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5); 2023 > Article
사회적 이미지를 매개로 한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protecting and preserving the environment for future generations of mankind. Due to the influence of k-beauty, the domestic beauty industry is leading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ultra-personalized mobile shopping has allowed cosmetics to be purchas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However, research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the recycling of empty containers after product consump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research on the recycling of cosmetics contain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empty cosmetics containers being discarded as general waste, reminds consumers of the importance of refill cosmetics according to their social image, and uses them as basic data for beauty brand companies' marketing direction for the patronage of refill cosmetic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of 343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used as the final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social image was .930, the recycling perception was .791, and the patronage was .786, all of which were extracted in a single dimen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recycling cosmetics containers and the patronage of refill cosmetics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social images as a partial medium.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generalize the results only for female consumers, and we look forward to nationwide public relations and participatory practical influential studies for various groups in the future.

I. 서 론

현대 사회는 인간의 경제활동으로 인하여 공해 및 오염 등의 문제를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환경악화 방지와 복구를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관심은 미약하며 그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시간 동안 환경은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문제의 인식변화를 위해 국가와 환경단체들은 여러 방법을 통해 개인들에게 인식변화를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큰 파급효과를 얻고 있다(Choi, 2020).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 뷰티산업은 글로벌화 시대를 이끌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Choi & Kwon, 2016) ,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Lee & Jin, 2016). 소비자들은 팬데믹 이후 유례없는 보건 위기를 겪었으며 환경과 생태계, 기후변화, 지속 가능성, 동물복지, 인권 등 윤리적 가치에 보다 많은 관심을 두게 되었으며 소비 습관에도 가치소비로의 주목할 만한 변화가 생겨났다(Choi & Kim, 2022). Covid-19 이전에 비해 쾌락적 소비는 감소하고 실질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 Choi, 2023).
뷰티산업 중에서도 화장품은 지구환경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통계청이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화장품 소매판매액은 2018년 29조8395억4100만 원에서 2019년 34조6703억6400만 원으로 16.2% 증가했다. 특히, 화장품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2020년 5조6079억 원에서 지난해 6조7034억 원으로 19.5%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화장품온 라인쇼핑 거래액에서 모바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5.1%에서 2021년 54.9%로 높아졌다(Cmn.co.kr, 2022).
소비자들도 환경보호에 관심이 많아졌으며 KB금융그룹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소비자들은 친환경 제품에 호감을 보이며 소비자들의 1/3은 제품구매 시 기업의 친환경 활동에 영향을 받고,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10% 이상의 추가 비용을 내더라도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겠다’고 응답하여, 화장품 업계에서도 화장품 용기 재질을 개선하고 재활용 대책을 마련하는 친환경 마케팅이 중요해지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Resource Recycling Division, 2022).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대하게 성장한 뷰티산업으로 인한 쓰레기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으며 점점 더 증가 추세에 있는 화장품 용기의 대부분은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어 버려지고 있다(Kim et al., 2002).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환경이나 재활용에 관심은 많으나 적극적으로 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Byun, 2016).
사회적 이미지, 환경보호, 재사용에 대해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일부인 환경 책임이 기업 이미지와 소비자 태도에서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요인이며(Kang & Oh, 2023), 외식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중 환경보호 활동은 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Pyo & Lee, 2015).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분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사용 후 빈 화장품 용기가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뷰티 소비자들의 사회적 이미지에 따른 리필화장품의 중요성을 상기시킴과 아울러 한 가정의 가계에서 일상 소비를 담당하며(Yoon, 2023) 화장품의 주요 구매자인 10대~60대 국내 여성들을 대상으로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뷰티 브랜드 기업의 마케팅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이미지

Image는 사람과 사물에 대한 것의 외형적 묘사, 사람이나 조직, 제품 등이 대중에게 주는 일반적인 인상, 직유 또는 은유로 Oxford Dictionary에서는 설명하고 있다. 학술적 용어로서 ‘이미지’는 주로 심리학에서 1950년대부터 다루어져 오다가 Boulding(1956)이 인간, 정치, 사회, 경제 등과 관련하여 이미지의 역할을 논의하면서 다른 여러 분야에서도 발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사회적 이미지란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이미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Kim, 2008). 또한 사회적 이미지 형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과 같은 시대적 요인과 TV, 신문 등 대중 매체적 요인이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이전부터 되풀이되는 집단적 행동양식인 관습에 관하여 대부분 공통된 지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관습은 사람들 간에 인식하는것이 무엇인지 알게 해서 그들의 상호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Kim, 2010). Vera L.te Velde(2022)의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에 상당한 사회적 압력(관습, 규범, 도덕성)을 받고 있으며, 사회적 이미지는 ‘승인 추구’를 통해 상대방이 자신의 행동을 승인하길 원하고, ‘존경 추구’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엄격히 지키고 싶어 한다. 그러나, 사회적 압력을 이용하여 억지로 꾸며진 사회적 이미지를 목표로 한다면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이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리필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나의 이미지가 좋아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며, 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호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등으로 선정하였다.

2.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

환경부의 ⌜화장품 용기 재활용에 대한 인식⌟ 보고서(2022)에서 소비자의 71.2%가 화장품 용기/포장재 분리배출 시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분리 배출 시 어려운 이유로는 ‘복합재질로 이뤄진 용기 구조 때문에’(45.2%), ‘용기 구조상 남은 내용물을 세척 하기 어려워서’(34.8%), ‘유분이 많아 물 세척만으로 내용물을 세척 하기 어려 워서’(17.1%)순이었다. 한편, 행동 주체별 화장품 용기/포장재 사용 감소 노력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 행동 주체 중에서 ‘개인’의 노력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정부(61.0%), 생산기업/제조사(66.2%), 유통기업/유통업자(64.0%)의 화장품 용기/포장재 사용에 대한 감소 노력이 부족하다고 과반 수 이상 응답하였다. 특히 ‘생산기업/제조사’가 가장 많이 노력해야 한다(68.8%)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분리배출의 어려움이 ‘복합재질 구성’이라는 점에 있다는 인식이 커, 복합재질 구성은 ‘생산기업/제조사’의 영역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온라인쇼핑 시 화장품 용기/포장재에 대한 소비자 정보 제공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세정용 제품, 기초화장품에서부터 시작되고 있었으며, 제로웨이스트에 대한 소비자 관심(70.4%)이 높고 향후 ‘자연분해 친환경 소재 용기/포장재’(54.4%)와 ‘재활용 쉬운 용기’(42.0%)에 대한 소비자 구입 의향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온라인 화장품 유통 시장에서 관련 정보의 제공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온라인 소비자들 역시 화장품 용기 분리배출 시 어려움으로 ‘복합재질로 이뤄진 용기 구조’(45.8%)와 ‘구조상 남은 내용물 세척이 어려워’(34.8%)를 지적하면서도 재활용등급 확인은 17.8%에 그치고 있어, 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높이고, 소비자들이 보다 용기를 쉽게 분리배출 할 수 있고 분리 배출된 재질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재활용·분리배출 표시 가이드 마련 등 친환경 포장 개선 촉진이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본 연구에서는 Kim(2002)의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에 관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재질이 복합적이라 재활용이 어렵다, 브랜드 차원의 용기 회수 정책이 있어야 한다, 화장품 사용기간이 길어서 용기를 회수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회수된 화장품 용기를 재처리하는 비용이 많이 든다, 화장품 용기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족하다, 용기 재활용 시 비위생적이므로 피부 안전성이 염려된다.’ 등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3. 리필화장품

화장품은 인간의 신체를 청결하게 하고 아름답게 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헤어와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하기 위해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이다. 이러한 화장품은 인체에 대한 그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사용 용도에 따라서 어린이용 제품, 목욕용 제품, 인체 세정용 제품, 눈 화장용 제품, 방향용 제품, 염모용 제품, 모발용 제품, 손발 톱용 제품, 면도용 제품, 기초화장용 제품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Gye, 2014).
약사법에서 2019년 분리된 화장품법에 따른 화장품의 유형(화장품법 시행규칙[별표3], 의약품은 제외)과 관련하여 기초화장품이나 색조화장품 이외에도 세정, 목욕, 헤어, 방향, 손발톱, 면도, 체취방지, 제모 등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제품이 화장품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리필 화장품은 사용하던 용기에 내용물만 다시 채워 넣어 쓸 수 있게 만든 제품으로 과거에는 세제류나 화장품 등은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 나면 폐기처분되므로 자원의 낭비는 물론 폐기물의 증가와 처리과정에서도 환경적으로 문제점이 많았다. 최근에는 환경보호 차원에서 세제류나 화장품, 각종 생활용품에서 용기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만 판매하는 제품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용기나 기구는 소비자가 처음 구입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사용한 뒤에는 내용물만 구입하여 사용하던 용기에 넣어서 쓸 수 있도록 한 제품을 말한다. 리필제품의 판매가 늘어날수록 구매자는 보다 싼값으로 필요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한편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유익하다. 또한 제조업체는 생산원가 절감과 유통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리필 팩 포장 제품은 제품 하나의 가격이 용기를 포함한 가격보다 세제류는 15% 정도, 화장품류는 20% 정도 인하된 가격으로 판매된다(NAVER Knowledge Encyclopedia, Doosan Encyclopedia, 2023).
본 연구에서는 1일 사용량(g)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제품의 형태에 따라 피부와 접촉하는 시간이 다른 잔류지수(Retension factor)가 가장 낮은(0.01 Rf) 제품으로 샤워젤(18.67g), 손 세척 비누(핸드워시: 20.00g), 샴푸(10.46g) 등 빈 화장품 용기가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리필용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리필화장품으로 재정의하였다.

4. 지속 사용 가능성

지속 사용 가능성(patronage)이라는 개념은 유통 분야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으로 Blomer & Kasper(1995)의 연구에 따르면 단골 의도는 구매 행동을 결정하는 선행조건이라고 볼 수 있으며, 애호도, 구매 의도에 따라 나타나는 고객의 의사 표현이기 때문에 고객이 미래에 구매를 할 것인지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로 보았다. 지속 사용 가능성은 여러 연구에서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고 있지만, 기존 사업자에 대한 지속적 이용 의도, 기존제품에 대한 지속적 사용 의도 등이 “지속적 사용 가능성”이라는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W, 2012). 이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제품의 후속 제품을 미래에도 계속해서 사용하겠다는 의도를 의미 한다(Pae & Hyun, 2002). 또한 Lamet et al. (2004)은 고객가치, 고객 만족, 전환비용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에서 고객 충성도를 추천 의도와 지속적 사용 가능성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지속적 사용 가능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정의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필화장품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경쟁사의 신제품과 동시에 출시되는 제품이 있을 경우 내가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의 리필화장품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리필화장품 브랜드에서 업그레이드된 후속 제품이 나오면 그것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로 정의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문제

본 연구는 10대~60대의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이미지를 매개로 한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변수들의 차이를 분석하여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대~60대 여성 소비자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본다. 둘째, 사회적 이미지, 재활용 인식, 지속 사용 가능성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본다. 셋째,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넷째, 사회적 이미지를 매개로 한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며 리필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모바일과 대면으로 2022년 5월 6일부터 2022년 5월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유효한 343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3. 측정 도구

본 연구의 측정 도구로 사용된 설문 문항은 사회적 이미지,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 지속 사용 가능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2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를 사용하였다. 첫째, 사회적 이미지는 Jin(2011)의 연구를 수정·보완하여 4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둘째, 재활용 인식은 Kim(2002)의 연구를 토대로 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셋째, 지속 사용 가능성은 Jin(2011)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용하였으며 등간 척도가 사용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연구자의 연구 의도에 따라 6문항으로 명목척도가 사용되었다.

4.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회적 이미지,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 지속 사용 가능성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각 변수들의 하위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사회적 이미지를 매개로 한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 주성분 분석법, 요인 회전 방법으로 Varimax가 사용되었으며 변수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는 가정에서 실제 소비와 관련된 행위를 가계소득의 가계지출 사용에 관한 일상적인 의사결정에 있어서 주부가 져야 할 책임으로 여기는 전통적 가족주의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Miller, 1995). 연령은 20대 60.9%, 50대 16.6%, 40대 9.0%, 30대와 60대 6.1%, 10대 1.2%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전문대학교 재학ˑ졸업 53.6%, 대학교 재학ˑ졸업 28.3%, 대학원 재학 이상 11.1%, 고등학교 재학ˑ졸업 6.1%, 중학교 재학ˑ졸업 0.9% 순으로 확인되었다. 결혼 여부는 미혼 65.6%, 기혼 30.9%, 기타 3.5%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학생 65.0%, 직장인 15.7%, 주부 9.9%, 자영업 7.0%, 기타 2.3% 순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월 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 64.1%, 200만 원 미만 14.6%, 300만 원 미만 9.6%, 400만 원 이상 7.3%, 400만 원 미만 4.4%,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사회적 이미지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사회적 이미지에 대한 측정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 결과 단일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분산 설명력은 82.83%로 나타났으며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930으로 확인되어 신뢰도 0.60 이상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재활용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재활용 인식은 총 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 결과 단일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하위 차원의 전체 설명력은 49.65%로 나타났으며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을 바탕으로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버림 하여 표기하였다.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791으로 확인되어 신뢰도 0.60 이상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지속 사용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지속 사용 가능성은 총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과 단일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하위 차원의 전체 설명력은 69.98%로 나타났으며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을 바탕으로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버림하여 표기하였다. 신뢰도계수 Cronbach's α는 .786으로 확인되어 신뢰도 0.60 이상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사회적 이미지, 재활용 인식, 지속 사용 가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그 결과 각 변수의 요인들은 모두 제각기 타 요인과 성향이 중복되지 않은 독립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변수 간 영향력 분석

1) 재활용 인식이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전 재활용 인식과 리필화장품 지속 사용 가능성의 다중 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 값이 모두 10 이하로 나타나 회귀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지속 사용 가능성은 재활용 인식에 의해 약 11.9% 설명되며 재활용 인식이 높을수록 리필 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은 0.345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Ye(2012)의 연구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요인 중 친환경 재료, 재활용 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Jin(2023)이 연구한 중고 거래 플렛폼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만족도와 지속 이용 의도 간의 관계에서 중고 거래 플랫폼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속 이용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재활용 인식이 사회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전 재활용 인식과 사회적 이미지의 다중 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 값이 모두 10 이하로 나타나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사회적 이미지는 재활용 인식에 의해 약 9.0% 설명되며 재활용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적 이미지는 0.301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Ye(2012)의 연구 결과 브랜드 커피전문점 친환경 경영 요인 중 친환경 재료, 재활용은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2023)의 연구 결과 리필화장품의 소비자 만족도는 브랜드 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리필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리필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또한 함께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적 이미지가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전 사회적 이미지와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의 다중 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VIF 값이 모두 10 이하로 나타나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지속 사용 가능성은 사회적 이미지에 의해 약 28.6% 설명되며 사회적 이미지에 대한 생각이 깊을수록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은 0.535배씩 증가하는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Kim(2023)의 ‘항공사의 친환경 경영활동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동일시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사회적 이미지인 브랜드 동일시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자아 이미지와 일치하는 브랜드에 대하여 신뢰와 애착을 느끼며 지속적인 이용 의도를 갖게 된다고 할 수 있다.

4) 사회적 이미지를 매개로 재활용 인식과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3단계 회귀분석 전 1단계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2단계 사회적 이미지가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3단계 회귀분석 결과 재활용 인식과 사회적 이미지가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매개 효과를 분석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설명력은 32.4%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매개변수인 사회적 이미지의 β 값의 변화는 .535에서 .474 로 1단계에 비해 2단계에서 감소하였으므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이미지의 매개역할에 관한 Hwang(2019)의 연구 결과 기업의 문화지원 활동으로 형성된 기업이미지는 고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화장품의 주요 구매자인 10대~60대 국내 여성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6일부터 5월 27일까지 회수한 유효 설문지 343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용기 재활용 인식이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활용 인식이 높을수록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둘째, 재활용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이미지가 좋을수록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마지막으로 재활용 인식과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 가능성의 사이에서 사회적 이미지는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리필화장품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뷰티 브랜드의 사회적 이미지에 따른 빈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인식의 개선과 리필화장품의 지속 사용이 중요한 실천적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광고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이나 리필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구체적인 화장품 용기 재활용에 대해 명시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빈 용기의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 제조 브랜드 업계에서는 친환경 디자인, 유니버셜 디자인, 에코디자인 등 용기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에 대해 보다 더 심도있는 연구를 해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리필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는 현실에서 수많은 화장품의 종류별 특성에 맞는 리필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활성화되고 이를 위한 투자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체면을 중시하는 동양 문화권에서의 사회적 이미지는 군중심리를 형성하는 중요한 변수이므로 세대를 막론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공공의 의식 형성이 중요하다.
넷째, 화장품의 주요 구매자인 여성들 의식의 변화가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시대가 변하여 남성들도 화장품을 구매하는 주요 소비자이긴 하지만 여전히 화장품의 주요 소비자는 여성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관련 분야인 문화센터, 지역자치센터, 화장품 브랜드사의 고객 체험 센터 등 접근이 편한 경로를 통하여 뷰티에 대한 다양한 문화 강좌와 더불어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에 관한 올바른 홍보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뷰티와 화장품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교육과정에 화장품 용기 재활용 관련한 내용을 추가로 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 된다.
본 연구는 지역적인 한계와 조사 결과 20대 여성이 60% 이상으로 성별과 연령의 한계로 인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앞으로 다양한 지역과 집단을 대상으로 홍보와 현장 참여형의 실천적인 영향력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N=343, %)
Category N %
Gender F 343 100
Age 10s 4 1.2
20s 209 60.9
30s 21 6.1
40s 31 9.0
50s 57 16.6
60s 21 6.1
Final education Middle school graduation 3 0.9
High school graduation 21 6.1
College graduation 184 53.6
University graduation 97 28.3
Graduate school or higher 38 11.1
Marital Status Single 225 65.6
Married 106 30.9
Etc 12 3.5
Job Student 223 65.0
Office workers 54 15.7
Self Employed 24 7.0
Housewife 34 9.9
Etc 8 2.3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220 64.1
Less than 2 million won 50 14.6
Less than 3 million won 33 9.6
Less than 4 million won 15 4.4
More than 4 million won 25 7.3
Table 2.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ocial Images
Social image measurement question Social image Commonality
Using refill cosmetics will improve my image to others. .893 .797
I think I can make a good impression on others by using refill cosmetics. .930 .865
Refill cosmetics will help others evaluate me positively. .917 .840
I think using refill cosmetics can make others like it. .901 .812
eigenvalue 3.313
description Variant (%) 82.836
cumulative variance (%) 82.836
Cronbach's α .930
χ²=914.252 (df=342, Sig.=0.000) KMO=0.808
Table 3.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cycling Recognition
Recycle Awareness Measurement Question Recycling Recognition Commonality
Commonality
Cosmetic containers are difficult to recycle because of their complex materials. .622 .387
Cosmetic containers should have a brand-level recall policy. .727 .528
It takes a long time to collect containers because of the long period of use of cosmetics. .701 .491
It is expensive to reprocess recovered cosmetic containers. .741 .549
Consumers lack awareness of recycling cosmetics containers. .769 .592
It is unsanitary when recycling containers, so skin safety is concerned. .657 .432
eigenvalue 2.978
description Variant (%) 49.654
cumulative variance (%) 49.654
Cronbach's α .791
χ²=838.631 (df=342, Sig.=0.000) KMO=0.861
Table 4.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atronage
Patronage measurement question Patronage Commonality
I will continue to use the refill cosmetics I am currently using. .706 .841
If it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as a competitor's new product, I will continue to use the refill cosmetics of the brand I am using. .729 .854
I'm willing to use it when I get an upgraded follow-up product from the refill cosmetics brand I'm currently using. .664 .815
eigenvalue 2.100
description Variant (%) 69.989
cumulative variance (%) 69.989
Cronbach's α .786
χ²=542.261 (df=342, Sig.=0.000) KMO=0.764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of Social Images, Recycling Intentions, and Patronage
Sortation Social image Recycling recognition Patronage
social image 1
Recycling recognition .301** 1
patronage .535** .345** 1
M 3.223 3.621 3.576
SD 0.8175 0.6392 0.7290

** p<0.01

Table 6.
Effect of Recycling Awareness on Patronage
Dependent variable (patronag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Modified R² F
(Constant) 2.153 10.100 .119 .116 45.965 ***
Recycling recognition .393 .345 6.78 ***

*** p<0.001

Table 7.
Effects of Recycling Perception on Social Image
Dependent variable (social imag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Modified R² F
(Constant) 1.830 7.537 .090 .088 33.902 ***
Recycling recognition .385 .301 5.823 ***

*** p<0.001

Table 8.
The Effect of Social Images on Patronage
Dependent variable (patronage) Independent variable B β t Modified R² F
(Constant) 2.038 15.027 .286 .284 136.873 ***
social image .477 .535 11.699 ***

*** p<0.001

Table 9.
Effects of Social Image on Recycling Perception and Patronage
Dependent variable (patronage) Parameters B β t Modified R² F
(Constant) 1.379 6.824 .324 .320 81.304 ***
Recycling recognition .230 .202 4.318 ***
social image .423 .474 10.144

*** p<0.001

References

Blomer, Kasper. (1995).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6:311-329.
crossref
Boulding, K. E.. (1956). The image: Knowledge in life and society, Ann Arbor Micigan, The university of Micigan, p.10-42.
Byun, K. W. pp 2016). Eco Friendly Cosmetic’s Container Material and Brand Image. In: Interna tional Brand Design Conference 2016;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pp 44-45.
Chen, J. J. (2023). A Study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s of Chinese Consumers Regarding Second-hand Trading Platform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Choi, E., & Kwon, O. H. (201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Korean Cosmetics and Interest of Korean Beauty Education from Mongolia, Vietnam and China.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 1432-1443.
Choi, H. J., & Kim, S. H. (2022). Effect of Beauty Brand Trust on Value Consumption: Focusing on the Role of Recognition of Cosmetic Container Recycling. Jounal of Consumer Studies, 33(5), 127-147.
crossref
Choi, H. J. (2023). The Effect of Refill Cosmetics on the Brand Image by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21(1), 33-44.
Choi, M. K. (2020).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extile Modeling for Environmental Problems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Gye, H. R. (2014). A Study about Spray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Water-mistnozzle by Using Numerical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Hwang, R. G. (2019). The Effect of Corporation Cultural Support Activities in Customer Loyalty : Focus on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8), 41-54.
crossref
Jin, H. S. (2011). The Impact of Functional, emotional, and social influence factors on Smartphone Patronage :the Mediating Roles of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ang, M. O., & Oh, J. S. (2023).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ervice Quality, Corporate Image, Consumer Attitude and Reuse Intention: Focusing on Financial Institution. Industrial Innovation Research, 39(2), 42-56.
Kim, K. J. (2010). A Study on Symbolic Image -Centering on Symbols Expressed in Pictures-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gbuk-do, 9.
Kim, T. H., & Choi, M. O. (2023). Effects of Covid-19 Skin Changes on Cosmetic Consumption Form -Focusing on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2), 421-429.
crossref pdf
Kim, Y. H. (2008). A Study on the Social Image and Make-up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 in 197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Gyeongsangnam-do.
Kim, Y. J. (2023). A study on the Effect of Airlines’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on Brand Image,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im, Y. K., Lee, H., & Jung, J. C. (2002). A Study on the Recycling Improvement method of a Cosmetic Container in Korea. Jornal of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10(1), 128-138.
Kim, Y. K. (2002). A study on the recycling improvement method of a cosmetic container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s Master's Degree Paper.
Lam, S. Y., Shankar, V., Erramilli, M. K., & Murthy, B. (2004). Customer value, satisfaction, loyalty, and switching costs: an illustration from a business-to-business service contex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2(3), 293-311.
crossref
Lee, S. W., & Jin, Y. M. (2016).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Mobile Shopping Types of Hair Produc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5), 881-888.
Miller, D. (1995). Consumption and commodities.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24:141-161.
crossref
Ministry of Environment, Resource Recycling Division (2022). Report on the Status of Cosmetic Packaging Containers and Best Practices. 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searchDetail.do?researchId=1480000-202300125&menuNo=I0000002.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Doosan Encyclopedia. (2023). [refill goods].
Pae, J. H., & Hyun, J. S. (2002). The impact of technology advancement strategies on consumers' patronage decision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Publication of the Product Development & Management Association, 19(5), 375-383.
crossref pdf
Pyo, D. S., & Lee, J. S. (2015).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Image, Trust and Behavior Intention in Foodservice Industry.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NATR), 11(4), 103-126.
Vera L.te Velde. (2022). Heterogeneous norms: Social image and social pressure when people disagree, University of Queensland.
W, Tao. (2012). The Impact of system and service Quality Factors on smartphone patronage : The Mediating Roles of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Baejae University, Daejeon.
Ye, D. H. (2012). The effect of green practices on brand image, brand performance,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branded coffee stor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Living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Seoul.
Yoon, N. R. (2023). Home Management through Consumption work: A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the married women in their 30’s-4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