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수업의 학습동기유발, 학습몰입, 교육만족도 연구

A Study on Motivation, Immers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lip-learning-based Burbering Classe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3):617-62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June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3.617
1Master’s, Department of Costmetology, Graduate School of Welfare and Culture, Changshin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Costmetology, Changshin University
김보람1, 김정원2,
1창신대학교 복지문화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석사
2창신대학교 미용예술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Jung-Won Kim Tel : +82-55-250-1216 E-mail : won104@cs.ac.kr, llxxjjrxxll@naver.com
본 연구는 2023년도 석사학위논문을 일부 발췌하여 작성된 논문임
Received 2023 March 10; Revised 2023 June 3; Accepted 2023 June 16.

Trans Abstract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re rapidly changing due to social changes, flip-learning is emphasized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with new educational methods. In beauty education research, he also argued that flip-learning classes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nd underst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response, this study constructed burling education based on flip-learning class design, and applied burling classes to a total of 30 students for a total of 15 weeks from July 1 to October 30, 2022. After application, online and self-written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barber educators and other educators. As a resul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learning motivation with 4.60 points in both usefulness and feedback, and bar education showed higher average than other educators in all questions of learning immersi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 with 4.80 points for feedback from other educators, 4.77 points for major-related education, and 4.77 points for problem solving. The average of all item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barber education lecture is 4.60 points or highe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barber education lecture is very high. Verbal education based on flip learning was judged to have improved learners' learning through watching video lectures, motivation during classes, feedback afterwards, and repeated viewing in advance compared to general barber education.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burling education, the difference in learner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between barber educators and other educators showed that barber educators were higher than other educator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by applying flip-learning-based burbling education.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applicants could not be diversified, and it is judged that problems concerning the method of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field workers should be supplemented.

I. 서 론

4차 혁명 시대의 사회변화로 인해 교육환경 및 학습자의 특성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은 선행학습을 주도하는 교육과 주입식 교육 등의 현상이 학교 교육 위기론과 공교육의 위협이라는 말처럼 점차 심각하다(Kim & Jeon, 2019). 4차 혁명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패러다임과 교수학습 교육방법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으며, 학습환경 변화로 제시된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기존 지식과 새로운 개념에 대한 이해를 수정해 가는 과정을 거쳐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지식습득을 하는 주체로 보는 입장이다(Kim, 2017). 이러한 변화를 위해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시대 흐름을 반영하여 교육 기관에서도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한 새로운 교육방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Han & Oh, 2005). 최근 새로운 교육방법인 플립러닝은 기존 수업방식을 거꾸로 뒤집는 것을 의미하며, 학습자는 수업전 교수자가 제공하는 학습을 사전에 시청하고, 수업시간에 토론, 협력학습등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이다(Kim, 2016). 교육의 질과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플립러닝 학습법이 중시되며, 미용분야 교육 현장에서 미용지식을 학습자들의 창의성을 길러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논이 되고 있다(Jun, 2018).

Min(2018) 연구에서도 플립러닝 수업이 능동적인 수업참여와 학습경험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Kim(2017)은 헤어 미용수업 참여자 수준이 기존 학습자의 학습욕구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 되었고,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효과 및 적용 후 창의성, 테크닉, 완성도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Kim(2014)는 학습자의 성취도, 자아효능감, 학습태도, 만족도 등이 향상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런 연구를 통해 미용분야에서도 플립러닝 기반 수업이 증가되고 있으나, 바버교육에 적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용실기 교과목은 실질적인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한 실기수업이 매우 중요한 전공으로 숙련된 기술력을 습득하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노력과 반복된 훈련이 필요한 만큼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플립러닝을 미용 실기 교과목 중 바버링수업에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연구는 미용관련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용교과목중 바버링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유발, 학습몰입도, 교육만족도를 파악하고, 기타 교육자와의 차이 분석을 통해 플립러닝 학습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여 바버링 수업의 질을 강화 하고자 한다.

첫째, 바버링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둘째, 플립러닝을 기반으로한 바버링 교육을 적용하고자 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유발, 학습몰입도, 교육만족도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플립러닝 특징

플립러닝은 미국 콜로라도주의 우드랜드 파크 고등학교의 화학 교사인 존 버그만과 아론 샘즈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수업을 자주 빠지는 학습자들을 위해 제작한 동영상 강의가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학습자가 수업 전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지식정보를 습득하고,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코칭과 동료학습자들과의 협업활동으로 문제해결 활동을 통해 창의성과 인성을 길러내는 교수 학습법이다(Choi & Kim, 2015). 학습자 중심수업 효과를 위해서는 교수자는 사전에 동영상 설계 및 개발을 하여 사전에 제공하고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학습전략, 문제중심학습, 동료 교수법, 등 학습자 중심수업에 특성에 맞게 체계적 및 의도적으로 개발 활용되어야 한다(Lem, 2016). 플립러닝 교수학습 전략은 수업 후에도 부가적 전략으로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을 밴드, 카카오톡 같은 SNS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수업 활동을 점검할 수 있고,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수시로 공지사항 및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수업 중 결과물에 대한 평가와 상호공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Kim, 2014).

2. 플립러닝 학습 향상

학습자는 어디서든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사전에 제공한 동영상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수업에는 미리 습득한 지식을 활용해 실습 활동으로 학습 목표를 이룰 수 있다(Choi, 2016). 수업 전 사전학습 동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개념을 학습하고, 수업시간에는 심화학습과 토론을 수행하여 상호작용을 높여 학습자의 주도적인 참여를 끌어낸다(Jo, 2018). 수업 전 집에서 지식에 대한 이해를 한 후, 학교 수업에서 분석, 적용, 평가 등을 통해 창의적 사고능력, 자기주도학습, 규제학습, 정보활용능력 향상 등이 높아진다(Ahn, 2014). 플립러닝 적용 집단이 성취도 상승과 학습동기를 주도한 흥미, 호기심에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 학습태도 등 만족도가 일반 수업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Seo, 2015).

3. 학습동기

학습동기는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나누어 외재적 동기는 과제수행 및 활동의 결과로 얻는 외적보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고, 내재적 동기는 활동 자체에서 유발되는 즐거움, 흥미, 만족으로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내재적 동기를 가진 학습자들이 도구적 동기만을 가진 학습자들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Yoon & Kim, 2004).

4. 학습몰입도

학습몰입도는 학습자가 학습상황에서 학습 목표만을 향해 자유롭게 사용되어 의식과 행동이 완전한 일체로 학습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즐거운 상태라고 정의하였다(Lee, 2009).

수업 집중력이 높아지고 의식적으로 사고하거나 통제하지 않아도 행위 자체가 자기 보상이 되는 경험을 말하며, 학습행위 자체에 몰두하여 연속 학습활동을 집중해서 하는 상태로 볼 수 있다(Kwon, 2021).

5. 교육만족도

교육기관에서는 다양한 기술, 지식, 태도 등으로 학습자에게 만족감을 주고, 수업의 전반에서 자기 욕구를 해결하면서 만족감을 느끼게 되며, 학습자의 개인차에 따라서 충족감을 가지는 정도를 말한다(Shin, 2017). 전통적인 교수 학습방법의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가 수업의 이해도, 난이도, 분량 등에 대해 실제 경험을 통해 느끼게 되는 호감 정도를 말하며, 학습한 후 교육 프로그램의 품질에 의하여 결정되는 만족 정도와 학습목표 달성 여부를 보여줄 수 있는 지표로써 향후 교육의 개선 및 반영에 도움을 줄 수 있다(Kim, 2009).

6. 바버 교육

오늘날 남성 소비자들은 자신의 매력을 표현하려는 방법으로 외모에 투자하고 바버시장 또한 남성 소비자의 욕구에 맞게 변화되고 있으며, 그 중 헤어는 외적 이미지를 빠르고 쉽게 변화시킬 방법의 하나이다(Oh, 2020). 남성들의 헤어스타일이 대인관계, 사회생활, 취업에도 영향을 미쳐 이미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남성 소비성향이 변화하면서 남성을 위한 상품이 아닌 남성을 위한 공간으로 확장되어 남성 심리를 이용해 마케팅을 접목해 이발소와 미용실의 장점을 활용한 남성 전용 바버샵이 생겨나고 있다(Son, 2017).

남성들만을 위한 공간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고 싶은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유행의 고급화와 다양화로 인해 라이프 스타일과 가치관의 변화로 소비자들은 질 높은 서비스품질을 받길 원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Kim, 2016).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론적 지식, 전문기술 등 전문적인 이용업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Jang, 2021). 현대 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전문적인 실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으로 개선해야 하며, 미용 전문분야는 이론 및 실습교육, 취업 등을 고려한 체계적인 심화 교육을 시행하여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야 한다(Han, 2020). 한국산업인력 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이용사 자격증 취득자 수는 2017년 1,464명, 2021년 1,994명으로 매년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고, 전국 미용 관련 대학의 맨즈헤어 교과목의 현황으로 4년제에 비해 2·3년제 대학에서 맨즈헤어 교과목 개설이 많았으며, 사설 교육기관에서의 맨즈헤어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용 관련 대학의 맨즈헤어 교육을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전문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Kim & Kim, 2023).

7. 선행연구 고찰

대학교육 플립러닝 수업모형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로 Shin & Shin(2021)은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효과적인 플립러닝 교수법을 대학 수업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 플립러닝 수업모형 및 설계를 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Lee(2019)의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수업 적용 및 효과 연구로 동영상 수업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결과성취도를 높이는 실기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미용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한 연구로 Kim(2017)은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헤어미용 수업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플립러닝이 교수 학습방법으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동영상이 사전학습이 가능한 장점을 통해 전공 수업에 관한 기술에 관련하여 학습만족도를 향상해 헤어관련 과목의 수업 효과를 증명하였다.

Nam(2021)은 플립러닝 수업 참여도 및 학업성취 매개 효과 연구로 플립러닝 수업에서 지속 참여도를 높이는데 학업성취의 학습자 요인이 지속 참여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Ryun(2017)은 실기교과목 피부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도안 및 사전학습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습자의 학습 동기, 자기주도학습,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사전학습 효과로 자기주도학습의 향상과 실기평가 향상도 또한 높게 나타나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미용 교육에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수업 개설 및 적용에 관한 논문은 지속 해서 연구되고 있으나,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바버링 교육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미용교과목 중 바버링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동기유발, 학습몰입도, 교육만족도의 교육만족도를 파악하고, 비교집단과의 차이 분석을 통해 플립러닝 학습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여 바버링 수업의 질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바버링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둘째, 전문가 집단을 통해 신뢰성을 검증받은 플립러닝을 기반 바버링 교육을 학습자에게 적용하고자 한다.

셋째, 플립러닝 바버링교육 적용 후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유발, 학습몰입도, 교육만족도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본 연구는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미용 관련 대학교 평생교육원 및 대학교 재학생 1~3학년 중 이용 및 바버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플립러닝 기반(사전 동영상 학습 및 온라인 매체 활용 등) 바버 교육을 실시한 대상자 30명,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교육방식(교수 1인 강의 중심)으로 바버 교육을 실시한 대상자 30명을 각각 나누어 교육 후 두 집단의 학습몰입도, 학습 동기유발, 교육만족도, 강의만족도에 대한 차이 분석을 하고자 한다.

실험집단의 바버링 교육은 교수자 3명을 선정하여 교수자 1명당 10명의 학습자를 담당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티칭 교수자 회의를 통해 강의자료, 온라인 매체 활용법, 교육내용을 설명한 뒤 학습자들의 강의를 진행하였다. 대상은 재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20대에서 40대까지 총 30명을 대상으로 A반 10명, B반 10명, C반 10명으로 나누어 바버링 수업을 2022년 7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총 15주에 걸쳐 3시간씩 설계된 수업을 적용하였다. 설계된 수업은 15주 수업으로 교수자의 재량, 대학의 환경,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재편성하여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은 동일한 교육 과정을 1명의 교수자가 강의식 방식으로 동일하게 교육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실제 수업에 적용 후 학습자에게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으로 구글 오피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실시하여 두 집단의 학습몰입도, 학습 동기유발, 교육만족도, 강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 분석을 하였다.

3. 바버링 교육활동 구성

바버링 수업을 개발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모형으로 1970년대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의 교육 공학센터에서 개발되어 여러 차례 다듬어진 ADDIE 수업모형으로 수업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Fig. 1) 단계인 플립러닝 기반의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수업내용은 수업 전 활동, 수업 중 활동, 수업 후 활동을 헤어 교과목 과정 기준으로 15주차로 세부 내용을 구성하여 30명을 대상으로 Pre-Class로 사전학습 방식으로 교수자는 동영상 및 사진자료를 온라인 매체에 업로드하고 학습자는 동영상시청 및 질문사항을 올린다. In-Class로 수업도입에 교수자는 학습목표, 사전학습 확인, 동기유발 퀴즈, 시술순서 및 도해도를 설명하고, 학습자는 사전학습 확인 및 교수자의 동기유발 퀴즈풀기를 한다. 수업 진행으로 교수자는 도해도 및 시술순서 풀이, 실기시연 및 팀별 실기수업을 통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주며, 학습자는 도해도 및 시술순서 분석, 팀별 실습 활동을 한다. Post-Class는 수업 후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실습 활동 완성도 평가 및 학습내용 정리를 하고, 학습자는 학습 내용정리를 통해 이해와 학습정리를 할 수 있다. 일과 중 온라인 매체를 통해 교수자는 다음 차시 과제 제시를 하고 학습자는 개인별 과제물을 업로드 하여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동영상 강의를 반복재생 학습한다. 바버링 교육활동 구성 은 <Table 1>과 같다.

Fig. 1.

ADDIE Instructional Model

Composition of Barbering Training

4. 주차별 강의계획안

정규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과목 교육 과정인 미용교과목 한 학기 15주차 교육 과정을 기준으로 주차별 강의계획안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주차별 강의 계획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수업 방식 차이(플립러닝 기법 적용 여부 등)를 주어 강의를 진행하였다. 1주차 바버링 수업 진행에 대해 안내를 하고, 2주자 바버의 역사 및 도구에 대한 이해, 3주차 바버스타일 및 도구사용법을 학습 4주차, 5주차는 슬릭백 스타일 디자인, 도해도 및 시술순서를 이해하고 실습 6주차, 7주차는 사이드파트 스타일 디자인, 도해도 및 시술순서를 이해한다. 실습 8주차는 중간고사를 바버에 대한 이론시험 9주차, 10주차, 11주차는 리젠트스타일 디자인, 도해도 및 시술순서를 이해한다. 12주차, 13주차는 아이비리그 스타일 디자인, 도해도 및 시술순서를 이해한다. 14주차는 바버 4가지 스타일 중 1가지 스타일로 모의고사를 실시한다. 15주차는 기말고사로 바버스타일 중 1가지 스타일로 기말고사를 실시한다. 주차별 강의계획안은 <Table 2>와 같다.

Lecture Plan by Parking

5. 전문가 집단 신뢰성 검증

신뢰성 검증을 위해 공정성, 수업 설계, 동기유발, 수업 활동, 수업내용, 교육적 기여도에 대한 Kim(2010), Jeong(2015)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선정은 교육전문가 5명, 바버 교육전문가 5명, 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학습 동영상, 강의 교안 PPT 자료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하였다. 전문가 집단 신뢰성 설문 문항 내용은 <Table 3>과 같다.

Reliability Questionnaire

6. 측정 도구

설문지 구성은 <Table 4>와 같다. 일반적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Son(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5문항과 현 교육에 관한 7문항을 측정하기 위해 Pank(2008)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였으며, Kim(2006); Lee(2019)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체계적인 교육 도입의 효과에 관한 9문항, 교육만족도에 관한 12문항을 Kim(2011)의 연구를 참고로 하였고, 학습동기에 관한 9문항을 측정하기 위해 Kim(2012); Moon(2022)의 연구를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학습몰입도에 관한 7문항은 Pank(2010) & Geo(2021)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바버강의 만족도에 관한 9문항 Kim(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5점 리커트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문항 총58문항을 전문가 집단과의 회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통계 프로그램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른 교육학습동기, 학습몰입,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Questionnaire questions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는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속성인 교육유무, 성별, 연령, 학력, 결혼 여부, 경력의 6개 항목에 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2. 교육에 관한 문항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필요여부, 문제점, 선행요인, 체계적인 교육여부, 교육의 질의 개선조건, 동영상 강의 필요성, 기술습득 향상을 설문한 결과 교육의 필요 여부 결과 실험집단은 ‘고객의 다양한 니즈 파악’이 50%, 비교집단은 ‘기술 교육’이 43.3%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문제점에서는 ‘체계적인 교육의 부실’에 관해서 실험집단(60%) 및 비교집단(86.7%)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선행요인에서도 ‘다양한 교육과정 및 컨텐츠 개발’에 대해서 실험집단(83.3%)과 비교집단(90%) 모두에서 높은 의견이 나타났다. 체계적인 교육 여부는 실험집단은 ‘매우 만족한다’가 53.3% 비교집단은 ‘만족하지 않는다’가 50%, 교육의 질 개선조건으로 실험집단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63.3%, 비교집단도 76.7%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전 동영상 강의 필요성 결과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각각 70%, 83.3%로 두 집단 모두 ‘매우 필요하다’라고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전 동영상 강의 반복 학습의 필요성, 기술습득 향상 효과, 수업 전 동영상 강의의 기술습득 능률 향상 여부 등에서도 550% 이상의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이러한 결과는 Lee(2019)의 연구에서 언급한 체계적인 교육의 부실과 교육방법에 관한 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Educational Questions

3. 바버 교육자와 기타 교육자에 따른 차이 분석

1) 교육 학습 동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른 교육 학습 동기, 학습몰입, 교육만족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교육에 대한 학습 동기와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의 학습 동기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는 교육 학습 동기의 모든 문항에서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 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집단은 수업내용 유용성은 4 .60점, 피드백을 통한 학습 인정이 4.6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 집단은 학업 목적 및 기대감은 3.21점, 수업내용 유용성은 3.17로 높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사전 동영상 학습 및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바버링 교육이 기존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식의 바버링 교육에 비해 교육 학습 동기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Lee(2019)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연구에서도 잘 나타나 있으며, 결과는 <Table 7>에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2) 학습몰입

학습몰입의 문항은 실험집단은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교육에 대한 학습몰입과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의 학습몰입을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의 모든 문항에서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 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의 모든 문항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플립러닝 기반의 바버 교육의 학습 몰입도가 더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Kim(2017), Kim(2019) 등의 연구에서도 플립러닝 적용 집단이 학습몰입도, 수업만족도, 실기평가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습 몰입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Commitment

3)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 문항은 실험집단은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교육에 대한 교육내용과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의 교육내용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는 <Table 9>와 같다. 교육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의 모든 문항에 대하여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 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대한 피드백에 관한 결과 4.80점, 전공 관련 교육내용 4.77점, 전공 관련 문제해결 4.77점으로 등으로 나타났다. Byun(2017) 연구에서도 플립러닝 적용 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학습향상, 수업만족도가 플립러닝을 적용한 집단이 높게 나타나 플립러닝 수업이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동영상 강의의 반복적인 학습이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교육만족도의 모든 문항에 대하여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바버 교육이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에 비하여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바버링 교육 강의만족도 분석한 결과는 <Table 10>에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Barber Education Lectures

4. 전문가 집단 신뢰성 검증 결과

전문가 집단 설문지는 총 15문항으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설문을 통해 설계한 학습지도안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육적 기여도 4 .90, 전공능력 개발 4.90으로 나타났으며 실무적합성 4.70, 수업 설계 4.70, 현장실무 적절 4.70, 실습 활동 이해 4.70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설문지 문항은 1점에서 5점으로 구성된 리커드 5점 척도이며, 3점이 보통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플립러닝을 위한 학습 매체로 동영상 선정 및 활용 적절성이 전문가집단평가 결과 높다는 Lee(2019)의 연구와 일치한 결과가 나타났다. Seol(2022)의 연구에서도 플립러닝 수업모형 개발하여 전문가 집단평가 결과 사전학습 매체로 동영상을 제공하여 반복적인 학습의 효과와 상호작용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연구자의 사전학습 매체 선정에 관한 결과와 일치한다.

Expert Group Analysis Results

V. 결 론

본 연구는 바버링 교육을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몰입도, 교육만족도 등 학습향상에 효과가 있는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교육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교육 학습 동기, 학습몰입,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바버링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실험집단은 ‘체계적인 교육의 부실’이 18명(60.0%)으로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비교집단은 26명(86.7%)의 응답 비율을 보였다. 이를 보아 두 집단 모두 현행 바버 교육의 체계적인 교육 부실을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수업 전 동영상강의 필요성에 대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매우 필요하다’가 실험집단 21명(70%), 비교집단 25명(83.3%)로 높았고, 반복학습의 필요성은 ‘매우필요하다’가 실험집단 19명(63.3%), 비교집단 17명(56.7%)로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용 관련 대학교 평생교육원 및 대학교 재학생 1?3학년 중 이용 및 바버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플립러닝 기반(사전 동영상 학습 및 온라인 매체 활용 등) 바버 교육을 실시한 대상자 30명,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교육방식(교수 1인 강의 중심)으로 바버 교육을 실시한 대상자 30명을 각각 나누어 바버링 수업을 15주차 3시간씩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사전학습으로 동영상 강의 시청을 하고 본 수업에서는 학습동기유발, 또래 학습티칭, 사후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격차를 줄일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만족도 조사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습동기유발, 학습몰입, 교육만족도 바버교육이 평균 4 .60점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수업을 통해 학습동기유발, 학습몰입, 교육만족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나 일반 수업에 비해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교육이 반복적인 동영상 강의 시청의 장점으로 학습향상 효과가 향상됨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플립러닝 기반 바버링 교육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적용 대상자들을 다양화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이 있으며, 현장 종사자들 대상의 교육 적용방식에 대한 문제는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hn W. H.. 2014;Class and Scholarship Korea Academic Information for Institutes of Technology and a Case of Operation of a Subject. Journal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2):77–88. doi: 10.18108/JEER.2015.18.2.77.
2. Byun, S. E. (2017). The effect of aesthetic classes on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overturn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3. Choi, Y. N. (2016). The effects of flipped-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 Choi, J. B., & Kim, E. K. (2015).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subject management of the Flipped Learning model of the Institute of Technology.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2), Seoul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ion.
5. Geo, H. (2021). An effect of instructional video types and questionembedding on cognitive loa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in physical instructional video learning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eonju University, Jeonju.
6. Han J. S., Oh J. S.. 2005;The Effects of Instructor's Participation o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Engineering Society 21(14):123–142.
7. Han, J. H. (2020).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Beauty Acade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ngwon University, Gongju.
8. Jang, M. J. (2021). The Effects of Barber Shop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9. Jeong, Y. S.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based integrated design education cont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Jun, J. H. (2018).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Hair and Beauty Education instruction based on the checklist for STEAM instruction : Focused on the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1. Jo, B. R. (2018).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lip learning through meta-analy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Engineer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Y. S.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Beauty Industr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n Satisfaction. (R-Hair Franchise) Focusing on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13. Kim E. H. (2011). A survey on the job and satisfaction with the beauty curriculum of graduates majoring in skin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14. Kim, J. S. (200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and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im, J. Y. (2016). A Case Study on the Quality of Service in Male Premium Beauty 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J. R.. 2017;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Flip-Learning-based Hair Beauty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4):239–251. doi: 10.18693/JKSBA.2017.18.4.239.
17. Kim E. K., Jeon H. J.. 2019;Impact of Study Motivation of Flip Learning on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Classes Related to Aesthetics.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42–50. doi: 10.17232/JKSC.2019.25.1.42.
18. Kim B. K.. 2014;Development of Flipped Classroom Model for Teaching Profession Courses. Journal of the Comprehensive Study of Education 12(2):25–56.
19. Kim B. R., Kim J. W.. 2023;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en's Hair Curriculum in Beauty-Related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ities and Arts 24(1):207–220. doi: 10.18693/JKSBA.2023.24.1.207.
20. Kim, J. W. (2016). V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TEAM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1. Kim, M. Y. (2010). A lifelong learning school based on e-learning for effective management.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class mod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ngju University, Gongju.
22. Kim, Y. C. (2012). The effect of corporate practical learning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job problem-solving ability: Focusing on financial planners in the secondary financial sector The effect of corporate practical learning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job problem-solving ability: Focusing on financial planners in the secondary financial sec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23. Kim, S. E. (2019).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class quality, instructor intervention, and team activitie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4. Kwon O. H.. 2021;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of Blended Learning (face-to-face) Classes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llege students after covid-19 -To H University in Seoul,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4):1053–1061. doi: 10.52660/JKSC.2021.27.4.1053.
25. Lee J. H.. 2009;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Motivational Factors and Learning Immers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Education 36(3):6–26.
26. Lee, J. J. (2019).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hairstyle presentation classes utilizing video flip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7. Lee, E. J. (2019). R.T.U.(Ready-To-Use)Program for Spreading Hair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28. Lem J. H.. 2016;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Engineering Society 32(1):165–199. doi: 10.17232/KSET.32.1.165.
29. Min, H. R. (2018). The Effect of Learning Reality on Learning Performance in Flip Learning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0. Moon, S. Y. (2022). Development of 3D Characters Makeup Course Using Digital Human and Metaverse Plat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31. Oh, M. S. (2020). Wave-forming Effects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airstyling T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32. Park, G. Y. (2010).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fact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33. Park, M. O.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Learning Method of Beauty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34. Son, Y. J. (2007). A Study on the Contents and System of the Beauty Salon Education 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35. Son, J. H. (2017). A Study on the Complaints and Intention of Barbershop among Men in their 20s and 30s in Daeg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Gyeongbuk.
36. Seo, Y. E. (2015).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on English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1.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37. Seol H. J.. 2022;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model for nail beauty educ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3):444–454.
38. Shin S. K., Shin S. N.. 2021;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for Personalized Flipped Learning. Journal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7(1):59–94. doi: 10.17232/KSET.37.1.059.
39. Shin, J. O. (2017).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ractical suitability of the beauty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account system on career decis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40. Yoon M. S., Kim S. I.. 2004;The amount of thinking as a determina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lationship model between equation, learning motivation, subject interest, and learning strategy. Study of Educational Psychology 18(2):161–18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ADDIE Instructional Model

Table 1.

Composition of Barbering Training

Configuration instructor learner
Pre-Class Pre-learning · Upload video and photo materials · Watch videos and ask questions
In-Class introduction · Learning objectives · Check pre-learning and solve a quiz to motivate instructors
· Pre-learning confirmation and motivation
· Procedure order and diagram
Progress · Professor demonstration Practical class for each team (teaching peers) · Chart and procedure order analysis
· Chart analysis and procedure order analysis · Practical class for each team (teaching peers)
· Feedback on learners' hands-on activities
Post-Class After class · Evaluation of completion of practical activities ·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tent
· Organize learning contents ·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is class
out of class · Presentation of the next time · Feedback from instructors
· Repeated playback of video lectures

Table 2.

Lecture Plan by Parking

th Training Contents In-Class
1 lecture guide · Subject introduction, professor introduction, lecture plan explanation on how to proceed with the class.
· I can understand the observation and thinking of the four cuts.
2 The history of Barber. Understanding Tools · Learn about Barber's concept and history.
· Learn how to use the treatment tool and the terminology of the barber.
3 Barber Style and Tools Usage · Barber can analyze the design of four styles and learn how to use tools to perform cut procedures.
4 Lab 1 (Slickback) · Understand the procedure and design of the Slickback style.
5 Lab 2 (Slickback) · Understand the schematic and procedure order of the Slickback style.
6 Lab 3 (Side Part) · Understand the procedure and design of the side parts
7 Lab 4 (Side Part) · Understand the side part style diagram and procedure order.
8 midterm · Barber's concept and theory test
9 Lab 5 (Regent) · Understand the procedure order and design of Regent Style
10 Lab 6 (Regent) · Understand the diagram and procedure order of Regent Style
11 Lab 7 (Regent) · Regent-style illustrations can also improve viewing skills.
12 Lab 8 (Ivy League) · Understand Ivy League style procedures and design
13 Lab 9 (Ivy League) · Understand Ivy League style procedures and design
14 mock test · The mock test will be conducted in four cut styles.
15 examination · Barber Style Practical Exam

Table 3.

Reliability Questionnaire

Reliability Verification Survey
Fairness 1. Are there any prejudices or distortion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Class design 2. Is it appropriate to select a video as a pre-learning medium beforeclass?
3. Does the class material reflect the educational content well?
4. Is the class content appropriate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5. Is the content of the clas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work?
6. Is the class systematically organized?
7. Is the class content related to the major subject?
Motivation 8. Did you use the method of stimulating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Class activities 9. Are learners allowed to participate in learning on their own?
Contents of class 10. Di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use a medium?
Educational contribution 11. Would it be helpful to apply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to the same field?
12. Is the development program suitable for field practice?
13. Do you think it helps you develop your vocational skills?
14. Do you think it is possible to improve learners' understanding of practical activities?
15. Will this research program contribute to Barber's hands-on education?

Table 4.

Questionnaire questions

Variable Details Questions Source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Beauty Career 5 Son Young jin (2007)
current education Problems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 period, quality of 7 Park Mi-ok (2008)
the effects of systematic education introduction Necessity of systematic introduction of education, intention to use it when introducing it, pre-learning preference activities, and necessity of video lectures. 9 Kim Young sook (2006)
Lee Eun Ji (2019)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content, understanding of classes, interesting curriculum of classes, and practical application 12 Kim Hye-eun (2011)
Learning motivation Curious, necessary factor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ith results 9 Kim Yeon chul (2012)
Moon sea yeong (2022)
Learning motivation Class immersion, task solving ability 7 ParkGeun young (2010)
Geohae (2021)
Satisfaction of the River Barber Educational goals, delivery of lecture contents, satisfaction, re-taking intention, lecture recommendation 9 Kim Yoon-ah (2019)
Sum 58

Table 5.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Propertyn Category N %
Educational status Barber educator 30 50.0
Other Educators 30 50.0
Gender Man 23 38.3
Woman 37 61.7
Age 20s 27 45.0
30s 22 36.7
40s 11 18.3
Academic ability high school diploma 15 25.0
junior college graduate 15 25.0
University attendance and graduation 30 50.0
Marriage status Single 47 78.3
married 13 21.7
Career Less than a year 17 28.3
1 year to less than 5 years 15 25.0
5 year to less than 10 years 14 23.3
10 years 14 23.3

Table 6.

Educational Questions

Property Category Barber educator
Other educators
N % N %
Whether education is necessary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new environment 1 3.3 0 0.0
Identify recent trends 3 10.0 5 16.7
Identify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15 50.0 12 40.0
technological improvement 11 36.7 13 43.3
An educational problem shortage of educators 2 6.7 1 3.3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18 60.0 26 86.7
Lack and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6 20.0 1 3.3
the burden of education expenses 4 13.3 2 6.7
Factors to be preceded Changing educato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education 1 3.3 2 6.7
Secur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 1 3.3 0 0.0
Confidence in self-fulfillment through education 3 10.0 1 3.3
Developing diverse curriculum and content 25 83.3 27 90.0
Systematic Education Status not satisfied at all 0 0.0 0 0.0
unsatisfied 0 0.0 15 50.0
ordinary 2 6.7 14 46.7
satisfied with 12 40.0 1 3.3
quite satisfied 16 53.3 0 0.0
Quality of education pleasant learning environment 0 0.0 0 0.0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19 63.3 23 76.7
learner's posture 3 10.0 0 0.0
leadership of an educator 8 26.7 7 23.3
Need for pre-class video lectures completely unnecessary 0 0.0 0 0.0
I don't need it. 0 0.0 0 0.0
average 4 13.3 1 3.3
need 5 16.7 4 13.3
great need 21 70.0 25 83.3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completely unnecessary 0 0.0 0 0.0
I don't need it. 0 0.0 0 0.0
average 0 0.0 1 3.3
need 11 36.7 12 40.0
great need 19 63.3 17 56.7
Improvement in video teaching skills completely unnecessary 0 0.0 0 0.0
I don't need it. 0 0.0 0 0.0
average 9 30.0 5 16.7
need 16 53.3 10 33.3
great need 5 16.7 15 50.0

Table 7.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Question Importation Mean SAD t P
The class (Barber class) was intriguing. Barber 4.53 0.51 12.701 0.000
Other 2.77 0.57
The contents of the class (Barber class) may be useful to me. Barber 4.60 0.50 10.145 0.000
Other 3.17 0.59
The content of the class (barber class) is related to the purpose and expectations of study. Barber 4.53 0.51 9.547 0.000
Other 3.21 0.56
I can succeed in the class according to my efforts. Barber 4.53 0.63 9.770 0.000
Other 2.93 0.64
I feel great confidence through class (barber class). Barber 4.53 0.51 11.298 0.000
Other 2.87 0.63
I can get enough recognition for my studies through feedback. Barber 4.60 0.50 11.982 0.000
Other 2.97 0.56
You can get sufficiently satisfactory results in class (barber class). Barber 4.57 0.50 12.264 0.000
Other 2.90 0.55

Table 8.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Commitment

Question Importation Mean SAD t P
I feel like I'm falling into the class more and more. Barber 4.60 0.50 14.190 0.000
Other 2.80 0.48
I try to solve the class assignment when it is given.the class assignment when it is given. Barber 4.43 0.63 9.158 0.000
Other 3.03 0.56
I devote my abilities to solving difficult tasks. Barber 4.60 0.50 10.728 0.000
Other 2.97 0.67
Check frequently to see if you are familiar with the previously learned content. Barber 4.60 0.50 13.273 0.000
Other 2.80 0.55

Table 9.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Question Importation Mean SAD t P
What I wanted to know about my current major has been dealt with. Barber 4.63 0.49 9.349 0.000
Other 3.43 0.50
Education (Barber education) helped acquire knowledge and improve skills. Barber 4.63 0.49 12.965 0.000
Other 3.17 0.38
The current training time is appropriate. Barber 4.60 0.62 10.728 0.000
Other 2.97 0.56
The instructor le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rber 4.70 0.47 12.638 0.000
Other 2.63 0.76
It was a necessary edu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and future major. Barber 4.77 0.43 11.758 0.000
Other 3.37 0.49
I think what I learned in the curriculum can be used in the field. Barber 4.73 0.45 9.592 0.000
Other 3.33 0.66
What I learned in education will help me solve problems related to my major. Barber 4.77 0.43 14.421 0.000
Other 2.77 0.63
Instructors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through sufficient feedback. Barber 4.80 0.41 13.280 0.000
Other 3.30 0.47
The education class was easy to understand. Barber 4.70 0.47 12.823 0.000
Other 2.80 0.66
The education program class was interesting to me. Barber 4.70 0.47 12.200 0.000
Other 2.80 0.71

Table 10.

Satisfaction with Barber Education Lectures

Ques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The objectives of Barber's education have been properly presented, 4.63 0.49
The instructor is passionate about the lecture. 4.73 0.45
Instructors have an appropriate skill in delivering class content. 4.77 0.43
The instructor explained to the learner in an easy way to understand, 4.67 0.48
The content of Barber education is generally satisfactory. 4.67 0.48
Barber education helped professionalism and growth. 4.80 0.41
It was easy to understand through repetitive learning through videos. 4.67 0.48
I would like to recommend Barber education to others. 4.70 0.47
If I have a chance to take a lecture like this, I will take it 4.73 0.45

Table 11.

Expert Group Analysis Results

Ques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Prejudice and distortion 3.70 .675
Appropriateness of derivation 4.10 .568
Mixed blending 4.40 .516
Making a video 4.60 .516
Major Relationship 4.80 .422
Practical suitability 4.70 .483
systematic composition 4.40 .516
Educational content 4.60 .516
Learning level 4.30 .675
Motivation 4.40 .516
Participation in learning 4.60 .516
Interactive medium 4.60 .699
Nstructional design 4.70 .483
Applicability 4.40 .699
Appropriate on-site practice 4.70 .483
Major Competency Development 4.90 .316
Understanding hands-on activities 4.70 .483
Educational contribution 4.90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