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웨딩메이크업 이미지 비교분석 연구 −2020년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age of Wedding Make-up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2020 -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1;27(3):704-71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June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1.27.3.704
1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Joongbu University
2 Professor, Dept. of Beauty Care, Joongbu University
왕신월1, 박정신2,
1 중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대학원생
2 중부대학교 뷰티케어학전공, 교수
Corresponding author: Jeong Shin Park Tel: +82-41-750-6288 E-mail: jshparkk@hanmail.net
Received 2021 January 28; Revised 2021 March 23; Accepted 2021 May 31.

Trans Abstract

The wedding culture of the present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s becoming more and more glocalized due to the progress in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resultant information exchange, while it also demands pursuit differentia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ness and changes in the forms of weddings. Of these, wedding makeup is now recognized a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the image of the bride.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the media of South Korea, it is assumed that the wedding culture and wedding makeup in China match with the trends in South Korea, and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is aspect. For this, the researcher intends to analyze the wedding makeup images of South Korea and China, focusing on wedding magazines. For the theoretical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books. And, for the empirical study, the only wedding magazine in South Korea, Wedding 21, and its Chinese counterpart, COSMOBride, were used as the study material. A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photo images, five makeup majors were put to analyze the imag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classic images in China had more vivid and splendid makeup. However, apart from this difference, the differences between natural images, romantic images, and elegant images were not significant. As such, the analysis result showing that the features in each image in the wedding magazines of the two countries were the same indicates that China i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s of 2020.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trends of wedding makeups and the types of wedding makeup images in South Korea and China.

I. 서 론

21세기 현대사회에서의 웨딩문화는 디지털기술 발달에 따른 정보 교류의 활성화로 인해 글로컬화 되어 가는 것은 물론이고, 결혼식의 형식 변화와 함께 신부를 아름답게 연출하기 위한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웨딩메이크업과 드레스, 그리고 부케 등을 통한 개성추구와 함께 비용을 아끼지 않는 특성으로써 차별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웨딩메이크업은 신부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웨딩 메이크업이란 신성한 의식인 결혼식을 위해 순결하고 아름답게 꾸미는 메이크업을 말하며(Han, 2004), 가장 행복한 순간을 위해 아름다운 모습을 기록하는데 활용된다. 이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고 싶은 열망과 함께 내적인 아름다움과 외형적인 아름다움의 조화로써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미의 총체적인 의미를 갖으며, 콘셉트에 맞는 표현이 무엇보다 중요시 된다(An, 2011).

웨딩메이크업이 신부의 이미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한국 뿐 만 아니라 5천년 이상 전쟁과 화합 등을 통한 문화적 상호 교류로써 비슷한 전통 문화를 형성해 온 중국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Yang, 2013). 중국은 과거에 톱다운 생활 방식의 사회였으나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산업의 다각적 변화와 함께 웨딩문화의 산업적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개인의 욕구와 니즈를 충족해주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중국의 웨딩 메이크업도 신부 얼굴의 개성에 따라 개인 맞춤형 시대에 맞는 디자인이 다양하게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한국에서 유행하는 메이크업과 웨딩관련 산업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수용으로 형성되었고, 중국 내에서의 웨딩 문화 또한 한국과 동일한 유형으로 변화 발전하고 있다. 한국의 뷰티문화가 한류와 함께 대중적 문화 트렌드로서 새롭게 대두되면서 중국의 유행 흐름에 큰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Hwang, 2008). 특히 21세기 대중매체의 기술향상과 정보 교류의 활성화로 중국의 웨딩 산업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으며, 결혼에 대한 잡지나 인터넷, 신문, 등에서 한국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의 미디어를 통한 정보교류의 활성화가 중국의 웨딩문화와 웨딩메이크업에 영향을 미침다고 보고 그 현황을 살펴 볼 필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웨딩잡지를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의 웨딩메이크업 이미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표현에 따른 유형을 실증시키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한국의 웨딩문화

한국의 전통혼례는 시대에 따라 많은 변천을 하였는데, 족내혼(族內婚)에서 족외혼(族外婚)으로, 모거제(母居制)에서 부거제(父居制)로, 연애혼(戀愛婚)에서 중매혼(中媒婚)등으로 변화를 했다(Maksimova, 2013). 조선시대 말기 개화기를 맞아 서구문화가 유입되면서 결혼 절차도 서양의 형식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1890년 대 최초의 서양식 결혼식이 거행된 이후 70여년이 지난 1960년대에 산업화, 도시화의 진행으로 유교적 가치관과 서구 물질주의적 사고방식이 혼합되어 결혼문화도 변화되었다. 오늘날 행해지고 있는 약혼식, 함들이, 폐백, 이바지 등은 전통적인 혼례의 현대적 변용이며, 예식장 결혼식과 신혼여행은 개화기 이후 서구문화가 유입되면서 정착된 근대적 특성이다(Liu, 2020).

2000년 대 웨딩문화의 큰 변화로는 웨딩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랑, 신부의 직업, 예식비용 등에 관한 고객 의견과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식장, 혼수, 신혼여행 등 결혼의 모든 절차를 대행해주는 컨셉으로 신랑, 신부의 시간과 경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웨딩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새로운 형태의 웨딩산업이 등장했다. 이제는 본인의 소중한 결혼식을 예식장에 맡기는 것이 아닌 전문적인 업체에서 의미 있는 날을 만들기 위해 타인과 다르게 선택하는 시대가 되었다(Lee & Cho, 2008). 그 중에서도 메이크업은 얼굴의 구조적 특징을 강조하고 수정기능을 가짐으로써 의복과 함께 사용되는 자기 장식법이다(Kim, 2002), 차별화된 표현방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 나타난 웨딩메이크업은 작은 혼례식, 하우스웨딩 등의 개성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결혼식이 진행되면서 콘셉트에 따라 더욱 내추럴한 스타일링을 나타내게 되었다. 자신만의 독특한 메이크업 스타일과 미의식을 형성하여 자연스럽고 투명한 메이크업을 추구하게 되었다, 색조 메이크업을 통한 개성의 강조가 아닌 전체적인 이미지 상승효과를 목적으로 색과 기법을 적절히 응용한다(Liu, 2020).

2. 중국의 웨딩문화

중국의 전통 혼례는 양가(两家) 혼인하기로 합의를 본 다음 수년이 지나서야 혼례를 올린다. 그동안 남자와 여자가 길에서 만나는 일이 있어도 남과 같이 모른 척하고 지나간다. 부모들은 신년이나 큰 명절날에 서로 방문하여 인척(姻戚)의 예를 갖춘다. 결혼 약 1개월 전이 되면 양가(两家)는 각기 적지(赤纸)에 결혼인을 적어 친구(亲眷)와 친척(亲戚)에게 보낸다. 청첩장(请碟状)이며 빨간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고 결혼 당일까지 신랑과 신부는 서로 얼굴도 보지 못 한 혼례풍습이었다. 대체적으로 도시에서 남∙녀는 연애가 자유로운 편이었으며, 시골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부모님이 정해준 사람과의 정혼이 이루어지곤 하였다(Wang, 2016). 개혁개방이 시작되면서 부모가 정하는 결혼의 문화는 점점 사라져 가고, 남녀의 애정 위주의혼인 개념으로 변모하게 되었다(Wang, 2016). 현대의 중국 혼례식은 간략화 되어가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인 전통혼례와 간이결혼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첫 번째 전통 혼례 형식에서는 가족 친지를 모셔놓고 혼례식을 거행하며, 결혼 당일이나 결혼 전날에 여자 쪽에서 각종 결혼 도구나 신부 물건들을 먼저 신랑 편으로 보내는데 신랑의 동생이나 신부 쪽 가족의 남자는 빨간색으로 행운을 상징하는 수가 놓여 진 그림을 문 앞에 내걸고 신랑 편에서는 신부 측에 짝수의 액수가 담긴‘홍포(红包, 흥빠오)’를 건낸다. 이러한 결혼 절차를 마치면 정식으로 부부가 되게 된다. 두 번째는 간이결혼으로 2000년 대 후반부터 유행하고 있으며, 결혼휴가를 이용해 외지에 여행 다녀온 것을 결혼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이는 여행 전 간단한 혼례를 거행하기도 하고, 혹은 혼례를 하지 않기도 한다. 여행 후에 돌아와서 친척, 친구, 이웃 동료에게 결혼 기념 사탕(喜糖)을 나눠주기도 한다. 이것은 최근 몇 년간 유행하기 시작한 간단한 결혼 방식이다(Yang, 2013).

이와 같이 형태는 다르지만 아름다운 순간을 기록하고자 하는 열망은 한국과 다르지 않으며 이를 위해 메이크업에 가장 많은 시간과 투자를 하고 있다(Lee, 2020). 현재 중국에서는 한국 여성들의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의 메이크업 트렌드가 동일하게 유행하고 있다. 한류 열풍에 따른 유명 연예인의 메이크업을 모방하여 표현하는 메이크업 형태가 유행하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내에서는 한국 여성들의 메이크업스타일을 모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한국의 메이크업디자이너들을 초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지속적인 한류 열풍에 의해 중국인이 추구하는 스타일은 한국의 트렌드와 일치하며, 한류 스타들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중국의 젊은 신랑 신부에게 반영되면서 웨딩 메이크업에서도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자신의 개성을 추구하는 한국의 메이크업 트렌드가 유행하고 있다(Yang, 2013).

3. 웨딩메이크업 이미지

결혼은 가장 기본이 되는 사회제도이며 가족을 구성하는 첫번째 단계로써 인간이 만들어낸 신성한 사회계약 중 하나이다(Yoo & Jin, 2009). 본능과 이성의 끊임없는 연관 속에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결혼은 본능과 이성의 결합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결혼은 사랑이라는 본능적 욕구에서 비롯되어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과 함께 이성적인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부부관계가 유지하게 된다(Choi, 2011).

결혼을 의미하는 웨딩(wedding)의 어원은 앵글로 색슨어로 wedd 즉, 신랑이 신부를 맞이함으로써 신부의 집에 지불하는 물건이나 돈을 의미하며 웨딩은 ‘번식의 목적으로 신부를 산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Lee, 2008). 이를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하면 웨딩이란 성인 남녀가 자유로운 이성교제를 통하여 애정과 신뢰를 확인하고, 자유의사에 의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Oh, 2010).

메이크업이란 관용적 의미로 ‘보완하다’, ‘완전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 일부분에 여러 가지 색을 부여하고 조화시켜 외형을 아름답게 꾸미고 창조하는 일이다(An, 2011).

그러므로 웨딩 메이크업(wedding make up)이란 일생의 가장 아름다운 결합인 결혼식에서 주인공인 신부의 가장 아름다운면은 부각시켜주고, 단점은 최대한으로 보완하여 심리적인 부분 또는 외관상으로 가장 신부에게 어울리는 메이크업을 하는것을 말한다(Choi, 2011).

이미지란 매우 주관적인 시각적 정보로 이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분류하기는 어려우나 이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볼 때, An(2011)의 연구에서는 내추럴, 모던, 엘레강스, 로맨틱 이미지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Choi(2011)은 퓨어, 로맨틱, 클래식, 노블, 피스풀의 5가지 유형으로, Seo(2012)은 심플, 페미닌, 로맨틱, 귀여운, 신비로운, 엘레강스 6가지 이미지로, Xiao Lin(2014)은 내추럴, 모던, 로맨틱, 엘레강스, 클래식 5가지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Jung(2016)은 클래식, 로맨틱, 엘레강스 등 3가지 유형으로, Lee(2020)은 내추럴, 로맨틱, 엘레강스, 킨포크, 고혹적, 매니시 등 6가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가장 많이 나타난 내추럴, 로맨틱, 클래식, 엘레강스 등 4가지의 이미지를 웨딩메이크업 이미지로 분류하고자 하며, 이를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A Study on the Image of Wedding Makeup

An Analysis of Wedding Makeup Image in Korea and China

Similarities in makeup by image in Korea and China

1) 내추럴 이미지

내추럴이미지는 ‘자연의’, ‘원시적인’의 의미로 인위적인 모습 없이 자연스럽게 풍기는 모습을 표현하며, 자연에서 나타난 모든 색상으로 구현해 낼 수가 있는 것으로 자연스러움을 표현하고자 하고, 자연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운동에서 비롯한 에콜로지(ecology) 이미지와 원시에 대한 동경을 표현한 프리미티브(primitive)이미지 등이 내추럴 이미지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Kim & Shon, 2005). 즉 내추럴 이미지는 본연 얼굴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다(Wang, 2019). 따라서 내추럴한 웨딩메이크업은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이 좋으며, 색감은 최대한 느껴지지 않도록 색조메이크업은 줄이고 피부결이나 음영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클래식 이미지

클래식은 본래 고전적, 전통적이라는 의미가 있다. 화려하거나 과장된 색과 선의 사용보다는 절제 속에서 세련미를 풍기는 차분하면서도 세련된 품격이 느껴진다(Oh, 2010). 유행을 타지 않는 모범적인 이미지로 기품을 느낄 수 있는 메이크업이다. 클래식은 고전적인, 전통적인, 보수적인, 고품의 중후한 등의 의미가 있으며, 오랫동안 지속되는 스타일을 나타내기도 하고,전통적이고 고전적 느낌을 풍기는 의상을 가리켜 클래식 이미지라고 정의하기도 한다(Bea, 2008). 따라서 클래식한 웨딩메이크업은 차분하고 고전적인 분위기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로맨틱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란 자연미와 관능미와 장식미를 포함하지만 대부분은 부드러움과 우아함, 사랑스럽고 귀여운 느낌으로 꿈꾸는, 공상적, 낭만적인 의미로 은은한 감미로운 분위기를 표현한다. 로맨틱은 완숙한 아름다움보다는 미성숙으로서 어딘지 모르게 소녀 같은 이미지를 보인다. 그리고 밝고 장식적이며 리드미컬한 곡선을 중심으로 흐르는 듯 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며 부드럽고 섬세하며 우아한 디자인적 특성을 지닌다(Oh, 2016). ‘어려 보이는’, ‘귀엽고’, ‘발랄한’등의 표현으로 로맨틱이미지를 추구한다(Bea, 2008). 따라서 로맨틱이미지의 웨딩메이크업에서는 오렌지와 코럴을 섞은 핑크 톤으로 하여금 사랑스럽고 낭만적인 인상을 줄 수 있도록 표현하며, 밝고 화사한 피부 표현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엘레강스 이미지

엘레강스는 불어로 ‘우아한’, ‘고상한’의 뜻을 지닌 용어로 성숙한 여성의 아름다움이 표현되는 이미지를 가리킨다.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품위 있는 여성다움을 지향하며 전통을 고수하는 클래식(clasic)과 보수적인 패미닌(feminine)이미지 스타일을 표현하기도 한다. 로맨틱이 소녀적인 감성을 표현하는 것이라면, 엘레강스는 장식 대신 여성적인 곡선을 강조하는 절제된 디자인으로 성숙미와 고급스러움을 표현하다고 할 수 있다(Kim, 2011). 따라서 엘레강스 이미지의 웨딩메이크업은 와인과 퍼플이 어우러진 페미닌한 컬러 배합에 따른 여성스러움이 돋보이는 컨셉으로 과도한 표현은 지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III.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고자 한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웨딩과 관련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웨딩문화와 웨딩메이크업, 그리고 웨딩메이크업 이미지로 나누어 고찰하고, 실증적 연구는 양 국 웨딩잡지의 사이트를 중심으로 각 웨딩메이크업 사진을 발췌한 후, 이미지별로 분류하여 한국과 중국의 웨딩메이크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의 웨딩잡지‘Wedding21’과 중국의 웨딩잡지인 ‘패션신부(时尚新娘) COSMOBride’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국가별 잡지를 1종씩 선택한 이유는 중국의 웨딩잡지인 ‘패션신부(时尚新娘) COSMOBride’이 현존하는 웨딩잡지 중 유일하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에 양국의 발란스를 맞추기 위해 한국의 잡지 또한 1종으로 정하였다. 연구범위는 중국인이 추구하는 스타일은 한국의 트렌드에 비추어 살펴본다는 측면에서 가장 최근 시기인 2020년의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메이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2020년에 발매된 월별 해당 잡지를 중심으로 화질이 불량하거나, 사진 속 얼굴이 너무 작게 나타나거나, 컬러와 선이 명료하지 않아서 이미지 분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사진을 제외한 총 216컷을 추출하였다. 이를 내추럴, 로맨틱, 클래식, 엘레강스 등 4가지의 이미지별로 분류하여 내추럴 56컷, 로맨틱 68컷, 클래식 46컷, 엘레강스 42컷을분석하였고, 사진 중 이미지가 가장 잘 나타난 사진을 대표로 제시하였다. 이때 사진자료에 따른 이미지 구분은 메이크업 전공자 5인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2020년대 한국 웨딩메이크업 이미지별 유행 경향

한국의 웨딩 문화에 따른 결혼식은 흔히 현대식과 전통혼례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은 예식장이나 웨딩홀, 호텔, 교회, 성당에서 결혼을 하는 현대식을 선택하지만 전통혼례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흥겨운 국악소리와 볼거리가 가득한 전통혼례는 서양의 웨딩 파티 못지않게 하객들을 즐겁게 하는 예식으로 인식되고 있다(Liu, 2020). 예비신부의 경우, 결혼식에 맞는 드레스, 메이크업, 업스타일, 액세서리 등이 최적으로 조화를 이룬 스타일을 원한다(Xiao Lin, 2014). 2000년대 이후 인위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가볍고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내추럴 메이크업이 선호되고 있다 사료되며, 웰빙(Well-being)문화가 사회 전반으로 떠오르면서 인위적인 아름다움 보다는 깨끗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진 메이크업을 추구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Lee, 2010). 또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여성들은 이미 그 자신만의 독특한 메이크업 스타일과 미의식을 형성하면서 자신의 개성에 어울리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웨딩 전문잡지인‘Wedding21’을 자료로써 살펴보면, 앞에서 분류한 4가지의 이미지인 내추럴 이미지와 클래식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그리고 엘레강스 이미지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가 있다.

내추럴이란 느긋한, 평화로운, 편안한, 건강한, 신선한, 자연스러운, 가공하지 않은 등의 이미지가 기본이 되고 인위적 모습 없이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메이크업을 내추럴 메이크업이라 한다(Hee-young & Ahn, 2011). 내추럴 메이크업 이미지의 피부 표현은 과장되지 않은 입체감을 나타내주는 윤기 있고 투명한 피부로 표현하고 있으며, 눈썹은 심듯이 표현된 느낌으로브라운 색상의 섀도우을 통해 눈썹꼬리 까지 자연스럽게 마무리 되어 나타나고 있다. 눈은 피치 및 브라운 색상을 통해 자연스러우면서도 밝은 인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현되며 블러셔는 피치색과 연핑크색으로 둥글리듯 펴져 보이게 표현되었다. 립은 엷은 오렌지색으로 하여금 입술 본래의 색을 자연스럽게 나타내줄 수 있도록 색조를 조절하여 표현하고 있다<Fig. 1>.

Fig. 1.

Natural Makeup Image, www.wedding21news.com.kr coverage for April 2020 issue

클래식은 고전적, 전통적이라는 의미가 있다. 유행을 타지 않는 모범적인 이미지로 기품을 느낄 수 있는 메이크업이다(Jung, 2016). 클래식 메이크업 이미지의 피부표현은 원래의 피부 톤에 맞추어 베이지계열의 색상을 주로 사용하며 아이브로우는 브라운 색상으로 다소 날렵하게 그렸다. 아이섀도우는 베이지와 브라운 계열의 유사색을 중심으로 조화를 주고 있다. 블러셔는 엷은 브라운 색상을 사선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며, 립은 직선 형태로 유분기 없는 매트한 질감의 립이 표현되었다<Fig. 2>.

Fig. 2.

Classic Makeup Image, www.wedding21news.com.kr 2020 toll No. 251

로맨틱 이미지란 자연미와 관능미와 장식미를 포함하지만 대부분은 부드러움과 사랑스럽고 귀여운 느낌으로 꿈꾸는, 공상적, 낭만적인 의미로 은은한 감미로운 분위기를 표현한다. 로맨틱은 완숙한 아름다움 보다는 미성숙으로서 어딘지 모르게 소녀 같은 이미지를 보인다(Oh, 2016). 로맨틱 메이크업 이미지는 피부표현을 밝은 핑크계열로 매끈한 피부를 강조하여 전체적으로 낭만적이며 소녀적인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눈썹표현은 신부의 자연스러운 일자 형태를 브라운 색상으로 그렸으며, 아이섀도우는 핑크색으로 눈두덩 전체를 표현하였다. 블러셔는 핑크 색상으로 볼뼈 위를 둥글고 부드럽게 연출하였으며 입술은 핑크색상의 립글로스를 사용하며 아웃커브형태로 표현했다<Fig. 3>.

Fig. 3.

Romantic Makeup Image www.wedding21news.com.kr coverage for June 2020 issue

엘레강스 이미지란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성숙한 여성의 아름다움이 표현되는 이미지이다(Kang, 2012). 엘레강스 메이크업 이미지의 피부 표현은 부드럽고 밝은 색으로 표현되며, 눈썹은 부드러운 곡선형에 의한 여성스러움을 보여주게 된다. 아이섀도는 주로 밝은 핑크, 피치색 또는 파스텔계통의 색조에 의해 표현되며, 블러셔도 핑크색과 피치색으로 혈색 표현을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립은 핑크와 코랄, 그리고 와인색상으로써 편안하고 우아한 느낌을 주며, 입술 모양은 과장되지 않게 표현하고 있다<Fig. 4>.

Fig. 4.

Elegance Makeup Image www.wedding21news.com.kr 2020 toll No. 260

2. 2020년대 중국 웨딩메이크업 이미지별 유행 경향

중국은 2000년 이후에는 서양식 웨딩드레스와 양복 외에 중국 전통 결혼 복식이 부분적으로 다시 등장하면서, 중국의 전통 풍속을 체험하고 싶어 하는 젊은 신랑신부들 또는 국제결혼을 하는 외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들은 전통 결혼식을 모방하여 거행하며 혼례 복식도 중국 전통적인 혼례 복식을 입고 전통 메이크업도 모방한다(Zhang, 2012). 그리고 한국 여성들의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이 많기 때문에 중국의 웨딩시장에 부는 한류바람으로 중국의 신혼부부들 사이에서‘한국식 웨딩 이미지(韩式婚纱照)’가 큰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유행한 이미지가 중국에서도 그대로 유행했다(Lee, 2012).이를 토대로 중국 웨딩 전문잡지인 ‘패션신부 COSMOBride (时尚新娘)’로써 살펴보면, 내추럴 이미지, 클래식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엘레강스 이미지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내추럴 이미지 메이크업에서 나타나는 분위기는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이다. 피부 표현은 투명하게 펄 파우더를 믹스한 빛나는 표현을 하고, 아이브로우는 눈썹이 자연스러운 형태를 표현했으며, 아이새도우는 피치색 및 브라운 색상을 통해 자연스러우면서도 밝은 인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표현되며 블러셔는 피치색과 연핑크 등을 통해 둥글하게 표현하고 있다, 립은 엷은 오렌지색으로 하여금 본래의 입술을 자연스럽게 나타내줄 수 있도록 색조를 조절하여 사용하였다<Fig. 5>.

Fig. 5.

Natural Makeup Image. www.weibo.com 2020 Autumn Lake

클래식 이미지는 변화를 두려워하고 보수적이다.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믿음을 주는 진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후함, 세련됨, 우아한 품격을 해주는 클래식 이미지라고 한다(Park, 2019). 클래식 메이크업 이미지는 피부 표현은 베이지계열의 색상을 사용한 피부를 표현했으며, 아이브로우는 브라운 색상으로 날렵한 눈썹을 그렸다. 브라운 계열의 아이섀도우로 아이홀 부분을 강조하였다. 블러셔는 레드브라운 색상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했다. 립 라인을 그린 후 매트한 립을 연출하였다<Fig. 6>.

Fig. 6.

Classic Makeup Image www.weibo.com 2020 Winter Lake

로맨틱 이미지 메이크업에서 귀엽고 부드러운 낭만적 느낌을 주는 이미지이다. 피부표현은 우유 빛처럼 매끈한 피부로 표현하며, 아이브로우는 브라운 색상으로써 긴 일자형 눈썹을 표현하고 있다. 핑크색과 피치색의 아이섀도우로 눈두덩 전체를 표현하였다. 블러셔는 핑크 색상을 사용하여 볼뼈 위를 둥글게 연출하였으며, 립은 핑크색과 피치색의 립글로스를 사용하여 사랑스러운 느낌을 강조하였다<Fig. 7>.

Fig. 7.

Romantic Makeup Image www.weibo.com 2020 Autumn Lake

엘레강스 이미지 메이크업은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아름다움이 표현되는 이미지이다. 피부표현은 밝은 피부를 표현했다.

브라운 색상의 곡선형 눈썹으로 아이브로우를 표현하였으며, 밝은 핑크, 피치색 또는 파스텔계통 색조의 아이섀도우로 아이홀 전체로 그러데이션 하였다. 블러셔는 핑크 계열로 피부에본래 색깔을 연출하고 있다. 립은 코랄색, 와인 색상의 입술 우아하게 표현하였다<Fig. 8>.

Fig. 8.

Elegance Makeup Image www.weibo.com 2020 Winter Lake

V. 결 론

이상으로 본 연구는 21세기 웨딩문화에서의 웨딩메이크업을 신부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추세이고, 한국과 중국 모두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가 내추럴 이미지, 클래식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엘레강스 이미지 등 공통되게 4가지의 이미지로 동일하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중국의 경우 한국의 메이크업 트렌드가 동일하게 유행하고 있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분석되었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추럴 이미지를 보이는 웨딩메이크업에서는 피부표현을 윤기 있고 투명하게 표현한다는 공통점이 있었고, 아이브로우는 자연스러운 형태를 추구하였으며, 아이섀도우와 블러셔는 양 국 모두 피치과 브라운 색상을 선호하는 추세를 보였고, 립은 엷은 오렌지색으로 하여금 입술 본래의 색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클래식 이미지를 보이는 메이크업에서는 피부표현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 모두 베이지계열의 색상으로써 피부색 그대로를 나타내고자 하는 공통점이 있었고, 아이브로우는 브라운 색상으로 날렵하게 표현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아이섀도우는 양 국 모두 브라운 계열을 강조하였다. 블러셔는 레드브라운 색상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립은 직선 형태로 매트한 립을 표현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로맨틱 이미지는 메이크업에서 피부표현은 양국 모두 매끈한 피부를 선호하고 있으며, 아이브로우는 브라운 색상 일자형을 선호하였다. 아이섀도우는 핑크색으로 눈두덩이를 표현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블러셔는 양 국 모두 핑크색상으로 등글게 표현하였으며, 립은 핑크색상을 사용하여 사랑스러운 느낌을 강조하였다.

엘레강스 이미지를 보이는 메이크업에서 피부표현은 부드럽고 밝게 표현한다는 공통점이 있었고, 아이브로우에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곡선형 눈썹을 추구하였다. 아이섀도우는 양 국 모두 밝은 핑크, 피치색 또는 파스텔계통의 색조로써 표현하였다. 블러셔는 본래의 피부색에 핑크색을 중심으로 편안하고 우아하게 표현하였고, 입술 모양은 과장되지 않게 표현하였으며, 코랄과 와인 색상으로 하여금 우아하게 표현하는 것을 추구하였다.

이상으로 2020년 현재의 중국은 여전히 한류 열풍의 지속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웨딩메이크업 이미지의 표현 또한 한국의 트렌드와 유사한 유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웨딩잡지에 나타난 사진자료로써 양 국의 각 이미지에 따른 특징을 분석할 수 있었던 바, 본 연구는 글로컬화 되어 가는 웨딩문화는 물론이고 트렌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의 웨딩메이크업 이미지 유형과 최신 트렌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제언으로는 본 연구가 실증적 분석을 위해 양 국의 웨딩잡지를 살펴보았으나, 각각 한 종류의 웨딩잡지를 기초로 했다는 측면에서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를 일반화하여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References

An G. H.. 2011. Wedding Make-ups in Accordance with Brides' Characteristics and Hair Style Trend: Focused on 2000 to 2009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p. 12–13.
Bea E.-J.. 2008. A Qualitative Research on Pursuing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Brides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Catholic University of Deagu: p. 7–8.
Choi J.-E.. 2011. A study for the synergistic effect on the wedding make up image using colors, Make up and special effect make up maior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 pp 4–5.
Kang G.-Y.. 2012;Research on Makeup Design Factors for Each Makeup Image Type Appearing the Cosmetic Commercial Advertisement -Focusing on Magazine Advertisement of Mac, Bobbi Brown & Make up For Ever in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8(2):108–111.
Hee Y., Ahn G. H.. 2011;The Analysis of Wedding Hair Styles in Dependent on Brides' Images in 200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5):826.
Park S. J.. 2019. A Study on Makeup Imag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Focused on Enneagram- The 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p. 24.
Han S.-H..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make-up trend on wedding make-up desig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 6.
Hwang S. S.. 2008. A Behavioral Study on Chinese Women's Modern Make-up in the Light of the Chinese Cosmetic Cultu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p. 1.
Hyun J. Y., Hyung Y. J.. 2009;The Research of Wedding Dress and Up Style Trends −1990, 2003, 2008, around the spring and 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4):1429.
Lee D. H.. 2020. Analysis of wedding makeup and hairstyle trend according to bride image -Focusing on 2016~2019 Wedding Magazine Graduate School of Covergence Beau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p. 27.
Jung S.-Y..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Wedding Makeup Elements on Wedding Makeup Design and Bride Image The 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Seoul: p. 42.
Lee J. W., Cho J. A.. 2008;A Study about Design Variation of Wedding Make up and Hair style -Focused on 1990's to 2000's-. The Journal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4(1):3.
Kim H. S.. 2002. Study for Expression of wedding facial makeup and Visual effect research and analysis Graduate School of Arts Hansung University. p. 2.
Kim M.-J.. 2011. Make-up Imageof Korean Women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 101.
Kim S.-S., Shon Y.-M.. 2005;Study on the sense of expression of modern makeup.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5(1):72.
Lee H. J.. 2010. A Study on the Change in Wedding Makeup Design going with Trend Makeup Graduate School Arts Hansung University. p. 29.
Lee H. Y.. 2008. A Study on the Total Wedding Coordination Based on Change of Trend Graduate School Beauty Arts Hansung University. p. 11.
Lee S. M.. 2012.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 for Wedding Photography for the Proliferation of Hallyu in China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 6.
Liu J. W.. 2020.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Image of Korean and Chinese Brides since Modern Time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s University. p. 18–42.
Maksimova A.. 2013. A Comparative Study on Yakut and Korean Traditional Weddings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p. 14.
Oh K. H.. 2010. A Study on Wedding Makeup for the Rise Effect of Image-Centering around Quality Change by the Types of Cosmetic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Sungshin Women's University. p. 5.
Oh C. S.. 2016. A Aesthetics on the Romantic Image expressed modern make up Graduate school of Industry of Chousn university. p. 5.
Seo Y. S.. 2012. A Study on the Pursuit Image of Wedding Trend -Centering around Inland Preliminary Bride in 2011-, The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p 17.
Wang Y. R.. 2016. A Study on Chinese Wedding Culture -Focused on Jewelry Kyonggi University. p. 8.
Wang X. Y.. 2019. The Creation of Makeup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Image Preference in Chinese College Women Graduate School Joongbu University. p. 22.
Dong X. L.. 2014. A Study on Make-up Images and Colors for Wedding in China -Based on the wedding magazines during 2008~2012-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p. 2.
Yang B.-B.. 2013. Comparative Study of Wedding Culture And Wedding Makeup Between Korea And China Honam University. p. 1.
Zhang D. D.. 2013. A Study on Wedding Image Applied Traditional Chinese Beauty Culture The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p. 2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A Study on the Image of Wedding Makeup

Researcher Image Classification
An (2011) Natural, Romantic, Modern, Elemental
Choi (2011) Pure, Romantic, Classic, Noble, Peaceful
Seo (2012) Simple, Romantic, Elegance, Cute, Mysterious, Feminine
Xiao Lin (2014) Natural, Romantic, Modern, Elemental, Classic
Jung (2016) Romantic, Modern, Classic
Lee (2020) Natural, Romantic, Elemental, Kinfork, Alluring, Mannish

Table 2.

An Analysis of Wedding Makeup Image in Korea and China

Table 3.

Similarities in makeup by image in Korea and China

Image Common ground
Natural Image Skin expression: Glossy and clear skin
Eyebrow: Seeking a natural form
Eyeshadow: Prefer peach and brown colors
Blusher: Prefer peach and brown colors
Lip; Light orange
Classic Image Skin expression:: The color of the beige series that expresses the true skin color
Eyebrow: Brown to express sleek expressions
Eyeshadow: Brownish preference
Blusher: Naturally expressed in red brown colors
Lip: Express matte lips in a straight line
Romantic Image Skin expression: Smooth skin preferred
Eyebrow: Prefer straight type with brown color
Eyeshadow: Express in pink
Blusher: Round expressed in pink
Lip: Pink highlights the lovely look
Elegance Image Skin expression: Expressed soft and bright
Eyebrow: Pursuant to soft and feminine curved eyebrows
Eyeshadow: Express in bright pink, pitch or pastel shades
Blusher: Expresses comfortably and gracefully around the original skin color and pink
Lip: Lip shape is not exaggerated, elegant in coral and wine co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