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원소를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연구: 물, 불, 공기, 흙을 중심으로
Hair Art Study with Four Elements as Motif: Focusing on Water, Fire, Air, Earth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Human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exploring what fundamental materials make up the world, and tried to understand the world by discovering what are essential substances that make up all things. Therefore this research produced four up-style hair art works of water, fire, air and earth, inspired by four elements. In order to express fluidity and liquidity of water, Work 1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soft and rough textures. In order to express flaming quality of fire, Work 2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expressions of gentle warmth, intense heat from rising flames, and the element of death. In order to express dynamic properties of air, Work 3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aspect of rising and falling. In order to express sturdiness of earth, Work 4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qualities such as stability of resting and losing sense of directions. Researching works through these four elements reveal various materials and topics, that can become infinite source of inspiration. Hence, it’s necessary to view creative works from diverse perspectives, not limited to certain topics. Future studies on hair art could focus on further exploring various materials and subjects.
I. 서 론
인류는 오래전부터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어떠한 물질인지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왔으며, 만물의 근원적 물질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자 했던 시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존재한 인류 공통의 인식이다(Shin, 2013). 또한,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사람들은 정신적 가치의 풍요로움을 추구하고 생활 속에서 남들과는 다른 창조적인 예술적 가치를 지닌 삶을 지향하게 되었다(Lee, 2009). 이러한 예술적 가치의 추구는 개인의 독창적인 스타일 연출 수단인 미용 분야까지 많은 관심과 영향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Kim, 2012).
헤어디자인은 심미적, 실용적, 기능적 측면을 목적으로 하는 조형예술, 실용예술, 응용예술, 부용 예술로서 다양한 예술 분야와 상호 관련을 유지하며, 인간의 내적인 미의식을 표현한다(Lee et al., 2017). 헤어아트는 감각과 사상을 전달하는 예술 매체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일부 미용 예술가들은 헤어에 대한 미의 표현방식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독특한 표현양식을 의식적으로 사용하여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헤어아트로 발전시키고자 했다(Lee, 2007). 이처럼, 급변하게 발전하는 유행의 흐름에 따라서 헤어아트도 하나의 예술영역으로 발전하고 성장하여 새롭고 창의적인 작업을 고안하고 연구하게 되었다(Oh, 2020).
Lee(2017)는 국제기능올림픽 헤어디자인 직종의 미용부문 5개 과제, 이용부문 3개 과제 총 8개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Woo(2022)는 플리츠의 조형성을 모티브로 한 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8가지 헤어 조형 작품을 제작하였다. Cho(2018)는 빛 자체가 작품 주제의 오브제가 되는 라이트페인팅 작품을 구상하였고, Lee(2015)는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헤어 디자인에 접목하여 콜라주 일러스트레이션을 응용한 헤어아트를 하였으며, Kang(2022)은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을 모티브로 선정하여 작품 중 헤어 스타일을 현대적인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원소설은 고대 그리스의 엠페도클레스에 의해 나온 원소이론으로 만물은 물(아쿠아), 불(이그니스), 공기(벤투스), 흙(테라)로 이루어져 있다는 주장이다. 물, 불, 공기, 흙의 4원소는 인간의 삶 깊숙이 자리하면서 인간과 교류하며 존재하였다(Shin, 2013). 4원소설은 세월을 거쳐 ‘합리적’인 세계관을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가치와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사회, 과학, 문화, 철학 등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4원소를 모티브로 창의적인 업스타일 작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헤어에 대한 미의 표현방식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창의적이고 독특한 표현양식을 의식적으로 사용한 다양한 제작 과정을 통해 업스타일 헤어아트 작품제작에 영감이 되기를 기대한다.
II. 이론적 배경
1. 4원소
4원소설은 고대 그리스 자연 철학의 대표적인 산물로 오랜 시대를 거쳐 계승되고 수용된 자연 과학적 인식의 기틀로, 자연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되었으며, 자연을 미시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Kim, 2009). 4원소설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가 처음 주장한 것으로, 만물의 기본 요소를 물, 불, 공기, 흙이라 하였으며, 이 4원소의 결합과 분리에 의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형성된다고 설명하였다(Kim, 2005).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설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수용되어 발전하였고, 여기에 정성적 성질을 부여해 이러한 본질적 성격의 차이에 의해 상호변환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물질의 생성 원리라고 설명하였다(Sohn, 2012). 또한, 4원소설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프랑스 과학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는 인간의 상상력은 근본적으로 물질적이며 모든 이미지를 물, 불, 공기, 흙의 기준에 의해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Hong,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원소를 모티브로 하여 업스타일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2. 헤어아트
Park(2014)은 헤어아트(Hair Art)의 아트(Art)는 사전적인 의미로 예술을 뜻하고, 그리스어 ‘테크네(techne)’를 직역한 라틴어 ‘아르스(ars)’에서 유래하였으며, 의식적으로 미(美)를 창조하는 활동이라 하였다.
Lee(2021)는 헤어아트의 표현방법에 따른 종류로 실용적인 헤어아트, 모발로 표현한 헤어아트, 미술적 측면의 조형적 헤어아트로 분류하였다.
Hong(2014)은 조형적 헤어아트는 회화에서 볼 때 모든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선과 형, 공간, 재질, 색채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가 작가 특유의 감각으로 표현되어지는 영역이라 하였다.
조형적 헤어아트에 대한 고찰은 <Table 1>과 같으며, 위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조형적 헤어아트를 시각적 이미지가 공간 속에 작가의 감각으로 표현되어지는 무한한 헤어 창조물이라는 개념으로 보고 작품을 연구하고자 한다.
3. 4원소를 기반으로한 선행연구 고찰
4원소를 기반으로한 선행연구 고찰은 <Table 2>와 같다.
<Fig. 1>의 Ro(2017)는 바슐라르의 4원소 분류에 따라 색채 이미지를 나누고, 물질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작품을 표현하였다. 불, 물, 공기, 흙의 범주로 이미지를 분류하고 바슐라르의 이미지론에 나타난 색채를 재해석하여 질료에 대해 상상하는 것을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Fig. 2>의 Shin(2013)은 언어적 기능을 통한 의미전달에 창조적 시각 표현이 더해진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방법을 통하여, 4원소설이 내포하고 있는 근원적인 힘과 물질적 상상력을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Fig. 3>의 Lee(2003)는 4원소 중 물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고,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이론을 바탕으로 노출과 현상에 대한 이미지 등급의 제어를 필름과 인화지에서 적용을 통해 물질의 유동적 흐름을 표현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이론적 연구
본 연구에서 4원소의 특징을 업스타일 헤어아트로 표현하기 위해 헤어아트의 선행논문과 인터넷 서적 등을 바탕으로 물, 불, 공기, 흙의 특성, 헤어아트의 표현방법 및 개념, 기법, 작품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대 4원소의 물, 불, 공기, 흙의 대표 색상을 선정하여 이브닝 업스타일, 데이 스타일 표현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3. 연구방법
실증적 연구에서는 백모 마네킹을 헤어아트로 표현하기 위해 3가지 색상의 매니큐어롤 각각 혼합하여 색을 입혀 샴푸한 후, 드라이 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창작한 디자인을 통해 구도와 컨셉을 잡은 후 각각의 특성에 맞도록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이에 맞는 옷을 입힌 후 작품을 완성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4원소의 개념, 헤어아트의 개념 및 표현방법과 4원소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셋째, 재료 및 방법에서는 연구방법과 작품의 재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결과 및 고찰에서는 물, 불, 공기, 흙에 대한 특성을 정리하고 헤어아트의 개념을 고찰한 후 본 연구에 적합한 이브닝업스타일, 데이 스타일을 활용하여 헤어아트 총 4작품을 제작하였다.
다섯째, 결론에서는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후속방안을 제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작품제작 의도 및 모티브
본 연구에서는 고대 4원소의 특성과 작품의 구도, 표현기법 등을 분석하고 조합하여 4가지 헤어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물, 불, 공기, 흙의 특성들을 보다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대표되는 색상 3가지를 혼합하여 색을 입히고, 이브닝 업스타일과 데이 스타일을 통해 입체감 있게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4원소의 특성들을 대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펼치기, 말기, 고리 등의 기법을 통해 비대칭 균형을 사용하여, 자유로움과 활동성, 독특한 개성의 이미지를 표현해 단조로운 구조의 형태에 비해 시각적으로 더 큰 흥미도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헤어아트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활용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각 작품에 대한 모티브 및 일러스트는 <Table 4>과 같다.
2. 작품 제작
1) 공통 제작 과정
공동 사전 제작 과정은 <Table 5>와 같다.
① 작품 가발과 매니큐어를 포함한 재료들을 준비 한다.
② 헤어 매니큐어가 백모 가발의 피부에 닿지 않도록 커버링 작업을 한다.
③ 헤어 작품의 특성에 맞는 매니큐어를 조합하여 컬러작업을 시행한다.
④ 색이 퍼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모발 끝부터 모근까지 샴푸하여 드라이한다.
2) 작품 1(물)
물은 물질적 특성으로 물의 흐름, 맑음과 자유로움, 포용의 특징이 있고, 깊이와 연관된 속성이 있으며, 색채는 하양과 파랑으로 해석될 수 있다(Ro, 2017). 따라서 물을 상징하는 색상인 파란색을 기준으로 물의 깊이를 표현하기 위해 진한 파랑, 파랑, 하늘색, 그리고 하얀색으로 작품을 표현하였다. 또한, 물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이브닝 스타일을 사용하였고, 펼치기를 통한 날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물의 흐름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후두부의 높게 올라오는 날렵한 날을 통해 거친 물의 흐름을 표현하였다. 작품 1의 완성작품은 <Table 6>, 작품의 시술 과정은 <Table 7>과 같다.
3) 작품 2(불)
불은 사랑과 증오, 삶에 대한 열정과 죽음 등 여러 가지 대조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대표하는 색채 특성은 빨강으로 대변된다(Ro, 2017). 따라서 불을 상징하는 빨간색, 에너지가 강한 주황색, 스스로 빛을 내는 특성을 가진 노란색, 그리고 하얀색으로 작품을 표현하였다. 또한, 불의 상징을 표현하기 위해 이브닝 업스타일을 사용하였고, 따뜻한 느낌을 내기 위해 말기 기법과 둥근 느낌의 S결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펼치기를 통해 불길이 솟아오르는 강한 느낌을 C결로 표현하였다. 작품 2의 완성작품은 <Table 8>, 작품의 시술 과정은 <Table 9>과 같다.
4) 작품 3(공기)
공기의 이미지는 자유로움, 급격함, 변화, 상승, 하강의 동적 이미지들을 연상할 수 있고, 자유로움이라는 형용사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으며(Ro, 2017), 보라색의 상징은 불의 열기와 얼음의 차가움이 섞여 있다(Song, 2021). 따라서, 공기의 상승과 하강을 표현하기 위해 따뜻한 공기를 분홍색, 차가운 공기를 하늘색, 만나서 섞이는 색을 보라색, 그리고 하얀색으로 작품을 표현하였다. 또한, 펼치기를 통한 S결을 통해 연속적인 흐름을 만들어 공기의 상승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좌 대각으로 흐르는 C결의 흐름을 통해 공기가 아래로 이동하는 하강의 느낌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3의 완성작품은 <Table 10>, 작품의 시술 과정은 <Table 11>과 같다.
5) 작품 4(흙)
흙은 뿌리를 내리고 흔들림 없는 안정감을 상징함과 동시에 길 위에서 방향을 상실한 대비적인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고(Ro, 2017), 갈색은 안정감을주는 색채이다(Song, 2021). 따라서, 흙의 안정감을 표현하기 위해 갈색을 기준으로 진한 갈색, 갈색, 베이지색, 그리고 하얀색으로 작품을 표현하였다. 또한, 한쪽 방향으로 향하는 C결을 통해 안정감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반대쪽은 방향이 연속적으로 바뀌는 C결을 표현하면서 방향을 상실한 대비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4의 완성작품은 <Table 12>, 작품의 시술 과정은 <Table 13>과 같다.
V. 결 론
본 연구의 모티브로 사용된 4원소는 세월을 거쳐 ‘합리적’인 세계관을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가치와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사회, 과학, 문화, 철학 등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2014). 하지만 4원소를 활용한 헤어아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4원소를 통해 창의적인 업스타일 작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는 헤어에 대한 미의 표현방식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독특한 표현양식을 의식적으로 사용한 다양한 제작 과정을 통해 업스타일 헤어아트 작품제작에 영감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헤어아트의 선행연구 및 문헌, 연구의 근거를 고찰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총 4가지의 헤어아트를 제작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1은 물을 상징하는 이브닝 업스타일 작품을 제시하였고, 헤어컬러는 파란색과 하얀색을 주로 사용하여 물의 깊이를 표현하였다. 물에서 나타나는 흐르는 성질은 모발을 펼쳐서 부드러운 결과 거친 결을 대비적으로 빗질하여 유동적이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2는 불을 상징하는 이브닝 업스타일 작품을 제시하였고, 헤어컬러는 빨간색과 노라색을 주로 사용하여 불의 온도를 표현하였다. 불에서 나타나는 타오르는 성질은 모발을 펼쳐서 온화한 이미지의 결과 불꽃의 상승으로 인한 솟아오르는 결을 빗질하여 대비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3은 공기를 상징하는 데이 스타일 작품을 제시하였고, 헤어컬러는 분홍색과 하늘색을 주로 사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표현하였다. 공기에서 나타나는 상승과 하강의 성질은 모발을 펼쳐서 오른쪽으로 상승하여 흐르는 결과 좌 대각으로 하강하는 느낌의 결을 빗질하여 대비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 4는 흙을 상징하는 데이 스타일 작품을 제시하였고, 헤어컬러는 갈색과 하얀색을 주로 사용하여 흙의 깊이를 표현하였다. 흙에서 나타나는 평온함, 안정감의 성질은 모발을 펼쳐서 한쪽 방향으로 흐르는 결을 빗질하였고, 불안감의 성질은 방향이 바뀌는 결을 빗질하여 대비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4원소를 통해 작품을 연구하면서 많은 다양한 물질과 주제들이 작품에 무한한 영감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결과를 이뤄낼 수 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작품에 관해 다양한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물, 불, 공기, 흙의 특성과 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을 표현하였으며, 헤어아트의 예술 속에서 또 다른 창조물로 거듭난 것으로 볼 때, 이러한 연구가 새로운 창조적 디자인 개발에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다른 여러가지 물질과 주제들을 통해 방법론적으로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헤어아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