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트렌드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뷰티업계에 미치는 영향: 최근 1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Factors and Eco-Friendly Trends on the Beauty Industry: A Big Data Analysis of the Past Year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6):1378-138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6.1378
Professor,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s, Hoseo University
서란숙,
호서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Ran-Sug Seo Tel : +82-41-540-9904 E-mail : srs1001@hanmail.net
Received 2023 August 12; Revised 2023 September 26; Accepted 2023 October 3.

Trans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co-friendly trends and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ESG) factors in the beauty industr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eco-friendly trends and ESG in the sector, the research aims to achieve its objectives by extracting key keywords using big data and analyzing them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he data utilized for this study covers the period from June 1, 2022, to May 31, 2023.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reveal that both eco-friendly trends and ESG have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beauty industry as a whole. Firstly, eco-friendly trends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beauty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methods. Increased consum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s led to a higher demand for natural ingredients, renewable materials, and recyclable packaging. As a result, numerous beauty brands are launching eco-friendly product lines and adopt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ion practices, promoting these initiatives in their actual beauty products. Secondly, ESG factors significantly impact the business operations and sustainability of beauty industry companies. Companies that demonstrate outstanding performance in environmental,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aspects are more likely to gain greater trust and support from consumers and investors. Complying with social values, ethical principles such as opposing animal testing, ensuring product safety, fair trade, diversity, and inclusivity, enhances companies' competitiveness. Lastly, this research finds that eco-friendly trends and ESG not only affect the beauty industry itself but also influence investment decisions. ESG evaluations assist investors in assessing a company's long-term value creation capability and risk management. Business strategies that consider ESG factors have the potential to attract investor intere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is based on current trends and data, but the beauty industry is continuously and rapidly evolving. Ongoing updates to research findings and further investigations into new trends are necessary.

I. 서 론

최근 몇 년 동안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트렌드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기업들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Jung & Park, 2022).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뷰티 업계이다(Kang & Kim, 2022).

ESG는 최근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사회적, 환경적, 지배구조 측면의 요소들을 가리키는 개념이다(Jung & Park, 2022). 기업들은 이러한 ESG 요소들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장기적인 경영 성과와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한다(Kang & Kim, 2022).

뷰티 업계는 과거부터 고객의 아름다움과 외모 관련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해오며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No & Chung, 2020). 그러나 뷰티 업계도 환경 문제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제품을 선택할 때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Hwang & Kim, 2021).

이에 따라 뷰티 업계는 친환경 트렌드와 ESG 요소들에 대한 대응 전략을 개발하고 혁신해야 하는 시대적인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ESG 문제들은 뷰티 업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기업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사회적, 환경적, 지배구조 측면의 문제들은 기업의 이익 추구와 별개로 여겨지곤 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ESG 요소들이 기업의 장기적인 성공과 브랜드 가치에 직결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Shin, 2015).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가치와 원칙을 반영하는 기업과 제품에 더 큰 관심이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ESG를 고려한 비즈니스 전략이 필수적이다(Park et al., 2022).

본 연구는 뷰티 업계에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뷰티 업계의 기업들은 환경과 사회적 책임에 더 나은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뷰티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 요소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이와 유사한 관련 업계에서의 친환경 및 ESG 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키워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뷰티 업계의 기업과 관련된 전문가들, 학계, 정부 또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뷰티 업계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를 통해 뷰티 업계는 친환경과 ESG에 대한 올바른 접근방식을 탐색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더 나은 변화와 혁신을 끌어낼 수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친환경 트렌드와 뷰티

친환경 뷰티 제품은 재배 과정부터 제품 생산까지 모든 과정에 화학 성분을 최대한 배제하면서 자연 그대로의 원료와 재생할 수 있는 친환경적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Kim & Lee, 2019). 이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포장재를 최소화하며 재활용 가능한 원료로 제작된 제품들을 친환경 뷰티 제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친환경 인식은 소비자가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지식 수준, 개인이 환경의 중요성을 얼마나 인식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Liu & Han, 2020; Choi & Kwon, 2022).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은 환경 문제와 소비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점점 더 이해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소비 생활에서 환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의식과 소비가치 수준이 친환경 브랜드의 인지도와 행동 의도와의 관계에서 분석된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식 수준이 친환경 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Kim & Shin, 2020).

친환경적 소비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으며, Strong(1996)은 친환경적 소비를 그린 소비와 공정 무역을 통한 소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는 이를 윤리적 소비라고 설명하며, 상품의 제조, 사용, 사용 후 처리를 고려하는 소비를 의미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웰빙 사회의 소비자 가치지향, 지각된 가치, 브랜드 선호도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10년 전부터 사회적으로 관심이 있었다(Kim & Lee, 2009).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뷰티 및 화장품 산업에서의 친환경 트렌드는 지속 가능성과 자연 친화적인 제품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친환경 인식과 소비가치, 친환경적 소비에 대한 인식 등의 요소가 소비자들의 환경적인 선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뷰티 및 화장품 기업들이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일부 연구에서 친환경과 뷰티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고, 예를 들어, 제품 브랜드의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한 화장품 기업 CSR 활동 유형 연구라는 논문에서 국내외 20개 화장품 브랜드를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기도 하였다(Chung & Sung, 2019). 이 연구에서는 환경 보호, 동물 실험 반대, 여성의 건강과 인권 보호를 위주로 한 활동이 많았으며, 이러한 활동들은 수익 환원이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시간과 투자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고 밝혔다(Chung & Sung, 2019).

또한, Jeung(2020)는 “우리나라 뷰티산업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에서 한국의 6개 뷰티 산업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비용적 측면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효율적 측면을 위해 환경보전 관련 활동을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발생하는 비용 관리를 측정하는 환경관리회계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다른 연구인 Lee(2022)의 “K-뷰티 브랜드의 환경적 CSR이 친환경 이미지와 상징적 가치를 통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중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은 K-뷰티 브랜드가 전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면서 기업의 환경 부하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과 국제적인 수준 환경경영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국내 기업환경을 고려하면 기업의 자발적 환경 대응 투자가 요구된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내 뷰티산업에서의 ESG 요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보여주며, 기업들이 ESG를 통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환경적, 사회적, 지배 구조적 책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2. ESG와 뷰티업계

최근 뷰티 업계에서는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요소들의 중요성이 주목받으면서,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 수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핵심 요소로 본다. ESG는 환경적 영향, 사회적 책임, 그리고 기업의 내부 지배구조에 관한 요소를 포함한다. 이 요소들은 지속 가능한 투자 환경의 조성에 필수적이 이며, 유엔 지원 투자자 원칙(UNPRI)은 ESG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 역시 이를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기관들은 ESG에 관한 지표와 기준을 설정한다. 그리고 기업들에게 이 기준을 따르도록 권장하고 있다.

친환경 화장품 소비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화장품 제품 개발과 생산에서 환경 보호 및 재활용할 수 있는 원료 사용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뷰티 업계에서는 친환경 제품과 친환경 생산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Kim & Lee, 2019; Shin, 2015).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뷰티 업계가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제품 안전성과 품질, 동물 실험 반대, 공정 무역 등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소비자들은 브랜드가 사회적 가치와 윤리적인 원칙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큰 관심을 두고 있다(Kim & Bae, 2021).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뷰티 업계의 투명한 경영 체제, 윤리적인 비즈니스 실천, 다양성과 포용성 등이 중요하다. 이는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한다(Lee, 2022).

ESG 요소들은 뷰티 업계에 대한 투자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 창출 능력과 리스크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Lee & Kim, 2021). 이에 따라 ESG 요소들을 고려한 기업의 경영 및 지속 가능성 전략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게 된다(Kim et al., 2022).

따라서, 뷰티 업계에서는 ESG 요소들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수행함으로써 지속할 수 있는 경영 방향으로 나아가며, 소비자들과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뷰티 업계는 사회적, 환경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분석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최근 1년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뷰티 업계에서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뷰티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에 관련된 중심 키워드로 한정하였고, 조사 시기는 2022년 6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이며,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빅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텍스트 마이닝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빈도수가 높게 키워드는 총 35개로 수집하였고, 이후, 의미 없거나 해석이 명확하지 않은 키워드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2. 분석 방법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트렌드와 ESG 중 어떠한 키워드가 뷰티 업계에 영향을 미치는가?”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뷰티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에 관련된 중심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이들의 연결망을 분석하여 뷰티 업계의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된 중심 키워드들을 바탕으로 뷰티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의 키워드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은 중심 키워드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고,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최근 많은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Kim et al., 2020). 본 연구에서는 연결망 분석을 통해 뷰티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의 연결 및 상호작용 방식을 분석하여 사회적 현상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뷰티 업계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에 대한 중심 키워드들의 연결망을 시각화하여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제시하였다. 연결망 분석은 Netminer 4.x 버전을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키워드 간의 분석 결과는 연결 중심성과 고유벡터 중심성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내의 키워드들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뷰티 업계의 사회적 현상과 중심 키워드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뷰티 업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책임 수행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었다.

IV. 결과 및 고찰

1. 분석을 위한 키워드 구성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방법론은 최근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적 및 양적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Hwang, 2022). 사회연결망 연구는 변수 간의 연결망을 시각화하고 다차원 분석을 통해 사회적 현상에 관련된 변수를 해석하기 쉽게 제시하는 방법이다(Kim et al., 2020). 연구를 위해 조사된 자료를 사회연결망 분석에 적합하도록 마이닝하여 코딩하였다. 이후 코딩된 자료를 개념 단위로 재코딩하고 변수 간의 네트워크 값을 1로 설정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맞추어 정의된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키워드 간의 연결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연결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그룹(Cluster)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결 중심성 분석은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그림을 생성하며, 시각적으로 노드 간의 연결 관계와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Hwang, 2022). 고유벡터 중심성 분석은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링크 사이의 연결점과 중심적인 위치를 수치화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이 분석은 기존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사이 중심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중요한 변수의 중심성을 파악할 수 있다(Park et al., 2020).

또한, 그룹(Cluster) 분석은 유사한 특성이나 속성을 가진 키워드들을 묶어서 그룹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용한 패턴이나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Shin & Koh, 2021). 이를 통해 비슷한 특성을 가진 키워드들끼리 그룹으로 구분함으로써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방법론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결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그룹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2. 분석 결과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뷰티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결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그룹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연결 중심성 분석

중심성 분석의 시각화 결과는 Fig. 1을 참조하면 된다.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키워드는 “환경”이며, 이 근처에는 뷰티 업계의 용어로 “샴푸”, “향수”, “헤어케어” 등이 위치하였다. 이러한 키워드는 화장품 업계의 ESG 트렌드를 다루는 관련 뉴스나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Korea Economic Daily TV, 2021). 친환경 키워드 근처에는 “스킨케어”, “메이크업” 등이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키워드로는 “세럼”, “매니큐어” 등이 있었다(Daily POP, 2021). 지배구조 키워드는 외곽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1.

Eco-friendly Trend, ESG, and Connectivity Centrality among the Beauty Industry.

2) 고유벡터 중심성 분석

본 연구는 고유벡터 중심성 분석을 통해 특정 주제에 관한 키워드들의 중요도를 평가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Table 1에 요약되어 있다. 분석 결과, “환경”이 가장 높은 고유벡터 중심성 값을 갖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적 책임”과 “친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키워드들이 친환경 트렌드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분석 결과의 순위 5부터 10까지는 뷰티 업계의 용어로 구성되었으며, “스킨케어”, “메이크업”, “헤어케어”, “향수”, “크림”, “매니큐어”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뷰티 상품들이 친환경 트렌드와 ESG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분석 결과는 뷰티 업계에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에 대한 논의 및 방향 설정에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이러한 키워드들의 중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Eco-friendly Trend, ESG, and Eigenvector Centrality among the Beauty Industry

Fig. 2는 앞서 언급한 Table 1의 시각화된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환경” 키워드를 제외한 모든 키워드는 중심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 업계에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관련 논의에서 “환경”이라는 요소가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반면, 다른 업계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탄소 중립”, “지배 구조”, “생물 자원 보전”, “플라스틱 저감”, “기후 변화” 등의 키워드는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 뷰티 업계의 특이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Fig. 2.

Analysis of Eco-friendly Trend, ESG, and Eigenvector Centrality among the Beauty Industry.

3) 그룹(Cluster) 분석

그룹 분석은 사회연결망 내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진 키워드들의 집단을 확인하는 분석 방법이며, 이에 대한 예시는 Fig.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향력 있는 키워드나 그룹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들을 활용하여 키워드 중심의 정보 전파와 확산 패턴을 이해하여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그룹 분석 결과, 3가지 그룹인 “G1”, “G2”, “G3”로 분류되었다. “G1” 그룹은 친환경 트렌드와 ESG에 관련된 키워드로 “환경”, “친환경”, “사회적 책임”, “플라스틱 저감”, “기후변화”, “탄소 중립”, “환경친화적” 등이 포함되어 있다. “G2” 그룹은 “지속 가능성”, “노동 조건”, “생물 자원 보전”과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다. “G3” 그룹은 “기업 지배 구조”, “재생 에너지”, “다양성”과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다.

Fig. 3.

Cluster Analysis of Eco-friendly Trend, ESG, and the Beauty Industry.

이러한 그룹 간에는 뷰티 업계의 키워드들이 연결망 구조로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1” 그룹에서는 “스킨케어”, “크림”, “아이섀도우”, “메이크업”, “피부진단”, “헤어케어”, “남성 화장품”, “향수”, “매니큐어” 등과 친환경 트렌드와 ESG 간의 큰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분야의 제품 개발이나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뷰티 업계에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 요소가 소비자 인식 및 지속 가능한 성장에 어떠한 핵심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탐구하였다. 친환경 제품의 수요 증가와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ESG의 중요성이 뷰티 산업의 혁신과 경쟁력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뷰티 업계에서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적인 구조적 연구 결과에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전체적으로 뷰티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친환경 트렌드는 뷰티 제품 개발과 생산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소비자들의 환경 의식의 증가로 인해 천연 원료 사용, 재생할 수 있는 재료 및 재활용 포장재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많은 뷰티 브랜드들은 친환경 제품 라인을 출시하거나 환경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생산 방식을 도입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뷰티 상품에 적용하여 홍보하고 있으며, 기존의 Son & Kim(2021)Kim & Shin(2020)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ESG 요소들은 뷰티 업계의 기업 경영 및 지속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 사회적 책임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의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기업들은 소비자들과 투자자들로부터 더 큰 신뢰와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동물 실험 반대, 제품 안전성, 공정 무역 및 다양성과 포용성 등의 사회적 가치와 윤리적인 원칙을 준수하는 기업들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Jung & Park(2022)Choi & Kwon(2022)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뷰티 업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투자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SG 평가는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장기적 가치 창출 능력과 리스크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ESG 요소들을 고려한 기업의 경영 전략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기존의 Kim et al.(2022)Park et al.(2022)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뷰티 업계에 있어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가 중요한 경영 전략 요소임을 보여준다. 뷰티 기업들은 환경적, 사회적, 거버넌스 측면에서의 책임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품 개발과 운영방식을 개선하고, 투자자들과 소비자들로부터의 신뢰를 유지하며 성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사점으로 뷰티 업계의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과 생산 방식 강화, ESG 요소의 철저한 관리 및 개선, 그리고 ESG 성과와 노력에 대한 정보의 투명한 제공이 필요하다. 뷰티 업계의 기업들은 지속할 수 있는 제품 개발과 생산 방식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친환경 원료 사용, 재생할 수 있는 재료 및 재활용 포장재 등에 대한 투자와 연구 개발을 촉진하여 친환경 제품 라인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로부터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다.

뷰티 업계의 기업들은 ESG 요소들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적, 사회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기 위해, 기업 내부에서 정책 및 절차를 개선하고, 강화된 윤리적 원칙과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

투자자들과 소비자들에게 기업의 ESG 성과와 노력에 대한 정보를 더욱 투명하게 제공해야 한다. ESG 보고서 작성 및 외부 감사 절차 도입을 통해 기업의 ESG 성과를 측정하고 공개함으로써, 신뢰와 투자 유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뷰티 업계에서 친환경 트렌드와 ESG의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였으나, 구체적인 기업 사례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한계로 남아있다. 앞서 연구한계점에서 추가로 뷰티 업계의 변화는 지속적이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연구 결과의 지속적인 갱신과 새로운 동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수 있다. 다른 기업과 업종 사례 연구를 통해 실제 기업들이 어떻게 친환경 및 ESG 관련 전략을 구현하고 성과를 달성하는지를 더 한번 연구할 가치가 있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의 동향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뷰티 업계의 변화는 지속적이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결과의 지속적인 갱신과 새로운 동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뷰티 업계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소비자들과 기업 간의 관계 외에도 공급망에서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 영향을 보다 포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원료 공급자, 생산 업체 및 유통 업체의 역할과 기여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안할 점과 한계점을 고려하여, 더욱 심층적인 연구와 실제 사례 연구를 통해 뷰티 업계에서의 친환경 트렌드와 ESG의 영향을 여러모로 이해하고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Choi H. J., Kwon O. H.. 2022;The Effect of Beauty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Awareness on Motive to Purchase Refillable Cosmetics.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8(5):972–979.
2. Chung D. H., Sung J. H.. 2019;A Study on CSR Types of Cosmetic Companies to Gain Customer Loyalty of Product Brand.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2):184–192.
3. Daily POP (2021). [Global Trend] In the post-corona era, is the cosmetics market reopening?. 2021.11.01.
4. Hwang J. I., Kim K. R.. 2021;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gan beauty and the beauty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1):45–49.
5. Hwang U. S.. 2022;Analysis of Text Mining Keyword Issues for Defense Drone on Social Network. Journal of Advances in Military Studies 5(2):21–45.
6. Jeung G. C.. 2020;A Study on the CSR Management Approaches of Beauty.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4(2):59–76.
7. Jung J. H., Park H. S.. 2022;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ESG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Values Perception. Industry Promotion Research 7(2):15–29.
8. Kang Y. J., Kim S. H.. 2022;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of ESG Management of Corporation: Focusing on the MZ Genera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33(3):7–39.
9. Kim H. J., Lee H. Z.. 2009;The Effect of the Well-being Consumer Value Orientations, the Perceived Value and Brand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Cosmetic. 15(1):327–341.
10. Kim H. J., Lee I. H.. 2019;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Cosmetics on Norm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5):1119–1130.
11. Kim M. J., Lee J. Y., Park J. A.. 2022;A Study of Cosmetics Industry Sustainable Management -Focused on the ESG-.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8(6):1232–1240.
12. Kim M. H., Bae S. H.. 2021;Impact of Consumer Environmental Concern in the Post-corona Era on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smetics with Awareness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from Cosmetics Companies as a Medium.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2):195–208.
13. Kim M. S., Oh S. W., Han J. W.. 2020;Social big data analysis on demands for the Korean sport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32(2):28–39.
14. Kim Y. S., Shin H. C.. 2020;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Eco-friendly Brand Awareness and Behavior Inten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23(4):7–28.
15. Korea Economic Daily TV (2021). [International Management Consultant Story] ESG Trend in the Cosmetics Industry: Clean Beauty. 2021.04.22.
16. Lee M. H., Kim M. Y.. 2021;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nd Attitudes of Lightweight Cosmetics Containers with Eco-Friendly Convergence Design Method.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9(3):369–382.
17. Lee S. J.. 2022;The Effect of K-beauty Brand’s Environmental CSR on Loyalty through Eco-friendly Image and Symbolic Value: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6(3):131–150.
18. Liu X., Han J. S.. 2020;A study on the effect of hotel customers' environmental perception on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rational behavior theory.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9(6):1–16.
19. No J. E., Chung J. Y.. 2020;Exploratory approach to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of beauty service - Focusing on hair beauty services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3):155–167.
20. Park J. E., Cho J. W., Jang J. H.. 2020;Keyword Trends for Mother–Child Oral Health in Korea Based on Social Media Big Data from Naver.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6(3):212–219.
21. Park J. H., Han H. W., Kim N. R.. 2022;Exploring Domestic ESG Research Trends: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on ESG from 2012 to 2021.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17(1):191–211.
22. Shin E. J., Koh A. R.. 2021;A Study on the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Value: Focusing on Analyzing Ethic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Value Keyword Changes Using Big Data. Human Ecology Research 59(2):245–259.
23. Shin J. W.. 2015;A Study on Containers Preferred by Users by Each Type of Cosmetics -Focusing on Road Shop Cosmetics-.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8(2):175–182.
24. Son E. H., Kim J. D.. 2021;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Eco-friendly Container Cosmetics.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1(1):51–61.
25. Strong C.. 1996;Feature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ethical consumerism-a preliminary investigation.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14(5):5–1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Eco-friendly Trend, ESG, and Connectivity Centrality among the Beauty Industry.

Fig. 2.

Analysis of Eco-friendly Trend, ESG, and Eigenvector Centrality among the Beauty Industry.

Fig. 3.

Cluster Analysis of Eco-friendly Trend, ESG, and the Beauty Industry.

Table 1.

Eco-friendly Trend, ESG, and Eigenvector Centrality among the Beauty Industry

Ranking Keyword Eigenvector Centrality Ranking Keyword Eigenvector Centrality
1 Environment .451 11 cosmetics .184
2 social responsibility .281 12 Shampoo .180
3 Eco-friendly .254 13 men's cosmetics .177
4 Society .240 14 Sustainability .176
5 skin care .225 15 Lipstick .174
6 make up .216 16 skin diagnosis .151
7 hair care .214 17 Eyeshadow .150
8 Perfume .212 18 Serum .149
9 Cream .195 19 Beauty trend .142
10 Manicure .188 20 BB cream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