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미용전공과 타전공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와 대학원 만족도 비교 연구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atively analyz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s betwee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other graduate student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courses, academic operation and thesis guidanc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percep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s by an environmental factor were higher among th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osmetology.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were more satisfied as educational courses and thesis guidance were higher. In other graduate students, on the contrary, they were more satisfied as thesis guidance and academic operation increased. Furthermor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were more satisfied with better facilities while other graduat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as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mproved. Since there has been no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betwee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other graduate stud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I. 서 론

현대는 지식기반 경제사회로서 지식과 역량을 갖춘 석․박사 인력이 미래사회를 견인할 핵심이자 경쟁력이라는 인식에 따라 우수한 인재의 양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대학의 학부교육이 중심이었으나 산업의 질적 고도화에 따른 고급인력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는 만큼 교육체제의 중심이 학부에서 대학원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기 때문이다(Lee & Lee, 2018). 대학원 교육의 특징은 학부교육이 교육에 중점을 두는 것과 달리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게 되며, 전공 분야에 대한 전문성 습득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를 통한 지식의 생산자로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는 것이다(Turner et al., 2002; Lee & Lee, 2018). 또한 현재 고등학생의 대다수가 대학에 진학하게 되어 학부교육이 대중교육이라고 불리는 상황이므로 대학원 교육이 높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책무도 지니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원은 대학원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에 비해 교육 및 연구 여건, 지식 창출 역량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Lee et al., 2019).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원의 여건과 질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부의 개입과 대학 자체의 노력에 대한 요구가 강조되었으며, 교육부(2020)는 학령 인구감소를 고려한 대학원 정원 동결 또는 감축에 대한 의견을 발표하였다.
산업사회의 발전으로 빠른 성장을 거둔 미용분야 역시 대학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에 특수대학원에 미용전공이 생기고, 2002년에 교육대학원에 미용전공을 개설하여 미용 교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Kang, 2019), 현재는 일반대학원에서 미용이라는 실용학문의 이론과 고도의 학술연구를 목표로 학문후속세대를 양성하고 있다. 그러나 미용전공 역시 학령인구의 감소, 수요에 대한 예측 실패가 대학원의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원의 교육과 연구를 통한 창의적 미용인재를 양성하려면 대학원의 교육 및 여건들에 대한 대학원 재학생, 즉 수요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대학원 교육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학업지속과 학업성취도가 높고(Lee & Park, 2022), 진로와 취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Han & Kim, 2020) 교육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대학원 교육의 실태파악 뿐 아니라 새로운 대학원 교육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용전공을 포함하여 대학원 교육만족도의 중요성에 비해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연구로는 Lee et al.(2019)의 대학원 교육의 만족도 연구, Choi & Jung(2022)의 전공계열별 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예측분석에 관한 연구, Kim et al.(2010)의 의학전문대학원생의 경영교육 만족도 연구, Jeon & Kim(2021)의 대학원생의 진학동기와 학업지속 의도 관계에 관한 연구, Cha et al.(2014)의 교육대학원생의 만족도 및 진로 모색에 관한 연구, Lee & Lee(2018)의 대학원 교육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Kim et al.(2020)의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전공별로는 Choi(2010)의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들에 대한 만족도 연구, Kim(2012)의 미술교육에 대한 만족도 연구, Shin & Lee(2008)의 가정교육 만족도 연구, An(2015)의 심리치료 전공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미용전공 대학원생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연구나 미용전공과 타전공 일반 대학원생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연구, 대학원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전공과 타 전공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대학원 만족도를 비교 연구하여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의 개념에 대해 Astin(1993)은 학생들이 보이는 주관적인 반응이라 정의하였고, Shin et al.(2020)은 직접적으로 교육과 연관된 경험뿐 아니라 학생들이 학교생활 속에서 갖게되는 정신적, 물리적, 사회적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Kwon et al.(2002)은 교육만족도를 교육적 경험이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교육만족도는 고등교육기관의 질을 평가할 때 활용된다(Lee & Lee, 2018). 교육만족도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학업지속, 성공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육의 성과나 질을 대변하기 때문이다(Astin, 1993; Strauss & Volkwein, 2002; Machado et al., 2011; Lee & Lee, 2015; Lee & Lee, 2018). 따라서 대학원의 교육만족도는 대학원 재학기간 동안에 학생이 경험한 교육, 행정에 대한 종합적 평가라고 할 수 있겠다(Choi & Jung, 2022).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은 Astin(1993)은 교수와의 관계, 교육과정과 수업, 학생들의 학교생활 교육시설로 구분하였으며, Harvey(2001)는 교과조직과 평가, 학교시설과 학생회, 교수학습, 장의 세부사항, 도서관, 학생서비스, 컴퓨터 활용, 자기평가를 구성요인으로 보았다. Kwon et al.(2002)는 교수와의 관계, 성적평가, 교육의 질, 학습지도를 구성요인으로 보고, Han & Kim(2003)은 강의내용, 교수와 학생의 관계, 수업형태, 학교풍토, 수업시설을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으로 보았으며, Shin(2020)은 전공 및 교양교육, 비교과교육, 학사지원, 학습지도, 학생지도를 구성요인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교육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 학사운영, 논문지도를 교육적 요인(Kim, 2022)으로, 시설, 행정서비스, 장학지원을 환경적 요인(Lee et al., 2019)으로 구분하였다.

2. 대학원 교육

대학원은 고등교육법 제 29조의 2에 의거하여 주된 목적에 따라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대학원의 교육 목적은 학문 분야의 기초가 되는 이론과 고도의 학술연구를 하는 것이다. 대학원은 일반적으로 학부 과정의 상위에 설치된 기관으로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학부 교육과는 달리 연구를 우선으로 하며, 단순한 지식의 전달 및 전수를 넘어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고등학생 대다수가 대학에 진학함에 따라 학부교육을 실제적 대중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는바 질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우수한 인력양성을 위해 대학원에 높은 사회적 요구가 반영되고 있다(Kim, 2022).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를 위해 미용전공을 포함, 석박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교육대학원은 일반대학원과 교육목표가 다르므로 교육대학원생을 조사대상자에 포함하지 않았다. 2023년 4월 3일부터 4월 21일까지 예비조사 및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자가 조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대면조사와 온라인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총 14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미용전공 교수 3인이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을 개발하였고, 외부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교육만족도의 구성요인은 Kim(2022), Lee et al.(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교육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대학원 만족도는 Choi & Jung(2022)의 연구를 참고하여 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선행연구를 참고로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1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Table 1과 같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미용 전공여부에 따른 교육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대학원 만족도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연령은 20대 89명(59.7%), 30대 47명(31.5%), 40대 이상은 13명(8.7%)으로 나타났고, 국적은 내국인 98명(65.8%), 외국인 51명(34.2%)으로 나타났다. 학위과정은 석사과정 94명(63.1%), 박사과정 55명(36.9%)으로 나타났고, 현재 학기는 2학기 25명(16.8%), 3학기 70명(47.0%), 4학기 27명(18.1%), 5학기 13명(8.7%), 6학기 이상 14명(9.4%)으로 나타났다. 소속 학과는 미용전공 84명(56.4%), 타 전공 65명(43.6%)으로 나타났고, 수업 참여형태는 Part time 과정(일과 학업 겸업) 103명(69.1%), Full time 과정 46명(30.9%) 순으로 나타났다. 출신 학부대학은 광주여자대학교 103명(69.1%), 국내타대학교 36명(24.2%), 외국소재대학교 10명(6.7%) 순으로 나타났고, 박사과정인 55명을 대상으로 석사 졸업대학을 분석한 결과 광주여자대학교 46명(83.6%), 외국소재대학교 7명(12.7%), 국내타대학교 2명(3.6%) 순으로 나타났다. 학자금 대출여부는 받고 있지 않다 106명(71.1%), 받고있다 43명(28.9%)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교육적 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교육적 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는 Table 3과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KMO 값은 0.871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2756.713(df=153,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고유값 1이상인 요인은 3개가 추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7.038%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교육과정’은 26.852%, ‘학사운영’은 25.307%, ‘논문지도’는 24.880%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한 결과 0.902~0.960으로 나타나 매우 신뢰도 있는 측정항목으로 분석되었다.

2) 환경적 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환경적 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는 Table 4와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KMO 값은 0.806으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1012.676(df=36,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고유값 1이상인 요인은 3개가 추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82.891%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장학지원’은 28.218%, ‘시설’은 27.856%, ‘행정서비스’는 26.817%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한 결과 0.860~0.905로 나타나 매우 신뢰도 있는 측정항목으로 분석되었다.

3) 대학원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대학원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는 Table 5와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KMO 값은 0.802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342.381(df=6,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고유값 1이상인 요인은 1개가 추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4.884%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대학원 만족도’는 74.884%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분석한 결과 0.886으로 나타나 매우 신뢰도 있는 측정항목으로 분석되었다.

3. 전공에 따른 대학원의 교육적, 환경적 요인, 만족도 차이

1) 전공에 따른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차이

전공에 따라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교육적 요인과 하위요인별 교육과정, 학사운영, 논문지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먼저 전반적인 교육적 요인에 있어서는 미용전공(M=4.29)의 경우 타 전공(M=4.0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요인별 살펴보면 교육과정에 있어서는 미용전공(M=4.46)의 경우 타 전공(M=4.18)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사운영에 있어서는 미용전공(M=3.95)의 경우 타 전공(M=3.69)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문지도에 있어서도 미용전공(M=4.57)의 경우 타 전공(M=4.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반적으로 볼 때,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과 하위요인별 교육과정, 학사운영, 논문지도 인식에 있어서는 미용전공이 타 전공 대학원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예체능 전공이 다른 전공보다 교육적 요인에 대한 만족이 높다는 Lee et al.(2013)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2) 전공에 따른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차이

전공에 따라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환경적 요인의 하위요인별 행정서비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미용전공(M=4.22)의 경우 타 전공(M=3.85)에 비해 상대적으로 행정서비스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전공 대학원생의 경우 학업과 일을 병행하는 학생이 많고, 현장에서의 업무가 서비스관련 업무이므로 행정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외에 전반적인 환경적 요인과 하위요인별 시설, 장학지원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3) 전공에 따른 대학원 만족도 차이

전공에 따라 대학원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미용전공(M=3.88)의 경우 타 전공(M=3.59)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학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대학교에 설치된 대학원은 국내에서 미용전공이 가장 먼저 개설되어 우수인재를 배출한 만큼 학교에 대한 충성도, 인지도, 자부심 등이 높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4. 상관관계 분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교육과정(r=.608, p<.001), 학사운영(r=.317, p<.001), 논문지도(r=.636, p<.001)는 대학원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r=.649, p<.001), 행정서비스(r=.567, p<.001), 장학지원(r=.539, p<.001)도 대학원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이 대학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이 대학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적 요인을 독립변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10과 같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1%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F값은 43.085(p<.001)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논문지도(β=.411, p<.001), 교육과정(β=.298, p<.01)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논문지도, 교육과정이 높을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이는 대학원 진학의 가장 큰 이유가 연구와 학위취득이기 때문인 것이라 해석할 수 있겠다.
전공별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적 요인을 독립변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11과 같이 미용전공의 경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4.3%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F값은 21.232(p<.001)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β=.507, p<.001), 논문지도(β=.267, p<.01)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원생은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교육과정, 논문지도가 높을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타 전공의 경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69.1%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F값은 45.516(p<.001)으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논문지도(β=.771, p<.001), 학사운영(β=.467, p<.001)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 전공 대학원생은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논문지도, 학사운영이 높을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전공교육과정의 구성과 체계, 논문작성에 필요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Kim(2022)의 연구와 관련 있다.

6.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이 대학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환경적 요인을 독립변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12와 같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0.0%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F값은 48.286(p<.001)으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시설(β=.434, p<.001), 행정서비스(β=.256, p<.01)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 행정서비스가 높을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Cha et al.(2014)와 연구와 일치하였다.
전공별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환경적 요인을 독립변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13과 같이 미용전공의 경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F값은 10.156(p<.001)으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시설(β=.263, p<.05)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생은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설에 대한 문항이 연구에 도움이 되는 강의실, 기자재, 도서관 관련 항목이므로 교육적 요인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큰 것과 관련 있다. 또한 타 전공은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77.9%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F값은 71.624(p<.001)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시설(β=.681, p<.001), 행정서비스(β=.237, p<.05)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 전공 대학생은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 행정서비스가 높을수록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장학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Lee et al.(2019)의 연구와 상반된 결과인데,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의 69.1%가 일과 학업을 병행하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라 해석할 수 있겠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전공과 타 전공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대학원 만족도를 비교 연구하여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과 하위요인별 교육과정, 학사운영, 논문지도 인식에 있어서 미용전공이 타 전공 대학원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환경적 요인에 있어서도 미용전공이 타 전공에 비해 행정서비스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만족도 역시 미용전공이 타 전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논문지도(β=.411, p<.001), 교육과정(β=.298, p<.01)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미용전공 대학원생은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교육과정, 논문지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으며, 타 전공 대학원생은 대학원의 교육적 요인 중 논문지도, 학사운영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β=.434, p<.001), 행정서비스(β=.256, p<.01)가 대학원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미용전공 대학생은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고, 타 전공 대학생은 대학원의 환경적 요인 중 시설, 행정서비스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미용전공 일반대학원생이 타 전공 일반대학원생들보다 전반적인 대학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고무적인 일이나 이는 K대학교에서 미용전공을 특화시킨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미용전공 일반대학원의 수요가 많아 각 일반대학원에 미용전공의 설치 및 재정지원이 확대됨에 따른 결과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그러나 다양한 학문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해서는 타 전공 일반대학원생들에게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타 전공 일반대학원생은 미용전공 일반대학원생과 같이 일과 학업을 병행하기 어려우므로 국책사업에 참여한다든가 연구원이나 조교 등으로 근무하여 경제적 곤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의 특성이 되는 대학원 설립유형, 지역, 대학원의 위세 등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지 않았으며, 미용전공 일반대학원생의 분포가 높은 K대학교를 중심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설립유형, 다른 지역 등의 요인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가 후속 연구로 진행된다면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심도 깊은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Table 1.
Composition of Survey Questions
Division Number of Questions Prior research Measure
Educational factors Curriculum 6 Kim (2022) 5 Likert
Academic Administration 7
Thesis Guidance 5
Environmental factors Facility 3 Lee et al. (2019)
Administrative Services 3
Scholarship Support 3
Graduate Satisfaction 4 Choi & Jung (2022)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10 Researcher development Nominal scale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illance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Age 20-29 89 59.7
30-39 47 31.5
40 or higher 13 8.7
Nationality Local 98 65.8
Foreigner 51 34.2
Degree course The master's course 94 63.1
PhD 55 36.9
Current semester 2th semester 25 16.8
3th semester 70 47.0
4th semester 27 18.1
5th semester 13 8.7
6 semesters or more 14 9.4
Major Beauty major 84 56.4
Other major 65 43.6
Type of class participation Full time 46 30.9
Part time (Combined work and study) 103 69.1
Undergraduate university Kwangju Women's University 103 69.1
Other domestic universities 36 24.2
Foreign universities 10 6.7
Master's University Kwangju Women's University 46 83.6
Other domestic universities 2 3.6
Foreign universities 7 12.7
Total 55 100.0
Student loan Yes 43 28.9
No 106 71.1
Total 149 1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Factors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Curriculum Academic affairs Dissertation guidance
2. The grading system is appropriate. .869 .164 .248
5. The content of the class and the teaching method are appropriate. .859 .171 .234
4.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a course is adequate. .806 .222 .350
1. Curriculum helps develop professionalism. .804 .212 .306
6. The professors (lecturers) of our graduate school are excellent. .80 .149 .390
3. Class composition (curriculum, class hours) is systematic. .782 .105 .345
11.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to reflect changes in the industry .068 .853 .191
7.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by reflecting future social changes (AI, environment, multi- culturalism, etc.). .085 .846 .206
10. It is necessary to open convergence courses linked with other majors. .244 .796 -.047
9.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similar subjects at the department (major) level. .080 .775 .175
8. Diversity and choice of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034 .766 .284
13. Curriculum organization should reflect students' opinions. .309 .752 .058
12.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s. .177 .691 -.232
18. Advisors know and guide research trends. .320 .123 .891
15. The advisory professor's thesis (graduation research report) guidance is systematic. .304 .112 .857
16. The number of students supervising the thesis of the advisor professor is appropriate. .365 .102 .841
17. Thesis research (graduation research report) is strictly reviewed. .396 .082 .835
14. The method of selecting professors is fair. .322 .144 .832
Eigenvalue 4.833 4.555 4.478
Variance explanation (%) 26.852 25.307 24.880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26.852 52.159 77.038
Reliability .950 .902 .960

KMO=.871, Bartlett's test χ²=2756.713 (df=153, p=.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environmental factors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Scholarship support Facility Administrative service
9.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various teaching assistant systems (research assistant, teaching assistant) are provided. .860 .326 .180
7. Scholarship and tuition support systems are in operation. .838 .110 .349
8. The method of payment of scholarships is transparent. .832 .380 .210
1. The classroom is comfortable. .251 .844 .201
2. The classrooms are well equipped with equipment, air-conditioning and heating facilities. .256 .833 .249
3. Library facilities for research and study are well established. .187 .807 .181
6. Administrative work is handled quickly. .109 .186 .899
5. Provision of information on academic information is prompt. .369 .175 .801
4. Support for employment and further education is well provided. .309 .351 .795
Eigenvalue 2.540 2.507 2.414
Variance explanation (%) 28.218 27.856 26.817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28.218 56.074 82.891
Reliability .905 .860 .879

KMO=.806, Bartlett's test χ²=1012.676 (df=36, p=.000)

Table 5.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Question Factor1
Graduate Satisfaction
1. Overall, I am satisfied with our graduate school. .901
3. Even if I choose graduate school again, I will choose our graduate school. .887
4. I am proud of attending our graduate school. .859
2. I want to recommend our graduate school to people around me. .812
Eigenvalue 2.995
Variance explanation (%) 74.884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74.884
Reliability .886

KMO=.802, Bartlett's test χ²=342.381 (df=6, p=.000)

Table 6.
Differences in Educational Factors of Graduate Schools According to Majors
Division Major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t-value p
Curriculum Beauty major 4.46 .490 2.332* .022
Other major 4.18 .834
Total 4.34 .674
Academic affairs Beauty major 3.95 .771 2.233* .027
Other major 3.69 .591
Total 3.83 .708
Dissertation guidance Beauty major 4.57 .627 2.263* .025
Other major 4.31 .737
Total 4.46 .687
Total Beauty major 4.29 .478 2.917** .004
Other major 4.03 .591
Total 4.17 .544

* p<.05,

** p<.01

Table 7.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Factors of Graduate School According to Major
Division Major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t-value p
Facility Beauty major 4.23 .603 1.272 .205
Other major 4.10 .612
Total 4.17 .608
Administrative service Beauty major 4.22 .624 2.985** .003
Other major 3.85 .842
Total 4.06 .748
Scholarship support Beauty major 3.93 .765 .654 .515
Other major 3.83 1.059
Total 3.89 .903
Total Beauty major 4.13 .543 1.847 .067
Other major 3.93 .734
Total 4.04 .639

** p<.01

Table 8.
Differences in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by Major
Division Major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t-value p
Graduate Satisfaction Beauty major 3.88 .653 2.488* .014
Other major 3.59 .746
Total 3.73 .694

* p<.05

Table 9.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Education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s
Graduate Satisfaction
Curriculum Academic affairs Dissertation guidance Facility Administrative service Scholarship support
Curriculum 1
Academic affairs .380 1
Dissertation guidance .671 .280*** 1
Facility .578*** .327*** .556*** 1
Administrative service .506*** .339*** .312*** .533*** 1
Scholarship support .556*** .370*** .357*** .581*** .594*** 1
Graduate Satisfaction .608*** .317*** .636*** .649*** .567*** .539*** 1

*** p<.001

Table 10.
The Effects of Graduate School Educational Factors on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a constant) .168 .333 .504 .615 43.085*** .471 (.460)
Curriculum .313 .089 .298 3.526** .001
Academic affairs .089 .065 .089 1.361 .176
Dissertation guidance .424 .084 .411 5.051*** .000
Dependent variable : Graduate Satisfaction

** p<.01,

*** p<.001

Table 11.
The Effect of Educational Factors of Graduate Schools by Major on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Major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Beauty major (a constant) -.110 .540 -.204 .839 21.232*** .443 (.422)
Curriculum .676 .133 .507 5.087*** .000
Academic affairs -.074 .074 -.088 -1.005 .318
Dissertation guidance .278 .103 .267 2.696** .009
Other major (a constant) -1.078 .411 -2.619 .011 45.516*** .691 (.676)
Curriculum -.207 .110 -.232 -1.883 .065
Academic affairs .589 .105 .467 5.592*** .000
Dissertation guidance .780 .112 .771 6.935*** .000
Dependent variable : Graduate Satisfaction

** p<.01,

*** p<.001

Table 12.
The Effects of Graduate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on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a constant) .255 .301 .845 .400 48.286*** .500 (.489)
Facility .505 .088 .434 5.769*** .000
Administrative service .242 .072 .256 3.353** .001
Scholarship support .106 .062 .135 1.706 .090
Dependent variable : Graduate Satisfaction

** p<.01,

*** p<.001

Table 13.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raduate Schools by Major on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Major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Beauty major (a constant) 1.194 .499 2.393 .019 10.156*** .276 (.249)
Facility .284 .132 .263 2.149* .035
Administrative service .214 .119 .204 1.805 .075
Scholarship support .147 .10 .172 1.474 .145
Other major (a constant)) -.792 .315 -2.514 .015 71.624*** .779 (.768)
Facility .829 .095 .681 8.713*** .000
Administrative service .210 .078 .237 2.703** .009
Scholarship support .046 .065 .065 .700 .487
Dependent variable : Graduate Satisfaction

* p<.05,

** p<.01,

*** p<.001

References

An, G. E. (2015). Satisfaction and demand survey on psychotherapy related major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1(1), 21-45.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ed Jossey-Bass, Sanfrancisco.
Cha, K. H., Kim, J. H., Lee, H. S., Kim, D. M., & Kim, H. Y. (2014). Exploring the Path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 Inquiry, 32(1), 71-91.
Choi, G. E., & Tung, S. J. (2022). An analysis of Predictors of Graduate Student Satisfaction: Exploring Differences Across Discipline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8(4), 267-289.
crossref
Choi, J. H. (2010). Curriculum Satisfaction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Korea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8:149-171.
Han, M. S., & Kim, S. H. (2020).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Women’s University Majoring in Beau.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2), 420-430.
Harvey, L.. (2001). Student feedback. A Report to the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Birmingham, Centre for Research into Quality.
Jeon, J. E., & Kim, M. S.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 Students’ Motivation for Graduate Education and Intent to Continue Studies: The Mediating Roles of Academic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9(2), 129-157.
Kang, S. K. (2019). Analyzing Curriculums of Beauty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Revise Training Curriculums for Beaut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6), 1343-1349.
Kim, D. Y. (2022). Analysis of componen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eneral graduate students of K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Kim, G. B., Jung, S. H., & Park, S. M. (2010). An Empirical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Management Education of Medical Graduate Students = Focused 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2(2), 1-12.
Kim, H. J. (2012). The Analysis of The Art Education Management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6(2), 125-144.
Kwon, D. B., Oh, Y. J., Park, H. M., Son, J. J., & Song, S. H. (2002). An exploratory discussion on the determinants of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 Research, 40(3), 181-202.
Lee, J. M., & Lee, G. J. (2015).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n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1), 105-127.
Lee, J. M., & Lee, G. J.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6(2), 229-251.
Lee, J. M., Kim, E. Y., Im, S, Y., Lee, G. J., Jang, D. H., & Han, K. H.. (2013). Research on graduate education oper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RR-2013-11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Lee, J. R., Park, K. H., & Kim, B. A.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Graduate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9(4), 265-282.
Lee, S. Y., Lee, Y. H., & Yung, J. C. (2019). Current status analysis and basic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 innovation plan, Ministry of Education.
Lee, S. Y., & Park, E. J. (2022). The Effect of Choice Factors of Beauty Academy on Career Deci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eliminary Beauty Paramed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5), 931-944.
crossref pdf
Machado, M. L., Brites, R., Maglhaes, A., & Sa, M. J. (2011). Satisfaction with higher education: critical data for student development.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46(3), 415-432.
crossref
Ministry of Education. (2020). 2021 graduate school quota adjustment and detailed standards for installation.
Shin, H. J., Kim, M. R., & Yu, Y. E.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asuring tool for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Focusing on S university in A region. Research on Learner-centered Subject Education, 20(21), 139-161.
Shin, H. W., & Lee, S. J. pp 2008).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home education major curriculum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In: Korean Socie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nference; pp 159-160.
Strauss, L. C., & Volkwein, J. F. (2002). Comparison student performance and growth in 2-and 4 year institution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3(2), 133-161.
Turner, J. L., Miller, M., & Mitchell-Kernan, C. (2002). Disciplinary cultures and graduate education. Emergences: Journal for the Study of Media & Composite Cultures, 12(1), 47-70.
crossref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860 View
  • 11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