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랙탈 기하학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네일디자인 연구: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Nail Styling,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Focusing on painting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5):1208-122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5.1208
1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곽수정1, 최은미2,
1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겸임교수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Eun-Mi Choi Tel : +82-62-950-3844 E-mail : cem9640@kwu.ac.kr
Received 2023 August 7; Revised 2023 August 29; Accepted 2023 September 5.

Trans Abstract

In the modern times, fractal geometry has been used in diverse fields including society, economy,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have been studied as a new formative element and found across art and culture sectors such as architecture, fashion and diverse art work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pplied 20th- century paintings in which such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are reflected to nail ar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data which are useful in designing and expressing unique artworks by creating nail art with elaborate hand paint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versified the construction of nail styles, using the paintings wit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and applied them to nail art, using elaborate hand painting techniques.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As a result, Work I is Wassily Kandinsky's ‘Circle within a Circle’,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self-similarity. Work II expressed Pablo Picasso's ‘Les Demoiselles d'Avignon’, in which irregularities appeared, and Work III expressed Victor Vasarelli's ‘Zebra’, which expressed the non-linearity of fractal geometry. In Work IV, Marcel Duchamp's ‘Nude Descending the Stairs NO 2’, which shows overlap, was expressed. Lastly, in Work V, Moritz Cornelis Escher's ‘Metamorphosis I’, which shows the repetition of fractal geometry well, was elaborated in Work V. expressed in design.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science and design can be combined based on fractal geometry. They also found that painting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fractal geometry could be expressed in nail styling and make a contribution as a new nail art form. New and diverse designs must be actively created in the field of beauty industry, and sinc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new alternatives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and developed.

I. 서 론

오늘날 디지털 테크놀로지(Digitai Technology)의 급속한 성장은 과학을 통한 새로운 형식의 조형 원리를 시각화함으로써 예술과 과학의 접목을 가속하고, 예술적 사고와 표현방식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생활 패턴이 자리 잡으면서 디자인과 미용 분야도 예전 전통적인 분류를 넘어 선 융합 디자인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Kim, 2018). 다양한 문화 예술을 접할 기회가 많은 지금은 문화 예술 대상의 외적인 측면, 내적인 감성과 철학적 사고에 의미를 부여하여 그 가치를 이해하려고 한다. 또한, SNS를 통해 개인의 요구사항이 디자인 개발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요즘 흐름에 맞게 메이크업과 네일아트 디자인도 고객의 취향을 고려한 맞춤형 디자인으로 많이 시술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독특하고 차별화된 욕구를 충족시킬 만한 새롭고 특별한 디자인을 추구한다(Lee, 2021). 이러한 소비자 성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미용 산업의 디자인 개발 창출을 위하여 다양한 방향의 시도가 필요하다.

프랙탈 기하학(Fractal geometry)은 자연계의 불규칙해 보이는 모양이나 복잡한 현상들 속에 규칙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설명한 과학 이론이다(Lee, 2021).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 속에서 사고의 폭을 넓히며 여러 다양한 분야를 이어주는 동시대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Kim, 2018). 프랙탈의 자기 유사성의 원리는 연속적인 형태를 통해 복잡한 구조를 만들고 무작위적 반복성은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다양한 방법에 응용되고 있으며 불규칙성은 다양한 형태에서 축소화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자라난 모습에서 번개, 나뭇가지 등에서 의미를 볼 수 있다. 오늘날, 프랙탈 기하학은 기존의 기하학과는 다른 다양한 이미지의 미적 가치 창출에 도움이 되는 예술적인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건축, 디자인, 회화, 공예,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응용되어 나타나고 있다(Kim, 2017).

다원화된 현대사회는 예측하기 어려운 모든 자연 현상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자연 현상 역시 복잡한 패턴과 형태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복잡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특성들이 획기적인 대안으로 평가받으면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프랙탈 기하학의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자연과학, 공학, 예술 체육학, 사회과학, 농수해양학, 의약학, 인문학, 복합학 등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에서 프랙탈 이론을 활용한 예술학 분야의 패션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프랙탈 조형 특성을 적용한 니트웨어 디자인(Lee, 2019)의 연구가 있고, 프랙탈 특성을 적용한 소재 개발 기반의 패션디자인 연구(Jung, 2017),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Kim & Kim, 2001), 주얼리 연구(Choi, 2015), 전통 복식 연구(Kim & Chae, 2016)가 있으며, 미용분야의 연구는 프랙탈 디자인을 활용한 페이퍼 컷팅 기법의 바디페인팅 오브제 작품 제작(Kim & Choi, 2022), 프랙탈(Factal) 조형 원리를 응용한 헤어 디자인 커트 연구(Park, 2017), 프랙탈 기하학 구조를 응용한 아크릴 푸어링(Acrylic Pouring)기법의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Shin, 2022) 등이 있다.

이렇듯 프랙탈 기하학은 수학적 디자인으로 흥미로운 분야이며, 그 고찰은 자연과 예술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시각화와 모형화가 더욱 가능해지면서, 이론적인 연구와 함께 실제 응용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과학이 예술 디자인 분야에 있어 새로운 사고와 접근 방식과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고, 항상 새로움을 추구하는 예술 디자인 쪽의 영역에서 무한한 조형적 디자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네일아트에 접목하는 것은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많은 건축가와 예술가들이 자연의 카오스적 성질을 이해하여 직감적으로 이를 작품 속에 표현하였다. 회화 작품 속에 반영된 프랙탈 구성원리의 특성과 디자인 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조형화 연구를 통해 회화 작품 속에 드러난 프랙탈 특성을 분석하고 회화작품에 표현된 디자인을 네일아트에 표현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다양한 것의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분야로 새로움을 표현하고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다양한 분야의 접목을 통해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며, 다른 것과 비교하여 획일적이지 않은 새로운 접목이라고 생각된다. 프랙탈 기하학 구성원리의 특성과 디자인 조형 원리를 분석하고 회화작품 속에 표현된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와 디자인 표현을 네일아트에 응용하여 예술적 표현 영역과 복합하여 장르의 확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자연과 과학의 결합으로 형성된 프랙탈 기하학적 특징은 컴퓨터 기술 디자인에서 활용되어지고 실제 미용 분야의 네일아트에서도 실질적 적용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프랙탈 기하학에 대한 개념과 고찰

프랙탈(Fractal)이란 말은 ‘부서지다’라는 라틴어 동사 ‘frangere’에서 파생한 부서진 상태를 뜻하는 형용사인 ‘fractus’에서 유래되었다(Lee & Jang, 2008). 수학자 베노이트 만델브 로트(Benoit Mande lbrot, 1924-2010)가 ‘불규칙한 형상의 집합’을 정의하기 위하여 처음 사용한 언어이다(Gleick James, 2013).

프랙탈은 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불규칙하고 무정형한 모양들을 가르키는 겉으로 보기에는 복잡하고 무질서해 보이나 그 안에 규칙을 내포하고 있음을 설명한다(An, 2013). 즉, 프랙탈 기하학은 지금까지 사용해 온 규칙적인 모양이나 곡선, 곡면으로 인식할 수 없는 자연의 복잡한 모양과 형상에 대해 밝히고, 전체와 부분의 유사성을 만들어 내는 객관적인 방법을 연구하며, 그 속에 숨어있는 새로운 규칙들을 찾아내고자 하는 학문이다(Kim, 2011). 무질서해 보이는 자연의 복잡성 안에 숨어있는 공통적인 질서와 규칙은 과학의 발달로 수치가 가능해지면서 자연에서 찾은 패턴을 인식하게 되었다(Shin, 2022). 이러한 불규칙한 모양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연속적인 유사성을 프랙탈이라 하며, 프랙탈 기하학은 자연의 복잡한 현상과 형태를 밝히는 개념으로써 전체와 부분에 내재하는 유사한 패턴을 만들어 내는 객관적인 규칙을 말한다(Kim, 2017). Noh(2010)의 연구에서 프랙탈 기하학은 끊임없이 연속적이고 자기 유사적인 구불구불하게 휘몰아치는 디테일을 보여주는 수학적인 모습들이라고 하였다. 프랙탈은 자연의 형태를 보여주는 자연의 기하학이며(Jung et al., 2017). 무정형하고 불규칙적인 자연의 모양이다. 우리 인체 곳곳에 숨어 있는 프랙탈 구조는 자연과 닮았고, 인간과 동물의 혈관 분포와 산맥, 구름, 해안선, 나뭇가지 등 자연에서 수많은 프랙탈 기하학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수학적 용어로서의 프랙탈은 전체적으로 큰 형태를 부분으로 보았을 때 그 안에서 전체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무한한 형태의 기하학 도형을 일컫는다. Kim(2000)의 연구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은 자기 유사성, 비선형성, 불규칙성, 무작위성, 자기 조직성, 반복성, 응집성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며, 프랙탈의 특징은 프랙탈 차원을 갖음과 자기 닮음이라고 하였다(Kim & Kim, 1998). 또한, Kim(2011)의 옵티컬 패턴의 주얼리 디자인 연구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 원리는 중첩, 반복, 왜곡, 스케일링의 변환이라고 하였으며, Kim(2003)의 연구에 의하면 만델 브로트에 의해 제안된 프랙탈은 자연계의 구조적인 비규칙성을 기술하고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기하학이라고 하였으며, 만델 브로트는 자연의 복잡한 형상과 불규칙한 패턴의 연구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특성을 자기 유사성(Lee, 2003)으로 보았으며, 자연 현상을 해석하는 강력한 도구로 설명했다. 프랙탈은 무한히 작은 축적에 이르기까지 자기유사성을 갖는 비정수 차원의 복잡한 기하학적 물체라고 언급하였다(Kim, 2003).

이와 같이 프랙탈 기하학은 함수와 변수, 함수 되부름 등을 활용한 일종의 수학적 코드이다(You & Young, 2001). 프랙탈의 다양한 특성은 상호 연결되어 있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의 구성원리의 자기유사성과 비선형성, 불규칙성, 무작위성과 조형원리의 중첩성, 반복성, 왜곡성과 스케일링의 변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구성 원리

1) 자기유사성성(Self-Similarity)

프랙탈 기하학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자기 유사성이다. 자기 유사성이란 구조 내의 작은 부분들이 전체와 비슷한 패턴을 가지는 특성을 의미한다. 즉, 프랙탈은 작은 규모에서 큰 규모로 이동하더라도 비슷한 형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특성은 재귀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무한히 세부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Kim(2012)에 논문에서는 자연현상에서 규칙적인 불규칙성을 보여주고 질서가 있으나 혼란스러운 현상이라고 하였으며, 불규칙성의 정도는 규모가 크건 작건 변화하지 않는다. 만델 브로트는 이러한 자연현상의 불규칙한 패턴을 연구하여 자기 유사성의 개념을 정립했다(Kim, 2011). 자기유사성은 모든 축적을 관통하는 대칭성으로 회귀하는 패턴 속의 패턴을 의미한다(Gleick James, 2013). 자기유사성이라 정의되는 이런 특성은 곡선의 한 부분이 스케일이 확장되면서 전체 곡선과 일정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스케일에서 다른 스케일로의 변이는 확대나 축소의 반복으로 표현될 수 있다(Kim, 2011).

2) 무작위성, 비선형성, 불규칙성

프랙탈의 무작위성(Randomness)은 프랙탈 패턴이 무작위성을 결합하여 생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완전히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프랙탈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고, 프랙탈의 일부 구성 요소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되거나 변형되어 전체적인 형태가 결정된다.

무작위적인 프랙탈은 복잡한 세계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실질 세계에 존재하는 비예측성도 가지고 있다(Kim, 2003). 반복, 점진, 척도를 불규칙적이고 우연으로 선택함으로써 해안선, 산맥, 행성 같은 것들을 영화나 비디오 각종 광고에서도 쓰일만큼 진짜처럼 보이도록 만들 수 있다(John Briggs & David Feet, 1990). 무작위성은 예측할 수 없는 복잡성과 재미있는 시각적인 패턴을 제공하기 때문에 예술, 컴퓨터 그래픽, 시뮬레이션, 자연현상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랙탈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작은 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패턴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선형적인 기하학에서는 단순한 기하학적 변환만으로 모양이 변하지만, 프랙탈에서는 비선형적인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선형성(Nonlinearity)을 나타낸 뉴턴의 방정식에서는 작은 변화로 작은 효과를 얻고, 큰 변화로 큰 효과를 얻기 때문에 선형(Linear)이라는 용어를 쓴다(Kim, 2002). 이렇게 변수의 값에 따라 비례적으로 크거나 작아지는 방정식을 선형이라고 한다. 비선형계에서의 특징은 압력의 작은 것이 변환되어 예측하지 못한 큰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이며, 초기 조건에 대한 민감한 의존성이며 이런 경우를 기상학계에서는 나비효과라고 부른다(Kim, 2011).

불규칙성(Irregularity)은 자연현상의 규칙적인 불규칙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뒤틀린 나무의 형상, 불규칙한 생강 뿌리, 선인장, 화성암의 거품 등은 다양한 형태가 반복되면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Yun, 2012). 이러한 현상이 바로 프랙탈의 불규칙성이며 이는 패턴의 반복과 변형으로 공간을 역동적으로 만든다(Song, 2006).

결론적으로 프랙탈 구조는 무한하게 세분이 가능한 패턴 안의 패턴이 자기유사성과 비선형적인 프랙탈 차원을 가지며, 생성의 출발점에서부터 확산하여 다양한 형태가 반복·축소·왜곡·변형된 구조를 이룬다(Yun, 2012). 프랙탈 도형은 종종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재귀적이거나 반복적인 작업에 의한 패턴으로 만들어진다(Eom & Jeong, 2012). 프랙탈 기하학의 구성원리의 형태적 특성의 개념, 자연에서 나타나는 프랙탈 이미지를 정리하면 Table 1과 같이 정리된다.

Classification of Shap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al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3. 프랙탈 기하학의 디자인 조형 원리

1) 중첩(Overlapping)

조지 캐패스(Georgy Kepes)는 중첩에 대해 어떤 겹쳐 있는 두 개의 형상을 볼 때 두 개의 공간적 의미를 알 수 있는데 뒤에 있는 형상보다 앞에 있는 형상이 더욱 가까운 것으로 지각 된다(Song, 2006). 이에 따라서 우리는 공간적 차이를 알게 되며, 이러한 중첩의 표현 방법은 깊이와 공간감을 일으킨다라고 정리하였다.

공간에서 중첩은 동시성, 침투성, 투명성, 중합, 다층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Lee, 2003). 또한, 중첩을 여러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겹침(Layering), 접힘(Folding), 기울임(Tilting), 투명도 조작, 모서리 확장 등으로 다양화하여 표현할 수 있고, 가장 중요 한 요소는 선적인 요소인데, 심리적, 시각적으로 공간의 변화와 생동감을 주어 새로운 무한의 공간을 부여한다(Nam, 2002).

2) 반복(Repetition)

프랙탈의 반복성을 디자인에 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독특한 방법이다. 프랙탈 기하학 디자인은 작은 요소들을 반복적으로 확장하고 변형하여 복잡하고 아름다운 패턴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디자인은 자연의 현상에서부터 수학적으로 생성되는 마델브로트 집합과 같은 수학적 구조까지 다양한 영감을 얻을 수 있다.

디자인에 있어서 반복이란 동일한 요소나 대상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둘 이상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점과 점 사이에서는 점이, 선과 선 사이에서는 선이, 형태와 형태 사이에서는 형태가, 공간과 공간 사이에서는 공간이, 사건과 사건 사이에서는 사건이 동일한 패턴으로 연속되어 가는 것을 말한다(Nam, 2007). 동일하거나 비슷한 선, 형태, 질감, 명도, 색 등의 반복을 통해 예상할 수 있는 패턴, 즉 통합적 시각 구조를 창출하게 된다(Kim, 2011).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프랑스 작가의 작품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그는 함께 일어나는 모든 것 즉, 소리, 빛, 운동과 같은 것들을 가시적인 상태로 한꺼번에 작품 속에 집어넣음으로써 동작의 다양성을 통해 물체의 형상이 주는 근본적인 역동적 에너지를 표현했다(Song, 2006). 대상의 동시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분할, 해체 그리고 반복 작업을 택했으며, 기존의 논리와 관계없이 서로 독립된 세부를 흩트리고 혼합하는 작업을 통해 모든 시각적 감각을 표현하였던 것이다(Georgy Kepes, 1989).

3) 왜곡(Distrotion)

형태를 왜곡시키는 방법 중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가로, 세로 폭의 비례를 바꾸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데 화가들은 움직임을 표현하면서 형상을 길게 늘이고 잡아당김으로써 형태를 왜곡시켜 나타냈으며, 심리적인 표현의 수단으로써 왜곡을 시도하기도 했다. 왜곡은 때로 특수한 표현적 목적 때문에 사용되는데, 이미 알고 있는 대상에 불쾌하거나 우아한 형태, 비례를 부여한다는 동시적 인식에 의한 정서 반응을 감상자로 유발하는데 있기도 하다(Choi, 2016).

프랙탈의 왜곡성은 디자인과 예술에서 매우 흥미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비정형적인 형태와 미묘한 패턴은 시각적인 흥미와 아름다움을 제공하며, 창의성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프랙탈의 왜곡성은 자연 현상 모델링, 컴퓨터 그래픽스, 랜더링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4) 스케일링(Scaling)의 변환

스케일링의 방법은 프랑스의 수학자 베노이트 만델브로트(Benoit Mande lbrot)의 프랙탈 개념이 차용된 것(Kim, 2011)으로서, 프랙탈 패턴을 특정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변환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프랙탈 패턴이 다양한 크기로 변화하며, 반복적인 구조를 더 자세히 또는 더 넓게 관찰할 수 있다.

스케일링은 프랙탈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시각화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스케일링을 통해 프랙탈 패턴이 다양한 크기와 미묘한 세부 사항을 갖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프랙탈의 자기유사성과 반복적인 구조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스케일링은 프랙탈 기하학 디자인에서 시각적인 다양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분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그래픽스에서는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3D 모델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데이터 시각화에서도 스케일링을 사용하여 차트나 그래프의 크기를 조정하여 데이터를 더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다. 스케일링은 이미지 처리, 컴퓨터 비전, 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중요한 변환 기법이다. 프랙탈 기하학 디자인의 조형 원리의 특성 구분과 시각적 효과는 Table 2와 같이 정리된다.

Classification of Formative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Design

4. UV 젤 네일아트

네일아트는 21세기 뷰티산업의 발전 속에서 대중들의 관심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 표현 방식의 수단이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UV 젤 테크닉은 인조 네일의 가장 현대적으로 강화된 기술이고, 네일아트는 손톱이라는 작은 공간에 표현하는 예술 영역으로 개성과 이미지를 표출하는 수단으로 대중화됨에 따라 현대 여성들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Shin, 2014).

네일아트 디자인은 네일리스트의 내면적 이미지를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과 함께 다양한 소재와 표현기법으로 장식하여 미의 세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영역이다(Choi, 2000). 또한, 요즘 시대에는 표현예술의 한 분야로서 영역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털 패션의 한 부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컬러 젤의 산업발전으로 기존 발색이 잘 되지 않고 아세톤에 녹지 않는 제품에서 지금은 다양한 컬러의 제품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고객들이 먼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디자인을 쉽게 접하고 네일아트 디자인에 대한 지식 및 수준이 향상되어 고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창조적인 네일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Bae, 2015). 이와 함께 미술작품에 사용되는 모든 도구와 네일아트에 사용되는 소품들이 만나 예술적 작품으로써의 우수한 네일아트 디자인이 완성되었다. 네일 디자인은 개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해 줄 수 있는 흥미로운 작업으로 특히, 젤은 UV 램프에 큐어링 하기 전까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시간적인 제한을 받지 않고, 이러한 장점을 이용한 네일아트 기법으로는 젤 아트, 스톤 아트, 오브제 아트, 데칼 아트, 워터 데칼 아트, 마블 아트, 핸드페인팅, 포크 아트, 에어 브러쉬, 엠보 아트, 3D 아트, 컬러 아트, 디자인 스캅춰 등이(Kim & Kim, 2023)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아트를 표현할 수 있다. 네일아트 기법 중 핸드페인팅(Hand Painting)은 조형 요소인 점, 선, 면과 색상을 잘 고려하여 풍경이나 꽃, 동물, 사물, 케릭터 등을 섬세하게 터치하여 예술적인 디자인을 창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브러시 종류로 디자인의 표현을 달리할 수 있으며 물감과 물의 농도에 따라 선명한 이미지와 명암을 나타낼 수 있다(Kwon, 2013). 핸드페인팅은 상징적인 표현과 사실적인 회화 묘사 등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하며 색상과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어 네일 위에 펼져지는 아름다운 예술이라 할 수 있다(Ko, 2020).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범위

자연은 디자인에 있어 아름다움의 근원이며 조형 요소와 원리가 모두 조합된 표현 대상으로 볼 수 있다(Kim & Kim, 2018). 자연 속에서 찾아낸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특징은 디자인에 있어서 미적 근거를 탐색하는데 매우 중요한 원리가 된다. 자연의 형태구조에서 찾아낸 가하학 패턴과 형태원리를 기본으로 한 디자인은 합리적 구조에 대한 방법적 합리성과 과학적 유용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고, 이는, 네일아트 디자인에 있어 의미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범위는 자연의 유기적인 형태들에 나타나는 프랙탈 기하학적 형태의 고찰을 통해 화화 작품에 나타난 과학적 이론인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특성 이미지를 네일아트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회화작품에 내재하여 있는 프랙탈 특성을 고찰하여 미용 예술과 과학의 통합체로서 융합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실질적인 디자인을 통한 제작과정을 보여주었다. 프랙탈의 조형적 구성원리와 디자인 조형 원리의 분석을 통해 프랙탈에서 얻어낼 수 있는 예술적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실질적으로 네일아트 디자인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2. 작품제작

본 연구의 구체적인 작품제작 방법은 프랙탈 기하학에 기초하여 과학과 디자인의 접목의 시도를 위해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선행연구 및 전문서적을 고찰하였다. 프랙탈 기하학적 형태의 화예 디자인 조형 작품에 관한 연구(Nam, 2002),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연구(Lee, 2015), 해체주의 건축과 패션에 나타난 조형성 및 색채 특성 비교분석(Lee et al., 2014)의 연구에서는 자기유사성, 비선형성, 불규칙성, 무작위성, 자기조직성, 비예측성으로 구성원리의 특성을 연구 분석하였고, 프랙털 기하학에 근거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Song, 2006), 프랙탈적 해석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응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Yang, 2000)에서는 디자인 조형원리의 분석으로 중첩성, 반복성, 왜곡성, 스케일링 변환의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회화작품에 내재하여 있는 프랙탈 기하학의 구성원리 특성의 자기유사성, 불규칙성, 비선형성과 프랙탈 디자인 조형 원리에서 많이 사용 되는 중첩성, 반복성 5가지로 분류하고, 회화작품 속에 표현된 프랙탈의 특성을 네일아트 디자인에 실질적으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작품제작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회화작품에 표현된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이 나타난 1. 자기유사성은 바실리 칸딘스키의 ‘원안에 원’, 작품, 2. 불규칙성은 파블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작품, 3. 비선형성은 빅토르 바자렐리의 ‘얼룩말’ 작품, 4. 중첩성은 마르셀 뒤샹의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NO2’ 작품, 5. 반복성은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Metamorphosis I’의 5가지 작품을 선택하여, 각 작품이 표현되는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응용하여 총 5점의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작품제작과정으로 회화작품의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한 후 종이에 색연필로 1차 디자인 스케치를 하고, 그 위에 2차로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젤로 표현해 보았으며 그 후 아트용 팁 위에 작품을 제작하였다. 기기와 재료는 내츄럴 커브 아트용 네일 팁, 베이스 젤(Base Gel), 탑 젤(Top Gel), 젤 브러시(Gel Blush), 핸드페인팅 라인 젤(Hand painting Gel), UV/LED 겸용 젤 램프(UV/LED Gel Lamp)을 이용한 재료와 기구는 Table 3과 같고, 정교하게 핸드페인팅 아트로 작품 제작 표는 Table 3과 같고, 작품작업 계획은 Table 4와 같다.

Material and Instrument

Work Design Plan

IV. 결과 및 고찰

1. 자기유사성(Self-similarity)

작품 I은 프랙탈 기하학의 자기유사성을 나타내는 바실리 칸딘스키의 ‘원안에 원’이다. 자기유사성은 모든 축척을 관통하는 대칭성이고, 이것은 회귀(Recursion) 즉, ‘패턴 안의 패턴’을 의미한다(Yang, 2000). 즉, 규모가 점점 작아지는 방향으로 상세한 모양이 반복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이러한 자기유사성은 프랙탈의 기초를 이루고 있으며 이 특성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있는가 하면 약간의 변화를 하는 것도 있다(Kim. 2003). 세부 구조를 확대해 보면 부분이 전체 구조와 자기 닮음 형태를 보이는 자기유사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자기유사성이 나타난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 ‘원 안의 원’은 기하학적인 도형과 선의 중첩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작품 I에 디자인을 표현해 보았다. 네일아트 이미지 표현은 Table 5와 같다.

Self-similarity - Wassily Kandinsky ‘One in a circle’

2. 불규칙성(Irregularity)

예술가에게 있어 불규칙성(Irregularity)은 필수 불가결의 요소이다. 위대한 예술 작품에는 고전적인 형태 속에서도 규칙의 평정함 속에 혼돈의 힘이 항상 나타나 있기 마련인데, 모든 위대한 예술은 질서와 혼돈의 성장, 정체의 팽팽한 긴장을 추구한다(Song, 2006). 작품 II는 파블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이다. 아비뇽의 처녀들은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 중 규칙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고, 혼란스러워 보이지만 그 내면에서는 질서를 내포하고 있는 특성인 불규칙성을 말한다. 이차원적인 평면에 하나의 형체를 삼차원의 세계인 듯 여러 각도로 표현해 혼란스러운 시각으로 프랙탈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면서 불규칙하게 배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불규칙성이 표현된 ‘아비뇽의 처녀들’ 작품을 네일팁에 적용하여 작품 II에 디자인을 표현해 보았다. 네일아트 이미지 표현은 Table 6과 같다.

Irregularities - Pablo Picasso's ‘The Maids of Avignon’

3. 비선형성(Nonlinearity)

뉴턴의 작은 변화에 따른 작은 효과, 큰 변화에 따른 큰 효과를 가져오는 선형(Linear)적인 방정식에 반하여, 비선형성(Nonlinearity)의 특징은 입력한 작은 변수에 의해 변환의 과정을 거쳐 최종 출력되는 결과는 초기에 예측할 수 없는 큰 변화를 가져오는 현상을 뜻하며, 이를 기상학에서는 나비효과라고 부른다(Lee, 2015). 비선형성의 사례를 살펴보면 초기 조건에서 변화를 거듭함에 따라 스케일의 확장 및 왜곡된 반복이 이어져 구조를 예측할 수 없는 형태 변화로 화산폭발로 인해 쌓여가는 용암 주름, 흐르는 계곡물의 방향, 당구대의 공이 굴러가는 방향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빅토르 바자렐리의 ‘얼룩말’ 또한 의도적인 이미지를 위해 어색한 모습과 이상스럽게 뒤틀리고 왜곡된 파격적인 비례로 묘사하기도 하면서 새로운 미를 창조해 나갔다(Jo, 1997). 비선형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Black, White, Sky blue 3가지 컬러를 가지고 작품에 표현해 보았다. 네일아트 이미지 표현은 Table 7과 같다.

Nonlinearity - Victor Vazarelli ‘Zebra’

4. 중첩성(Nesting)

작품 III는 중첩요소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선적인 요소, 즉 축이 되는 선인데 축의 중첩은 중첩성의 표현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Lee, 2014). 여러 단계의 층들이 겹침, 혹은 포개어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중첩성을 표현해 보았다. 화산활동 지형에서 흔히 나타나는 주상절리의 사례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비슷한 형태의 기둥들이 쌓여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다. 마르셀 뒤샹의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NO 2’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가 포개어져 깊이감이 생김으로써 공간의 착시를 일으키는 중첩과 반복을 통해 프랙탈이 나타난다. 사람의 움직임의 모습을 연속적으로 묘사한 그림으로서 프랙탈의 중첩성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프랙탈 기하학의 중첩성이 드러난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NO 2’를 작품 III에 디자인을 표현해 보았다. 네일아트 이미지 표현은 Table 8과 같다.

Overlapping - Marcel Duchamp ‘Nude Descending the Staircase NO 2’

5. 반복성(Repetition)

작품 V는 프랙탈 기하학의 반복성을 잘 보여주는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Metamo rphosis I’ 작품이다. 반복(Repetition)이란 점과 점 사이에는 점이, 선과 선 사이에는 선이, 형태와 형태 사이에는 형태가, 공간과 공간 사이에서는 공간이, 사건과 사건 사이에는 사건 이 동일한 패턴이 연속되어 가는 것을 말한다(Nam, 2002).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작품에서는 공간의 간격에 의하여 반복이 생겨 동일한 패턴이 연속된다. 이는, 복잡한 구조 속에 되풀이되는 비슷한 요소들의 반복으로 다양한 형태를 얻는 것을 말한다. 반복은 통일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고, 미의 구성 원리 중 반복은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디자인에 우선시 된다(Yoo, 1963). 디자인 스케치를 통해 동일한 패턴의 반복을 작품 Ⅴ에 디자인을 정교하게 표현해 보았다. 네일아트 이미지 표현은 Table 9와 같다.

Repeatability - Moritz Cornelis Escher ‘Metamorphosis I’

V. 결 론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들은 현대에 들어서 경제, 사회, 경영, 미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은 새로운 조형 요소로 연구되며, 건축, 패션 및 다양한 예술 작품들과 디자인에 응용되는 등 문화 예술 분야 전반에 걸처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이 드러난 20세기 회화 작품을 응용하여 네일아트에 적용함으로써, 개성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 맞게 정교한 핸드페인팅 아트로 네일아트 디자인을 표현하여, 독창적인 작품의 디자인 표현양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작품제작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회화작품에 표현된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적 특성이 나타난 작품을 응용하여 작품의 구성을 다양화하였으며, 정교한 네일아트의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네일아트에 표현해 보았다. 그 결과 작품 I, 자기유사성은 전체 구조와 자기 닮음 형태를 보이는 특성을 갖는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 ‘원 안의 원’ 이다. 기하학적인 도형과 선의 중첩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 중 자기 유사성의 드러난 작품을 네일아트 디자인에 표현해 보았다. 작품 II, 불규칙성은 예술가에게 있어 필수 불가결의 요소인 불규칙성이 나타난 파블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은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면서 불규칙하게 배열되는 프랙탈 기하학의 성질을 잘 표현한 작품을 작품 II에 표현해 보았고, 작품 III, 비선형성이다. 프랙탈 기하학의 비선형성이 표현된 빅토르 바자렐리 ‘얼룩말’을 표현하였다. 의도적인 이미지를 위해 어색한 모습과 이상스럽게 뒤틀리고 왜곡된 파격적인 비례로 묘사한 비선형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Black, White, Sky blue 3가지 컬러를 가지고 네일팁에 핸드페인팅으로 작업하였다. 작품 IV는 중첩성으로 여러 단계의 층들이 겹침, 혹은 포개어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중첩성을 표현해 보았다. 마르셀 뒤샹의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NO 2’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가 포개어져 깊이감이 생김으로써 공간의 착시를 일으키는 중첩과 반복을 통해 프랙탈 기하학의 중첩성의 디자인을 표현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작품 V는 프랙탈 기하학의 반복성을 잘 보여주는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Metamorphosis I’의 작품에 반복적인 특성을 응용하여 동일한 패턴의 반복을 작품 V에 정교한 디자인으로 표현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프랙탈 기하학에 기초하여 과학과 디자인의 접목을 할 수 있음을 알았고 특히,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들이 나타난 회화작품이 네일아트 디자인에 충분히 표현될 수 있고, 새로운 네일아트 디자인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새로운 영역의 디자인과 표현력을 발전시켜 우수한 네일아트 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지속되고, 다양한 회화작품들을 활용하여 창작의 시도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빠르게 바뀌는 디자인 환경 속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 원리와 디자인 패턴은 다양한 형태의 조형적 디자인을 두고 있으므로, 미용 산업 현장 분야에서도 새로운 디자인 생성을 활발히 하여야 하며, 서로 밀접하게 관련 되어져 있으므로 기존과 다른 대안이 제시되고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적용한 논문이 많이 없었으며, 특히 미용 분야의 연구가 미비하여 네일아트 재료나 소재를 활용하여 융합적인 디자인 제작의 어려운 점이 있어, 다소 객관성이 부족한데 아쉬움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한 작가의 작품보다 동시대의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연구하여 미용 산업현장에서도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를 접목하여 다양한 디자인 작품에 시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An D. Y.. 2013. Fractals & chaos Seoul: KyoWoo.
2. Bae S. J., Kang E. J., Heo M. R.. 2015;Nail Art Design Applied Art Works by Jean Michel Basquiat.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48:327–336.
3. Choi, H. Y. (2016). Textile Design applied by Fractal Geometry, Dept. of Textile Design Graduate school of Mokwon University, Daejeon, 1.
4. Choi, J. N. (2000). Art Make-up Applied to Flower Image. Korea Soc. Beauty Art 1-(2000), 143-160.
5. Eom K. H., Jeong B. R.. 2012;A Case Study on the Textile Design Product Applied by Fractal Geometry.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8(2):239–251.
6. Georgy Kepes. 1989. Yuhan-tae translation, Visual Language Daekwang Publishing.
7. Gleick James. 2013. Chaos : making a new science. -20th anniversary ed Seoul: Kyobobook.
8. Kim, A. I. (2002). A Study of the Local Cultural Space Design Applied with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from the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9. Kim B. K., Choi E. M.. 2022;Development of Paper-cutting Technique-based Body Painting Objet, Using Fractal Design: Based on Paper Material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1):351–365.
10. Kim C. K., Kim M. J.. 2012;Comparison And Analysis of Paintings Using Fractal Dimension. -Focused on Mondrian, Kandinsky, Escher and Jackson Pollock's Painting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All Rights Reserved 38(2013)
11. Kim, G. E. (2003). Digital fabric design applying the fractal geometric form theory,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12. Kim, H. R. (2017). Creating a design applied figurative feature of Fractal Geometry –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Body Art and Nail Art-, Make-up & Special Effect Make-up,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Beau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87-297.
13. Kim J. M.. 2003;The Des ign Principl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Based on Fractal Concepts -Focused on Painting and Space Desig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37:13–14.
14. Kim, M. J. (2011). Study on Jewelry Design of Optical Pattern, Graduated School of Ka ya University, Gimhae, 2-3.
15. Ko J. M.. 2020;Analysis on Expression Technique of Nail Art Desig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1253–1260.
16. Kim S. A., Kim H. Y.. 2001;A Study on the Fashion Illustration Using Fractal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2):184.
17. Kim, S. C. (2012). A Study on Regularity internalized in Works of Art,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he Arts, Seoul, 30.
18. Kim S. K., Kim S. H.. 2023;Nail Art Design Research Using 2022 S/S New York Fashion Week Trend Color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1):95–106.
19. Kim S. Y.. 2018;A study of Textile Surface Design using Fractal Patter. KSBDA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9(5):101–112.
20. Kim, Y. U. (2000).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of Cr-Mo steel alloy by fractal analysis, Korea University, Seoul, 3-4.
21. Kim, Y. S. (2017). A Study on 3D Printing Fashion Materials Applying the Modeling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 Focusing on basic texture application of fashion material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19.
22. Kim Y. S., Kim J. H.. 2018;A Study on 3D Printing Fashion Materials Applying the Modeling Principle of Fractal Geometry -Focused on Basic Texture Application of Fashion Materials-.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3):111–134.
23. Kwon, K. H. (2013). A study on the Design of Nail Art at Salon applying the Techniqu e of Folk Ar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24. Jung E. J., Chang M. S.. 2011;Art Makeup Design Applying the Paintings of Gustav Klim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metology 17(3):477–486.
25. Jung I. U., Youn J. Y., Kim H. J.. 2017;A study on Fashion Design based on Material Development Appli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ractal.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8(2):597–616.
26. John B., David F.. 1990. Turbulent Mirror Seoul: Beomyang Publishing House.
27. Jo, Y. H. (1997). Study on Comprehension of Chaos Theory and its Relation and Applicability to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5.
28. Lee, K. M. (2015). Formative of the fractal geometry Application of hair-art research (Mainly collage illustration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Seoul, 8.
29. Lee, I. K. (2003).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research which applies Fractal geometry,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Hong-Ik University, 5-6.
30. Lee Y. M.. 2021;Knitwear design with fract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9(4):522–537.
31. Lee, J. (2008).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from Fractal Geometry -Centering on Kai's Power Tools(KPT) Technique-.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 University, 9-16.
32. Lee J., Jang N. K.. 2008;Fashion Design from Fractal Geometry.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3):59–77.
33. Lee, J. K. (2003). A Study on the Design of a Visitor Center of a National Park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Plastic of Fractal Geometry,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 University, Seoul, 17.
34. Lee J. S., Seo E. J., Kim H. N.. 2014;A Comparative Analysis of Form ativen ess and Color Characteristics as Shown in Deconstructionist Architecture and Fash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8(1):166–176.
35. Noh S. W.. 2010;A Study on the Potential to Apply Chaos and Fractal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 16(3):146.
36. Nam, O. C. (2007). A Study on Floral Art & Design is the introduction of Fractal plastic Art a concept in Analysis and the modeling,, Major in Floral Art & Desig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23.
37. Park Y. M.. 2017;A Study on Hair Design Cut Using Fractal Formation Principle.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1(3):71–80.
38. Song L. Y.. 2006;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based on the Fractal Geometry.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7(1):311.
39. Shin W. S.. 2022;Analysis of Fractal Geometric Structure-based Acrylic Pouring Art Makeup Technique. Korea Soc. Beauty Art 23(1):7–26.
40. You S. C., Young C. C.. 2001;A Study on the Attributes of Fractal on M.C. Escher′s Work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Science 15(45)
41. Yang, Y. H. (2000). Study Over Possibility of Application on Textile Design by Fractal Interpretation, Major in Dyeing Desig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10.
42. Yun M. H.. 2012;A Study of the Expressive Possibilities of Modern Formative Arts Using Fractal Geo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4):300–31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lassification of Shap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al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Table 2.

Classification of Formative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Design

Table 3.

Material and Instrument

Table 4.

Work Design Plan

Table 5.

Self-similarity - Wassily Kandinsky ‘One in a circle’

Table 6.

Irregularities - Pablo Picasso's ‘The Maids of Avignon’

Table 7.

Nonlinearity - Victor Vazarelli ‘Zebra’

Table 8.

Overlapping - Marcel Duchamp ‘Nude Descending the Staircase NO 2’

Table 9.

Repeatability - Moritz Cornelis Escher ‘Metamorphosis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