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 염색컬러가 기혼자의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ferred Dye Color on Married People's Appearance Perception and Dye Satisfac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3):796-80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June 30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3.796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Seokyeong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 The College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여예빈1, 김진이1, 이효진1, 주혜진1, 박은준2,
1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대학원생
2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디자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Eun-Jun Park Tel : +82-2-940-7846 E-mail : ayamdream@hanmail.net
Received 2023 April 30; Revised 2023 May 20; Accepted 2023 May 5.

Trans Abstract

As appearance is regarded as one of the individual's ab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s emphasized day by day, many people make various efforts such as plastic surgery or weight management. In the case of married people, negligence in appearance manage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appearance perception and decreases self-esteem, causing personal stress. In the age of super-aging, which goes beyond "well-being" to the concept of "well-aging," interest in skin aging and gray hair naturally continue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dyeing affects married customer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married people survey in Seoul to determine whether married people's dyeing color affects appearance recognition and dyeing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married people's dyeing color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ppearance recognition and dyeing satisfaction. Hair beauty service workers help consumers consume effective beauty through marke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arried people's hair color choices and dyeing procedures through the use of coloring products that replace stimulating hair dyes and procedures suitable for individuals.

I. 서 론

현재 사회의 현실은 외모가 개인의 능력의 하나로 치부되고 지난 2020년 7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조사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우리 사회에는 바람직한 외모에 대한 일정한 기준이 있다’라는 문항에 남성 64.4%, 여성 80.7%가 동의했다. 나날이 외모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성형 또는 체중관리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기혼자의 경우 개인상황에 따라 외모관리의 소홀함이 외모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존감이 낮아짐에 따라 개인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2021년 10월 기준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1258만7000가구다. 이 중 맞벌이 가구는 582만3000가구로 전년 대비 23만 가구 늘었다. 맞벌이 가구 비중도 46.3%로 1년 새 0.9%올랐고(동아일보-2022) 바쁜 사회생활 속에 아름다워지려는 인간의 욕구는 인류의 시작과 함께 계속해서 발전되었고 이러한 미의 추구는 개개인의 희망인 동시에 모든 인류의 최고의 가치로 생각되어지고 있다(Gwak, 2018). 또한 초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웰빙을 넘어서 웰에이징의 개념으로 넘어가 피부 노화에 대한 걱정과 더해 새치, 흰머리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크게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지 않는 선에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관리할 수 있는 것이 염색이며 따라서 선호하는 컬러 염색 시술이 기혼자 고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지금까지 염색컬러시술과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ang(2012)는 염색 후 만족도는 컬러에 대한 만족뿐 아니라, 염색의 동기, 염색장고, 전반적서비스 등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색 만족도에 따라 자기효능감도 좋아진다는 결과로 이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Lee(2021)는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중년여성의 모발염색 만족도의 긍정적인 효과에 관해서 확인하였고 An(2019)는 모발염색에 대한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No(2019)는 미용소비 경험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소비비용이 많고 소비과정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외모만족도가 높다고 하며 미용 소비경험에 관해 규명하였고 Choi & Chang(2018)은 모발염색과 건강신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안전한 염색 방법을 선택하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Kim(2014)는 결혼여부에 따른 헤어행동에서 미혼의 여성보다 기혼이 여성이 자신의 헤어스타일을 더욱 개성적으로 하고자 하고 유행에 따라 자신을 꾸미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으며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시켜줄 뿐만 아니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수많은 염색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음에도 염색 컬러나, 염색과 이미지, 염색과 인상형성과 같은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염색 컬러에 따른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과 같이 직접적으로 염색과 심리를 묻는 연구와 기혼자를 대상의 마케팅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기혼자의 효과적인 미용 소비를 위하여 개인에게 맞는 시술방법 및 컬러를 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술의 만족도와 외모인식도를 높여 기혼자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시켜줄 뿐만 아니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시켜주는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미용종사자의 고객관리와 미용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염색컬러

1) 염색

모발염색의 역사는 아주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 염색이 처음 시작되었던 고대사회에는 단순히 여성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수단일 뿐이었다(Ko, 2003).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염색의 기록은 “고대이집트 3왕조 때 태타(Teta) 왕의 어머니인 세스(Ses) 여왕이 헤나(henna)로 염색한 것이 염색의 기원이며 BC 2000년 전의 이집트인들은 염색제의일종인 헤나(henna) 가루를 다른 식물성 추출물이나 금속 합성물질과 혼합하여 모발 색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했다”(Yun, 2001) 모발 염색은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에 의해 머리카락의 자연적인 색조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모발의 색을 밝게 변화시키는 탈색뿐만 아니라 밝은 자연모발, 염색이 된 모발 그리고 탈색 된 모발(breach hair) 등에 다양한 색을 착색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모발염색을 표현하는 단어로는, 헤어컬러링(hair coloring), 헤어틴트(hairtint), 헤어다이(hair dye) 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헤어다이(hairdye)는 색을 “착색” 한다는 의미이고, 헤어틴트(hair tint)는 “색소를 만들다”는 의미로 모발에 염모제를 사용하여 모발의 색상을 변화시키며, 헤어 블리치(hair bleach)는 모발탈색에 의해 검은 모발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여 엷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Kim & Kim, 2001). 염색약은 멋내기용과 새치용으로 나뉘는데, 멋내기용 염색약으로는 새치나 흰머리를 감출 수 없다. 멋내기용 염색약과 새치용 염색약은 그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염색약의 성분 즉 알칼리제와 염료의 양도 다르다.

2) 멋내기 염색

일반 멋내기용 염색약은 전체 모발을 원하는 색깔로 표현하기 위해 멜라닌을 분해해 모발의 원래 색을 빼내는 알칼리제가 좀 더 많이 들어가 있다. 산화형 염모제(1제)와 산화제(2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발을 염색할 때는 먼저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 후 30분 정도 모발에 방- 9 -치하면 염색이 되는데 알칼리제의 작용으로 큐티클이 열리면서 2제인 과산화수소의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킨 색소가 침투하여 색을 나타내어 발색과 탈색을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원하는 색을 마음대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색상의 종류가 많고 발색이 가장 좋다(Gwak et al., 2005). 헤어 컬러는 자신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수단으로(An, 2019) 근래의 헤어 컬러는 패션과 메이크업과 함께 이미지를 형성하는 하나의 매치 포인트가 되어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고(Lee, 2012), 개인의 얼굴형이나 피부 톤을 변화시켜 보완할 수 있으며, 모발의 볼륨감을 조절하고, 컬러를 얼마나 밝게 하는지와 어떤 컬러를 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Cha, 2013)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이미지를 표현해 줄 수 있는 컬러 선정은 중요해졌다.

3) 새치 염색

모발염색은 원래의 모발 색상을 더욱 매력적으로 표현하거나 흰머리 또는 새치를 감추기 위해서 모발을 인위적으로 색을 부여하는 것이고, 아름다움의 조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Kwon, 2004). 즉, 염색의 목적은 백발을 감추어 자연스러운 모발을 보여주고, 모발에 인위적으로 다양한 색상을 부여함으로써 또 하나의 패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다(Kim & Yu, 2004). 흰머리 시장이 커지면서 흰머리 커버에 중점을 두기보단 소비자의 미의식 관심도 증가로 개인의 이미지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자신만의 헤어컬러를 찾기 시작했다(Kim, 2012).

2. 외모인식

외모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으로 정의하는데, 외모 인식은 외모에 대한 이상형을 수용하고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Han & Choi, 2020). 인간은 일반적으로 자신에 대한 판단을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비교하고 평가하게 되는데 자신의 신체나 외모에 대한 지각이나 평가 및 태도를 나타내는 신체 또는 외모의 이미지는 그 사회에서 이상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이미지 기준과 자신의 외모 및 신체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는 주관적인 이미지와의 사회적 비교과정을 거쳐 형성된다(Chae, 2015).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타인에게 자신의 첫인상을 표현할 수 있는 기준에서 언어는 7%, 목소리는 38%, 그리고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외적 이미지는 55%로 평가되었다고 한다(Mehrabian, Albert, 1971). 그만큼 상대방에게 자신의 첫인상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은 외적 관리라고 한다. 따라서 외모에 대해 매력을 더해주기 위해 신체를 단장하면서 자신의 외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변화시키는 것을 외모관리라고 하며, 이를 통해 가꾸어진 외모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인상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건이다(Kwon, 2013). 결혼 상태에 따라서 외모관심도와 미용관리행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미혼자들이 기혼자들 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나타났고(Yu, 2010) 뷰티관리에서도 마찬가지로 미혼 여성보다 기혼 여성의 관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Kim, 2014).

3. 염색만족

모발 염색은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에 의해 머리카락의 자연적인 색조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서비스에서 이루어지는 만족에 대한 개념은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해 만족은 고객이 생각한 수준의 이상으로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고객이 성취한 반응이라 정의할 수 있다(Ju, 2002). 따라서 염색만족이란, 염색 시술과정에서 고객이 생각한 수준의 이상으로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고객이 성취한 반응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자연적인 모발색상에 만족하지 않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고 맞추어 염색을 하고자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Kwon, 2006) 외모향상을 위해 미용관리행동을 함으로써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신체형상에 가까워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만족도가 증가하여 심리적 안정과 자신감도 향상되며(Kim & Park, 2010) 개인 성장 영역에, 삶의 목적, 대인관계, 개인성장 등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헤어컬러는 감성적인 이미지로이미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외적 이미지가 변화할 때 나이가 많을수록 헤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Kim, 201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1) 연구모형의 설정

본 연구는 기혼자의 선호 염색컬러에 따른 외모인식 및 염색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염색컬러에 따른 외모인식의 차이와 염색컬러에 따른 염색만족의 차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기혼자의 염색컬러가 외모인식과 염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도출하고, 관련 자료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 1.

Research Model.

2) 연구가설의 설정

본 연구는 기혼자의 선호 염색컬러에 따른 외모인식 및 염색 만족에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한 가설1은 다음과 같다.

H1. 선호 염색컬러는 기혼자의 염색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멋내기 컬러는 기혼자의 염색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새치 컬러는 기혼자의 염색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선호 염색컬러는 기혼자의 외모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멋내기 컬러는 기혼자의 외모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새치 컬러는 기혼자의 외모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기혼자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대면 설문지 작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조사는 34일 간 실시하였고,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00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분석에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92부가 최종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측정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첫째, 일반적 특성으로는 총 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명목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염색컬러의 유형은 Yang(2019)의 모발염색 태도와 Park(2005)의 염모제 사용실태 유형을 참조하여 멋내기 컬러 5문항과 새치컬러 7문항를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혼자의 외모인식은 Chae(2015)Ko(2018)의 연구문항을 참고하여 1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기혼자의 외모인식, 염색만족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컬러만족은 Kwon(2020)의 연구문항을 참고하여 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기혼자의 염색 컬러에 따른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은 5점 Likert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연령의 경우 30대가 30.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대 24.5%, 50대 19.9%, 40대 19.1%, 60대 이상 6.4%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여자 80.4%, 남자 19.6%로 여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월 소득의 경우 200만 원 이상에서 300만 원 미만이 40.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0만 원 이상에서 400만 원 미만 29.8%, 500만 원 이상 16.4%, 400만 원 이상에서 500만 원 미만 13.5% 순으로 나타났 다. 직업의 경우 전문직이 2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비스직 22.5%, 사무직 18.6%, 기타 9.9%, 자영업 8.9%, 공무원 8.2%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의 경우 대학교 졸업이 60.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졸 19.9%, 대학원 졸업 8.2%, 대학교 재학 6.4%, 대학원 재학 4.8% 순으로 나타났다. 염색 컬러의 경우 멋내기 컬러 63.0%, 새치 커버 컬러 37.0%로 멋내기 컬러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N=392,%)

2. 기혼자의 염색 컬러

1) 멋내기 컬러

멋내기 컬러 염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멋내기컬러 염색을 시술한다고 응답한 247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2>과 같다. 선호하는 염색 밝기의 경우 밝은갈색이 2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갈색 22.3%, 아주밝은황갈색 15.8%, 어두운갈색 13.8%, 밝은황갈색 9.7%, 황갈색 6.1%, 흑색 5.6%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컬러(컬러계열)의 경우 브라운이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잿빛(애쉬) 28.7%, 보라 5.7%, 매트(카키) 5.3%, 금색(노랑) 4.9%, 적색(빨강) 4.5%, 자주색 3.6%, 오렌지 2.0%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컬러(브라운계열)의 경우 애쉬브라운 47.4%, 골드브라운 17.0%, 레드브라운 12.1%, 카키브라운 11.7%, 오렌지브라운 4.5%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이유의 경우 자신이 좋아하는 색이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색이나 모발 색을 고려한 색 39.3%, 전문가 조언에 따른 색 10.5%, 유행하는 색 4.0% 순으로 나타났다. 색상 선택 기준의 경우 나 자신이 기분에 따라 선정이 6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술자의 권유 24.3%, 타인의 권유(가족, 지인) 8.5%, 광고를 통해서 2.4% 순으로 나타났다.

Fashion Hair Dye (N=247,%)

2) 새치 커버 컬러

새치 커버 컬러 염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새치커버 컬러 염색을 시술한다고 응답한 145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새치 양의 경우 30%가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 26.9%, 50% 21.4%, 80% 3.4%, 100% 0.7% 순으로 나타났다. 새치 염색 시 고려사항의 경우 흰머리 커버력이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색상이 어울리는지 여부 23.4%, 모발의 손상도 13.1%, 염색 지속성 4.8%, 가격 1.5%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염색 밝기의 경우 어두운 갈색이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갈색 27.6%, 밝은 갈색 17.9%, 흑색 9.0%, 황갈색 5.5%, 아주 밝은 황갈색 2.1%, 밝은 황갈색 0.7%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 염색 컬러(컬러계열)의 경우 브라운이 73.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잿빛(애쉬) 12.4%, 자주색 4.8%, 보라 4.1%, 오렌지 2.1%, 금색(노랑)/매트(카키) 1.4%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 염색 컬러(브라운계열)의 경우 애쉬브라운이 42.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카키브라운 18.6%, 골드브라운 15.9%, 퍼플브라운 9.7%, 레드브라운 8.3%, 오렌지브라운 5.5%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 컬러 이유의 경우 피부색이나 모발 색을 고려한 색이 46.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신이 좋아하는 색 33.1%, 전문가 조언에 따른 색 17.9%, 유행하는 색 2.1% 순으로 나타났다. 색상 선택 기준의 경우 나 자신이 기분에 따라 선정이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술자의 권유 34.5%, 타인의 권유(가족, 지인) 14.5%, 광고를 통해서(TV, SNS 등) 4.8% 순으로 나타났다. Park(2011, p69)의 연구에서 선호 염색 밝기로 자연스러운 황갈색이 45.8%로 전체의 약 1/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밝은 황갈색, 어두운 갈색 순서로 나타났고 Sin(2002)의 연구에서는 선호 컬러로 브라운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성을 띄고 있다.

Gray Hair Dye (N=145,%)

3. 기혼자의 외모인식, 염색만족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외모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외모인식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4>와 같이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 행렬 점검 결과 χ2=2178.190(df=45, Sig=.000), KMO값 0.881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618 이상으로 나타났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earance Recognition

첫 번째 요인은 ‘외모중시’ 요인으로 요인적재 값은 0.696~0.804로 나타났으며, 고유 값은 3.304, 분산설명비율은 33.0%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외모확인’ 요인으로 요인적재 값은 0.621~0.827로 나타났으며, 고유 값은 2.237, 분산설명비율 은 22.3%로 나타났다. 세 번째 요인은 ‘외모자신’ 요인으로 요 인적재 값은 0.905~0.922로 나타났으며, 고유 값은 1.878, 분산 설명비율은 18.7%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에 도출된 세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4.1% 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세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790~0.887로 나타나, 신뢰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염색만족의 타당성 및 신뢰도

염색만족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 행렬 점검 결과 χ2=1677,235(df=28, Sig=.000), KMO값 0.858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621 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컬러만족’ 요인으로 요인적재 값은 0.669~0.811로 나타났으며, 고유 값은 3.067, 분산설명비율은 38.3%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이미지만족’ 요인으로 요인적재 값은 0.738~0.859로 나타났으며, 고유 값은 2.483, 분산설명비율은 31.0%로 나타났다.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Dyeing Satisfaction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9.3%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828~0.868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혼자의 염색 컬러에 따른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

1) 염색 컬러에 따른 외모인식의 차이

다음 <Table 6>은 염색 컬러에 따라 외모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Differences in Appearance Perception According to Dyeing Color

염색 컬러에 따른 외모인식을 알아본 결과 외모중시(p<.01), 외모확인(p<.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요인 모두 멋내기 컬러의 평균이 새치커버 컬러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Chae(2015)의 연구에서 외모관리 만족 중에서도 ‘뷰티 만족’은 외모관리 관심 중에서도 ‘외모관리 관심’은 5.2% 로 설명 되었다. 즉, 헤어스타일과 옷차림(의상)에 관심이 있으며 피부 관리, 메이크업 등 외모를 가꾸는 것에 관심이 있을수록 현재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피부상태에 대해 만족도가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2) 염색 컬러에 따른 염색만족의 차이

다음 <Table 7>은 염색 컬러에 따라 염색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이다.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Dyeing According to Dyeing Color

염색 컬러에 따른 염색만족을 알아본 결과 컬러만족(p<.001), 이미지만족(p<.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요인 모두 멋내기 컬러의 평균이 새치커버 컬러의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연구모형의 분석과 가설검증

1) 연구모형의 검증

본 연구는 기혼자의 염색컬러에 따른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이 미치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했으며, 이러한 연구모형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의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모형의 적합성 기준으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 염색컬러에 따른 외모인식을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중시와 외모확인의 요인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요인 모두 멋내기 컬러의 평균이 새치 커버 컬러의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멋내기 컬러, 새치 커버 컬러 후 외모중시과 외모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Park(2012) 모발염색의 목적(이유)는 이미지 변화가 41.8%로 매우 높게 나타나 염색컬러는 외모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뒷받침 할 수 있다.

둘째, 선호 염색컬러에 따른 염색만족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컬러만족과 이미지만족의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인식의 영향 관계와 마찬가지로 멋내기 컬러 요인이 염색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즉 멋내기 컬러와 새치 커버 컬러 후 컬러만족, 이미지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ong(2014)의 연구에서 소비자들이 염색칼라의 선명도와 유지력을 선호한다고 하며, 삶의 질이 높아질수록 비용은 고려하지 않고 시술시간에는 불만이 없다고 하여 염색을 통한 컬러 만족과 이미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뒷받침을 해 준다.

V. 결 론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외모인식 및 염색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기혼자들의 헤어컬러시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인식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미용 소비 및 미용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실무적인 부분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연령의 경우 30대가 30.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의 경우 여자 80.4%, 남자 19.6%로 여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월 소득의 경우 200만 원 이상에서 300만 원 미만이 40.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직업의 경우 서비스직 22.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의 경우 대학교 졸업이 60.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염색 컬러의 경우 멋내기 컬러 63.0%, 새치 커버 컬러 37.0%로 멋내기 컬러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혼자의 멋내기 컬러염색과 새치 커버 컬러염색을 조사한 응답 결과 멋내기 컬러 염색시술을 한다고 응답한 경우 선호하는 염색 밝기는 밝은 갈색이 2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호하는 컬러의 경우 브라운이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새치 커버 컬러염색시술을 한다고 응답한 경우 선호하는 염색밝기는 어두운 갈색이 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선호하는 컬러계열은 브라운이 73.8%, 브라운계열은 애쉬브라운이 42.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브라운 컬러는 유행 하는 컬러는 아니며 동양인의 전체적인 신체색과 조화롭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셋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인식은 외모중시, 외모확인, 외모자신과 같이 세 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고 염색만족은 컬러만족, 이미지만족과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자의 선호 염색컬러에 따른 외모인식을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염색컬러 후 외모인식이 높아지고 기혼자의 선호 염색컬러에 따른 염색만족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염색 컬러 후 염색만족도가 높아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선호 염색컬러 시술 후 외모인식과 염색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헤어미용서비스 종사자들에게 기혼자들의 선호헤어컬러와 염색시술만족도 및 외모인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앞으로 기혼자들의 외모인식과 선호헤어컬러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의 효과적인 미용 소비를 돕고 자극적인 염모제를 대체하는 컬러링제품 또는 개인에게 맞는 안전한 시술방법을 통하여 기혼자들의 헤어컬러 선택과 염색시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가 몇 번의 헤어컬러시술경험이 있는 지의 여부와 연구대상자가 기혼 여성이 80.4%, 남성 19.6%로 여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성별을 균형 있게 조사하지 못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Kang(2018)Oh(2015)의 연구에서 남성의 구매성향으로 미혼 남성에 비해 기혼 남성의 직접 구매 비율이 낮고 배우자에 의존하는 만큼 기혼남성의 구매성향과 라이프 스타일을 통한 효과적인 미용 소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미용서비스 산업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ferences

1. An, C. U. (2019). Effect of Hair Dyeing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Culture and Administrative Welfare, Deajeon, 1.
2. Cha, E. Y. (2013). A Syudy on the Beauty industry of domestic and fore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Gyeongsangnam-do, 1.
3. Chae, S. G. (2015). Influences of beauty industry worker's appearance aware by BMI index on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for appearance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4. Choi J. W., Chang C. G.. 2018;A Study on the Hair Dyeing Behavior of Adult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2):388–400.
5. Gwak, H. S. (2018). Second Baby Boom Generation’s Compensatory Consumption : Influence of Daily Stress, Self-Esteem and Materi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
6. Gwak H. S., et al. 2005. Hair science Seoul: Soomunsa. p. 1.
7. Han S. H., Choi M. R.. 2020;Study on the Appearanc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Men’s eyebrow Tattoo treatment.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4):814–824.
8. Jang, Y. H. (2012). The effect of hair dying cognition and attitude on satisfaction after hair dying and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9. Ju H. G.. 2002;A Study on the Influence of Customer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mercial Education 4:247–270.
10. Kang, Y. S. (2018).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Men’s All-in-one Cosmetics of Single and Married Ma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Seoul, 1.
11. Kim, B. M., & Kim, J. H. (2001). A Study on Hair coloring(Ⅰ). Gongju National University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Gongju, 1.
12. Kim B. M., Yu M. G.. 2004;A Study on the Hair Fash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Design 6(1):1–12.
13. Kim, H. W. (2011).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men's Hairstyle and Imag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chool of Remote Studies, Seoul, 1.
14. Kim, J. S. (2014). The Effects of a Narcissistic Tendency and Body Esteem on Beauty Management and Hair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1.
15. Kim, K. S. (2012). A Study on Women's Benefits, Interest, and Preferences Regarding Hairstyles according to Life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16. Kim Y. S., Park O. R.. 2010;Research Paper : Impact of the Benefit of Beauty Pursuit on Beauty Care Behavior in Groups with a Different Degree of Narcissism.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3):700–709.
17. Ko, M. J. (2018). The Effects of Makeup Training on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eneral Graduate School, Gwangju, 1.
18. Ko, Y. J. (2003). Study on the influences of hair colors on image change a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ferred hair colors and demographic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Gwangju, 1.
19. Kwon, K. H. (2020). Hair Color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Office Workers in their 20-30s: Focusing on Ando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Seoul, 1.
20. Kwon T. S.. 2004. Trichology Seoul: cheonggumunhwa. p. 1.
21. Kwon, T. S. (2006). (A)study on appearance image of female politicians according to fashion look style.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lothing, Seoul, 1.
22. Kwon, U. Y. (2013). (A)study on the impact of appearance care motives by lifestyle type of female consumers on permanent makeup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Seoul, 1.
23. Lee, D. S.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Hair Dye 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1.
24. Lee, Y. J. (2012). The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Gray Hair Dyeing Mark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
25. Mehrabian Albert. 2004. Silent Messages Belmont: Wadsworth. p. 43.
26. No, Y. J. (2019). The Effect of Beauty Consumption Behavior on Self-Efficacy and Apperance Satisfaction in Korean Ma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
27. Oh, D. H. (2015). A study on the consumption status of female consumer purchasing men's cosmetics and perception of grooming (men's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
28. Park, J. M. (2012). A study on satisfaction during the hair color procedure by personal color diagn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
29. Park, W. K. (2005). The study on the understanding about coloring and status of coloring product usage among cosmetolog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and Food, Seoul, 1.
30. Sin, H. S. (2002). (The)Distribution of personal color system and color-diagnosis variable factor : make-up, hair and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Seoul, 1.
31. Song, K. H. (2014).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Permanent Hair Dyes and Natural Hair Dyes - Focusing on Women in their 30s and 6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Gyeongsangnam-do, 1.
32. Yang, Y. W. (2019). The comparison of normal hair dyeing with using 'Personal color' dyeing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s, Seoul, 1.
33. Yu, S. J. (2010). Study on propensity of Well-being Activities and Beauty Treatments of Women in Daegu.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Seoul, 1.
34. Yun, J.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image with hair col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Research Model.

Table 1.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N=392,%)

Item Total
Frequency (N) Percent (%)
Age 20s 96 24.5
30s 118 30.1
40s 75 19.1
50s 78 19.9
Over 60s 25 6.4
Gender Man 77 19.6
Women 315 80.4
Average monthly income More than 2 million won - less than 3 million won 158 40.3
More than 3 million won - less than 4 million won 117 29.8
More than 4 million won - less than 5 million won 53 13.5
More than 5 million won 64 16.4
occupation professional occupation 114 29.1
public official 32 8.2
service profession 88 22.5
production occupation 11 2.8
office job 73 18.6
self-employment 35 8.9
etc. 39 9.9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or less 78 19.9
College, B.A 25 6.4
University graduation 238 60.7
In Graduate School 19 4.8
Graduate School or higher 32 8.2
Types of dyeing Fashion hair dye 247 63.0
Gray Hair dye 145 37.0
Sum 392 100.0

Table 2.

Fashion Hair Dye (N=247,%)

Item Total
Frequency (N) Percent (%)
Preferred dye brightness black 14 5.6
deep brown 34 13.8
Brown 55 22.3
light brown 66 26.7
yellowish brown 15 6.1
a bright yellowish brown 24 9.7
a very bright yellowish brown 39 15.8
Preferred color (Color series) Brown 112 45.3
Gray (Ash) 71 28.7
purple 14 5.7
Gold (Yellow) 12 4.9
Orange 5 2.0
red purple 9 3.6
red 11 4.5
Mat (khaki) 13 5.3
Preferred color (Brown) series) Ash brown 117 47.4
Purple brown 18 7.3
Gold brown 42 17.0
Orange Brown 11 4.5
Red Brown 30 12.1
Khaki Brown 29 11.7
Reason for Preference fashionable color 10 4.0
onefs favorite color 114 46.2
color on expert advice 26 10.5
Color considering skin color and hair color 97 39.3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Through advertisements (TV, SNS, etc.) 6 2.4
Choose according to my mood 160 64.8
Recommendation of others (family, acquaintance) 21 8.5
Hair designers recommendation 60 24.3
Sum 247 100.0

Table 3.

Gray Hair Dye (N=145,%)

Item - Total
Frequency (N) Percent (%)
amount of gray hair 10% 39 26.9
30% 69 47.6
50% 31 21.4
80% 5 3.4
100% 1 0.7
Considerations for dyeing gray hair Degree of hair damage 19 13.1
The color that suits me 34 23.4
Whether gray hair can be dyed 83 57.2
ability to maintain hair dye 7 4.8
Price 2 1.5
Preferred dye brightness black 13 9.0
deep brown 54 37.2
Brown 40 27.6
light brown 26 17.9
yellowish brown 8 5.5
a bright yellowish brown 1 0.7
a very bright yellowish brown 3 2.1
Preferred color (Color series) Brown 107 73.8
Gray (Ash) 18 12.4
purple 6 4.1
Gold (Yellow) 2 1.4
Orange 3 2.1
red purple 7 4.8
Mat (khaki) 2 1.4
Preferred color (Brown) Ash brown 61 42.0
Purple brown 14 9.7
Gold brown 23 15.9
Orange Brown 8 5.5
Red Brown 12 8.3
Khaki Brown 27 18.6
Reason for Preference fashionable color 3 2.1
onefs favorite color 48 33.1
color on expert advice 26 17.9
Color considering skin color and hair color 68 46.9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Through advertisements (TV, SNS, etc.) 7 4.8
Choose according to my mood 67 46.2
Recommendation of others (family, acquaintance) 21 14.5
Hair designer's recommendation 50 34.5
Sum 145 100.0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earance Recognition

Appearance Recognition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Commonality
Appearance importance Appearance check Confidence in appearance
I try to keep my appearance up to date. .804 .226 .142 .717
t is important to look good in my life. .799 .212 .118 .697
Appearance is important in my life. .792 .319 .094 .738
I try to improve my appearance. .702 .403 .165 .682
I want to buy nice clothes for my appearance. .696 .375 .197 .664
It bothers me if I donft like my outfit. .312 .827 .045 .783
I always check to see if I look okay before I go out. .313 .792 .182 .759
I often look at the reflection in the mirror. .410 .621 .253 .618
I'm satisfied with my appearance. .119 .129 .922 .882
I am confident in my appearance .195 .151 .905 .880
eigenvalue 3.304 2.237 1.878
explanatory variance (%) 33.036 22.374 18.779
Cumulative variance (%) 33.036 55.410 74.189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887 .790 .868

Table 5.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Dyeing Satisfaction

Dyeing satisfaction question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Color satisfaction Image satisfaction
I think I should match my skin tone when choosing a hair color. .811 .218 .705
I think the current dyed hair color suits my skin tone. .798 .176 .667
I think itfs important to choose a hair color that suits you when you dye your hair. .771 .260 .662
My family and friends like my hair color after dyeing it. .721 .358 .647
I like the hair color. .669 .449 .649
Preferred hair color dye changed my image. .278 .859 .816
I created a new image with my favorite hair dye. .242 .850 .781
I think preference hair color dyeing helps to direct my ima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ocial life. .276 .738 .621
eigenvalue 3.067 2.483
explanatory variance (%) 38.335 31.033
Cumulative variance (%) 38.335 69.368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868 .828

Table 6.

Differences in Appearance Perception According to Dyeing Color

Category Appearance importance
Appearance check
Confidence in appearance
M SD M SD M SD
Types of dyeing Fashion hair dye 3.71 .690 3.90 .669 3.36 .823
Gray Hair dye 3.52 .617 3.70 .681 3.35 .762
t-value (p) 2.739** 2.807** .117
**

p<01

Table 7.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Dyeing According to Dyeing Color

Category Color satisfaction
Image satisfaction
M SD M SD
Types of dyeing Fashion hair dye 3.99 .585 3.75 .680
Gray Hair dye 3.76 .567 3.39 .669
t-value (p) 3.834*** 5.121***
***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