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5); 2023 > Article
헤어디자이너의 소비성향과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태도의 관계

Abstract

The need for research on luxury consumption behavior is increasing as individual luxury consumption is expanding among various consumers as a symbolic factor representing their individuality and social status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increase in personal income. Therefore, in this paper, propensity to consume,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and luxury purchase attitud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study the consumption behavior of the hair designer group. This study directly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to adults in their 20s and old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a self-response survey, and collected 338 questionnaire analysis data, excluding 62 that were deemed insufficient to analyze.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air designers' propensity to consume,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and luxury purchase attitude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was analyzed how propensity to consume, affects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and luxury purchase attitude, and how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affects luxury purchase attitu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with high ostentatious and planned tendencies are more likely to have an incentive to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and consumers with reasonable tendencie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hair designers who want to purchase luxury goods for social or practical purposes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This show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and purchase attitude, and suggests that consumers' purchase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strategies that emphasize brand value.

I. 서 론

명품 소비와 국민소득의 상승은 한국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이다. 2022년 통계청에 따르면 국민총소득(GNI)은 2020년 3,776.6만원, 2021년 4,048.2만원, 2022년 4,220.3만원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이러한 소득의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인 삶의 질이 높아졌다. 더 높은 소득을 가진 개인들은 경제적 여유가 있어 명품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지며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명품 소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가구 구성원의 변화도 주목할 부분이다.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자신을 위한 더 많은 소비가 늘어하는 경향을 보이며(Gwak, 2022), 이에 따라 자신을 치장하기 위한 명품 소비에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명품 소비가 중년 여성뿐만 아니라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명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의 명품소비는 개성 표현과 사회적인 위치를 드러내는 방법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Choi, 2010).
이에 따라 한국의 명품 시장은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23년에는 세계 명품 시장 7위로 올라섰으며, 전년대비 4.4%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또한 국내 주요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도 매출과 이익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명품 시장의 성장은 기업들이 다양한 마케팅 활동과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유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헤어디자이너의 외적이미지가 고객에게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고객들과 많은 만남을 경험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처음 만난 상대방을 평가하는 기준은 외모, 즉 겉모습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영향이 크다(Lee, 2011). 그리하여 미용종사자 즉 헤어디자이너는 사회 문화적인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외모에 대한 이상적인 기준을 형성하며, 외모적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헤어스타일, 화장법, 피부 관리, 체중관리, 패션, 성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철저한 외모 관리를 계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Park, 2014). 이와 관련하여 명품 소비는 일부 사람들에게 외모의 상징이자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헤어디자이너들은 자신의 외모와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명품 소비에 관심을 가지고, 명품 제품을 통해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축하며, 고객들에게 신뢰와 전문성을 전달하려는 목적성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고객들은 헤어디자이너의 외모를 직접 보고 대화하며 미용 사업의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명품 소비와 관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헤어디자이너가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외모를 가지고 명품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면 이는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성공을 강조하며 고객들에게 신뢰와 전문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헤어디자이너의 외적 치장은 미용서비스의 만족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Kang, 2014).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Shin(2020)의 연구결과 소비자들의 소비성향별 소비생동이 긍정적인 소비심리를 일으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Myeong(2016)의 연구결과 지각된 가치가 구매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Gao(2019)의 연구결과 구매동기가 과시적이고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어 할수록 명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높여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처럼 명품에 대한 인식과 규모는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헤어디자이너의 명품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338명의 헤어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소비성향과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태도에 관하여 알아보며 각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미용 산업에 발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명품구매행동

명품은 세계적으로 유명하거나 가격이 아주 비싼 상표의 제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용어는 라틴어 “Luxus”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Hwang et al., 1997). 명품은 오래 사용해도 가치가 유지되며 빛나는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초기에는 장인 정신이 녹아 있는 희귀한 물건으로서 소유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에는 브랜드나 가격에 초점을 맞추어 명품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Choi, 2001). 과거에는 부유한 중년층만이 찾던 유명 브랜드의 고가 명품은 최근에는 대중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연령이나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누구나 소유하고 싶어 하고 갖고 싶어 하는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으며, 명품은 이제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인식되고 있다(Jung & Hwang, 2014). Grossman & Shapiro(1988)은 고가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소비 행동과 능력을 상징하며, 특정 브랜드를 사용함으로써 소유자가 권위를 얻는 상품을 명품으로 정의하였으며 Nia & Zaichokowsky(2000)은 소비자가 명품으로 인식하는 제품은 고가격과 상류층의 취향을 반영하며, 명품의 특징으로는 높은 가격과 브랜드명이 지각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Kim(2002)은 상징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우수한 제품 품질, 독특한 디자인, 역사적 전통 등의 미적 요소가 결합한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제한적 생산량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러한 명품의 개념을 선행연구에서 살펴보면 Kim(2014)은 미용 제품 구매 행동에 있어 의사결정유형과 광고수용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며,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광고 수용 태도가 다르게 형성되며, 광고 수용 태도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Lim(2022)은 구매행동의 브랜드 추구성 요인은 환경성, 편리성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으며, 인테리어와 세련된 시설, 편의시설을 방문 시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명품은 고가의 제품으로서 소비자의 소비 행동과 능력을 상징하며, 높은 가격과 브랜드명이 인식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명품은 상징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우수한 제품 품질, 독특한 디자인, 역사적 전통 등의 미적 요소와 제한된 생산량, 높은 가격으로 인한 희소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2. 소비성향

소비는 사람들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여 소비하는 행위로 알려져 있다(Zhang, 2016). 최근에는 소비가 과시를 넘어서 다양한 감정적, 신체적, 감각적, 미학적인 경험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는 개인의 취향과 행동에 맞는 소비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Zhao, 2014). 또한 소비는 경제적인 재화나 서비스를 얻거나 사용하기 위한 개인의 행동과 의사결정 과정을 의미하며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Shin, 2020). 소비는 주관적 가치 만족을 중시하며, 금전적 및 비금전적 비용을 포함하고, 기능적 및 감성적 혜택을 얻는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Myeong, 2016). 이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 행동과 소비성향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Kim, 2018).
이와 같이 소비성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ang(2019)은 소비자들은 각자 다른 요구 사항과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자들을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비성향을 합리적 소비성향과 충동적 소비성향으로 구분하였다. Shin(2020)은 품위 유지와 기분 전환은 모두 양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소비성향에 따라 다른 소비 행동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긍정적인 소비심리가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Cho(2003)의 연구에 따르면 브랜드지향/과시소비형은 브랜드 의류 제품을 많이 구매하며 디자인, 색상, 상표 인지도, 유행성, 서비스 등을 중요시한다. 타인지향 과시소비형은 모조품을 많이 구매하고,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돈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격 경제성과 타인의 호감도를 중요시한다.
이처럼 소비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위로 이해되며, 다양한 소비성향이 존재한다. 합리적 소비성향과 충동적 소비성향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조건을 고려하여 분류된다. 또한, 소비성향은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품위 유지와 기분 전환 등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소비자의 세부적인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소비 행동과 선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이러한 성향을 이해함으로써, 소비 행동과 소비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소비 성향을 과시적 성향, 합리적 성향, 계획적 성향으로 하인 요인을 나누어 소비자의 세부적인 성향을 분석하였다.

3. 명품구매동기

명품의 구매 동기는 내적 요인에 의해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Jang, 2015). Maslow는 동기 이론에서 생리적 동기, 안전 동기, 사회적 동기, 자존 동기, 자아실현 동기라는 5단계 동기를 제시했다. Maslow에 따르면 생리적 동기는 필수적인 동기로 생존에 필요한 욕구를 의미하며, 안전 동기는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안전을 보장받기 위한 욕구가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적 동기는 집단 소속과 정서에 대한 동기이며, 자존 동기는 내적 만족감, 타인의 인정, 사회적 지위 획득을 위한 욕구이다. 마지막으로 자아실현 동기는 개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단계로서 최고 수준의 욕구라 주장하였다. 따라서 명품 구매 동기는 Maslow의 이론에서 상위 동기 단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행동을 추진하는데, 이는 내적 동기와 심리적, 생리적 욕구에 기초한다(Yoo, 1983).
구매 동기는 유형별 욕구 충족을 위해 개인의 인식을 구매 행동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He, 2019). 이는 인식 과정에서 욕구가 발생하고 이를 촉매로 소비 행동이 나타나는 충동적인 욕구로 설명될 수 있으며, 개인의 심상 및 생활양식과 환경 요인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Han, 2013). 구매 동기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소비자의 행동 패턴을 추정하는 데 필수적이다(Solomon & Rabolt, 2004). Veblen(1899)은 “유한계급론”이라는 저서에서 소비자들의 구매 동기 중 가장 중요한 동기로 “과시성”을 제시하였다. 그는 과시적 소비를 금전적 위력을 보여주는 목적과 무수한 가치의 물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고가의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베블런 효과”라고 표현했다. 이에 따라 Mason(1992)은 현대의 과시 소비를 구조화하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사회적 신분과 소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로는 Song(2008)은 직업, 소득, 의복 지출 등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명품 구매 동기에 영향을 미치며, 학생은 기능과 실용성, 전문 기술직은 고급성, 전업주부는 심리성 요인에 관심을 가진다고 언급했다. 또한, 높은 소득과의 복 지출 비율일수록 심리성과 고급성 요인이 강조된다고 하였으며 Jang(2015)은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명품 구매 동기에 대한 차이에서 독특성과 품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과 중국 소비자 간에 명품 구매 동기의 차이가 있다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품구매동기를 선행연구의 바탕으로 개인의 내적 욕구와 심리적, 생리적 요인에 기초하여 사회적 과시 동기와 실용 합리적 동기로 하위 요인으로 분류하여 소비자의 세부적인 성향을 연구하였다.

4. 명품구매태도

태도는 개인이 특정 대상에 대해 어떤 정도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태도는 개인이 어떤 대상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의 정도로 정의되었으며(Thurstone, 1931), 주어진 대상에 대해 일관성 있게 우호적이거나 비우호적으로 반응하려는 학습된 선입견의 경향으로 정의되었다(Allport, 1937). 또한 Fishbein & Ajzen(1975)은 태도의 대상이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서 어떻게 평가되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 강조되었으며, 소비자들의 명품에 대한 소비 욕망은 소비자들의 변화된 구매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시장에서 명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명품에 대한 구매 태도와 주요 소비층도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Hwang, 2008).
이에 따른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Myeong(2016)은 소비자들이 특정 브랜드의 제품 품질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면 그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으며, Hong(1996)은 한국인들이 외국 브랜드에 호감을 갖지만 수입상표의 소비를 자신의 부나 지위를 과시하는 부정적인 수단으로 평가하여 수입 상표를 선호하지 않은 소비자 집단은 모든 측면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났다. 또한 Sung(2012)은 명품 태도는 명품 구매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인 명품 태도는 명품 소비 만족도를 가장 크게 높이는 요인이라고 하였으며, Xu(2015)은 품질중시성 및 과시성은 명품과 위조품에 대한 태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im(2011)은 집단주의자와 개인주의자의 명품소비자에 대한 태도 차이가 존재하며, 집단주의자는 명품 소비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고, 개인주의자는 명품 소비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제품 품질을 높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수록 해당 브랜드에 대한 평판이 향상되며, 명품 소비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가 소비자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으며, 개인의 가치관과 집단적인 시선에 따라 명품 소비에 대한 태도가 형성되고, 이는 소비자들의 명품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명품구매 태도가 다양한 영향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명품 구매 태도를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로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1) 소비성향이 명품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소비성향이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3) 명품구매동기가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20대~50대 이상의 헤어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온라인 자기기입식 설문지 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조사는 2023년 4월 17일부터 2023년 4월 25일까지 8일 간 실시되었고,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자가 수집했으며, 분석하기에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62부를 제외한 33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을 통해 일반적 특성 및 명품구매행동을 알아보았다.
둘째,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소비성향,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태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회귀분석을 통해 소비성향이 명품구매동기와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 구성은 헤어디자이너 소비 성향,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태도, 명품구매행동, 일반적 특성으로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헤어디자이너의 소비성향에 대한 문항은 Shin(2020), Zhang(2019), Cho(2003)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총 11문항, Zhang(2015)Song(2008)의 선행연구에서 명품구매동기에 대한 문항을 총 10문항, Myeong(2016), Sung(2012), Kim(2011)의 선행연구 중에 명품구매태도에 대한 측정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총 5문항, Kim(2014) Kim(2011)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명품구매행동에 대해 설문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총 4문항, 일반적 특성 6문항으로 구성했다. 헤어디자이너 소비성향,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태도, 명품구매행동의 문항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 매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성별의 경우 여자 73.7%, 남자 26.3%로 여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20대가 6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 17.5%, 40대, 50대 이상 7.4%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전문대(재학생 포함)가 45.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졸 이하 23.0%, 대학교(재학생 포함) 19.5%, 대학원 이상(재학생 포함) 10.4%, 기타 1.5%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의 경우 미혼이 8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혼 11.9%, 기타 4.1%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의 경우 200만 원에서 300만 원 미만이 42.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0만 원에서 200만 원 미만 16.9%, 300만 원에서 400만 원 미만 14.8%, 400만 원 이상 14.5%, 100만 원 미만 11.2%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명품지출비용의 경우 10만 원 미만이 6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만 원에서 40만 원 미만 16.3%, 40만 원에서 70만 원 미만 10.4%, 70만 원에서 100만 원 미만 3.0%, 100만 원 이상 1.8% 순으로 나타났다.

1) 명품구매행동

조사대상의 명품구매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2>과 같다.
최근 구매한 명품 카테고리의 경우 화장품, 향수가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핸드백, 가방, 지갑 32.2%, 구두, 신발 10.1%, 명품의류 7.1%, 기타 6.8%, 스카프, 1.8%, 시계 1.8% 순으로 나타났다. 명품구매 장소의 경우 백화점이 3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 25.7%, 전문점(로드샵) 12.7%, 아울렛 매장 11.8%, 기타 10.5%, 면세점 5.0% 순으로 나타났다. 명품구매 주기의 경우 1년에 1회가 27.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타 26.6%, 필요할 때마다 25.8%, 6개월에 1회 11.8%, 3개월에 1회 5.0%, 1개월에 1회 2.1%, 1달에 여러 번 0.9% 순으로 나타났다.

2. 헤어디자이너의 소비성향,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행동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소비성향의 타당성 및 신뢰도

소비성향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3>와 같이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 행렬 점검 결과 2=1437.793(df=55, Sig=.000), KMO값 0.710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563 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과시적성향’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67~0.838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773, 분산설명비율은 25.2%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계획적성향’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94~0.795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498, 분산설명비율은 22.7%로 나타났다. 세 번째 요인은 ‘합리적성향’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76~0.741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1.863, 분산설명비율은 16.9%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세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4.8% 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세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610~0.827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명품구매동기의 타당성 및 신뢰도

명품구매동기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4>와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2=1704.476(df=28, Sig=.000), KMO값 0.806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688 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사회과시적동기’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815~0.878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053, 분산설명비율은 38.1%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실용합리적동기’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87~0.916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986, 분산설명비율은 37.3%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5.4%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887~0.888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명품구매태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명품구매태도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2=425.988(df=10, Sig=.000), KMO값 0.697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599 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긍정적태도’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25~0.830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1.925, 분산설명비율은 38.4%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부정적태도’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95~0.914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1.584, 분산설명비율은 31.6%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0.1%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718~0.719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소비성향이 명품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소비성향이 명품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6>와 같다.
명품구매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과시적동기 요인은 소비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시적성향, 계획적성향, 합리적성향 요인이 유의미하게(p<.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시적성향, 계획적성향, 합리적성향 변수가 사회과시적동기 요인을 예측하는데 40.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과시적성향(β=.631), 계획적성향(β=.204)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합리적성향(β=-.107)으로 유의미하게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시적성향, 계획적성향이 높아질수록 사회과시적동기도 높아지고, 합리적성향이 높아질수록 사회과시적동기는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명품구매동기의 하위요인인 실용합리적동기 요인은 소비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시적성향, 합리적성향 요인이 유의미하게(p<.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시적성향, 합리적성향 변수가 실용합리적동기 요인을 예측하는데 13.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과시적성향(β=.368), 합리적성향(β=.208)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시적성향, 합리적성향이 높아질수록 실용합리적동기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선행연구에 따르면 Shin(2020)의 헤어트랜 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에서 소비성향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품위 유지는 쾌락적성향, 합리적성향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4. 소비성향이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성향이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7>와 같다.
명품구매태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태도 요인은 소비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시적성향 요인이 유의미하게(p<.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시적성향 변수가 긍정적태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17.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과시적성향(β=.426)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시적성향이 높아질수록 긍정적태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명품구매태도의 하위요인인 부정적태도 요인은 소비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시적성향, 합리적성향 요인이 유의미하게(p<.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시적성향, 합리적성향 변수가 부정적태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5.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과시적성향(β=.164)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합리적성향(β=-.156)으로 유의미하게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시적성향이 높아질수록 부정적태도도 높아지고, 합리적성향이 높아질수록 부정적태도는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선행연구에 따르면 Myeong(2016)의 연구결과 제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즐거움, 구매비용, 과시성, 품질 우수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의 과시적성향과 부분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Zhang(2016)의 중국관 광객의 소비성향이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성적 소비성향은 명품구매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합리적성향이 낮아질수록 긍정적태도가 높아지는 것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5. 명품구매동기가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구매동기가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8>와 같다.
명품구매태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태도 요인은 명품구매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과시적동기, 실용합리적동기 요인이 유의미하게(p<.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과시적동기, 실용합리적동기 변수가 긍정적태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51.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사회과시적동기(β=.615), 실용합리적동기(β=.226)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과시적동기, 실용합리적동기가 높아질수록 긍정적태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명품구매태도의 하위요인인 부정적태도 요인은 명품구매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과시적동기, 실용합리적동기 요인이 유의미하게(p<.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과시적동기, 실용합리적동기 변수가 부정적태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11.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사회과시적동기(β=.359)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용합리적동기(β=-.138)으로 유의미하게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과시적동기가 높아질수록 부정적태도도 높아지고, 실용합리적동기가 높아질수록 부정적태도는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선행연구에 따르면 Gao(2019)의 연구결과 사회적 동기가 럭셔리 브랜드 복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응기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으며, 본 연구의 사회과시적동기가 높아질수록 긍정적태도가 높아지는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Xu(2015)은 품질중시성과 과시성은 명품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품질과 소비자의 소비능력을 과시하고 싶은 명품 소비자가 명품을 선호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사회과시적 동기가 긍정적태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유사하여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의 소비성향이 명품구매동기와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헤어디자이너의 소비성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미용 서비스 산업 발전 기여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은 ‘여자’가, 연령은 ‘20대’가, 학력은 ‘전문대(재학생포함)’, 결혼여부는 ‘미혼’, 월 평균 수입의 경우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월 평균 명품지출비용은 ‘1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분포되었다.
둘째, 명품구매행동의 빈도분석결과 카테고리는 ‘화장품, 향수’이, 명품구매 장소는 ‘백화점’이, 명품구매주기는 ‘1년에 1회’가 가장 높게 분포되었다.
셋째, 소비성향의 요인분석결과 ‘과시적 성향’, ‘계획적 성향’, ‘합리적 성향’의 3가지 요인과, 명품구매동기의 요인분석결과 ‘사회과시적동기’, ‘실용합리적동기’의 2가지 요인, 명품구매태도의 요인분석결과 ‘긍정적태도’, ‘부정적태도’의 2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넷째, 소비성향이 명품구매동기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에서 사회과시적동기와 관련해서는 과시적성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실용합리적동기와 관련해서는 과시적성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소비성향이 명품구매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긍정적태도와 관련해서는 과시적성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태도와 관련해서는 과시적성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명품구매동기가 명품구매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긍정적태도와 관련해서는 사회과시적동기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태도와 관련해서는 사회과시적 동기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디자이너는 다른 사람들과의 외적 차이점을 두기 위해 소비성향이 과시적성향이 영향을 미치며 헤어디자이너의 사회과시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명품에 긍정적 태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헤어 디자이너는 고객이 미용실을 방문할 시 다른 디자이너들과 차별점을 주기위해 소비를 통한 외적치장과 그들에게 하여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축하여 명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시적동기와 소비성향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여 명품 구매 동기를 파악하고자 할 때 과시적 성향과 계획적성향 요인을 고려해야하며 헤어디자이너들의 합리적 판단과 가격에 대한 고려를 하는 경우 명품 구매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다른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사회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타인의 인식을 얻기 위해 과시적인 소비를 하는 헤어디자이너는 사회과시적동기를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과시적인 소비 행동을 보이는 헤어디자이너들은 명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과시적성향은 부정적태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합리적성향은 부정적태도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과시적 소비 욕구가 부정적 태도를 증가 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합리적인 판단과 가격에 대한 고려가 부정적 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명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을 어필하거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헤어디자이너의 성향을 반영할 수 있다.
넷째, 사회과시적동기가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헤어디자이너들이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시 하고 타인의 인식을 얻기 위해 명품을 선호하거나 반대로 사히적 사치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제품에 대하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실용합리적동기가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동기를 가진 헤어디자이너들은 합리적 판단과 가격에 대한 고려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실용적인 요소에 부합하지 않는 명품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남을 의미한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헤어 디자이너의 소비성향과 명품구매동기, 명품구매태도에 관하여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지만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20대의 연구대상자가 가장 높게 분포되어 연령분포도가 다양하다고 볼 수 없으며 ‘화장품, 향수’의 비율이 높게 분포가 되어 명품지출비용이 ‘10만원 미만’으로 고가의 명품의 대상으로 한 연구로 일반화 할 수 없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헤어디자이너의 명품지출비용을 높여 연구하여 비교 분석한다면 가격 평준화의 타당성이 높아질 것이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헤어 디자이너의 소비성향은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동기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명품에 긍정적인 태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헤어디자이너는 본인을 치장함으로써 다른 디자이너들과 차별점을 두어 외적 차별점, 매출증진 등을 만드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가 추후에도 헤어디자이너와 관련된 소비성향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쓰이기를 기대한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N=338,%)
Item Total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an 89 26.3
Women 249 73.7
Age 20s 229 67.7
30s 59 17.5
40s 25 7.4
Over 50s 25 7.4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or lower 78 23.0
College of professional studies (including students) 154 45.6
Universities (including students) 66 19.5
Graduate or higher (including students) 35 10.4
etc 5 1.5
Marriage status Single 284 84.0
Married 40 11.9
etc 14 4.1
An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38 11.2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57 16.9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144 42.6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50 14.8
Over 4 million won 49 14.5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luxury goods Less than 100,000 won 232 68.5
Less than 100,000 won to 400,000 won 55 16.3
Less than 400,000 won to 700,000 won 35 10.4
Less than 700,000 won to 1,000,000 won 10 3.0
More than 1 million won 6 1.8
Sum 338 100.0
Table 2.
Luxury Purchase Behavior (N=338,%)
Item Total
Frequency (N) Percent (%)
Recently purchased luxury category Luxury clothes 24 7.1
Shoes, Sneakers 34 10.1
Handbag, Bag, Wallet 109 32.2
Cosmetics, Perfume 136 40.2
Scarf 6 1.8
Wristwatch 6 1.8
etc 23 6.8
Where to buy luxury goods Department store 116 34.3
Duty free shop 17 5.0
Specialized store (road shop) 43 12.7
Internet 87 25.7
Outlet store 40 11.8
etc 35 10.5
Luxury goods purchase cycle Whenever necessary 87 25.8
Several times a month 3 0.9
Once a month 7 2.1
Once every three moths 17 5.0
Once every six moths 40 11.8
Once a year 94 27.8
etc 90 26.6
Reasons for puchasing Brand image 78 23.1
Scarcity 32 9.5
Self exaggeration 20 5.9
Design 182 53.8
etc 26 7.7
Sum 338 100.0
Table 3.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Propensity to Consume
Propensity to consume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Commonality
Ostentatious disposition Premeditated disposition Rational disposition
They spend money to show off their economic abilities to the people around them. .838 .095 -.248 .772
I'm going to buy a brand product used by a celebrity. .831 .045 -.184 .726
When purchasing a product, pay attention to the brand name. .787 -.112 -.017 .632
I'm going to buy a new product first when it comes out. .767 -.347 .124 .724
I don't spend unless I really need it. -.071 .795 -.001 .637
Consume according to income level. .011 .721 .312 .690
Don't buy unplanned products on impulse. -.249 .700 .143 .572
Plan ahead before spending. .049 .694 .281 .563
Quality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products. -.072 .097 .741 .563
Spending on what I want now rather than saving for the future. -.310 .175 .690 .604
Make a budget for consumption. .056 .336 .676 .651
eigenvalue 2.773 2.498 1.863
explanatory variance (%) 25.213 22.706 16.939
Cumulative variance (%) 25.213 47.919 64.858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827 .747 .610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Questions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Social and poetic motivation Practical and rational motivation
I buy it because others acknowledge it. .878 .139 .790
I buy it to show my social status. .871 .110 .771
This is to catch up with the often changing luxury trend. .863 .141 .765
It's to level up with friends and people around you .815 .164 .690
I buy it because the A/S such as repair and repair is certain. .067 .916 .843
I buy luxury goods because the design is sophisticated. .192 .861 .778
I buy it because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product quality. .064 .842 .713
I buy it because it looks luxurious and elegant. .263 .787 .688
eigenvalue 3.053 2.986
explanatory variance (%) 38.159 37.328
Cumulative variance (%) 38.159 75.487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888 .887
Table 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uxury Purchasing Attitudes
Luxury purchase attitude question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Positive attitude Negative attitude
People who buy luxury goods are sophisticated(with good taste) people. .830 .091 .697
Having an eye for luxury goods can show people their status or social skills. .774 .188 .635
Buying luxury goods by saving on other things is value consumption for yourself. .725 .271 .599
People who buy luxury goods without being able to do so are mentally empty. .097 .914 .845
It is not appropriate to carry luxury goods without one's image, fashion sense, and intelligence. .319 .795 .733
eigenvalue 1.925 1.584
explanatory variance (%) 38.492 31.682
Cumulative variance (%) 38.492 70.175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718 .719
Table 6.
Effect of Propensity to Consume on Motivation to Purchase Luxury Goods
Dependent variable (Motivation for Luxury Goods Purchase) Independent variable (Propensity to consume)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the coefficients (SE B) β t p
Social and poetic motivation (a constant) .159 .257 .618 .537
ostentatious disposition .683 .048 .631 14.244 *** .000
predisposition to planning .225 .056 .204 4.048 *** .000
rational propensity -.132 .063 -.107 -2.083 * .038
Adjusted R²= .403 F= 75.392 p= .000***
Practical and rational motivation (a constant) 1.272 .356 3.576 *** .000
ostentatious disposition .483 .070 .368 6.920 *** .000
rational propensity .311 .080 .208 3.908 *** .000
Adjusted R²= .133 F= 26.233 p= .000***

*** p<.001,

* p<.05

Table 7.
Effect of Propensity to Consume on Luxury Purchasing Attitudes
Dependent variable (Attitude of purchasing luxury goods) Independent variable (Propensity to consume)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the coefficients (SE B) β t p
positive attitude (a constant) 1.381 .126 10.933 *** .000
ostentatious disposition .505 .059 .426 8.549 *** .000
Adjusted R²= .179 F= 73.090 p= .000***
negative attitude (a constant) 2.868 .390 7.355 *** .000
ostentatious disposition .226 .076 .164 2.958 ** .003
rational propensity -.246 .087 -.156 -2.818 ** .005
Adjusted R²= .059 F= 11.377 p= .000***

*** p<.001,

** p<.01

Table 8.
Effect of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on Luxury Purchase Attitudes
Dependent variable (Attitude of purchasing luxury goods) Independent variable (Motivation for purchasing luxury goods)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the coefficients (SE B) β t p
positive attitude (a constant) .483 .127 3.815 *** .000
social and poetic motive .678 .044 .615 15.389 *** .000
pragmatic motive .205 .036 .226 5.662 *** .000
Adjusted R²= .517 F= 181.411 p= .000***
negative attitude (a constant) 2.090 .201 10.425 *** .000
social and poetic motive .462 .070 .359 6.621 *** .000
pragmatic motive -.146 .057 -.138 -2.545 * .011
Adjusted R²= .111 F= 22.015 p= .000***

*** p<.001,

* p<.05

References

Allpot, M. (1937). Self monitoring and product Conspicuousness on reference Group Influen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3(1), 77-82.
Cho, E. A. (2003). A Study on Adolescents' Propensity for Conspicous Consumption and Their Purchas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on the Imported Luxuries and the Famous Brand Cloth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77.
Choi, S. H. (2001).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6), 842-854.
Choi, S. Y. (2010). 20-30 in lifestyle and fashion brand purchasing behavior study.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1.
Fishbein, M., & Ajzen, I. (1975). Status, expectations an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and test of the theor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6(3), 541-553.
Gawk, H. Y. (2022) Consumer Perception on Luxury Fashion Platform: Mobile Service Quality and Trus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
Gao, X. (2019). The Effects of Luxury Product Purchase Motives on Counterfeit Produc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Function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49-54.
Grossman, G. M., & Shapiro, C. (1988). Foreign counterfeiting of status good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3(1), 79-100.
crossref
Han, H.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urchase Motiv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Luxury Goods - Focused on Chinese Tourists in Korea. Master's thesis, Kyu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10-11.
He, T. (2019). The Impact of Luxury Consumption Motive of Chinese Tourists on Luxury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ing Decision Factors.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12.
Hong, K. H. (1996). A Study on the Dimensions of Consumers Attitudes and Brand Images toward Imported Casual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6), 1105-1106.
Hwang, J. S. (2008). Consumer Desire for Luxury Goods and Purchase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and Counterfeits : Effects of Social-demographic Variables.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32.
Hwang, S. H., Chun, S. H., & Na, J. H. (2015). Luxury Brand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From a Perspective of Western Europe's Art Attribute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3(3), 131-144.
crossref
Jang, H. (2019). The Influence of Consumers’ Consumption Attitudes on Purchasing Intention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ales promotion means.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5-9.
Jin, O. S. (2022). The Influence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Display Consumption Tendencies on Purchase Intentions according to Consumer Purchasing Power.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usan, 10.
Jung, J. H., & Hwang, S. J.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ifestyle to Attitude to Luxury Fashion Brands and Purchasing Behavior among Men in Their 30s. Basic Design Research, 15(1), 629-640.
Kang, H. K. (2014). Impact of Airline Female Flight Attendant's Appearance on Airline Preference : Focusing on K airline.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Chungcheongnam-do, 3.
Kim, J. M. (2002). The Condition of Luxury Goods. LG Business Insight, 677:34-38.
Kim, M. S., & An, S. K. (2010). Brand Awareness,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Luxury Products in the Age of McLuxury. Journal of Costume Culture, 18(1), 133-149.
crossref
Kim, S. A. (2011).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the Shopping Values and Luxury Purchase Behavior.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5-89.
Kim, S. Y. (2018). The Effect of Wedding Event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Consumption Propensity Related to Wedding Event Selection Attributes on Behavior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 Typ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36-43.
Lee, S. H. (2011). Appearance of the salon staff attitudes, strategies, Impact on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1.
Lim, M. J. (2023). The Influence of Consumer's Brand Perception on Brand Trust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for Hair Salon Concept Produc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1), 12-20.
Lim, M. J. (2022). Effect of Hair Salon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Value on Purchasing Behavior.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6), 1157-1166.
crossref pdf
Maeng, S. W. (2018). The Impact of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on Attitude,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Seoul, 83.
Myeong, S. H. (2016).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on attitude,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PB lunch boxes from convenience stores.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won-do, 11.
Mason, R. S. (1992). Modeling the demand for status goo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341-352.
Nia, A., & Lynne Zaichkowsky, J.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crossref
Park, M. H. (2014).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 Image and Strategic Professional Image of Beauty Industry Worker. Master's thesis, Seokyung University, Seoul, 2.
Shin, H. J. (2020).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ption Tenden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Trans Inclusion and Seek Benefit. Master's thesis, Sunkyunkwan University, Seoul, 7.
Shin, H. H. (2020). Mediating Effect of Mood Div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style Leadership and Consumption Tendenc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1), 103-112.
Song, J. E. (2008). The research about fashion luxury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adult female spending valu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73-90.
Sung, S. H. (2012). The Influence of Consumer Values and Attitudes toward Luxury Goods on Consumer Behavior and Satisfaction.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9.
Solomon, M. R., & Robolt, N. J.. (2004).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NJ, Prentice Hall.
Thurstone, R. (1931). Aesthetics and Ephemerality: Observing and Preserving the Luxury Brand.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52(1), 45-66.
crossref pdf
Veblen, Thorstein B. (189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ew York, Penguin Books.
Wang, X. (2019). The study of Lifestyle and Luxury Purchase Behavior in Chinese Female Consumers Aged between 20 and 30.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2.
Yoo, D. G. (1983). Strategic Marketing Sunil Cultural Publishing.
Xu, M. Y. (2015). The Effect of Luxury Buying Motivation and Consumption Value on Chinese Consumer's Attitude and Loyalty towards Counterfeit and Luxuries. Master's thesis, Tongmyong University, Busan, 71.
Zhao, J. (2014). The Effects of Chinese Students' Lifestyl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n Korean Fashion Brand Experience and Brand Attitude.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6-7.
Zhang, X. (2016). The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f Chinese Tourists on Purchasing Attitude for Luxury Brands -Focusing on the Social Face Sensitivity-.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17-61.
Zhang, S. K. (2015).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Motives and Attitudes about Luxury Produc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7.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