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실의 공간연출이 고객의 재방문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atial Production in Hair Salons on Customer’s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4):946-95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August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4.946
1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Hair-Makeup Design, College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이종민1, 진용미2,
1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예술학과, 대학원생
2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Yong-Mi Jin Tel : +82-2-940-7813 E-mail : 65621107jin@hanmail.net
Received 2023 June 6; Revised 2023 July 4; Accepted 2023 July 18.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practical basic data for hair salon marketing strategies by examining the effect of spatial production in hair salons on customer’s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nly the cleanliness factor of spatial produ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revisit intention, and the cleanliness and differentiation factor of spatial produ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word-of-mouth intention. Specific improvements in cleanliness and differentiation are as follows in order to promote revisit and word-of-mouth of beauty salon customers. First, in order to secure regular customers, the priority should be to create a clean space, and in the case of already existing hair salons, the revisit rate of existing customers can be increased by cleanly managing the space where the customer directly exists. Second, in order to attract new customers, it is believed that the effect of creating new customers through word-of-mouth can be increased by focusing on cleanliness as previously mentioned, and by using the brand's representative color so that customers can experience the brand's unique sensibility in the salon spac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previous research on beauty salon space was insignificant, and it suggest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leanliness and differentiation of beauty salon space to revisit customers and attract new customers. However, in this study, several items that hinder reliability in relation to functionality were deleted, and in future studi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further revise and supplement functionality-related items so that the constituent concepts of spatial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more closely.

I. 서 론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오늘날의 공간연출에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했다. 과거에는 제품과 공간이 공간연출의 주를 이루었다면 이제는 사용자의 편리함과 쾌적함, 사용성에서 더 나아가 정서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무형의 디자인적 요소까지 공간연출의 고려 대상이 되었다(Choi, 2014). 공간 연출을 통한 이미지 표현은 소비자에게 상징과 구성 체계를 통해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소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된다. 소비자는 판매환경의 외관과 내부의 공간 연출을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판매환경은 소비자의 행동을 유발함에 있어서 시각적 질서와 디자인 언어가 표현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면서도 객관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Lee, 2007).

우리나라 미용서비스 시장은 점차 확대되어 미용실 점포수의 양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고객의 요구가 다각화되고 복잡해지면서 단순히 기술만으로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Yang, 2020). 고객이 점포를 선택하는 것은 단순한 상품이나 서비스뿐만 아니라 직원과의 신뢰, 고객만족, 긍정적 구전을 통해서 고객충성도, 재방문과 재이용 등으로 연결된다(Lee & Lee, 2008). 미용실 선택권은 고객의 주도적 의사와 그에 따른 선택행동이므로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마케팅에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Yang, 2020). 미용실들은 고객 확보를 위하여 여러 마케팅 전략을 시도하고 있으나, 최근 소비자들의 욕구는 단순히 서비스나 기술적인 부분 이외에 시술 환경이나 미용실의 위치, 교통 등의 외부적인 점포 특성도 미용실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미용실들도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해 마케팅을 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Eo, 2014).

공간연출과 관련된 선행 연구로 Kim(2009)은 차별화된 식공간 연출의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Son(2014)은 호텔 객실 이용객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 중 어떤 요소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고, 물리적 환경과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Kim (2017)은 네일살롱의 공간연출과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른 분야에서의 공간의 연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미용실 이용객들에게 미용실의 공간연출이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헤어 산업시장에 창업을 앞두고 있는 예비 창업주 및 현 창업주들에게 미용실의 공간연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용실 마케팅 전략에 보다 실용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공간연출

공간은 인간에게 있어 근본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본질적인 요인이며, 입체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로 해석할 수 있고, 또한 연출은 목적과 연구에 따라 여러 요인들을 종합하고 기술적으로 표현하여 전체적인 효과를 창출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7). 공간표현 영역에서 공간연출은 조형적 공간에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인간의 오감과 시간까지 포함한 4차원의 조형예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공간을 사용하는 행위자를 최대한 잘 나타낼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해 주는 것을 말한다(Han, 2008). 따라서 실내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파악하고 기존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현 수준에 응하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Lee, 2002).

Park(2018)은 공간연출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예술적 가치와 연출가의 심미적인 예술성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전제조건이며, 이러한 표현의식은 시대, 국제적 환경, 민족, 사회, 개인의 종합적인 조화에서부터 가능해진다고 하였으며, Seo(2011)는 인테리어 전문 건축업자, 인테리어 담당자들에 의해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소품, 테이블, 가구 등은 직접 골라야 한다고 하였으며 목적에 맞는 알맞은 형태의 연출이 시각적,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각각의 요소가 기능과 목적에 맞게 조합되어 연출됨으로써 아름다운 공간연출 요소로서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차별화는 크기, 모양, 중량, 색상, 디자인 등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유형의 차별화와 소비자가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사회적이면서 심리적, 감성적 부분의 차이를 갖게 되는 무형의 차별화가 있다 하였다. Kim(2012)은 물리적 환경은 일반적으로 고객의 목적과 욕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존재하는 유의한 환경이기 때문에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공간적으로 배치하고 이 배치가 제대로 기능하게 하느냐는 대단히 중요하다 하였고, Kim(2017)은 네일살롱의 고객층이 다양해지고 자기표현 욕구도 강해져 기술뿐만 아니라 서비스, 마케팅, 그리고 인테리어, 청결성 등이 주요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고 하였다.

공간은 공간을 채우는 다양한 요소의 현명한 선택과 조화를 통해서 아름다운 연출이 가능하다(Song, 2013). 따라서 미용실의 목적과 유형에 따라 그 비중은 다르지만 공간을 채우기 위해서는 공간에 맞는 공간연출 요소가 필요하다. 미용실의 공간 연출은 아직 학문적 정립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선행연구를 통해 미용실 공간연출 요소를 유추할 수 있다.

Park(2018)은 식공간연출에서 효율적인 컨셉화를 위해 공간연출을 심미성, 기능성, 차별성의 3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였고, Lee(2016)는 파티의 공간기본연출을 장소, 색채, 장식, 파티플라워, 파티음악의 총 5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였고, Seo(2011)는 호텔 레스토랑의 공간연출을 조명, 음악, 주변장식의 총 3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용실의 공간연출을 미용실 고객의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적 환경으로 정의하며 미용실 공간연출의 차원과 유사하게 구분한 Park(2018)의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연출의 4가지 개별차원인 심미성, 기능성, 차별성, 청결성이 미용실 이용자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재방문의도

마케팅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흐름은 신규고객의 유치와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등의 공격적 마케팅 전략보다는 고객충성도의 제고와 더불어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방어적 마케팅에 방점을 두고있다(Fornell, 1993). 재방문의도는 미래에도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재구매 행동 및 고객유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Kim, 2010).

미용실에서 재방문은 매우 중요하다. 신규고객도 중요하지만 미용실을 유지하는 것은 대부분 고정고객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객의 재방문이란 결국 만족에서 발생되는 긍적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고, 그로인한 구전효과 등을 통해 신규고객 창출까지 역할이 미친다(Kim, 2014). Seo(2018)는 미용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적 관점에서 재방문의도를 해당 미용실에 다시 방문하려는 의지로 정의한다.

3. 구전의도

소비자는 특정한 소비행위에 관하여 다른 소비자의 소비 경험을 전해 듣거나, 혹은 그러한 경험으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특별하게 지각된 위험이 많을수록 구전을 통한 정보획득은 소비자에게 정보의 원천으로써 기여하게 된다고 하였다(Choi, 2007). 구전의도에 대해 독자적으로 다룬 연구는 미미했으나 소비자행동 연구에서 주로 ‘구전현상’으로 연구되어왔다. 경험에 대한 총체적 평가인 ‘만족’과는 다르게 구전은 개인의 직접, 혹은 간접적 경험을 통해 획득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내용의 정보를 소비자들 간에 비공식적으로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 행동과정으로 정의하였다(Seo, 2006). 구전이라는 용어는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소비자 구전의도는 고객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ark, 2018). Yang(2020)은 미용실에서의 소비경험에 대한 결과로 구전이 이루어진다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적 관점에서 구전의도를 해당 미용실에 대하여 알리고자 하는 긍정적 의지로 정의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모형 및 가설

연구 모형은 다음의<Fig. 1>과 같이 설계하였다.

Fig. 1.

Models of Research.

가설은 다음과 같다.

H1-1. 공간연출의 심미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공간연출의 기능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공간연출의 차별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 공간연출의 청결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공간연출의 심미성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공간연출의 기능성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3. 공간연출의 차별성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4. 공간연출의 청결성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미용실 이용고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4월 16일부터 6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28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15부를 제외한 26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3. 연구 방법

Kolter(1973)는 마케팅 분야에 최초로 유형적 단서가 되는 물리적 증거에 물리적 환경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마케팅 도구로써 분위기”로 정의하였고, 강조하였다. Son(2014)은 호텔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호텔 객실의 물리적 환경의 하위 요인 중 공간성, 청결성, 매력성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네일살롱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Kim(2017)의 연구에서는 네일살롱의 공간연출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과 선행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미용실의 공간연출이 재방문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조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4. 연구 도구

본 연구는 Seo(2011), Kim(2012), Lee(2016), Kim(2017), Park(2018)의 설문지를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Table 1>과 같으며, 설문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통계학적 특성 6문항, 공간연출에 관한 16문항, 재방문의도에 관한 3문항, 구전의도에 관한 3문항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공간연출과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에 관한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1점 :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 매우 그렇다)로 측정하였다.

The Measurement Concepts and Uses a Measure Used in the Study

5. 연구 분석 방법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코딩과 데이터 클리닝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빈도 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변수들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용실의 공간연출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나이는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19세 이하 순으로 조사되었고, 성별은 여자, 남자 순으로 조사되었다. 월평균 소득은 200~399만 원, 100~199만 원, 400~599만원, 600~999만 원, 1000만 원 이상 순으로 조사되었고, 최종학력은 대학교(재학생 포함), 고졸 이하, 전문대(재학생 포함), 대학원 이상(재학생 포함)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혼 여부는 미혼, 기혼, 기타 순으로 조사되었고, 직업 형태는 학생, 전문직, 사무직, 자영업, 무직, 영업직, 기타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공간연출 요인에 대해 하위 요인이 어떻게 분류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는 주축 요인 추출을 실시하였고 베리멕스 회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6개의 항목 중 타당도를 저해하는 3문항을 제외하였고, 총 13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KMO 측도는 0.912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도 유의확률이 0.05 미만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누적분산이 71.722%로 나타나, 구성된 4개 요인의 설명력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각 요인에 구성된 항목을 보면, 첫 번째, 두 번째 요인에는 4개 항목이, 세 번째 요인에는 3개 항목이, 네 번째 요인에는 2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구성된 항목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첫 번째 요인은 차별성, 두 번째 요인은 청결성, 세 번째 요인은 심미성, 네 번째 요인은 기능성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적재값은 모두 0.4 이상으로 나타나, 전반적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만족하였으며, 이후 추가적인 조정 없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2) 측정도구의 신뢰도

공간연출의 하위 요인과 재방문의도, 구전의도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공간연출의 하위 요인 및 재방문의도, 구전의도에 대해서 각각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모두 0.6 이상으로 나타나, 주요 변수들의 신뢰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신뢰도를 낮추는 문항은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문항의 수정 없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미성은 기능성(r=.608, p<.01), 차별성(r=.584, p<.01), 청결성(r=.636, p<.01), 재방문의도(r=.438, p<.01), 구전의도(r=.438,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기능성은 차별성(r=.475, p<.01), 청결성(r=.574, p<.01), 재방문의도(r=.388, p<.01), 구전의도(r=.382,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차별성은 청결성(r=.518, p<.01), 재방문의도(r=.344, p<.01), 구전의도(r=.474,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청결성은 재방문의도(r=.498, p<.01), 구전의도(r=.727,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재방문의도는 구전의도(r=.727,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3. 미용실 공간연출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미성, 기능성, 차별성, 청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그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25.098, p<0.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27.9%(수정된 R 제곱은 26.7%)로 나타났다. 한편 Durbin-Watson 통계량은 1.684로 2에 근사치를 보여 잔차의 독립성 가정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분산팽창지수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다고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Spatial production in Hair Salon on Customer's Revisit Intention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심미성(β=0.150, p=ns), 기능성(β=0.087, p=ns), 차별성(β=0.045, p=ns)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청결성(β=0.329, p<0.001)만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용실 공간의 청결성이 높아질수록 고객의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는 네일살롱의 청결성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인 Kim(2017)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미용실 공간의 청결성에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미용실 단골고객을 확보하는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미용실 공간연출이 고객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미성, 기능성, 차별성, 청결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Table 6>와 같다. 그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37.756, p<0.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36.7%(수정된 R 제곱은 35.8%)로 나타났다. 한편 Durbin-Watson 통계량은 1.943으로 2에 근사치를 보여 잔차의 독립성 가정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분산팽창지수는 모두 10 미만으로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다고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Spatial production in Hair Salon on Customer's Word-of-mouth Intention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심미성(β=0.024, p=ns), 기능성(β=0.013, p=ns)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차별성(β=0.232, p<0.001), 청결성(β=0.426, p<.001)만 고객의 구전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용실 공간의 차별성과 청결성이 높아질수록 고객의 구전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준화 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청결성(β=0.426), 차별성(β=0.232) 순으로 구전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위의 결과는 한식뷔페레스토랑의 공간 차별성이 고객의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인 Park(2018)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미용실 공간의 청결성과 차별성에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미용실의 구전을 통한 신규고객을 확보하는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미용실 이용고객 280명을 대상으로 미용실의 공간연출요인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미용실 운영에 있어 공간연출의 요인 중 어떠한 요인에 강점을 두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연출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간연출은 심미성, 기능성, 차별성, 청결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는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미용실의 공간연출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간연출의 청결성 요인만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실의 공간연출이 고객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간연출의 청결성과 차별성 요인이 고객의 구전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연출의 심미성, 기능성, 차별성이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미용실의 조명이 조화롭다, 미용실의 공간 배치가 효율적이다, 공간이 해당 브랜드를 잘 표현했다. ’등의 내용을 포함한 하위요인이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로 해석되며, 공간연출의 심미성, 기능성이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미용실 공간의 색감이 조화롭다, 대기석의 간격이 적당하다. ’등의 내용을 포함한 하위요인이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로 해석된다. 이는 미용실 이용고객의 재방문과 구전의도를 증진 시키기 위해 공간의 청결성과 차별성에 강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미용실 이용고객의 재방문과 구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청결성과 차별성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 오픈하는 미용실의 경우 단골고객의 확보를 위해서는 공간을 연출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깔끔해 보이도록 연출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며, 이미 존재하는 미용실의 경우에는 고객이 직접 존재하는 공간과 시선이 닿는 공간을 청결하게 관리함으로써 기존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신규고객의 유입을 위해서는 앞선 내용과 같이 청결성에 강점을 두는 것과 더불어, 고객이 미용실 공간 속에서 해당 브랜드만의 독특한 감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브랜드의 대표 컬러를 활용하는 등의 개선을 통해 구전을 통한 신규고객의 창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용실 이용고객이 미용실의 공간연출 요소 중 어떤 요소에 더 영향을 많이 받는지 알아보는 연구로, 기존에 미용실 공간에 관한 연구가 미미했기에 본 연구가 의의가 있으며, 고객의 재방문과 신규고객의 유입을 위해 미용실 공간의 청결성과 차별성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시사점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연출 요소 중 기능성과 관련하여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항을 여럿 삭제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공간연출에 관한 구성개념을 보다 면밀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기능성과 관련한 문항을 좀 더 수정·보완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Choi, B. K. (2014). A Study on the family restaurant space design of focused on user experience. A master’s thesis at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p. 1.
2. Choi, S. M. (2007). Impact of Customer Percep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Hotel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 Ph.D. thesis of Sejong University, p. 49.
3. Eo, K. S. (2014).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alons on the customer’s degre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A master’s thesis at SeoKyung University, p. 1.
4. Fornell C.. 1993;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 The Swedish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6(1):6–21.
5. Han, M. S. (2008).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isplay. A master’s thesis at Sangmyung University, p. 9.
6. Kim, B. M. (2017). The Impact of nailsalons’ Interior production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ation. A master’s thesis at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 pp. 1-39.
7. Kim, E. S. (2014). Quality of Service of the Private Hair Salon and the Impa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visit Intention. A Ph.D. thesis at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 44.
8. Kim, J. H. (2010). The Effects of the Choice Attributes of Coffeeshop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 Intention - A Case Study of Gwangju. A master’s thesis at Honam University, p. 36.
9. Kim, M. J. (2009). Study of the Effects of Presentation of Food and Dining Area in Family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s - Study Focused on the Busan Area -. A master’s thesis from Dong-Eui University Graduate School, p. 2.
10. Kim, M. Y. (2012). The Effects of Hotel Restaurant’s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Loyalty. A master’s thesis from Se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p. 12.
11. Kotler. 1973;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4):50–52.
12. Lee, J. E. (2016). Study on the Impact of Party Space Creation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Act. A master’s thesis at Kyunggi University, p. 18.
13. Lee J. R.. 2002;A Study on the Space Design Trends of Skin Care Sho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8(3):122.
14. Lee, M. N. (2007). A Study on Color Production of Cosmetic shop Focused on Visual function of Wall as Space-direction element. A master’s thesis at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 1.
15. Lee Y. M., Lee N. H.. 2008;Transactions : A Study on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Service Loyalty in the Beauty Service : The Mediating Roles of Relationship Quality and Switching Cos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5):625–635.
16. Park, J. Y. (2018). Influence of dinning space styling in Korean buffet restaurants on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intention of customer : Focusing on display of disposable table mats. A master’s thesis at Kyu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pp. 21-37.
17. Seo, H. (2006).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by customer's involvement in casino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 Ph.D. thesis at Kyung Hee University, pp. 43-48.
18. Seo, H. J. (2011). Effects of Food Space Design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ed on Food Styling of Hotel's Restaurants. A master’s thesis at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pp. 15-17.
19. Seo M. S.. 2018;The Effect of Customer’s Preception of a General Beauty Salon and a Specialized Beauty Salon on Satisfaction with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4):742.
20. Son, B. K. (2014).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hotel room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all intention. A master’s thesis at Keimhyung University, pp. 2-65.
21. Song, W. K.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party planning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style. A Ph.D. thesis at Kyunggi University, p. 28.
22. Yang S. K.. 2020;The Effect of Marketing mix 7Ps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itive Word of Mouth in Over 50’s Hair Sal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3):61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Models of Research.

Table 2.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iable Sortaion Frequency (N=265) Percent (%)
Sex Male 91 34.3
Female 174 65.7
Age Under 19 3 1.1
20-29 124 46.8
30-39 69 26.0
40-49 36 13.6
50-59 25 9.4
Over 60 8 3.0
Monthly income 1.00-1.99 Million Won 107 40.4
2.00-3.99 Million Won 120 45.3
4.00-5.99 Million Won 31 11.7
6.00-9.99 Million Won 6 2.3
Over 10.00 Million Won 1 0.4
A final education Below high school 49 18.5
Graduation from a junior college 45 17.0
Graduation from university 128 48.3
Graduation from graduate school 43 16.2
Marriage Single 171 64.5
Married 92 34.7
Ect 2 0.8
Occupation An office job 44 16.6
A sales positon 18 6.8
Specialized job 59 22.3
Self-employment 38 14.3
Student 64 24.2
Not employed 33 12.5
Ect 9 3.4
Total 265 100

Table 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patial Production

KMO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912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Approx x2 1699.935
df 78
p .000
*

p<.05,

**

p<.01,

***

p<.001

Items Communality Factors
Differentiation Cleanliness Aesthetics Functionality
Item 11 .787 .855 .146 .103 .157
Item 10 .726 .850 .164 .118 .222
Item 9 .688 .723 .220 .284 .190
Item 12 .704 .702 .239 .391 -.047
Item 14 .726 .142 .820 .088 .158
Item 15 .715 .087 .751 .279 .256
Item 13 .682 .228 .747 .227 .143
Item 16 .660 .316 .695 .248 .123
Item 2 .720 .321 .181 .763 .054
Item 3 .704 .212 .283 .711 .271
Item 4 .685 .143 .330 .617 .418
Item 8 .751 .129 .154 .291 .792
Item 6 .688 .287 .380 .061 .676
Eigenvalue 2.916 2.822 2.012 1.573
Common Variance (%) 22.429 21.710 15.481 12.102
Cumulative Variance (%) 22.429 44.139 59.620 71.722

Table 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patial Production

KMO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912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Approx x2 1699.935
df 78
p .000
*

p<.05,

**

p<.01,

***

p<.001

Items Communality Factors
Differentiation Cleanliness Aesthetics Functionality
Item 11 .787 .855 .146 .103 .157
Item 10 .726 .850 .164 .118 .222
Item 9 .688 .723 .220 .284 .190
Item 12 .704 .702 .239 .391 -.047
Item 14 .726 .142 .820 .088 .158
Item 15 .715 .087 .751 .279 .256
Item 13 .682 .228 .747 .227 .143
Item 16 .660 .316 .695 .248 .123
Item 2 .720 .321 .181 .763 .054
Item 3 .704 .212 .283 .711 .271
Item 4 .685 .143 .330 .617 .418
Item 8 .751 .129 .154 .291 .792
Item 6 .688 .287 .380 .061 .676
Eigenvalue 2.916 2.822 2.012 1.573
Common Variance (%) 22.429 21.710 15.481 12.102
Cumulative Variance (%) 22.429 44.139 59.620 71.722

Table 4.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Factor Cronbach’s α Number of Items
Spatial production Differentiation .870 4
Cleanliness .845 4
Aesthetics .810 3
Functionality .616 2
Revisit Intention .855 3
Word-of-Mouth Intention .875 3

Table 5.

The Effect of Spatial production in Hair Salon on Customer's Revisit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TOL VIF
Revisit Intention Aesthetics .159 .083 .150 1.917 .455 2.197
Functionality .088 .071 .087 1.237 .563 1.777
Differentiation .033 .050 .045 .668 .613 1.630
Cleanliness .333 .074 .329 4.511*** .521 1.920
F (p) 25.098***
R2 (adj. R2) .279 (.267)
Durbin-Watson 1.684

Table 6.

The Effect of Spatial production in Hair Salon on Customer's Word-of-mouth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TOL VIF
Word-of-Mouth Intention Aesthetics .028 .085 .024 .322 .455 2.197
Functionality .014 .073 .013 .196 .563 1.777
Differentiation .189 .051 .232 3.682*** .613 1.630
Cleanliness .474 .076 .426 6.239*** .521 1.920
F (p) 37.756***
R2 (adj. R2) .367 (.358)
Durbin-Watson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