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브루타 교수법이 미용전공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bruta Teaching Method on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Ability of Beauty Major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how the Havruta teaching method affects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ability by conducting a beauty major class applying the Habruta teach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ability improved after applying the Habruta teaching method. In addition,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listening, overcoming stereotypical thinking, creative communication,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learning attachment, self-confidence, openness, responsibility, and autonomy by subfactors of self-directed ability. The perception of Habruta teaching metho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stening, overcoming stereotypical thinking, creativ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s, and the perception of Habruta teaching metho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attachment, self-confidence, openness, responsibility, and autonomy. As this study has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the Habruta teaching method on improving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abil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duct beauty major classes by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the Habruta teaching method.
I. 서 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교육의 바람직한 변화란 무엇인가 숙고(熟考)해야 할 때이다. 미래사회를 견인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의 변화가 우선시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교육의 중요성은 수없이 강조하여도 모자람이 없을 것이다. 교육은 단순하게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주는 것 뿐 아니라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찾아내어 삶을 개척해주고, 개인과 사회를 위한 목적을 초월하여 인류에게 보편타당한 가치와 상호 존중을 통한 인류의 공존과 번영 추구 및 다양한 가치를 존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사회의 주역인 대학생을 교육하는 대학교에서는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 새롭고 다양한 교수법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2019년 교육부는 ‘사람중심의 미래 교육’과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고(Kim, 2022), 대학에서는 창의와 융합을 기반으로 한 지식의 발달, 사회적 문제의 통합적 교육으로 지식기반산업 및 미래사회를 선도할 미래 인재를 양성해야 할 책무를 갖게 되었다(Kim et al., 2016; Kim, 2022).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인 창의와 융합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최근 질문과 토론 중심의 하브루타 교수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Kim et al., 2022; Min, 2022). 하브루타 교수법은 자율적이고 성공적인 학습자로 만들 수 있는 교수법으로 친구, 교수와의 적극적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학습자가 동료와 짝을 지어 개방적인 태도로 대화를 하고 토론을 하며, 문제를 만들어 내면서 창의적 사고를 기르고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초점을 둔다. 또한 여러 가지의 형태의 질문, 토론을 통해 학습자 간,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중요시되는 하브루타 교수법에서 질문과 토론, 문제 만들기를 하며 함양되는 역량은 자기주도역량이다. 자기주도역량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며, 학습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를 거쳐 성공적인 학습이 되도록 주도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말한다(Jang & Park, 2020). 또한 학습자가 학습의 전 단계에서 의사결정 및 행동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학습에 대한 욕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목표의 달성을 위해 학습을 수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다(Han, 2010). 따라서 하브루타 교수법은 상호협력적 관계에서 질문, 토론을 통해 사고를 완성해 가므로 의사소통능력이 길러지고, 스스로 학습문제를 해결하고 평가하면서 자기주도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최근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특히 소통 중심형 수업이 크게 주목받게 되면서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간호학 수업에 관한 연구(Ha & Lee, 2021), 유럽지역학 교육을 위한 하브루타 개발 및 적용 연구(Lee & Kim, 2022), 하브루타를 활용한 가정예배 연구(Hwang & Kim, 2018),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아동건강 교육 연구(Byon, 2022), 하브루타 미술방안 고찰연구(Han, 2020),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하브루타 기반 수업 연구(Lee, 2022), 사회복지전공 학습자의 하브루타 교수법 적용사례연구(Jang, 2022) 등이 있으나 미용전공에서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미용전공 수업을 진행하고 하브루타 교수법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소통 중심형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하브루타 교수법이 미용교육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고,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미용교육의 교수 방안으로 삼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하브루타 교수법의 개념
하브루타(히브리어: רוּתא ָ בְ ח ַ 핫브루타, 영어: chavruta, havruta)는 정통 유대교 교리를 따르는 유대인의 전통적 학습방법으로 문자적 의미는 함께, 우정, 동료 등을 뜻한다. 하브루타 교수법은 ‘짝과 함께 질문 및 대화하는 것’(Lee, 2017)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문하기, 논쟁하기, 비교하기, 친구 가르치기, 문제 만들기’ 등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자신의 생각을 분석 및 조직화하여 상대방에게 설명하며,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고 질문하면서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기도 한다(Kent, 2010; An et al., 2022). 좁은 의미로는 동급생, 넓은 의미로는 가정, 선생님과 서로 대화함으로써 서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사고력,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하브루타의 장점은 소통하며 추론하는 과정 속에서 다층적인 지식이해와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이다(Choi, 2021). 하나의 주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해결법(Choi, 2021)이 도출될 수 있는 교수법이다.
2. 하브루타의 특징
교사가 학생에게 강의하고 시험을 통해 정보를 암기하고 다시 반복하는 기존 교실 학습이나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를 하는 학회와는 달리 하브루타는 학생들이 학습 과제를 구두로 설명한다. 또한 상대의 논증에 오류를 찾아내고 서로의 생각에 대해 질문하며 종종 본문의 의미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통찰력을 갖게 된다. 하브루타는 학생들이 배움에 집중하며, 추리력을 날카롭게 하고, 생각을 말로 발전시키고, 논리적인 논쟁으로 그의 생각을 정리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유형의 학습은 또한 모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아이디어에 정밀성과 명확성을 부여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분석하고, 대응하는 것은 타인에 대한 존경을 심어주는 효과가 있다(Ha & Lee, 202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K대학교 미용 전공 학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용전공교수 3인이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였고, 교육학전공교수 1인이 검수하였으며,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 한 수업은 미용학개론이다. 수업을 진행하기 전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주 수업을 마친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브루타 교수법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의사소통은 Cho & Lee(2019)의 연구를 참고하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Min(2022), Kang(2020), Han & Kim(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은 위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취지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수집하게 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총 40명 중 전공은 메이크업&네일미용 22명(55.0%), 헤어미용 10명(25.0%), 피부미용 8명(20.0%) 순으로 나타났고, 졸업 후 희망진로는 취업 16명(40.0%), 고시(공무원, 교사, 국가자격증)와 미정이 각 8명(20.0%), 창업(프리랜서) 5명(12.5%), 진학(대학원, 유학) 3명(7.5%)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값이 0.856,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146.622(df=10,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75.984%로 나타났다. 즉, 요인 1(75.984%)은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으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의사소통능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의사소통능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값이 0.602,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153.012(df=66,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7.919%로 나타났다. 즉, 요인 1(19.274%)은 ‘창의적 의사소통’, 요인 2(16.646%)는 ‘경청’, 요인 3(16.221%)은 ‘타인관점 이해’, 요인 4(15.778%)는 ‘고정관념적 사고극복’으로 명명하였다. 총 4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기주도능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자기주도능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KMO값이 0.727,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427.202(df=120,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76.535%로 나타났다. 즉, 요인 1(20.498%)은 ‘학습애착’, 요인 2(20.414%)는 ‘개방성’, 요인 3(17.859%)은 ‘자기확신’, 요인 4(17.764%)는 ‘책임, 자율성’으로 명명하였다. 총 4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하브루타 교수법 적용 후 효과분석
1)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의 사전-사후 변화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은 사전 평균(M=2.84)에서 사후 평균(M=3.99)로 1.15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8.152, p<.001). 따라서 하브루타 교수법 적용 후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대상자가 미용학개론을 수강하는 신입생이므로 새로운 교수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라 분석할 수 있겠다.
2) 의사소통능력의 사전-사후 변화
의사소통능력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은 사전 평균(M=3.39)에서 사후 평균(M=3.76)로 0.37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685, p<.01).
각 하위영역별 살펴보면 경청은 사전 평균(M=3.32)에서 사후 평균(M=3.75)로 0.43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2.338, p<.05), 고정관념적 사고극복은 사전 평균(M=3.31)에서 사후 평균(M=3.69)로 0.38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203, p<.05). 창의적 의사소통은 사전 평균(M=3.22)에서 사후 평균(M=3.63)로 0.41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2.422, p<.05), 타인관점 이해는 사전 평균(M=3.70)에서 사후 평균(M=3.98)로 0.28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441, p<.05). 따라서 하브루타 교수법 적용 후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과 하위영역별 경청, 고정관념적 사고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가 비교적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 교수법은 질문과 토론, 문제 만들기 등을 통하여 의사를 소통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영역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3) 자기주도능력의 사전-사후 변화
자기주도능력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자기주도능력은 사전 평균(M=3.50)에서 사후 평균(M=3.96)로 0.46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4.320, p<.001).
각 하위영역별 살펴보면 학습애착은 사전 평균(M=3.54)에서 사후 평균(M=4.14)로 0.60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3.897, p<.001), 자기확신은 사전 평균(M=3.64)에서 사후 평균(M=3.96)로 0.32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343, p<.05). 또한 개방성은 사전 평균(M=2.98)에서 사후 평균(M=3.66)로 0.68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4.524, p<.001), 책임, 자율성은 사전 평균(M=3.86)에서 사후 평균(M=4.08)로 0.22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068, p<.05). 따라서 하브루타 교수법 적용 후 전반적인 자기주도능력과 하위영역별 학습애착, 자기확신, 개방성, 책임, 자율성이 비교적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질문과 토론, 문제 만들기 등을 통하여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고 준비해 온 논제에 대해 토론하므로 학습애착, 자기확신, 개방성, 책임 자율성이 하위요인이 되는 자기주도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4.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능력 간의 상관관계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은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별 경청(r=.470, p<.01), 고정관념적 사고극복(r=.477, p<.01), 창의적 의사소통(r=.385, p<.05), 타인관점 이해(r=.491, p<.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능력의 하위요인별 학습애착(r=.437, p<.01), 자기확신(r=.485, p<.001), 개방성(r=.361, p<.05), 책임, 자율성(r=.515, p<.01)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이 하브루타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Min(2022)의 연구, 하브루타 교수법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을 향상시킨다는 Kim(2022)의 연구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먼저 경청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2.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777, p<.01).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470, p<.01)은 경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관념적 사고극복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2.7%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1.177, p<.01).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477, p<.01)은 고정관념적 사고극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의사소통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4.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6.626, p<.05).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385, p<.05)은 창의적 의사소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관점 이해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4.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2.092, p<.01).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491, p<.01)은 타인관점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경청, 고정관념적 사고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Cho & Lee(2019)의 연구에서 밝힌 것과 같이 하브루타 교수법이 경청을 통해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며 숨겨진 의미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창의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결과와 관계있다.
6.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자기주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자기주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먼저 학습애착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9.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8.984, p<.01).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437, p<.01)은 학습애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확신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3.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1.662, p<.01).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485, p<.01)은 자기확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0%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5.687, p<.05).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361, p<.05)은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자율성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6.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3.730, p<.01). 독립변수로써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β=.515, p<.01)은 책임,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애착, 자기확신, 개방성, 책임, 자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하브루타 교수법이 학업성취를 높인다는 Byon(2022)의 연구, 학습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Choi(2022)의 연구, 개방성, 탐구성을 향상시킨다는 Kim(2022)의 연구, 학습몰입과 객관성을 향상시킨다는 An et al.(2022)의 연구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는 소통 중심형 수업을 진행하기 적합한 하브루타 교수법을 미용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하브루타 교수법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하기 전보다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에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별 경청, 고정관념적 사고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주도능력의 하위요인별 학습애착, 자기확신, 개방성, 책임, 자율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은 경청, 고정관념적 사고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브루타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자기주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학습애착, 자기확신, 개방성, 책임, 자율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 교수법, 즉 짝을 만들어 질문하고, 토론․토의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조직화하고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며, 문제를 만들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게 되면서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능력은 학업성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성취는 미래를 설계하고 직업을 선택하는 학습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다. 미용전공은 인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숙련된 직무능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실습 시간이 부족하다보니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본 연구에 진행된 수업도 이론수업이다. 그러나 하브루타 교수법을 통해 학업성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실증적으로 검증된 만큼 하브루타 교수법과 같이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여 이론 및 실기 수업을 진행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 학교에 재학 중인 미용전공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시킬 수 없음을 밝히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