)로 나타나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값은 0.911로 나타나 측정한 자료가 요인 분석을 실시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공통성은 0.539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가정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 단일차원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60.9%로 나타났고, 전체 항목들의 신뢰도계수는 0.918로 나타났다.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다수의 측정문항을 단일문항으로 변환하여 이후의 분석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후의 분석에서는 측정문항들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Dimensions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3) 화장품 구매동기의 차원

화장품 구매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5>이다. Bartlett의 단위행렬을 점검한 결과 χ²값은 4507.392(df=45, Sig.=0.000)로 나타나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값은 0.877로 나타나 측정한 자료가 요인 분석을 실시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공통성은 0.462 이상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가정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화장품 구매동기는 두개의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64.7%로 나타났고, 재상관행렬 결과는 46.0%로 나타났고, 전체 항목들의 신뢰도 계수는 0.874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 수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Dimensions of motivation to buy cosmetics

3. 집단별,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관계 및 화장품 구매동기 간의 관련성

앞서 분류한 세 집단을 대상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 및 화장품 구매동기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집단별,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세 집단 각각을 대상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낮은 지각 집단’의 경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의해 44.2% 설명되며, 특히 ‘호혜성’과 ‘브랜드 반응성’이 증가할수록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지각 집단’의 경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의해 45.4% 설명되며, 특히 ‘개인공감 참여성과 ‘호혜성’이 증가할수록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각 집단’의 경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의해 55.1% 설명되며, 특히 ‘개인공감 참여성과 ‘호혜성’이 증가할수록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oup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consumer-brand on the relationship of consumer-brand

주관적 연령집단별 분석한 결과, 세집단 모두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가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와 SNS 브랜드의 상호작용이 브랜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Nyamkhuu & You(202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Chae(2012)의 연구에서 인터넷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집단일수록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이런 결과들은 소셜미디어 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의 설명력이 높았다. 즉, 소셜미디어에서 나이가 많다고 인지하는 ‘높은 지각 집단’이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대해 다른 집단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관적 연령에 따라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 브랜드 관계의 인과관계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집단별,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세 집단 각각을 대상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낮은 지각 집단’의 경우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은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의해 22.0% 설명되며,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소비’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중에서도 ‘개인공감 참여성에 의해 11.5% 설명되며, ‘개인공감 참여성이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지각 집단’의 경우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은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에 의해 16.3% 설명되며,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소비’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중에서도 ‘개인공감 참여성과 ‘브랜드 반응성’에 의해 23.2% 설명되며, 특히 ‘개인공감 참여성이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각 집단’의 경우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은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중에서도 ‘호혜성’과 ‘개인공감 참여성에 의해 24.3% 설명되며, 특히 ‘호혜성’과 ‘개인공감 참여성이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소비’는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 중에서도 ‘개인공감 참여성에 의해 30.5% 설명되며, ‘개인공감 참여성이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집단 모두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화장품 구매동기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세집단 모두 ‘호혜성’이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였고, ‘개인 참여성’이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에 호감을 가지고 공생관계의 상호작용을 하는 ‘호혜성’은 소비자의 매력을 가꾸고자하는 ‘매력’ 욕구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의 제품이나 이벤트 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개인 참여성’은 유행을 따르거나 개인의 재력과 타인의 권유로 소비하려는 ‘소비’ 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Lee(2021)의 연구에서 럭셔리 패션 브랜드 SNS의 상호작용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이런 결과들은 소셜미디어 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매력’의 설명력이 높았다. 그러나 ‘높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의 설명력이 높았다. 즉, 나이가 많다고 인지하는 ‘높은 지각 집단’이 화장품 구매동기와 다른 집단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관적 연령에 따라 화장품 구매동기에 차이가 보인다는 것이며, Kim et al.(2016)의 연구에서 중년소비자의 의류선택에서 주관적 연령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Group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consumer-brand on motivation to buy cosmetics

3) 집단별,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세 집단 각각을 대상으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낮은 지각 집단’의 경우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은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의해 34.3% 설명되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소비’는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의해 1.5%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지각 집단’의 경우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은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의해 20.2% 설명되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소비’는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의해 11.5% 설명되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각 집단’의 경우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은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의해 32.0% 설명되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동기 중에서도 ‘소비’는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의해 5.7%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집단 모두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화장품 구매동기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SNS을 통한 관계지각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Kim & Lee(202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제품의 재구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Kim et al.(2005)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이런 결과들은 소셜미디어 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낮은 지각 집단’ > ‘높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매력’의 설명력이 높았다. 그러나, ‘동일 지각 집단’ > ‘높은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순으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소비’의 설명력이 높았다. 즉, 주관적 연령에 따라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화장품 구매동기의 인과관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관적 연령이 낮은 집단은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자신의 매력을 가꾸려는 욕구의 인과관계가 더 높았고, 주관적 연령이 높은 집단은 소비자-브래드 관계와 사회적 소비 욕구의 인과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h(2015)의 나이가 들어갈수록 윤리적 가치와 진정성 가치를 중시하지만, 실제연령보다 주관적 연령이 어린 소비자들은 윤리적 가치, 사회적 가치 및 진정성 가치 유형에 대해 유의미한 가치를 두었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Group, Effects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on motivation to buy cosmetics

V. 결 론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실제 연령과 자신이 지각하는 연령을 토대로 주관적 연령을 분류한 결과, ‘동일 지각 집단(61.2%)’ > ‘낮은 지각 집단(24.0%)’ > ‘높은 지각 집단(14.8%)’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의 하위차원은 ‘호혜성’, ‘브랜드 반응성’, ‘개인공감 참여성’으로 명명하였다. 화장품 구매 동기의 하위차원은 ‘매력’과 ‘소비’로 명명하였다. 소비자-브랜드 관계 단일차원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연령집단별,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이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집단 모두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높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의 설명력이 높았다.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집단 모두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화장품 구매동기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세집단 모두 ‘호혜성’이 증가할수록 ‘매력’도 증가하였고, ‘개인 참여성’이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매력’의 설명력이 높았다. 그러나, ‘높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의 설명력이 높았다. 소비자-브랜드의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집단 모두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화장품 구매동기는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낮은 지각 집단’ > ‘높은 지각 집단’ > ‘동일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매력’의 설명력이 높았다. 그러나, ‘동일 지각 집단’ > ‘높은 지각 집단’ > ‘낮은 지각 집단’ 순으로 ‘소비자-브랜드의 관계’와 ‘소비’의 설명력이 높았다. 위의 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관계는 화장품 구매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이며, ‘높은 지각 집단’이 다른 집단들 보다 변수들 관계에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화장품 브랜드는 소셜미디어에서 소비자와 긴밀하고 친밀한 상호작용과 지속적인 신뢰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화장품 마케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주관적 연령이 높은 집단이 다른 연령집단보다 소셜미디어에서 화장품 브랜드 공생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지속적 관계를 맺을수록 화장품 구매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주관적 연령집단별,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관계가 화장품 구매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에서 주관적 연령이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주관적 연령을 바탕으로 화장품 구매대상자를 선정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여 실질적 매 대상자가 될 수 있는 MZ세대들을 타켓으로한 SNS 마케팅, 바이럴 마케팅 등을 선정하여 온라인 광고와 판촉에 관련된 실무적 화장품 판매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 및 경기지역으로 한정된 대상선정으로 조사대상에 대한 지역적인 한계점을 가지므로, 후속연구로 다양한 지역의 대상자들이 포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References

1. Bergman Y. S., Bodner E.. 2019;Age is not just a number: Age awareness, subjective nearness-to-death, self-esteem,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24(6):906–913. doi:10.1080/13607863.2019.1566815.
2. Chae J. M.. 2012;The Effects of Interactivity on Consumer-Internet Brand Relationship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Relationship Tendency with Internet Brand.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4):191–204.
3. Chawla R. K.. 2006;Shifts in Pending Patterns of Older Canadians. Perspective of Labour and Income 18(1):19–30.
4. Chen K., Chan A. H. S.. 2014;Predictors of Gerontechnology Acceptance by Older Hong Kong Chinese. Technovation Februar 34(2):126–135. doi:10.1016/j.technovation.2013.09.010.
5. Choi M. J.. 2022;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for Bio Cosmetics on Purchasing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loyalty-.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8(4):784–793.
6. Deighton J.. 1996;The Future of Interactive Marketing. Harvard Business Review 74(6):151–152.
7. Dey P. K., Petridis N., Petridks K., Malesios C., Nixon J. D., Ghosh S. K.. 2018;Environmental Manage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95:687–702. doi:10.1016/j.jclepro.2018.05.201.
8. Go, A. R. (2018). A Study on Consumption Value, Cosmetic Product Use Behavior, and Cosmetic Product Purchase Behavior depending on Lifestyle Types of Adult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80-81.
9. Gomes J. S. N., Jeive M.. 2018;Comparative Analysis of Purchasing Decision Making between Swiss Customers and Chinese Customers of Cosmetics. Asia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8(1):63–86. doi:10.14707/ajbr.180043.
10. Gwak M. J.. 2018;A Study on the Information Search Path of Mortgage Loan products and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Search Path. Financial Planning Review 11(4):81–105. doi: 10.36029/FPR.2018.11.11.4.81.
11. Haffman D. L., Novak T. P.. 1996;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3):50–68. doi:10.1177/002224299606000304.
12. Handriana K. F., Tan F. B.. 2015;The Mediating Role of Trust and Commitment on Members’ Continuou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 Commitment-Trust Theory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5(2):145–151. doi:10.1016/j.ijinfomgt.2014.11.001.
13. Hew T. S., Kadir S. L. S. A.. 2016;Predicting the Acceptance of Cloud-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e Roles of Self Determination and Channel Expansion Theory. Telematics and Informatics 33(4):990–1013. doi:10.1016/j.tele.2016.01.004.
14. Hong, J. Y. (2014). Effects of Br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s, Attachment and Loyalty: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Global Brand Coffee Sho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42-46.
15. Jeong G.. 2022;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ations, Product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in YouTube Beauty Channel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a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33(4):67–88. doi:10.16881/jss.2022.10.33.4.67.
16. Jeong, S. E. (2019). Purchasing Behaviors of Cosmetic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and Subjective Age of Active Sen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28-129.
17. Kim B. J., Kang M. S., Shin J. C.. 2005;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6(3):55–81.
18. Kim C. E., Lee J. H.. 2021;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Benefits of Luxury Brand SNS Potential Consumer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Involvement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1(1):123–141.
19. Kim E. H., Kim S. H.. 2018;The Effects of Interest in Beauty Videos and Beauty Creator Reliability o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4(6):1325–1336.
20. Kim J. M.. 2017;The Effect Purchase Motivation Factors for Celebrities Personal Fashion Brand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Design Culture 23(4):197–206. doi:10.18208/ksdc.2017.23.4.197.
21. Kim N. M., Chung S. J., Kim T. E., Ahn S. H., Lee M. J., Chang M. S., Choi S. R.. 2016;A Study on the Gap between Subjective Age and Real Age,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lothing Benefits Pursui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Middle-Aged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2):127–144.
22. Kim S. Y., Park M. S.. 2011;A Study on the Purchas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the Ethical Products for Married Women.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4(4):95–117. doi: 10.17053/jcc.2011.14.4.006.
23. Kim, U. (2021). An Uvaluation of the Effects of Perceived SNS Interactivity and Seller Influence Tactics on Automobile Purchase Intention : Mediating Effects of Brand Trust and Seller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formed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45-47.
24. Ko S. J., Lee L. R.. 2017;Ads Message, Consumers’ Chronological Age, and Subjective Age: Implications for Cosmetic Advertisement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5(5):41–50. doi:10.36345/kacst.2017.35.5.006.
25. Kumar V., Kaushik A.. 2020;Build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rough Brand Experience and Brand Identification.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28(1):39–59. doi:10.1080/0965254X.2018.1482945.
26. Lee C. G., Sun Z. Q., Jeun S. T.. 2020;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smetic Purchase Motiv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Corporation and Innovation 43(4):3–23. doi:10.22778/jci.2020.43.4.3.
27. Lee, J. (2012). The Effect of Cosmetics Consumption Want on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Attachment, and Loyal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74-75.
28. Lee, S. J. (2010). The Integr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6-7.
29. Lee S. J., Park M. H.. 2011;Development Proces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rough the Brand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19(2):21–39.
30. Lee S. M., Lee I. H.. 2017;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Purchase Motive of Cosme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9):267–280. doi:10.5762/KAIS.2017.18.9.267.
31. Lu Y., Lee J. K., Lim E.. 2018;Network Characteristics Matter in Politics on Facebook: Evidence from a US National Survey. Online Information Review 42(3):372–386. :990–1013. doi:10.1108/OIR-09-2016-0262.
32. Nyamkhuu B., You S.. 2022;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Interactivity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at SNS Brand Page: Targeting Generation MZ in Korea and Chin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33(2):275–293. doi:10.7856/kjcls.2022.33.2.275.
33. Oh H. Y.. 2015;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based on the Chronological Age versus Subjective Age into Consumption Values and Perceived Consumer Aliena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5):173–200.
34. Rahman O., Chang W. T.. 2006;Understanding Taiwanese Female Baby Boomers through their Perceptions of Clothing and Appearance. The Journal of Design Creative process & The Fshion industry 10(1):53–77. doi:10.1080/17569370.2016.1190102.
35. Rahman O., Yu H.. 2019;Key Antecedents to the Shopping Behaviours and Preferences of Aging Consumers :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23(2):193–208. doi:10.1108/JFMM-12-2018-0165.
36. Saleem S., Feng Y., Luqman A.. 2021;Excessive SNS Use at Work, Technological Conflicts and Employee Performance: A Social-Cognitive-Behavioral Perspective. Technology in Society 65:101584. doi:10.1016/j.techsoc.2021.101584.
37. Schewe C. D.. 1989;Effective Communication with our Aging Population. Business Horizons 32(1):19–25. doi:10.1016/0007-6813(89)90019-0.
38. Shin H., Kim Y., Kim Y.. 2020;An Exploratory Study on User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0):195–206. doi:10.14400/JDC.2020.18.10.195.
39. Shin J. Y., Choi H. J.. 2022;Effects on Customer’s Reliability, Utiliz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Using Actual Situation of Cosmetic’s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8(2):239–248.
40. Suh, J. Y. (2011). Influence of the Congruence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Consumer’s Relations, Consumer’s Satisfaction and Brand Attachment: Based on Coffee Shop Bus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50-55.
41. Wei S. C.. 2005;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gnitive Ages, and Innovative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2(1):633–640. doi:10.1016/j.jretconser.2018.07.009.
42. You, S. S. (2019).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Effects of Interactivity in S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101-107, 214-22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number of people, %)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Age group 10’s 257 28.4 Average monthly income (KRW) Less than 1,000,000 444 49.1
20’s 232 25.6 1,000,000 133 14.7
30’s 168 18.6 2,000,000 166 18.3
40’s 151 16.7 3,000,000 66 7.3
50’s over 97 10.7 4,000,000 more 96 10.6
Gender Male 90 9.9 Average monthly cosmetic purchasecost (KRW) Less than 50,000 377 41.7
Female 815 90.1 50,000 or more but less than 100,000 273 30.2
Completed Education Less than high school 63 7.0
High school/graduation 399 44.1 200,000 162 17.9
College/graduation 155 17.1 300,000 53 5.9
University/graduation 219 24.2 400,000 29 3.2
Professional degree/higher 69 7.6 500,000 or more 11 1.3
Sum 905 100.0 Sum 905 100.0

Table 2.

Group classification based on Cognitive age groups (N=905, %)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Groups Perceiving one's Cognitive age lower than Chronological age (Lower cognitive group) 217 24.0
Perceiving one's Cognitive age the same as Chronological age (Same cognitive group) 554 61.2
Perceiving one's Cognitive age higher than Chronological age (Higher cognitive group) 134 14.8
Total 905 100.0

Table 3.

Dimensions of consumer-brand interaction

Measurement Items Foctor1 Reciprocity Foctor2 Brand reactivity Foctor3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Commonality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is easy to access and subscribe to it 0.811 0.297 0.034 0.747
It is easy to get product information from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 lowing 0.782 0.322 0.056 0.718
The cosmetics brand I'm following is well connected offline and online 0.763 0.271 0.046 0.658
I can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on SNS of following a cosmetic brand 0.730 0.294 0.237 0.676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is structured to attract my interest 0.696 0.286 0.272 0.641
I want to get the information of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from SNS 0.675 0.253 0.252 0.583
I think it is convenient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on SNS 0.592 0.334 0.327 0.569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shows consumers' honest reviews 0.574 0.352 0.320 0.556
I will help you if you ask for help on SNS of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0.570 0.218 0.369 0.508
I can get the product I want through SNS of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0.497 0.276 0.394 0.478
On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users' comments are quickly posted on advertisements and events 0.347 0.777 0.199 0.765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follow well accepts users' complaints or suggestions 0.329 0.747 0.280 0.745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I'm following quickly answers the user's questions 0.310 0.743 0.314 0.746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responds quickly to the needs or desires of the user 0.367 0.704 0.305 0.722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responds quickly to the user's thoughts about the product 0.398 0.698 0.316 0.745
Users of SNS of cosmetics brands that I follow quickly comment on its advertise- ments and events 0.413 0.648 0.131 0.608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is a very important part of my daily life 0.153 0.140 0.841 0.750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I sym- pathize with it like my problem 0.032 0.104 0.811 0.670
I feel very close to the SNS of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0.306 0.320 0.662 0.634
I like to write and upload pictures on SNS of cosmetics brands that I am following 0.146 0.271 0.654 0.523
I share the information I learned from SNS of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with others 0.325 0.389 0.510 0.517
I want to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on SNS of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0.428 0.364 0.496 0.561
Eigenvalue 5.791 4.464 3.865
Individual variations(%) 26.321 20.290 17.569
Cumulative Variants(%) 26.321 46.611 64.180
Cronbach's Alpha 0.922 0.915 0.853

Table 4.

Dimensions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Measurement Items Commonality
On social media that I use often, I feel good when I buy the cosmetics I'm following 0.539
I feel strongly attracted to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0.631
I feel that the cosmetics brand I am following treats me as a special customer 0.543
I like the cosmetics brand that I am following the most 0.654
the cosmetics brand that I follow is helpful to me 0.694
someone similar to me would be my follower and like the cosmetics brand 0.615
in my life I follow and cosmetics brand is important 0.676
I am obsessed with cosmetics brands that I am following 0.555
the cosmetics brand that I follow has a lot of influence on my life 0.572
Eigenvalue 5.480
Individual variations(%) 60.889
Cumulative Variants(%) 60.889
Cronbach's Alpha 0.918

Table 5.

Dimensions of motivation to buy cosmetics

Measurement Items Foctor1 Attraction Foctor2 Consumption Commonality
In order to add more charm 0.888 0.066 0.793
In order to express our individuality 0.817 0.214 0.714
In order to look pretty 0.815 -0.072 0.669
In order to maintain dignity 0.782 0.230 0.664
In order to change my image 0.634 0.293 0.488
It's a trendy product 0.633 0.319 0.502
In order to relieve stress or refresh yourself 0.597 0.324 0.462
Because of the recommendation of your spouse or lover 0.095 0.865 0.757
In order to show off one's wealth 0.221 0.855 0.780
In order to get a free gift 0.187 0.781 0.645
Eigenvalue 3.983 2.490
Individual variations(%) 39.829 24.904
Cumulative Variants(%) 39.829 64.733
Cronbach's Alpha 0.881 0.819

Table 6.

Group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consumer-brand on the relationship of consumer-brand

Groupsa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nsumer-brand interaction β Β t Sig. Modified R² F Sig.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Constant) 3.130 73.611 0.000 0.450 0.442 58.096 0.000***
Reciprocity 0.324 0.422 8.184
Brand reactivity 0.297 0.365 7.178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276 0.322 6.251
(Constant) 3.061 118.267 0.457 0.454 154.171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416 0.516 16.396
Reciprocity 0.342 0.407 12.921
Brand reactivity 0.188 0.224 7.122
(Constant) 3.122 66.162 0.561 0.551 55.310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458 0.549 9.083
Reciprocity 0.381 0.471 7.997
Brand reactivity 0.192 0.262 4.362
a

(1)=Lower cognitive age group; (2)=Same cognitive age group; (3)=higher cognitive age group,

***

p<0.001

Table 7.

Group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consumer-brand on motivation to buy cosmetics

Groupsa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nsumer-brand interaction β Β t Sig. Modified R² F Sig.
Attraction (Constant) -0.071 -1.243 0.215 0.231 0.220 21.323 0.000***
Reciprocity 0.237 0.270 4.431 0.000
Brand reactivity 0.247 0.266 4.423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257 0.263 4.307 0.000
Consumption (Constant) 0.052 0.859 0.391 0.119 0.115 29.068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336 0.345 5.391 0.000
Attraction (Constant) -0.015 -0.384 0.701 0.167 0.163 36.769 0.000***
Reciprocity 0.309 0.301 7.729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234 0.238 6.097 0.000
Brand reactivity 0.169 0.165 4.233 0.000
Consumption (Constant) -0.047 -1.275 0.203 0.235 0.232 84.615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459 0.474 12.703 0.000
Reciprocity -0.081 -0.080 -2.157 0.031
Attraction (Constant) 0.097 1.180 0.240 0.255 0.243 22.370 0.000***
Reciprocity 0.445 0.410 5.370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405 0.362 4.748 0.000
Consumption (Constant) 0.014 0.167 0.867 0.310 0.305 59.435 0.000***
Personal empathy and participation 0.676 0.557 7.709 0.000
a

(1)=Lower cognitive age group; (2)=Same cognitive age group; (3)=higher cognitive age group,

***

p<0.001

Table 8.

Group, Effects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on motivation to buy cosmetics

Groupsa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β Β t Sig. Modified R² F Sig.
Attraction (Constant) -2.181 -10.684 0.000 0.346 0.343 113.737 0.000***
Consumer-brand relationship 0.673 0.588 10.665 0.000
Consumption (Constant) -0.483 -1.946 0.053 0.020 0.015 4.335 0.039**
Consumer-brand relationship 0.160 0.141 2.082 0.039
Attraction (Constant) -1.710 -11.735 0.000 0.204 0.202 141.265 0.000***
Consumer-brand relationship 0.552 0.451 11.886 0.000
Consumption (Constant) -1.300 -8.598 0.000 0.116 0.115 72.543 0.000***
Consumer-brand relationship 0.410 0.341 8.517 0.000
Attraction (Constant) -2.249 -6.909 0.000 0.325 0.320 63.649 0.000***
Consumer-brand relationship 0.765 0.570 7.978 0.000
Consumption (Constant) -1.009 -2.422 0.017 0.064 0.057 9.002 0.003**
Consumer-brand relationship 0.368 0.253 3.000 0.003
a

(1)=Lower cognitive age group; (2)=Same cognitive age group; (3)=higher cognitive age group.

***

p<0.001,

**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