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헤어미용 소비자의 기대요소 및 재방문의도에 대한 연구: 방문경로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expectations and revisit intentions according to the route of visiting hair salons for hair beauty consumers who use hair sal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beauty management and designers' marketing strategies in the expanding beauty marke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54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or older who live in Seoul and use hair salon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wome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visiting hair salons once every two to three months, and the most accessible route was near the house/company. Second, as a job group that requires technology, expectations for technology that can produce the style that consumers want were the mo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salon, a single factor was derived as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there was no problem with reli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cted factors and revisit intention of hair sal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air beauty consumers, it was found that style was important for young people and overall service, emotion, and efficiency were expected for the elderly.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cted factors of hair salon and revisit intention according to the visit route of hair beauty consumers, it was found that treatment time is important for consumers who value accessibility, and style production is important for consumers who visit through S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eauty workers of various paths and ages can be effective in marketing that can build more customers if they recogniz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loyalty depending on consumers and provide services accordingly.

I. 서 론

최근 미용서비스 시장은 포화상태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추세, 소비자들의 요구와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미용 산업은 다양한 소비자들의 만족을 이루어내기 위한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Cho, 2019). 다원화된 사회에서 소비자의 요구는 다각도로 변화되어 왔으며 이와 샅은 시장 상황 속에서 현대의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더 많은 소비자의 마음을 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Kim, 2019). 더 이상 미용소비자의 미용실 방문경로도 단일화되지 않고, 고객이 직접 다양한 경로로 새로운 미용실과 디자이너를 선정하고 내가 원하는 디자인과 결과를 위해서 다소 거리적으로 먼 지역으로도 미용원정을 하기도 하는 미용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얻고 제공하기도 하며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시대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고객이 다양한 정보를 기호에 맞게 접할 수 있고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감대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헤어미용 시장에서도 새로운 소통수단이자 마케팅의 수단으로 구축되고 있다.
자신의 외모를 꾸미는 일은 개인의 자신감과 성취감을 동반한다. 이러한 시대에 개성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미용은 삶의 일부가 되었고 발달된 대중매체의 일상화로 인해 대중의 표현 욕구와 개성은 더욱 강해지고 다양해졌다(Kim, 2022). 자신의 개성과 어울리고 스타일 뿐만 아니라 감성까지 맞는 디자이너에게 시술을 받기 위해 다양한 방문경로로 미용실을 방문한다.
그러나 Sin & Jang(2019)의 연구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는 소비자의 재방문의도와 충성도를 높이는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처음 방문하는 신규고객의 방문경로와 그에 따른 기대요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오늘날 소비자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구매욕구가 발생하면 정보을 탐색하고 선택된 대안을 평가하며 구매를 결정한 후 어디에서 구매할지를 고민한다. 이 때 미용실을 선택할 때는 브랜드, 지인추천, 블로그, 소셜커머스, 광고, 홍보, 마케팅을 통해 이루어지며 고객이 지각하고 있는 점포에 대한 평가를 기본으로 하여 미용실을 방문하고 시술을 경험한다(Guk & Kim, 2018).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미용실을 방문하는 소비자의 방문경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소비자들이 갖는 기대 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더욱 확대되는 미용시장에서 미용경영과 디자이너들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헤어미용소비자의 기대요소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더 나은 아름다움을 갖기 위해 노력한다. 사회문화적인 요인에 의해 외모가꾸기에 대한 욕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An, 2016). 미용실을 방문하는 소비자는 자신의 분위기와 스타일에 어울리는 헤어스타일로 자신의 외모를 가꾸기 위한 목적과 기대를 가지고 방문한다. 고객의 기대는 어떤 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가지고 있는 사전적 개념으로 실제 서비스 경험을 평가하는 기준 또는 근거가 된다(Olson & Dover, 1979).
본 연구에서는 헤어미용소비자가 미용실을 방문하고 이용함에 있어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의도, 인지된 가치, 실제 행위 등을 ‘기대요소’로 개념화하였다.

2. 재방문의도의 개념

재방문의도란 행동의도의 구체화된 표현으로 호의적 태도가 전제됨으로써 나타나는 수용의도를 말한다(Park, 2020). 고객이 이용한 서비스에서 자신이 경험에 의한 만족이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충성도의 표현이기도 하다. 재방문의도는 실질적인 관계지속 행위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미용실의 성과와 이윤을 상승시키는 데에 중요한 요인으로서 고객유치와 유지 및 마케팅에 있어 중요한 개념이다(Fishbein & Ajzen, 1975).

3. 미용실 방문경로

오늘날 헤어미용 소비자들은 단순한 서비스나 기술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시술 환경이나 미용실의 위치, 교통 등 외부적인 점포 특성도 미용실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미용실의 분위기나 점포 이미지, 디자이너의 영향력까지도 소비자의 점포선택에 영향을 미친다(Eo, 2014). 다양해진 개성과 발달된 SNS 등의 환경으로도 소비자가 미용실을 선택하는 기준이 다양해진 만큼 미용실을 방문하는 경로 또한 지인추천, 접근성, 광고, SNS 등으로 다양하다.
Lee et al.(2009)의 연구와 같이 미용서비스를 위한 점포선택 방문동기에 따라 소비자의 기대요소와 만족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1. 헤어미용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알아본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의 차이를 알아본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2. 헤어미용 소비자의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알아본다.
1)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의 차이를 알아본다.
2) 방문경로에 다른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조사는 헤어 미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3월 1월 20일부터 2023년 3월 1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370부를 배포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수집하여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16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354부는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SSPS 22.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고, 자료의 분석방법은 연구 문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이 사용되었다.
둘째, 미용실 기대요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이 사용되었다.
셋째,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주성분 분석, 베리멕스 사용), 신뢰도분석이 사용되었다.
넷째, 헤어미용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Duncan test가 사용되었다.
다섯째, 헤어미용소비자의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증 Duncan test가 사용되었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 내용은 총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명목척도로 성별, 직업, 결혼여부, 한 달 평균 급여 수준으로 5항목을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두 번째 미용실 이용현황 및 방문경로에 대한 문항은 6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미용실에 대한 기대요소는 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네 번째 미용실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대한 문항은 6문항으로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과 미용실 이용현황 및 방문경로는 명명척도를 사용하였고, 미용실에 대한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한 문항은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리커트 척도는 ‘1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 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

1) 일반적 특성

헤어미용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 T able 1 >과 같다. 성별의 경우 여자 59.6%, 남자 40.4%로 여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50대 이상이 2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대 28.5%, 30대 23.4%, 40대 18.4%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의 경우 회사원/공무원이 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영업/개인사업, 전문직 13.6%, 서비스직 13.0%, 전업주부 12.7%, 학생 9.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의 경우 기혼 52.0%, 미혼 48.0%로 기혼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의 경우 400만 원 이상이 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0만 원에서 300만 원 미만 26.8%, 300만 원에서 400만 원 미만 19.2%, 100만 원에서 200만 원 미만 11.9%, 100만 원 미만 10.2% 순으로 나타났다.

2) 미용실 이용현황 및 방문경로

헤어미용 소비자의 미용실 이용현황 및 방문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2>과 같다. 미용실 방문빈도의 경우 2개월에서 3개월에 1회가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1회 이상 34.8%, 1년에 2회에서 3회 20.3%, 1년에 1회 이상 5.6% 순으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미용서비스의 경우 커트가 58.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파마 22.0%, 염색 16.9%, 케어(클리닉) 2.3% 순으로 나타났다. 1회 평균 시술비용의 경우 1만 원에서 2만 원 미만이 2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만 원에서 5만 원 미만 26.0%, 5만 원에서 10만 원 미만 24.0%, 10만 원 이상 18.4%, 1만 원 미만 2.5% 순으로 나타났다. 방문 시 고려하는 물리적 서비스의 경우 가격이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리뷰 및 인지도 29.4%, 위치 27.4%, 할인 및 행사 10.5%, 인테리어(분위기) 2.2% 순으로 나타났다. 방문 시 고려하는 인적 서비스의 경우 디자이너들의 기술이 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직원들의 친절함 13.8%, 디자이너의 인성 및 진정성 13.3%, 방해받지 않는 시술 분위기 4.5%, 직원들과의 분위기 1.7%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실 방문경로의 경우 집/ 회사근처(접근성)가 4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 검색(후기 및 리뷰, 블로그 등)과 지인추천 25.7%,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4.5% 순으로 나타났다.

2. 미용실 기대요소

다음 <Table 3>은 헤어미용 소비자의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미용실 기대요소는 원하는 스타일(M=4.37)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M=4.15), 위생상태 및 분위기(인테리어)(M=4.08), 친절하고 고급스러운 서비스(M=3.89), 신속한 시술(M=3.50), 대화와 공감(M=3.29)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최근 헤어미용 소비자의 기대요소가 다양하지만 미용실을 방문하는 목적이자 기본적인 기대요소인 스타일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물리적/인적 서비스에 노력이 필요하지만 고객의 니즈에 맞는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기술에 가장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3.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미용실 재방문의도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4 >와 같이 하나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 2=557.739(df=6, Sig=.000), KMO값 0.691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427 이상, 전체설명력 61.8%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773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헤어미용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

다음은 헤어미용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미용실 기대 요소와 재방문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이다.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의 차이

다음 <Table 5>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미용실 기대요소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성별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친절하고 고급스러운 서비스(p<.05),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여자의 평균이 남자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신속한 시술(p<.001), 원하는 스타일(p<.01), 친절하고 고급스러운 서비스(p<.05),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p<.01), 대화와 공감(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한 시술은 50대 이상의 평균이 20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원하는 스타일은 30대의 평균이 40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친절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 대화와 공감은 50대 이상의 평균이 30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은 50대 이상의 평균이 40대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신속한 시술(p<.01),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한 시술은 전업주부의 평균이 학생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은 전문직의 평균이 자영업/개인사업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신속한 시술, 친절하고 고급스러운 서비스,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 대화와 공감은 기혼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원하는 스타일, 위생 상태 및 분위기(인테리어)는 미혼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신속한 시술(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400만 원 이상의 평균이 100만 원 미만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젊은 층과 미혼일수록 감성과 스타일에 집중도를 보이고, 중장년층과 기혼일수록 가격, 시술시간 과 같이 현실적인 요소에 더욱 집중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고객의 연령대와 결혼여부 등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개개인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집중도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차이

다음 <Table 6>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미용실 재방문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성별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를 알아본 결과 여자의 평균이 남자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를 알아본 결과 20대와 30대의 평균이 40대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업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서비스직의 평균이 자영업/개인사업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를 알아본 결과 미혼의 평균이 기혼의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평균 소득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를 알아본 결과 100만 원에서 200만 원 미만, 300만 원에서 400만 원 미만, 400만 원 미만의 평균이 모두 같게 가장 높이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고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재방문의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큰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재방문으로 이어지는 충성도는 남성보다는 여자가, 중장년층 보다는 젊은층이 더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헤어미용소비자의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

1)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의 차이

다음 <Table 7>은 방문경로에 따라 미용실 기대요소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신속한 시술(p<.05), 원하는 스타일(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한 시술은 집/회사근처(접근성)의 평균이 인터넷검색(후기 및 리뷰, 블로그 등)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원하는 스타일은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평균이 집/회사근처(접슨성)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던컨테스트 결과 집단으로 분류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최근 다양한 경로로 미용실을 찾는 고객 중 접근성을 중요도로 생각하는 고객은 시술시간을, SNS 등 서칭을 통해 미용실 및 디자이너를 선택해 찾아온 고객은 결과물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회사 및 주거에 접근성이 용이한 미용실은 고객을 마주할 때 시술시간에 집중도를 보여야 하고, SNS로 주 마케팅을 진행하는 미용실은 방문하는 고객이 원하는 스타일에 대한 상담과 결과물에 집중도를 보이며 미용실의 위치와 마케팅 및 주 고객층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맞는 마케팅 및 고객응대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2)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차이

다음 <Table 8>은 방문경로에 따라 미용실 재방문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재방문의도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5) 지인추천의 평균이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최근 개인화사회와 SNS의 마케팅이 활성화되지만 가까운 지인의 추천으로 미용실을 방문하고 시술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면 재방문을 통한 충성도를 보이는 데에 더 수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개고객의 결과물과 서비스 만족에 집중도를 보일 필요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미용 소비자가 미용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기대요소 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방문경로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은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의 경우 회사원/공무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기혼이 높게 나타났으며, 월 평균 수입은 200-300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 이용현황 및 방문경로에 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는 미용실 방문빈도는 2-3개월에 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로 이용하는 미용서비스는 커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회 평균 시술비용의 경우 1-2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문 시 고려하는 물리적 서비스의 경우 가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적 서비스의 경우는 디자이너의 기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 방문경로에서는 집/회사근처로 접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 기대요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한 결과 원하는 스타일, 가격, 위생상태 및 분위기, 친절한 서비스, 신속한 시술, 공감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는 기술을 요하는 직업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스타일을 알맞게 연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용실 재방문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한 결과 재방문의도로 단일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신뢰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Duncan test를 한 결과 기대요소에서는 성별에서 친절하고 고급스러운 서비스와 가격에서 차이를 보였고, 여자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50대 이상이 시술시간, 친절함, 공감, 가격에서 차이를 보였고, 30대가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였다. 직업에서는 전업주부가 시술시간에 차이를 보였고, 전문직에서 가격에 차이를 보였다. 결혼여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400만 원 이상의 평균이 시술시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젊은층에서는 스타일을 중시하고 장년층에서는 전체적인 서비스와 감성, 효율성을 기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고객의 연령대와 일반적 특성에 맞게 보다 더 집중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인지하고 맞춤 서비스를 진행한다면 충성고객을 구축하는 데에 더욱 수월하며 폭 넓은 고객층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방문의도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월평균 소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직업에서 서비스직이 재방문의도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재방문의도는 일반적 특성에 의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직무를 가진 서비스직 근무자들의 만족도가 재방문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헤어미용소비자의 방문경로에 따른 미용실 기대요소와 재방문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Duncan test를 한 결과 접근성에서 시술시간에 차이를 보였고, SNS에서 원하는 스타일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접근성을 중요시 생각하는 소비자는 시술시간을 빠르고 정확하게 지켜주는 것에 중심을 두고, SNS를 통해 나와 맞는 스타일의 디자이너를 찾아 방문한 소비자는 고객의 니즈와 그에 맞는 스타일연출에 중심을 두고 서비스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문경로에 따른 재방문의도는 지인추천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추천을 통해 방문한 고객은 서비스와 시술에 만족감이 있다면 다시 방문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헤어미용 소비자들은 SNS의 발달과 고객의 헤어스타일 및 외모에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직접 선택하여 미용실을 방문하고 서비스를 경험한다. 이에 다양한 연령대와 특성을 가진 고객들을 맞이하는 미용종사자들은 소비자 개개인에 따라 만족감을 느끼는 요소의 정도의 차이를 인지하고 그에 맞춰진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고객의 재방문의도는 높아질 것이며 더 많은 고객을 접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폭넓은 충성고객을 유치하여 더욱 프로페셔널한 디자이너로서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표본 수가 구성되었다. 또한 다양한 요인과 방문경로간의 영향을 알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를 기초자료로 향후 더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able 1.
A General Characteristic (N=354,%)
Category Sum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n 143 40.4
Woman 211 59.6
Age 20s 101 28.5
30s 83 23.4
40s 65 18.4
Over fifty 105 29.7
Job Office worker/public official 132 37.3
Self-employment 48 13.6
Service position 46 13.0
Profession 48 13.6
Housewife 45 12.7
Student 35 9.8
Marriage status Single 170 48.0
Married 184 52.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one million won 36 10.2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42 11.9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95 26.8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68 19.2
Over 4 million won 113 31.9
Sum 354 100.0
Table 2.
Beauty Salon Usage Status and Visit Route (N=354,%)
Category Sum
Frequency (N) Percentage (%)
Frequency of visits Least once a month 123 34.8
Once every two to three months 139 39.3
Two or three times a year 72 20.3
More than once a year 20 5.6
Mainly used beauty service Cut 208 58.8
Dyeing 60 16.9
Perm 78 22.0
Clinic 8 2.3
Average cost of one treatment Less than 10,000 won 9 2.5
10,000 won to less than 20,000 won 103 29.1
20,000 won to less than 50,000 won 92 26.0
50,000 won to less than 100,000 won 85 24.0
Over 100,000 won 65 18.4
Physical services to consider when visiting Discounts and events 37 10.5
Interior (mood) 8 2.2
Price 108 30.5
Location 97 27.4
Reviews and awareness 104 29.4
Human services to be considered when visiting Kindness of the staff 49 13.8
Skill of a designer 236 66.7
Atmosphere with the staff 6 1.7
Designer Personality and Authenticity 47 13.3
Unimpeded treatment atmosphere 16 4.5
Visiting route Internet search 91 25.7
Friendly recommendation 91 25.7
Near one's home/work (Accessibility) 156 44.1
SNS (Facebook, Instagram..) 16 4.5
Sum 354 100.0
Table 3.
Hair Salon Expectation Factor
Sortation Average (M) Standard deviation (S.D.)
Expedited procedure 3.50 .991
The style you want 4.37 .715
Friendly and luxurious service 3.89 .821
Cleanliness and atmosphere 4.08 .737
Reasonable price 4.15 .718
Conversation and empathy 3.29 .974
Table 4.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Hair Salon
Revisit intention question Factor1
Commonality
Intention to revisit
I will visit the hair salon I used continuously .884 .781
I will visit the hair salon I used again .871 .758
I will recommend the salon of my choice to others .713 .508
I will continue to use it even if the price goes up a little .653 .427
Eigenvalue 2.474
Description Variant (%) 61.855
Cumulative Variance (%) 61.855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773
Table 5.
Differences in Expected Factors of Hair Sal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Expedited procedure
The style you want
Friendly and luxurious service
Cleanliness and atmosphere
Reasonable price
Conversation and empathy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Gender Man 3.44 1.052 4.29 .775 3.78 .857 4.02 .746 3.98 .726 3.26 .932
Woman 3.54 .947 4.43 .668 3.97 .789 4.12 .730 4.27 .689 3.31 1.002
t-value (p) -.885 -1.811 -2.042* -1.222 -3.778*** -.467
Age 20s 3.25C 1.014 4.48A .672 3.90AB .889 4.12 .816 4.16AB .717 3.35AB 1.072
30s 3.33BC .925 4.49A .632 3.73B .734 4.06 .612 4.08B .768 3.08B .913
40s 3.60AB 1.058 4.14B .899 3.78B .944 4.00 .771 3.94B .768 3.12B .960
over fifty 3.81A .889 4.31AB .655 4.08A .703 4.10 .733 4.33A .599 3.50A .889
F-value (p) 7.025*** 4.153** 3.208* .406 4.535** 3.619*
Job Office worker/public official 3.48AB 1.066 4.42 .742 3.87 .928 4.07 .783 4.16A .750 3.16 .956
Self-employ- ment 3.54AB .874 4.17 .724 3.92 .739 4.02 .699 3.83B .663 3.17 .953
Service position 3.28BC 1.047 4.28 .720 3.96 .868 4.11 .737 4.17A .677 3.59 1.045
Profession 3.79A .944 4.50 .652 3.90 .722 4.19 .673 4.31A .657 3.42 1.028
Housewife 3.73A .780 4.38 .650 3.93 .688 3.98 .723 4.27A .654 3.38 .834
Student 3.06C .906 4.40 .736 3.80 .759 4.14 .733 4.17A .785 3.26 1.010
F-value (p) 3.299** 1.364 .191 .507 2.682* 1.749
Marriage status Single 3.39 1.010 4.44 .670 3.82 .845 4.11 .738 4.15 .711 3.26 1.022
Married 3.60 .965 4.30 .750 3.96 .795 4.05 .737 4.16 .726 3.32 .928
T-value (p) -1.997 1.804 -1.526 .657 -.138 -.544
Original average income Less than one million won 3.25C .874 4.42 .692 3.78 .760 4.11 .820 4.17 .775 3.22 .866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3.14BC 1.072 4.33 .721 3.86 .843 4.26 .665 4.24 .692 3.43 .966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3.48ABC .921 4.32 .789 3.88 .836 4.01 .805 4.22 .717 3.37 .968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3.57AB 1.055 4.40 .694 3.81 .885 3.99 .723 4.09 .685 3.18 1.021
Over 4 million won 3.67A .977 4.40 .675 4.00 .779 4.12 .678 4.10 .731 3.26 .989
F-value (p) 2.958* .269 .857 1.214 .670 .672

* p<05,

** p<01,

*** p<001,

Duncontest results are displayed as A>B>C

Table 6.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Beauty Sal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Intention to revisit
M SD
Gender Man 4.24 .582
Woman 4.33 .500
T-value (p) -1.563
Age 20s 4.32 .485
30s 4.32 .502
40s 4.23 .693
Over 50s 4.28 .497
F-value (p) .559
Job Office worker/public official 4.29ABC .589
Self-employment 4.11C .606
Service position 4.46A .495
Profession 4.28ABC .451
Housewife 4.38AB .432
Student 4.21BC .431
F-value (p) 2.412*
Marriage status Single 4.30 .499
Married 4.29 .569
T-value (p) .182
Original average income Less than one million won 4.21 .356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4.32 .577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4.26 .602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4.32 .571
Over 4 million won 4.32 .487
F-value (p) .490

* p<05,

Duncontest results are displayed as A>B>C

Table 7.
Differences in the Expected Factors of Hair Salon according to Visit Routes
Expedited procedure Expedited procedure
The style you want
Friendly and luxurious atmosphere
Cleanliness and atmosphere
Reasonable price
Conversation and empathy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Visiting route Internet search 3.24A .970 4.48A .705 3.87 .846 4.13 .703 4.20 .734 3.26 1.020
Friendly recommendation 3.44A 1.002 4.44A .562 3.98 .802 4.12 .647 4.12 .664 3.37 .902
Near one's home/work (Accessibility) 3.67A .951 4.25A .792 3.85 .841 4.02 .807 4.16 .723 3.26 .976
SNS 3.56A 1.153 4.50A .632 3.94 .574 4.13 .719 4.00 .894 3.25 1.125
F-value (p) 3.873* 2.731* .493 .615 .425 .314

* p<05,

Duncontest results are displayed as A>B

Table 8.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Beauty Salon according to the Visit Path
Category Intention to revisit
M SD
Visiting route Internet search 4.33AB .444
Friendly recommendation 4.42A .483
Near one's home/work (Accessibility) 4.21AB .592
SNS 4.17B .597
F-value (p) 3.353*

* p<05,

Duncontest results are displayed as A>B

References

An, M. N. (2016). The Benefits and Effects of Clothing Pursuit on the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of Men in Their 20s and 40s a study of factors.
Cho, M. H. (2019). The effect of consumer’s hair involvement on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 Seokyo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Eo, K. S. (2014). The Effect of Beauty Shop Characteristic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eogyeong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Seoul, pp.1-2.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Theoryand Research, Addison-Wesley.
Guk, H. R., & Kim, S. H. (2018). The Effects of Hair Shop Visit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Korean Society of Beauty, 24(6), 1297-1305.
Kim, H. J. (2019). Effects of an experience clue in a beauty salon on a psychological response and consumer attitude : Expectation level as a moderating variable, Seokyo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im, M. N. (2022). A Study of Selection Attributes and Their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Hair Shop Customers, Keimyung Graduate School, Daegu.
Lee, Y. J., Lee, S. Y., Jung, M. S., & Lee, J. C. (2009). The Effect of Motivation to Visit Beauty Shop on Store Selection and Satisfaction. Korean Business Association. 1-17.
Min, E. J. (2007). The Satisfaction of Human Resource Managmaent of Hair Designer. 13(1), 147-154.
Olson, J. C., & Dover, P. A. (1979). Disconfirmation of consumer expectations through product trial. Journal of Applied Asychology, 64(2), 179-189.
crossref
Park, Y. Y. (202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otential Vietnamese consumers' visit Intention for cosmetic medical tourism and their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eoul, p.31.
Sin, H. W., & Jang, J. Y. (2019). The Influence and Mediating Effects of Beauty Shops Experience Marketing on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nd Revisit Inten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5(4), 449-458.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