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eauty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Awareness on Motive to Purchase Refillable Cosmetic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Although the range of choices of consumers has expanded due to the variety of products, ethical consumption is spreading by raising objections to social phenomena that cause risks such as waste of resources and destruc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Cosmetic containers, which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global beauty industry, are thrown away as general waste, and research on container recycling or refilling cosmetics is lacking. The purpose is to help educational basic materials for the generation and marketing aspects for revitalization of refill cosmetic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33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data for beauty consumers in their 10s to 60s who have purchased refillable cosmetic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4.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was divided into two sub-dimensions: ‘trust in certified products’ (45.4%) and ‘resource saving’ (22.3%).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refill cosmetics was extracted from two sub-dimensions: ‘purchase promotion’ (42.7%)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26.6%).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pensity for ethical consumption awareness to trust certified products, the higher the purchase promotion of refillable cosmetic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actors. This study has regional limitations, and in relation to the above study, we expect meaningful and active studies on the effect of refill cosmetic consumption on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ESG) of beauty companies. Consumers expect it to be an index to measu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 서 론
다양한 제품의 생산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은 넓어졌으나 유한한 자원의 낭비, 인류 삶의 터전인 지구 환경파괴와 같은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소비중심적인 사회 현상에 반론을 제기하며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Park, 2015). 소비자는 품질과 가격 뿐 아니라, 미래세대의 안녕과 동물복지, 환경보호 등을 고려하면서 제품을 선택한다(Jun, 2016).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 산업 분석 보고서(2020)에 따르면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는 상대적으로 지속되어 왔지만 코로나19 이후 경기 침체와 새롭게 형성된 일상생활 습관으로 인한 소비지출은 감소하였다. 특히 화장품 유통의 변화뿐만 아니라 세균과 바이러스, 환경 문제 등이 거론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가치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소비가치는 신념과 사회문화적 가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가치체계와 지속적인 신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Oh, 2015).
Euromonitor 자료에 의하면 글로벌 화장품 시장규모는 4,203억 달러(한화로 약 532조원)로 전년대비 4.5% 증가했다. 2020년 하반기(F/W) 뷰티 시장의 규모 또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7조 3,550억 원을 기록하며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미지 산업으로서 뷰티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시장은 양적ˑ질적으로 고급화되고 가격, 연령,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전문매장도 세분화되었다. 이러한 화장품 브랜드들은 서비스, 제품, 매장환경, 유통경로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새로운 마케팅을 시도하며 브랜드 차별화를 위해 노력 하고 있다(Kwon & Lee, 2018). 그리하여 소비자의 환경과 개인의 욕구, 동기로 인해 수많은 품목의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Lee & Woo, 2018). 특히 화장품 용기 디자인은 다양한 요소를 통해 소비자들의 감성을 끌어들이고 친밀감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으로의 활용도가 높다(Lee & Kim, 2014).
온·오프라인을 통한 화장품 시장유통의 다변화로 청소년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크게 상승하였으며(Kim, 2009) 녹색소비자 연대 발표에 따르면 청소년과 어린이 화장품 사용실태 결과 42.7%의 여자 초등학생, 73.8%의 중학생, 76.1%의 고등학생이 색조 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eo et al., 2020).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산업의 규모와 비례하여 발생하는 산업쓰레기의 처리 문제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이다. 특히 포장 폐기물 중 점점 더 증가 추세에 있는 화장품 용기는 일반폐기물로써 재활용 품목이 아닌 것으로 버려지고 있다(Kim, 2002).
화장품 구매와 관련하여 윤리적 소비의식에 대한 연구에서 Li Bo Yin Buki (2022)는 친환경 뷰티 제품 소비자의 친환경 책임 행동과 태도의 요인을 밝히고, 소비자의 친환경 뷰티 제품 구매 행동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Kim & Lee (2019)는 여대생의 친환경 화장품 소비가치가 도덕적 규범과 주관적 규범, 사회적 규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Kim & Lee, 2009)는 친환경 화장품 구매행동의 성과측정 방법으로서 웰빙 소비자의 가치 지향, 친환경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편, 친환경 포장재의 중요성이 대두 되면서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을 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완벽한 해결책이 되기는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최근 소비자나 투자가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stakeholder) 사이에서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나아가 전 세계의 수많은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경영의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제품설계, 그중에서도 패키지는 리사이클, 리유스, 탈 플라스틱 등 다양한 관점에서 가장 고려해야만 하는 요소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리필화는 유효한 솔루션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 패키지의 리필화, 의장성이나 유저빌리티와 공존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일본의 시세이도에서는 과거부터 다양한 타입의 패키지 리필화를 시도해왔다(藤, 岡, 智, & 愛, 2020). 국가별 화장품 패키지 재활용 현황에 대하여 Han & Shin(2021)은 국내ˑ외의 규정 및 법률을 바탕으로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폐기물 관리법 시행 규칙, 포장재 재질 구조 평가 제도를 바탕으로 국내 자원순환제도의 운영 및 관리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화장품용기의 재활용에 대한 용기업체와 산업 현장에서의 노력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뷰티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의식과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뷰티산업으로 인한 포장폐기물을 줄이고 리필 화장품의 활성화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으며 나아가 글로벌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미래세대에게는 윤리적 소비 교육의 기초 자료로, 뷰티산업에 있어서는 리필화장품의 활발한 마케팅적인 측면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윤리적 소비의식
사람들은 도덕적 가치가 중요하며 도덕적인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하지만 실제로 도덕적 가치를 소비행동에 잘 반영하지 않는다. 가격이나 품질과 같이 개인의 이익과 관련된 속성들과 윤리적 속성이 서로 상충하는 상황에 직면하는 ‘제품구매’의 경우 자신의 편익 추구가 강조되는 환경으로 자신의 ‘도덕적 가치’를 행동에 반영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윤리적인 제품의 선택은 나에게 주어지는 혜택을 추구할 것인가, 타인이나 사회에 주는 혜택을 추구할 것인가 사이의 ‘상충관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Jo, 2015; White & Peloza, 2009). 즉 윤리적 소비는 오로지 ‘나’만을 위한 구매행동이 아니라 ‘환경과 사회’, ‘이웃’ 등 인류 전체의 전반적인 생활문화를 고려한 소비 행동이다. 이는 소비자 개인이 보다 더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소비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소비자는 환경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적 행동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소비행위를 하게 되며, 따라서 무분별한 소비행위가 아닌 보다 더 주체적이고 의식 있는 소비행동을 실천한다. 특히, Park (2017)의 연구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는 지역사회의 경제, 노동인권, 환경, 빈곤 및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 등 다양한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이슈를 고려하여 주관적 기준에 의해 소비를 하는 것으로 가격이나 품질, 상표 등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선택기준으로 하는 소비행동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에는 ‘의지’만 있다면 소비패턴을 크게 바꾸지 않고 실천 가능한 일이지만 기업과 정부의 입장에서는 윤리적 소비는 경제사회에서 소비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정치적 행위’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소비자들은 필요에 의한 단순 소비를 넘어 가격이 비싸더라도 자신의 가치와 의미, 감성 표현 등을 중심으로 하는 주관적인 가치소비의 형태로 변화되었다(Do & Jin, 2019). 이와 같이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윤리적 소비의식은 Hong(2009)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소비자의 개별적ˑ도덕적 신념에 따라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지속가능한 소비의 책임, 동시대 인류를 위한 책임을 포함하고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소비’로 정의하였다.
2. 리필화장품
본 제품의 용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만을 판매하는 제품을 리필제품(refill product)이라고 한다(Lofthouse et al., 2009). 리필화장품은 지구를 보호하고자 불필요한 포장재를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키지를 사용하거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화장품이다(Kim & Lee, 2019). 리필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친환경 소비를 위해 본 제품 용기의 지속적 사용으로 재활용 쓰레기 발생을 줄이며 또 다른 본 제품을 구매하는 것보다 리필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낮은 단위가격(unit price)을 지불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리필 제품이 판매되는 경우는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 본제품의 용기가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경우로 세제, 샴푸, 방향제, 물티슈, 화장품 등이 이에 해당한다. 리필제품의 구매는 친환경소비행동 중에서 소비자가 가장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83.4%의 소비자가 리필제품을 구매하는 편이다(통계청, 2013).
국내 뷰티산업은 다양한 환경실천을 통하여 지속가능경영을 하고 있다. 그린사이클(Greencycle)은 캠페인을 통해 다 쓴 화장품 공병을 매장에서 회수하여 리사이클링(Recycling)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나아가 자연과 공존하는 친환경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다양한 부산물들을 창의적으로 재활용하는 업사이클링(Upcycling)을 지속하고 있다. 화장품 용기로 초래되는 환경 문제를 공감한 아모레퍼시픽은 불필요한 플라스틱 소비를 줄여나가고 있다. 재사용과 재활용이 쉬운 원료를 선택, 리필 가능한 제품 품목을 확대하는 등 순환 경제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4R정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용(Recycle) 정책은빈 화장품 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메탈 프리(Metal-Free) 펌프의 적용이나 탈착이 쉬운 라벨을 부착한 제품들을 늘려나가고 있다. 내용물의 편리한 토출을 위해 사용해 온 금속 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그대로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둘째, 감소(Reduce) 정책으로 석유 원료 대신 재생 플라스틱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식물유래 원료인 사탕수수, 옥수수, 등 폐플라스틱 원료로 제작한 용기도 적극적으로 활용 중이다. 셋째, 재사용(Reuse) 정책으로는 리필 스테이션의 운영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K지역에 위치한 아모레스토어 리필 스테이션에서는 원하는 만큼의 샴푸, 바디워시 제품의 내용물을 소분해 판매한다. 작년 10월 말 오픈한 이래 1,000명 이상의 뷰티 소비자들이 리필 화장품을 구매하였다. 넷째, 역전(Reverse) 정책은 회수한 화장품 공병을 소각하지 않고 용기 원료로 재활용하는 ‘물질 재활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매년 그린사이클 캠페인을 통해 수거된 화장품 용기 약 200톤가량은 최근 MOU를 체결한 GS칼텍스 등과 글로벌 환경 기업인 테라사이클(TerraCycle)과 함께 최소 100톤 이상의 플라스틱 용기를 재활용 하고자 한다(Shin, 2022). 본 연구에서의 리필화장품은(Seok et al., 2020)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화장품으로 본제품의 기업이 판매하는 동일한 브랜드의 리필화장품’이라고 정의하였다.
3. 구매동기
인간 행동의 근원이 되는 욕구인 ‘동기’는 내적 및 외적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는 심리 상태로 행동의 방향을 지시하고 결정한다(Shin et al., 2015; Deci & Ryan, 1991). ‘구매동기’란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 중에서 특히 구매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로 Ko(2021)는 리필제품이 사회와 환경에 이롭기 때문에 ‘이타적 동기’와 리필제품 소비 자체가 윤리적 소비행동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타인 지향적 동기’라고 하였으며, Park & Na(2014)는 일반 용기 제품에 비해 리필제품의 가치가 가격보다 높기 때문에 ‘경제성 추구 동기’를 포함하기도 하였다. 특히 화장품 업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소비자의 구매동기 요소는 제품, 상표, 기업이미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되고 있다(Kim, 2013). 또한 주로 합리적 관점과 경제적 효율성에서 접근하던 과거 소비자의 제품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비해 근래에는 소비 그 자체를 하나의 경험적, 쾌락적 관점에서 욕구충족 과정 혹은 쾌락의 도구로 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Ji, 2013). 이상의 구매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의 구매동기는 ‘개인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이유이자, 구매 행동의 이면에 있는 추진력’이라고 정의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뷰티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미래 환경을 위한 후속세대의 윤리적 소비의식 교육과 화장품산업으로부터 발생되는 포장폐기물의 저감을 위한 리필화장품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소비의식과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둘째, 윤리적 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서울,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10~60대의 리필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ˑ오프라인 설문조사를 병행으로 실시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2022년 4월 27일부터 2022년 5월 4일까지 설문지 400부를 배포하여 370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조사 답변 및 판명불가의 설문지 33부를 제외한 337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 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문항은 윤리적 소비의식, 리필화장품 구매동기,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척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첫째, 윤리적 소비의식은 Hong(2017)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11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등간 척도가 사용되었다. 둘째, 리필화장품 구매동기는 Park(2019)과 Lee(2011)의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8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등간척도가 사용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명목척도가 사용되었다.
4. 자료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4.0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윤리적 소비의식,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하위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윤리적 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방법으로 주성분 분석법, 요인 회전방법으로 Varimax가 사용되었다. 변수의 신뢰도분석은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성 22.6%, 여성 77.4%로 여성의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54.9%, 50대 18.4%, 40대 11.6%, 30대 7.7%, 60대 6.5%, 10대 0.9%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은 전문대학교 재학ˑ졸업 51.0%, 대학교 재학ˑ졸업 27.6%, 대학원 재학이상 13.4%, 고등학교 재학ˑ졸업 7.1%, 중학교 재학ˑ졸업 0.9%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는 미혼 61.4%, 기혼 34.7%, 기타 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학생 58.2%, 직장인 21.4%, 주부 9.2%, 자영업 8.0%, 기타 3.3% 순으로, 월 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 54.6%, 200만 원 미만 16.9%, 300만 원 미만 11.6%, 400만 원 이상 10.7%, 400만원 미만 6.2%,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윤리적 소비의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윤리적 소비의식에 대한 측정문항의 요인분석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두 가지 하위 차원이 추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하위 차원 내 다른 속성들과 의미상 일치하지 않은 5개의 문항이 제거되었다. 하위 차원들의 전체 설명력은 67.7%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을 바탕으로 ‘하위 차원 1(45.4%)을 ‘인증제품 신뢰’, ‘하위 차원2(22.3%)를 ‘자원절약’으로 각각 명명하였으며 %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버림 하여 표기하였다.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인증제품 신뢰’ .834, ‘자원절약’ .683으로 확인되어 신뢰도 0.60 이상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구매동기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구매동기는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 결과 두 가지 하위 차원이 추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하위 차원 내 다른 속성들과 의미상 일치하지 않은 1개의 문항이 제거되었다. 하위 차원들의 전체 설명력은 69.3%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을 바탕으로 ‘하위 차원1(42.7%)을 ‘구매촉진’, ‘하위 차원2(26.6%)를 ‘환경보호’로 각각 명명하였으며 %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버림 하여 표기하였다.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구매촉진’ .855, ‘환경보호’ .783으로 확인되어 신뢰도 0.60 이상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분석
윤리적 소비의식과 구매동기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그 결과 윤리적 소비의식의 하위요인인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은 구매동기를 구성하는 하위 요인인 ‘구매촉진’과 ‘환경보호’ 모두 제 각기 타 요인과 성향이 중복되지 않은 독립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im & Shin(2012)의 ‘온라인 인증마크의 온라인 구매 및 제품신뢰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온라인 제품구매 경험이 적은 집단은 인증마크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활용해야 함을, 온라인 구매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고 어느 정도 수준의 온라인 신뢰가 이미 형성된 소비자의 경우에는 인증마크의 적극적인 노출과 효과적인 강조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Kwak & Yang(2011)은 윤리적 소비는 환경적ˑ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여 제작된 섬유패션제품을 소비함으로써 경제적 수익, 환경보호, 사회성을 동시에 실현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환경보호 캠페인을 벌이는 브랜드사의 제품을 구매하거나, 수익의 일부분을 윤리적으로 기부하는 제품을 소비하는 방법이다. 또한 친환경, 유기농, 재활용 등의 섬유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자원절약과 환경보호를 위한 구매동기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Huh & Kim(2012)은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상거래 윤리와 절제와 간소’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윤리적 소비의식의 하위요인인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이 높을수록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구매촉진’과 ‘환경보호’가 높아지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
4. 각 변수 간 영향력분석
1)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이 구매촉진에 미치는 영향
다중회귀분석 전 윤리적 소비의식과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다중 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 값이 모두 10 이하로 나타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윤리적 소비의식의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구매촉진에 미치는 다중회귀 분석결과, ‘구매촉진’은 ‘인증제품 신뢰’에 의해 약 7.4% 설명되며, 윤리적 소비의식의 ‘인증제품 신뢰’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리필화장품 ‘구매촉진’은 0.274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Im & Lee(2020)의 연구에서 부모의 유아화장품 제품신뢰가 높을수록 제품의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에 미치며, Yong & Park(2018)의 연구결과 디자이너 신뢰가 제품신뢰와 지불의사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2)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이 환경보호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소비의식의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환경보호에 미치는 다중회귀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다. ‘자원절약’은 ‘환경보호’에 의해 약 4.7% 설명되며, ‘인증제품 신뢰’ 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환경보호’ 요인은 0.220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주정선, Han(2022)의 연구에서인증위장상품 또는 그린워싱을 차단하기위한 친환경인증이 정보성과 신뢰성의 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농산물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리필화장품 구매를 촉진시키고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인증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뷰티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촉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에 대한 가치가 높을수록 리필화장품 구매촉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7.4%의 설명력을 가지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 되었으며 둘째, 윤리소비의식이 리필화장품 구매동기의 환경보호 차원에 있어서 인증제품 신뢰와 자원절약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환경보호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4.7%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리필화장품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뷰티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의식의 함양이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과 연령에 따른 연구범위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소비자의 생애주기별로 눈높이에 맞는 윤리적 소비의식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둘째, 다양한 화장품의 종류에 적합한 리필제품의 홍보와 셋째, 화장품 브랜드 업체에서는 인증 리필화장품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 힘써야 할 것이며, 넷째, 주변에서 쉽게 리필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현재 ‘리필화장품을 구매하면 화장품 용기를 재활용 할 수 있다’는 뷰티소비자들의 인식이 중요시 되고 있으므로 리필화장품 소비가 뷰티기업의 지속가능경영(ESG)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가 지속되고 소비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하는 지표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