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7(2); 2021 > Article
꽃을 모티브로한 헤어아트 연구

Abstract

In nature, including flowers, infinite artistic materials are completed,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everevolving cultural trend. This study produced four works that consist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with the motif of flower paintings of Rhosookja artist. The work 1 is a mixture of poppy and azalea to express spring, The work 2 is a mixture of sunflowers and chrysanthemums to express summer. The work 3 is a mixture of morning glory and cosmos to express autumn. The work 4 is a mixture of camellia and narcissus to express winter. With the ability to create artwork from flowers that people can easily access, i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put into practice not only by beauticians but also by everyone, and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It is believed that new research will be design development. We look forward to seeing more and more active hair art that stimulates flowers, which will increase accessibility to hair art.

I. 서 론

무한한 예술적인 소재인 꽃은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인간의 미적인 대상이 되어 관찰되어지고(Hwang & Gwon, 2019), 아름다움을 창조하기에 예술의 끝없는 소재로 등장하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Kim & Gwon, 2020). 이러한 자연속에서 꽃은 곡선적인 아름다움과 화려한 색채와 향기는 인간으로 하여금 시각적 즐거움과 안정감을 준다(Kim, 2018).
현대의 화가들은 자신의 예술의지와 활동을 효과적으로 살리기 위해 모든 매체와 기법들을 사용하여 남과 다른 상상력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은 많지만 그 중 헤어분야는 현재 많은 디자이너들로 인해 그 영역이 갈수록 다양한 예술분야에 동참하여 활동하고 있으며(Choi, 2015). 나날이 발전하는 문화의 흐름에 발 맞추어 하나의 예술사조로서 성장하고 발전하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고안하고 연구하게 되었다(Kim, 2019).
Eom (2014)는 폐모발을 회화의 도구로 활용하여 추상표현주의 표현양식을 중점으로 평면적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하였고, Jung (2019)는 십장생도의 십장생을 모발에 색을 입혀 잘게 조각내어 접착제로 고정한 후 평면적 헤어아트로 표현하였다. Hwang (2018)는 피카소의 작품을 기반으로 색을 입힌 폐모발을 활용해서 그라데이션 효과를 통해 조형적 헤어아트를 제작하였으며, Choi (2015)는 전통적인 회화의 수묵농담법을 폐 모발을 통해 봄, 여름, 가을, 겨울을 평면적 요소로 표현하였고, Hwang (2012)의 경우 물결 모양으로 폐모발을 푸른색 계열의 곡선 형태로 헤어아트를 제작함으로써 입체적인 요소로 표현하였다.
꽃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화려한 색상과 모양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위적이지 않은 서정적인 회화미를 나타내는 노숙자 화가의 그림을 모티브로 모발 피스 등을 활용하여 회화적 측면에 조형적 헤어아트를 첨가하여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에게 헤어아트 작품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며 폐모발의 활용성을 알리고많은 디자이너에게 하나의 작품이 다양한 작품제작으로 무한한 변형을 줄 수 있다는 인식변화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헤어아트의 개념

헤어아트는 모발과 예술의 합성어로 아트적 시각으로 헤어를 조명하고(Choi, 2007), 일정한 재료와 양식, 기교 등에 의하여 미를 창조하고 표현하는 인간의 활동, 또는 그 산물을 의미한다(Chae, 2007). 따라서, 헤어아트를 아티스트들의 창의적 발상으로 정의하기도 한다(An, 2010). 이렇듯 헤어아트는 우주나 자연 또는 삶의 실재를 모방하거나 재현하는 것이 아닌 창조하는 것이다(Chae & Kim, 2010).
또한, 모발의 예술적 활용도는 전통적, 미학적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창조적이며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으며 회화적, 아트적 등 새로운 분야에 응용되어 발전하고 있다(Choi, 2015). 따라서, 인간의 모발 자체는 조형성이 뛰어나며 여러 가지 형태로 무한한 변형과 창작이 가능하다(Gwon, 2012).
위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헤어아트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에서 응용된 무한한 변형이 가능한 창조물이라는 개념으로 보고자 한다.

2. 꽃을 형상화한 헤어아트 선행연구 고찰

우리나라 첫 번째 미용명장인 김진숙은 머리카락을 재활용하여 디자인하고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를 통해 환경문제, 모발의 재활용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림 1>은 홍도화 작품을 Kim (2012)의 연구에서 재인용한 그림으로 아크릴로 배경을 그린 후 머리카락을 탈, 염색 후 여러 가지 색상을 덧입혀 면을 겹겹이 이어가며 작품을 완성한 것이며 회화적 요소가 담겨 있다.
<그림 2>는 Kim (2016)의 작품으로 머리카락을 펼쳐서 접착제를 통해 고정한 후 만든 꽃 화분으로 다양한 꽃잎의 형태를 조합하여 만든 조형적 작품이다.
<그림 3>은 Kim (2019)의 작품으로 배경을 드로잉한 후 탈, 염색을 하였으며, 모발파우더로 만들어 배경에 뿌렸다. 그리고 회화적인 요소 그 위에 조형적인 요소를 붙여 만든 작품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노숙자의 회화적 특징을 헤어아트로 표현하기 위해 헤어아트의 선행논문과 인터넷 서적 자료 등을 바탕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특성, 헤어아트의 개념 및 표현방법, 기법, 작품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숙자의 꽃 그림 중 양귀비, 진달래, 해바라기, 수국, 나팔꽃, 코스모스, 동백꽃, 수선화를 선정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구성하는 4작품을 제작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꽃 그림을 회화적인 헤어아트로 표현하기 위해 모발피스를 이용하여 다발로 묶은 모발을 1:2의 비율로 탈색제를 혼합하여 3회 이상 다양한 명도로 탈색 후 각각 작품에 필요한 색상의 헤어 매니큐어로 색을 입혀서 건조하였으며, 건조된 모발은 일정한 크기와 비율에 맞게 자르고 목공풀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고정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한 디자인을 밑그림 작업 후 아크릴로 색을 입혔으며, 모발 모형을 가위로 꽃잎, 잎의 형태로 오린 것과 모발 파우더를 붙여주는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헤어아트의 개념 및 표현방법과 노숙자 작가 정보, 표현방법에 따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셋째, 재료 및 방법에서는 연구방법과 작품의 재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결과 및 고찰에서는 꽃 그림을 조합하고 헤어아트의 개념을 고찰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회화적인 헤어아트 총 4작품을 제작하였다.
다섯째, 결론에서는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후속방안을 제시하였다.

2. 작품재료

작품의 제작에 사용된 재료는 Table 2와 같다.

IV. 결과 및 고찰

1. 작품제작 의도 및 모티브

본 연구에서는 꽃의 회화적 아름다움이 표현된 그림들의 구도, 형태, 색채등을 분석하고 조합하여 사계절의 감성을 표현 제작하였다.
꽃들의 아름다움을 머리카락의 결과 피스의 레벨차이에 따른 색을 통해 다양한 명암과 미적 가치를 추구하고, 미학적인 상징성을 담아 모발 가루와 꽃잎의 모양에 따른 모발 글루작업을 통해 입체감 있게 작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꽃들로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통해 미용인 뿐만 아니라 모두가 쉽게 이해하고 실용화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일반인들 또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헤어아트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다양한 접근방식을 통해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각 작품에 대한 모티브 및 일러스트는 Table 3과 같다.

2. 작품제작

1) 피스를 활용한 공통 제작 과정

① 준비한 모발피스를 3회 이상 횟수를 다르게하여 다양한 명도의 색으로 탈색한다.
② 헤어 매니큐어의 색상을 입혀서 다양한 꽃잎의 컬러작업을 시행한다.
③ 색을 입힌 모발을 열처리한 후 세척하여 건조한다.
공동 사전 제작 과정은 Table 4와 같다.

2) 작품 1

계절의 감정을 색채로 느낄 수 있고 요하네스 이텐의 이론을 바탕으로 봄은 밝은 톤으로 구성되며, 노란색, 황록색, 분홍색, 파란색의 색상이 주를 이룬다(Bae, 2010). 따라서 흰색, 분홍색, 노란색, 연두색 색상의 꽃잎, 풀잎, 배경을 통해 화사한 색상으로 진달래와 양귀비를 표현하였고, 가공된 모발로 흩날리는 배경을 통해 향연을 표현하였다. 작품1의 완성작품은 Table 5, 작품의 시술과정은 Table 6과 같다.

3) 작품 2

계절의 감정을 색채로 느낄 수 있고 요하네스 이텐의 이론을 바탕으로 여름은 원색과 맑은 톤으로 구성되며, 빨간색, 녹색, 노란색이 주를 이룬다(Bae, 2010). 따라서 파란색, 분홍색, 노란색, 초록색 색상의 꽃잎, 풀잎, 배경을 통해 원색과 맑은 색상으로 해바라기와 국화를 표현하였고, 가공된 모발로 흩날리는 배경을 통해 향연을 표현하였다. 작품2의 완성작품은 Table 7, 작품의 시술과정은 Table 8과 같다.

4) 작품 3

계절의 감정을 색채로 느낄 수 있으며 요하네스 이텐의 이론을 바탕으로 가을은 중후하고 깊이있는 톤으로 구성된다. 또한, 갈색, 보라색, 주황색, 분홍색, 초록색 색상이 주를 이룬다(Bae, 2010). 따라서 보라색, 분홍색, 주황색, 초록색의 꽃잎, 풀잎, 배경을 통해 중후하고 깊이있는 톤의 나팔꽃과 코스모스를 표현하고, 가공된 모발을 통해 배경의 향연을 표현하였다. 작품3의 완성작품은 Table 9, 작품의 시술과정은 Table 10과 같다.

5) 작품 4

계절의 감정을 색채로 느낄 수 있으며 요하네스 이텐의 이론을 바탕으로 겨울은 무게감과 안정감의 톤으로 구성된다. 또한, 흰색, 하늘색, 회색, 분홍색의 색상이 주를 이룬다(Bae, 2010). 따라서, 흰색, 분홍색, 회색, 초록색의 색상의 꽃잎, 풀잎, 배경을 통해 무게감과 안정감있는 톤의 동백꽃과 수선화를 표현하였고, 가공된 모발을 통해 향연을 표현하였다. 작품 4의 완성작품은 Table 11, 시술 과정은 Table 12와 같다.

V. 결 론

쉽게 볼 수 있는 소재이며, 다양한 조형성과 함우리 주위에서 축적 상징성의 내용을 담고 있는 꽃은 다양한 사람들이 탐구해 보고자 하는 의미 있는 관심사이다(Yoo, 2005). 자연에 관한 관심은 이를 예술적으로 영감을 주고 끝없는 모방과 재창조에 의해 작품이 탄생하게 된다. 노숙자 작가의 그림을 통해 영감을 받아 연구자의 상상력을 통하여 조형적으로 실제화하여 작품을 만들었으며 그에 따른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우리 자연의 이미지를 여러 표현기법을 통해 독창적인 조형미를 추구하는 작품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헤어아트의 선행연구 및 문헌, 연구의 근거를 고찰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총 4가지의 헤어아트를 제작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4작품은 공통적으로 펼치기, 뿌리기, 말기, 붙이기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펼치기란 모발의 탈염 후 목공본드 작업 시 모발을 펼치는 기법이고, 뿌리기의 경우 모발을 잘게 가공한 후의 모발을 꽃잎과 배경에 뿌리는 기법이다. 말기의 경우 재단된 꽃잎과 풀잎의 모양을 조금 더 입체적으로 모양을 만드는 기법이며, 그 모든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붙이기의 기법을 통해 작품들에 표현하였다.
작품 1은 진달래와 양귀비작품의 모티브를 통해 봄의 향연을 연출하였고, 봄의 밝은 톤의 헤어피스와 가공된 모발을 펼치기, 뿌리기, 말기, 붙이기의 작업방법으로 화사한 분위기를 가미하여 연출하였다.
작품 2는 해바라기와 국화작품의 모티브를 통해 여름의 향연을 연출하였고, 여름의 원색과 맑은 톤의 헤어피스와 가공된 모발을 펼치기, 뿌리기, 말기, 붙이기의 작업방법으로 싱그러운 분위기를 가미하여 제시하였다.
작품 3은 나팔꽃과 코스모스작품의 모티브를 통해 가을의 향연을 연출하였고, 가을의 중후하고 깊이있는 톤의 헤어피스와 가공된 모발을 펼치기, 뿌리기, 말기, 붙이기의 작업방법으로 우아하고 중후한 분위기를 가미하여 형상화하였다.
작품4는 동백꽃과 수선화작품의 모티브를 통해 겨울의 향연을 연출하였고, 무게감과 안정감 있는 톤의 헤어피스와 가공된 모발을 통해 펼치기, 뿌리기, 말기, 붙이기의 작업방법으로 차분하고 가라앉은 분위기를 가미하여 연출하였다.
화가 작품을 통한 작품연구를 통해 하나의 작품이 다른 요소와 합쳐져 새로운 연구 결과를 이뤄낼 수 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러한 결과와 같이 꽃의 이미지는 아트적인 요소를 포함해 무한한 영감을 주는 소재이며 다양한 모티브가 되고 실무 현장에서 헤어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꽃 고유의 아름다움과 꽃의 그림을 통해, 계절이 가진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헤어아트의 예술 속에서 또 다른 창조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 꽃을 그린 그림을 재해석하여 계절의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가 새로운 창조적 디자인 개발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다른 작가의 작품을 통한 헤어아트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하면서 방법론적으로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 헤어아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고대한다.

Table 1.
A Work of Floral Hair Art
JKSC-2021-27-2-400i1.jpg
Table 2.
Work materials and devices
Material Informaiton Company
Acrylic plate 25 × 25 Geum-u
Acrylic paint 36color Mong,mart
Decolorant 400g Wella
Oxidant 800g/6% Amos
Scissors office Obog
Acrylic brush 4.6.8.12.16 Calapia
Woodworking bond 8개 Amos
Dryer 1650w JMW
Tail comb normal Donghae
Hair manicure R, Y, B, T Saehan
Hair piece 2lv, 10lv Yulosa
Wig piece Y, Lg, G, Pp, Pk Wigwith
Dyeing ball oversize Hair&me
Dyeing brush wool Greyger
Table 3.
Works Motif and Illustration
JKSC-2021-27-2-400i2.jpg
Table 4.
Making Process for Work
JKSC-2021-27-2-400i3.jpg
Table 5.
A Work of Spring
Work 1 봄(Spring)
JKSC-2021-27-2-400i4.jpg
Standard 25 × 25
Color White, Pink, Yellow, Green
Expression Unfold, Sprinkling, Bending, Paste
Concept Spring feast of azaleas and poppies
Table 6.
Making Process for Work 1
JKSC-2021-27-2-400i5.jpg
Table 7.
A Work of Spring
Work 2 여름(Summer)
JKSC-2021-27-2-400i6.jpg
Standard 25 × 25
Color Blue, Pink, Yellow, Green
Expression Unfold, Sprinkling, Bending, Paste
Concept Summer feast of sunflower and chrysanthemum
Table 8.
Making Process for Work 2
JKSC-2021-27-2-400i7.jpg
Table 9.
A Work of Autumn
Work 3 가을(Autumn)
JKSC-2021-27-2-400i8.jpg
Standard 25 × 25
Color Purple, Orange, Pink, Green
Expression Unfold, Sprinkling, Bending, Paste
Concept Autumn feast of cosmos and morning glory
Table 10.
Making Process for Work 3
JKSC-2021-27-2-400i9.jpg
Table 11.
A Work of Winter
Work 4 겨울(Winter)
JKSC-2021-27-2-400i10.jpg
Standard 25 × 25
Color White, Pink, Gray, Green
Expression Unfold, Sprinkling, Bending, Paste
Concept Winter feast of camellia and daffodil
Table 12.
Making Process for Work 4
JKSC-2021-27-2-400i11.jpg

References

An, H. K. (2010). The Research of Hair Art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2), 451-455.
Bae, E. J. (2010). A Study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lorImage and Color Make-up.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7-18.
Chae, S. S. (2007). The New View of Hair Art Using a Pine Tree's Image.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7-8.
Chae, S. S., & Kim, S. N. (2010). A Piece of Hair Art with the Image of Pine Tree Shown in the Chosun Dynasty Paint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3), 664-473.
Choi, E. S. (2007). A Study of Minimalism in Hair Art.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4-5.
Choi, H. I. (2015). Bakyeon Waterfall with the Application of Hair.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2-16.
Eom, S. R. (2014). Study of Waste Hair Recycling Hair Art- Based on Abstract Expressionism.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14.
Gwon, G. H. (2012). The Study on the Creative Up-Style Hair Works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38-41.
Hwang, C. H. (2018). Study on painterly hair art using waste hair: focused on the Picasso's work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2-11.
Hwang, C. H., & Gwon, G. H. (2019). Stndy on Hair Art Works with the Motif of Sagunj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180-189.
Hwang, D. J. (2012). Hair art using research hairpiece-with the motive of nature image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4-7.
Jung, M. H. (2019). Sipjangsang on canvas created with hair waste.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2-8.
Kim, E. O., & Gwon, G. H. (2020). A Study on a Hair Art Based on Folk Flower Pa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1), 186-195.
Kim, E. S. (2018). Development in Hair Art Design Using Formative Beauty in Wild Flower.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2.
Kim, M. (2019). A Study of Pictorial Hair Art Using Discarded Hair - Focus on works of Vincent van Gogh -.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2-11.
Shi, S. Y. (2018). A Study on Illustration for the Landscape of Four Seasons in Korea.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5-36.
Yoo, B. R. (2005). Found Self Identity's Expression of Embroidery Through Flower Configura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3.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