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인식도 분석을 통한 뷰티융합교육 필요성 연구

Study on the Need for Beauty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Learners' Perceptions of Micro Degree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6):1414-142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6.1414
1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ports Medicine, Shinhan University
2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K-Beauty, Shinhan University·NRF
3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K-Beauty, Shinhan University
서수연1, 이명주2, 최에스더3,
1신한대학교 스포츠의학과, 교수
2신한대학교 K-뷰티학과·한국연구재단, 연구교수
3신한대학교 K-뷰티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Esther Choi Tel : +82-31-870-3441 E-mail : ghchoi@shinhan.ac.kr
Received 2023 August 31; Revised 2023 November 13; Accepted 2023 November 16.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 perceptions based on the experience of operating a Micro Degre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and to use it as a reference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future courses, as well 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Micro Degree as a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beauty-related majors in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propose the need for beauty convergence education. We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igital Healthcare Consultant’ major and the trends of related industries in order to foster human resources tailored to the needs of society. We also conducted an FGI with students who took the first course, ‘Personalized Healthcare’.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new normal, the global beauty and health industry structure is changing and the paradigm and system of beauty and health convergence education are being reorganized. In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need for beauty convergence educat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novate and operate the curriculum flexibly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changing beauty industry scene. Secon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digital beauty convergence talents. Third,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also requires manpower that can collaborate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customers, so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ostering convergent talents that can combine beauty and healthcare.

I. 서 론

교육환경, 교육 수요자 특성, 산업사회 등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교육부뿐만 아니라 전국에 있는 모든 대학이 교육 혁신 패러다임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부는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주요 내용은 인문사회를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 역량과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 간의 경계를 허물고 몇 개 대학이 서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디지털·환경·위험사회·인구구조·글로벌·문화와 관련된 소주제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기술변화 및 사회 수요와 연계하여 융합적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한편 교육환경에서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 기술과의 융합인 에듀테크는 IT 기술의 활용뿐만 아니라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갈수록 교수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교육생태계로의 전환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는 다양화되고 세분화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하향식 권위주의적 교육방식으로는 대응하기 어렵다(Lee, 2021). 또한 디지털 전환 기술을 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첨단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하며, 대면·원격 등의 수업 및 학습효과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뷰티산업 현장의 경우에도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화장품 시장의 주요 이슈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AI, AR, VR(Jang et al., 2020), 메타버스(Nam, 2022) 등 새로운 기술과 결합한 고객 경험을 확장하는 마케팅, 맞춤형 화장품 시장으로의 확대를 모색하며, 화장품·뷰티산업을 주도하는 국내·외 기업들 또한 제조, 유통, 마케팅에 있어서 앞다투어 디지털 전환(Kim & Yoo, 2021)을 이끌어 가고 있다(Choi, 2022).

교육 수요자의 변화 또한 디지털 기술 기반의 교육과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능숙한 세대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점차 대학에서도 학습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교수자의 역할이 바뀌어 가고 있어서 에듀테크에 기반한 교육환경 시스템을 디지털로 전환하고 교육의 목표와 교육과정을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자기 주도적으로 디지털 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Choi, 2022; Yoon et al., 2021). 이렇듯이 대학 교육이 변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오래전부터 있었는데 Lee & Lee(2012)에 따르면 대학 교육이 하나의 전문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 범위를 넘어 문제해결 능력, 창의 능력, 협업 능력 등 융합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혁신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2018년에 교육부에서도 평생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제도를 학위모델로 시범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ang(2023)의 연구에서도 기존의 전공만으로 전공 기술과 취업역량을 키우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첨단융합전공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고, 마이크로디그리 제도가 현실적 대안이라고 주장하였다.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앞에서 언급한 이러한 교육환경, 교육 수요자 특성, 산업사회 등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와 일선 대학의 혁신 과정 속에서 등장하였다. 특정한 학점 단위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습자에게 그 이수함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이수증을 발급하거나 학위증에 이수를 완료한 과목을 기재하여 제공함으로써 이 학습자가 특정한 역량 기반에서 정해진 교육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직무 능력을 보일 수 있음을 증명해주는 역할을 한다(Kim & Hwang, 2022). 대학교육 혁신을 위하여 제도를 전환하는 차원과 현행 융합교육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마이크로디그리 수업이 융합과목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처음으로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 경험을 근거로 학습자 인식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개설될 교과목 운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뿐만아니라 국내 4년제 뷰티관련 학과의 역량기반 교육으로서 마이크로디그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뷰티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부 정책

교육부는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주요 내용은 인문사회를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 역량과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 간의 경계를 허물고 몇 개 대학이 서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디지털·환경·위험사회·인구구조·글로벌·문화와 관련된 소주제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기술 변화 및 사회 수요와 연계하여 융합적 교육과정(Noh et al., 2020)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컨소시엄에서 정규 교과목 이외에도 지역 내 다양한 자원과 연계한 비교과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학문 간 융합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참여 대학이 집중·유연 학기제, 소단위 학위과정(마이크로디그리) 마련 등과 같은 학사제도 개편도 추진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인문사회 분야 위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에서 인문사회 분야에 대한 집중적 지원으로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인문사회 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특정 학과의 칸막이식 교육에서 벗어나 여러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해 학생과 사회가 원하는 역량 교육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이 발달할수록, 인문학의 가치와 인문학 소양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고,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 사업을 통해 인문사회 분야를 진흥하고, 미래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융합적 역량을 갖춘 인문사회 인재를 양성해 나가겠다는 취지이다.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려고 하는 배경으로는 연결·융합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세분화·전문화된 하나의 분과 학문으로는 복합적인 사회 문제 해결에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학을 졸업하여 실제 취업을 한 경우 직장·부문 간 이동성 및 학생 전공-직업 불일치 증가에 따라 전공 외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융합교육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Lee, 2022)이다. 특히, 최근 AI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인간적 가치, 기술 활용 시의 윤리적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ChatGPT와 같은 초거대 AI 서비스는 잘 활용하면 훌륭한 교육 도구가 될 수 있는 한편 표절이나 대필 문제, 결과물의 신뢰성 문제, 저작권 문제, 기술 발달에 따른 교육 격차 문제, 학습 능력 저하 우려도 함께 존재한다.

한편 대학의 입학 정원 감소 및 대학별 학과 구조개편 등에 따라 인문사회 계열의 학과 및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 대학에 비해 비수도권 대학의 인문·사회 계열의 학과 및 입학정원이 더욱 빠른 속도로 위축되고 있으며, 인문사회계열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그 기초가 되는 학부 교육에 대한 집중적 지원 절실하다(Kyun et al., 2018).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의 신기술 도입 및 제도 전환에 대한 대학교수 인식 분석.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는 대학 안팎의 경계를 허무는 협력으로 융합 교육 기반 구축하고자 한다. 재정난 심화, 온라인 수업의 일상화 등 고등 교육 분야의 변화에 따라 대학 간 협력이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학 내 학과 간 융합과 더불어, 비교우위 분야를 중심으로 한 대학 간 협력을 통해 인문사회 중심의 효과적인 융합 교육 체제 구축하고자 함이다.

2. 해외의 융합교육 사례

최근에 해외 많은 대학에서도 다양한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 역량과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마이크로디그리의 해외 사례로는 다빈치코더스를 들 수 있는데, 다빈치코더스의 마이크로디그리는 마이크로칼리지(Micro College)로 불리며, 코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최초의 디지털 자격증 과정으로서 MOOC 및 기타 역량기반프로그램을 결합한 형태이다(Park & Ahn, 2021).

Minerva University는 플립러닝, 토론 및 세미나 수업, 교수-학생 간 커뮤니케이션 중심, 글로벌 로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교수법 및 학습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혜를 가르치려고 노력한다(Jeon, 2021). 다양한 사고방식을 도구 삼아 세상에 진출하고, 학습하는 방법 자체를 바꾸어 생각의 체계를 새롭게 함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대학은 전공 미확정 상태로 학생을 모집하고, 120개 세부 핵심역량 기반으로 교육과정 구성한 후 재학 시 전체 학생 대상, 학년별로 역량 중심의 코스를 운영함으로써 실용적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특징이다.

Stanford University는 공학을 인문사회과학과 접목하여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공과대학에서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을 가르치고 그러한 사고의 원리들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하며, 다양한 학문 전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워크숍, 현장실습 등 학습 주제에 대해 실질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Hartford University는 학부생들에게 융합학문기반의 교양교육 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을 하며 융합학문기반 과정(Interdisciplinary Courses)의 집합체로 바칼로레아 프로그램(Baccalaureate Program) 학부 과정의 학생들은 자신들의 전공과 상이한 최소 4개 이상의 융합학문 과정(Interdisciplinary Course)을 이수하도록 한다. 대부분의 강의는 각기 다른 학과 교수진들로 구성된 팀 티칭으로 진행되고 2~3명의 교수들이 주 1회 25명의 학생들과 함께 각자 맡은 부분에 대한 합동 토의, 토론, 프리젠테이션, 실습을 진행하며, 추가로 1~2주에 한 번 각 교수들이 맡은 부분을 개발적으로 지도한다.

Oxford University는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융합한 과정을 운영하고 사회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접근 방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며 미래의 직업 선택과 활동 전반 영역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다학제 과정을 운영한다. 학생들은 세 가지 학문을 모두 공부할 수도 있고, 둘만 선택하거나 인접학문인 사회학·국제관계학과의 결합도 가능하다. 1학년 때는 철학·정치학·경제학 입문과정을 학습하며, 2~3학년 때는 세 분야에서 5개의 강좌를 필수적으로 수강하도록 하며, 다양한 선택과목도 제공한다.

프랑스의 여러 대학은 문화예술 분야와 관련해 문화기획이나 문화경영과 같은 일종의 응용인문학 분야 전공을 발전시키며, 문화와 관련하여 문학, 예술, 사회학, 매체학, 법학, 정치학, 경영학 등의 분야를 총체적으로 다루는 강좌들을 개설하고 있다. 그 밖에도 미국, 독일, 네델란드 등의 여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융합 교육의 사례들을 다음 <Table 1>에 정리하였다.

Examples of Convergence Education Abroad

3. 마이크로디그리 개요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에 대한 개념 정의는 학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통적 교육과정의 경계를 탈피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해당분야에 꼭 필요한 최소단위(Micro) 학점 이수를 통하여 학위(Degree)를 취득하는 학점당 학위제를 말한다. Park&Ahn(2021)은 마이크로(Micro)를 매우 세부적인 주제의 영역과 수료에 드는 매우 짧은 기간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디그리 학습자들은 정규 학위 과정의 ‘컴퓨터공학’이나 ‘경영학’에 비해 ‘안드로이드 앱 개발’이나 ‘공급망 관리’ 과정과 같이 실제적인 기술이나 지식을 훨씬 짧은 기간에 집중적인 방식으로 학습하여 학위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학위가 광범위한 지식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마이크로디그리는 구체적인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한다(Park & Ahn, 2021).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4조 제5항 및 제21조에 따라 학칙으로 교육과정의 운영, 교과의 이수단위 및 성적의 관리를 기재하게 되어 있으며 대학은 이를 기반으로 학칙, 관련 규정 및 지침 등을 마련하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Kim & Hwang, 2022). 마이크로디그리를 신청한 학습자들은 실제적인 기술이나 지식을 훨씬 짧은 기간에 집중적인 방식으로 학습하여 학위를 취득하게 되어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분야의 직무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Yoon & Kim, 2021).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각자 필요에 맞도록 현재의 전공교육과정과 교양교육과정 외에도 첨단융합교육과정, 융복합과정, 실제 산업구조의 변화에 맞는 교육과정 등을 수강신청하고 일정 학점을 이수하여 최종 마이크로디그리를 획득함에 따라 이를 취업 연계로 활용할 수 있는 큰 혜택을 가질 수 있다(Kang, 2023). 디지털 전환 사회에서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면서도 타영역과 조화롭게 연합할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하며, 조직 내에서 조화로운 대인관계를 바탕으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인재, 창의적인 사고와 논리적 판단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하나가 마이크로디그리라고 볼 수 있다(Gang, 2020).

본 연구자가 속해있는 대학에서도 2023년도 1학기부터 융합 인재 구현 및 학문 간 유연성을 확보하고 교육 환경변화에 효과적·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마이크로디그리 전공을 도입하였고, 대학의 특성화와 선진화 전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마이크로디그리 대학을 설립하였다. 교육 모듈은 분야별 실용 지식 및 응용력 함양에 필수적인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공별 지정된 최소 학점을 집중이수하면 학사학위와는 별개로 마이크로 학위를 수여함으로써 이수자의 미래 역량 인증 및 사회 진출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한다.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은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선도적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적 아래 국가와 인류발전에 공헌하는 신한인 양성의 인재상을 설정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사회 및 교육환경 변화에 효과적이고 선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 특성화와 선진화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특히 실용지식과 혁신성장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선도라는 대학의 핵심가치 실현을 위한 인적 토대마련과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기존 학과 중심의 특성화 전략을 역량주심의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량중심의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수요자인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보장하고 자기주도적 주제 중심 교육과정, 취·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역량 통합형 교육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III. 내용 및 방법

대학교육 혁신을 위하여 제도를 전환하는 차원과 현행 융합 교육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마이크로디그리 수업이 융합과목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는지를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연구자가 속해있는 마이크로디그리대학에서는 2023년 1학기부터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자유 설계형 전공(SELF-DESIGNED CLASS) 즉, 소프트웨어융합형 8개 교과목, 첨단기술 집약형 8개 교과목, 미래산업 고도화형 9개 교과목, 지역 친화형 9개 교과목으로 구분된 4가지 유형과 과제참여형 1개 전공(TETRIS CLASS) 체계를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융합형에 속한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턴트’ 전공은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교과과정을 재구성하여 마이크로디그리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교육목표로는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고도화된 웰니스 케어 영역에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확산시켜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컨설팅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의 내용으로는 1) 개인맞춤형 헬스케어(신체유전정보를 분석하여 개인별 효과적인 헬스케어 컨설팅), 2) 비만, 다이어트, 스트레스 케어(액티비티, 웨이트 트레이닝, 헬스케어 챌린지, 라이프로깅), 3) 생애주기별 디지털 헬스케어(생애주기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팅)를 교육하기 위해서 관련 기업 전문교수 4인을 포함하여 총 7명의 교수가 팀 티칭을 하게 된다. 산업체 동향을 분석하여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턴트’ 전공과 관련되며, 현재 국내에 기반을 가지고 있는 산업체 5곳을 선정하였는데 선정 기준은 본 디그리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전문 교수 4인의 추천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첫 번째 개설된 교과목인 ‘개인맞춤형 헬스케어’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본 교과목 운영은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수강 인원을 27명으로 제한하였다. 참여학생의 주 전공은 사회과학대학 4명, 글로벌 비즈니스대학 1명, 경영대학 2명, 바이오생태보건대학 13명, 간호대학 3명, 과학기술융합대학 2명, 디자인예술대학 2명이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은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을 시행하게 된 목적과 마이크로디그리 취득방법에 대한 인식도, 본 교육모듈을 선택하게 된 이유,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교과목 수강을 통해 새롭게 깨닫게 된 내용, 수업 난이도, 전공이 다른 친구들과 팀 활동을 통해서 유익했던 점, 앞으로 개설이 되었으면 좋을 과목, 본 마이크로디그리가 본인의 취업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기타 의견 등으로 구분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턴트 전공의 목적 및 필요성

디지털 전환과 뉴노멀 시대에 있어서 글로벌 뷰티헬스산업 구조의 변화와 뷰티헬스 융합교육 패러다임 및 제도의 개편 바람이 불고 있으며, 변화의 속도가 최근 들어서 더욱 빨라지고 있기에 이런 다양한 환경변화에서 문제해결 능력, 창의 능력, 협업 능력 등의 역량을 가진 뷰티헬스 전문인력의 육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Digital Transformation 시대를 맞이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뷰티헬스케어에 대한 고객의 경험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운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제고가 필요하다. 최근 잦은 신종 바이러스 감염증 출현으로 개인 건강관리, 면역력 향상 등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모바일 앱, 유튜브 콘텐츠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뷰티헬스케어 온라인 코칭 서비스 등이 확대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디지털 혁명, 지식기반 사회의 지각변동, 실무역량중심 인재양성, 학제 간 융·복합, 창의인재 등과 같은 키워드가 등장하면서 이에 부응한 교육 환경이 변화되고, 다양하게 디지털화되는 산업사회는 디지털 역량을 갖춘 다재다능한 인재를 요구하고 있으며, 대학은 그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등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Khoe, 2021). 디지털 기술이 모든 사물과 뷰티헬스케어 산업을 연결시키고 융·복합기술에 기반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및 딥러닝(Deep Learning)의 구현은 인간의 삶을 획기적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 교육은 기존 학문 영역의 경계를 완화하고 다양한 교과를 구성하여 학습자들이 사회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혁신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학생 중심과 실무중심의 교육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 및 성취동기를 강화하고, 교육범위와 교육내용, 그리고 교육대상을 확장시켜 교육의 단계를 점점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기업전문교수의 참여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역량을 강화시키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컨설팅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대학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교양 및 전공 교육에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 이를 통한 교육의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미래융합형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융합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미래융합형 인재양성 교육 혁신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Noh & Kwak, 2023; Lee & Noh, 2021). 정규 교육과정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현장 중심의 특성화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공학이나 관광교육, 무역 분야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직업기초능력에서 찾을 수 있는데, 단순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 및 활용이 아니라 변화하는 지식과 기술에 적응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길러서 직업과 기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Hong, 2020; Lee, 2018; Lee & Kim, 2018). 스마트 뷰티케어 기술혁신과 고령화에 따른 뷰티산업 동향 파악을 통해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한국 뷰티 서비스업의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였다(Park, 2020).

2. 산업 동향 분석

대한민국은 초 저출생 고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한편 개인 생활 수준의 향상과 코로나-19 엔데믹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생존의 시대에서 건강·행복·자연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웰빙과 건강을 뜻하는 피트니스(Fitness)의 합성어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하는 웰니스(Wellness) 바람이 불기 시작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과 의료기술의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데, 디지털 헬스케어기술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융합, 헬스케어의 각 분야에서 현실과 가상을 융합함으로 경쟁력의 핵심인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H/W와 S/W의 기반 기술변화, 개발 및 운영 인력 확보 난항으로 운영비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Park, 2022). 인공지능 헬스케어 기술은 다량의 데이터를 인간 수준의 지능을 활용하여 질병 진단, 예측 및 개인 맞춤형 케어를 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건강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 일부나 의류에 착용함으로써 개인의 체온, 심박 데이터 수집을 통해 생체신호를 분석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침대와 접목한 사례도 있다. 특히 신체유전정보 분석을 통해서 신체 조건과 운동 능력 등을 파악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비만 관리, 질병 예측, 약물 민감도 예측, 유전 질병 진단, 암 맞춤치료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국내 마이데이터 전문기업 뱅크샐러드에서 엡을 통해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데 앱에서 서비스를 신청하면 지정한 곳으로 유전자 검사 키트가 배송되며 신청자의 타액을 담아 보내면 개개인의 카페인의 민감도, 수면습관, 탈모 가능성 등에 관한 나의 유전정보를 알 수 있다(Table 2).

Genetic Testing Service Through an App from Data Company Banksalad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셀바스ai는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련해 각종 질환별 평균 의료비, 위험도가 높은 연령대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예방적 차원의 건강관리 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개인의 이로운 습관 형성을 돕고 있는데 모든 이용자는 앱 내에서 유산소, 근력 운동과 스트레칭, 영양제 섭취 등 개인이 원하는 습관을 관리하며 자신만의 루틴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한다(Table 3).

Selvas AI, a Digital Healthcare Company

웰니스케어 솔루션 개발기업인 ㈜로그싱크는 개인 생체정보 및 건강정보 기반의 차별화된 데이터 분석 및 응용 기술로 맞춤형 헬스케어 및 뷰티케어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데, 로그싱크는 라이프로그 및 다양한 건강 정보의 데이터를 수집·정리·축적하고 통합 분석해 개인의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해주는 헬스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Table 4).

LogSync, a Wellness Care Solution Developer

헬스케어 기업 쥬비스다이어트는 다이어트, 비만관리, 하체 다이어트, 상체비만, 다이어트 식단 안내 46가지 유전자 분석, 165가지 측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과체중과 같은 이슈로 다이어트를 결심했던 과거 트렌드와 달리 점차 다이어트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짐에 따라 개인 맞춤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고객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8가지로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해 고객의 상황에 맞춘 맞춤형 관리를 제공하고 있다(Table 5).

Healthcare Company Jubis Diet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인 휴레이포지티브(Huraypositive)는 CJ임직원 대상 건강관리 서비스 앱을 통해서 식이습관 및 라이프로그 기록을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용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생활습관 및 대사질환 점검을 통해 건강 유형별 맞춤형 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자가 기록과 건강 지표와의 연계분석을 기반으로 한 건강 습관 형성, 개인 맞춤형 프로토콜(나의 건강 유형에 맞는 관리 목표 제공), 지속적인 습관 형성(건강코칭, 목표공유, 리워드 기반 자기효능감 부여), 자가 기록 모니터링(건강 지표 분석 및 질환위험 예측)을 실시하고 있다(Table 6).

Hureipositive, a Developer and Provider of Software for Digital Healthcare

그 밖에도 한국인 CEO로서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주식회사 눔(Noom, Inc.)은 인공지능 기반의 모바일 휴먼코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건강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생활습관 변화를 도울 수 있도록 심리적인 측면과 인지행동치료에 집중해 전문가들이 1:1 피드백을 주면서 사용자들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으며, 뉴욕 맨해튼에 본사가 있다. 한국, 일본, 독일에 지사를 두고 전 세계 약 3천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며 구글 플레이에서 지난 2년간 전 세계 매출 1위를 기록한 애플리케이션 “Noom 코치: 눔 다이어트”를 제작하였다.

3.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턴트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및 운영 사례

1)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의 독창성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도화된 웰니스 케어 영역에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확산시켜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컨설팅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교육과정의 독창성으로는 여러명의 기업전문교수진이 참여함으로서 산업연계 현장학습 및 취업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신체유전정보를 분석하고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비만, 다이어트, 스트레스 케어를 위해서 실습 중심의 액티비티, 웨이트 트레이닝, 헬스케어 챌린지, 라이프로깅 분야 현장체험 학습이 가능하며, 유아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생애 주기별 건강관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직접 대상자를 선정하고 식단, 건강생활 패턴 등을 분석하여 커스터마이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PBL 교수법 활용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교과목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턴트(Digital Healthcare Consultant) 모듈 내 구성된 개별 교과목은 개인맞춤형 헬스케어(Customized Healthcare), 비만, 다이어트, 스트레스 케어(Obesity, Diet, Stress Care), 생애주기별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 by life cycle) 3과목으로 구성하였으며, 개인맞춤형 헬스케어(Customized Healthcare)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비만과 스트레스 케어를 집중적으로 학습한 후 생애주기별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토콜을 작상하고 실제 대상을 선정하여 컨설팅 트레이닝을 실시한다.

3) 교육과정 운영성과 및 기대효과

개인맞춤형 헬스케어(Customized Healthcare) 디그리 운영을 통하여 급변하는 헬스케어 산업환경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기존 전공에서 다룰 수 없는 타 학문 영역을 본 디그리를 통해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학생 중심과 실무중심의 교육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 및 성취동기를 강화하며, 교육 범위와 교육내용, 그리고 교육대상을 확장시켜 교육의 단계를 점점 심화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기업전문교수의 참여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역량을 강화시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컨설팅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전문교수가 대표로 있는 산업체는 가상현실 기술로 정신건강, 만성통증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서 학생들에게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전수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통해 배운 경험과 예측분석을 통해 뷰티, 건강관련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DN A를 활용한 피부관련 화장품 산업에 브랜드 런칭을 할 수 있는 안티에이징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교과목 운영 후 학습자 인식도 분석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마이크로디그리 제도를 시행하게 된 목적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자세하게 잘 모른다’ 3명, ‘어느정도 알고 있다’ 19명,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5명이었다.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하기 위한 학점 취득 방법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자세하게 잘 모른다’ 8명, ‘어느정도 알고 있다’ 13명,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6명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대학에서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처음 시행된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이어지는 과목개설에 반영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학습자의 입장에 서서 새롭게 접한 제도에 적응하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제도를 시행하게 된 목적이나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방법을 정확하게 모르는 학생들을 위해 오리엔테이션 시간을 충분하게 가질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둘째, 본 마이크로디그리를 선택하게 된 이유로는 ‘교수님이 좋아서’, ‘디지털 헬스케어에 관심이 있어서’, ‘강의계획서에 활동적이고 재미있는 활동들이 많아서’, ‘주 전공과 연관성이 있어서’, ‘취업 후 진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맞춤형 헬스케어 방법을 배우고 싶어서’, ‘자신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유전자 분석을 해보고 싶어서’, ‘친구들이 같이 신청하자고 해서’, ‘과목명이 제일 맘에 들어서’, ‘실무적인 수업방법이 마음에 들어서’ 등으로 응답하였다. 이처럼 수강신청 동기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 것은 처음 맞이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간단한 홍보 동영상이나 강의계획서만으로는 본 디그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지 않았는지 고려해보면서 추후에는 교과목 홍보영상을 보다 자세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처음 개설된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교과목 수강을 통해 새롭게 깨닫게 된 내용을 묻는 질문에 ‘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전적 특성’, ‘나만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운동방법’, ‘생활습관의 중요성’, ‘건강상식에 대한 정보’, ‘건강관리의 중요성’, ‘나 바로알기’, ‘내 몸에 부족한 비타민과 영양소의 종류’, ‘헬스케어에 대한 기초지식 함양과 체계적인 운동관리’, ‘건강을 컨설팅해주는 직업이 있다는 사실’, ‘식성이나 식습관의 문제점 발견’ 등으로 대답하였다. 전체적으로 본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에 따라 학습자들의 수강 만족도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수업 난이도에 대한 질문에 모든 학생들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습자들의 전공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눈높이를 맞추기가 쉽지 않았지만 이론과 실습 비중을 적절하게 고려하였으며, 3명의 교수가 5주씩 팀 티칭을 하면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다섯째, 전공이 다른 친구들과 팀 활동을 통해서 유익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서로 다른 전공학생들과 친해질 수 있고, 협동심을 훈련할 수 있었다’, ‘팀플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키워졌다’, ‘소통능력을 키우고 재미있는 분위기에서 팀플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나 혼자의 생각보다는 팀원들과 함께 생각하면서 좋은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어서 좋았다’, ‘상대방의 여러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라고 응답하였다. 학습자들의 전공도 각기 다르고 개인별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팀플레이를 위한 조 편성을 위해서 성격과 행동유형(DISC) 검사를 실시하여 반영하였으며, 팀 미션과 역할분담을 통해 서로 협업과 소통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여섯째, 앞으로 개설이 되었으면 좋을 과목에 대한 질문에 ‘헬스케어와 관련된 수업’, ‘쉽게 배울 수 있는 운동’, ‘다이어트 프로그램’, ‘배드민턴’, ‘식단관리 및 식이조절’, ‘체형관리’, ‘피부분석 후 맞춤형 화장품 만들기’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기에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일곱째, 본 마이크로디그리가 본인의 취업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까를 묻는 질문에 ‘간호사로 취업할 경우 유전자나 건강한 생활 습관에 대한 지식을 전달할 수 있을 것 같다’, ‘사회복지사로 근무하게 될 경우 사람들의 저마다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취업에 관해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으나 어떤 분야에 취업을 하더라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유전자를 분석하고 컨설팅하는 회사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외모만 가꾸는 뷰티가 아니라 몸속 건강도 케어하는 뷰티산업체에 취업하고 싶다’, ‘병원에 취업할 경우 환자들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체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등으로 응답하였다.

마지막 기타 의견으로는 ‘매 수업 흥미가 있었고, 다음 학기에 꼭 수강하겠다’, ‘은혜관에 설치되어 있는 많은 운동기구 사용법을 자세하게 배우고 싶다’, ‘학점에 대한 부담감이 적어서 좋았다’, ‘디지털 헬스케어 이론을 더 자세하게 배우고 싶다’, ‘가족들에게도 유전자 검사를 권유해보고 싶다’, ‘친구나 지인들에게 배운 내용을 알려주고 싶다’라고 의견을 말하였다.

V. 결 론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하여 대부분 사람들은 집에서 활동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특히, 온라인 시장과 융·복합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IT서비스가 등장하면서 ‘At-home Workout’ 및 ‘Home Workout’ 등 자신의 건강유지와 몸매관리를 할 수 있는 ‘홈 트레이닝’ 이라는 한국형 신조어가 출현하였다. 스마트 AI 및 미디어 보급으로 뷰티헬스케어 산업환경이 변화하고 방대한 양으로 쏟아져 나오는 콘텐츠에 비해 이를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족한 실정이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뷰티헬스케어 관련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를 파악하여 만족할만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렇게 급변하는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컨설턴트’ 전공을 개설하게 된 배경과 관련 산업체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맞춤형 헬스케어’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요구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전공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새로운 영역의 학습내용이 학습자들에게는 융합적인 사고를 키워주었다고 판단된다. 타 전공자들과 함께 팀 학습활동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협업하는 역량이 강화되었으며, 전공교육과 더불어 헬스케어 컨설팅에 필요한 기초지식 및 신기술 분야의 지식교육을 자기주도적으로 선택하고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였다.

국내 4년제 뷰티관련 학과의 역량기반 교육으로서 마이크로디그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여 뷰티융합교육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변화하는 뷰티산업현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교육과정을 혁신하고 탄력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뷰티관련 학과나 학회, 교수자의 사고에는 아직도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으로 전공이 세분화되어 있지만 인간의 내·외면의 아름다움을 케어하는 목적은 같기 때문에 전공의 벽을 허물고 뷰티전공 내에서 토탈케어가 가능한 융복합인재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둘째, Digital Transformation 시대를 맞이하면서 뷰티산업에 출현한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가치를 전달하고 매출을 창출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는 Digital Beauty 융합형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또한 고객 맞춤서비스를 제공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예측 및 의사결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위해 함께 협업할 수 있는 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뷰티와 헬스케어가 가능한 융합형 인재 양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Choi & Lee, 2023). 현재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환경은 경쟁력의 핵심인 데이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H/W와 S/W의 기반 기술은 급변하지만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인력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대학교육에서 마이크로디그리가 안착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교과과정 개편이라는 협의의 차원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지역대학의 생존 차원(Lee, 2021), 산·학·연협력 확산 차원(Kim et al. 2022; Noh & Kim, 2022; Noh et al., 2022; Kim & Noh, 2023), 대학재정지원사업들 간의 횡적인 연계 측면에서 전방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성(Joo, 2020)을 제고하기 위해 학과 교수들이 산업체와의 긴밀한 피드백을 통해 취업의 품질 제고로 연계되는(Kim, 2021). 선순환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미네르바 대학 창립자 벤 넬슨은 한국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수업혁신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뭔가를 배웠다면 한 상황에서 배운 것을 다른 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하는 시대이므로 한 분야에서 습득한 지식을 다른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부에서도 이제 다양한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 역량과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대학 간의 경계, 학과나 전공 사이에도 벽이 허물어지기 때문에 급변하는 교육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뷰티교육에서도 과감한 변화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마이크로디그리가 첫 시행된 단계의 연구이기 때문에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대학차원에서의 지원방안 필요성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디지털 전환시대에 필요한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교수자의 고찰이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후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점을 보강할 것이다.

References

1. Choi E., Lee M. J.. 2023;Analysis of Beauty Service Needs and Brain Fun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ized Beauty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7(2):49–68. doi: 10.18397/kcgr.2023. 27.2.49.
2. Choi E.. 2022;A Paradigm Shift in Beauty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Based on Analysis of Trends in the Cosmetics and Beauty Industry-. J. Kor. Soc. Cosmetol 28(4):675–688. doi: https://doi.org/10.52660/JKSC.2022.28.4.675.
3. Gang Y. I.. 2020;Finding Educational Effects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Micro degree -Focusing on 'Communication Master Course', Korean education MD at Mokwon University. Language and Literature 103:33. doi: 10.17297/rsll.2020.103..002.
4. Hong Y. K.. 2020;Micro Degree for Convergence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Institute of Convergence Technology 10(1):31–36.
5. Jang J. H., Kim J. H., Park S. M., Joo M. R., Lee Y. L., Park E.S., Park J. T.. 2020;Need for Learning English Pronunciation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1):157–172. doi: 10.18397/kcgr.2020. 24.1.157.
6. Jeon J. H.. 2021;A Study on the Future Education Direction of Univers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the Purpose and Achievements of the Minerva School.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10(5):23–58.
7. Joo K. I.. 2020;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for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4):137–166. doi: 10.18397/kcgr.2020.24.4.137.
8. Kang Y. D.. 2023;Development Direction of Microdegree and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4(3):2443–2452.
9. Khoe K. I.. 2021;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Cases and Implications for Nurturing Human Resource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21(4):461–470.
10. Kim B. M., Noh Y. H.. 2023;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Industry Cooperation Center (ICC) in University.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7(1):97–118. doi: 10.18397/kcgr.2023.27.1.97.
11. Kim B. M., Noh Y. H., Kim T. H., Shin Y. J.. 2022;“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2):243–267. doi: kcgr.2022.26.3.243.
12. Kim D. H., Hwang Y. S.. 2022;Exploring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Microdegree Programs: Focusing on the Case of C Univers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23(3):697.
13. Kim K. M., Yoo J. S.. 2021;Digital Transformation as a Determina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Perceptions of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3):69–94. doi: 10.18397/kcgr.2021.25.3.69.
14. Kim K. A.. 2021;The effects of innovation success experience and support policy demand on the innovation support policy satisfaction.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2):191–214. doi: 10.18397/kcgr.2021.25.2.191.
15. Kyun S. A., Yang Y. J., Jung H. R.. 2018;Analyses of the university professors’ recognition on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o universit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university syste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8):873. doi: 10.35873/ajmahs.2018.8.8.085.
16. Lee D. H.. 2021;Strategies to Establish Inclusive Governance according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21(4):145.
17. Lee H. G.. 2018;A Study on the Confrontation Plan of Trade Education in Universities against Paradigm Shif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Business Studies 19(1):187. doi: 10.20462/TeBS.2018.2.19.1.187.
18. Lee S. J., Lee S. J.. 2012;A New Direction of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2):11–42.
19. Lee S. Y.. 2021;Analysis and Overcoming Measures of Crisis in Local Universities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2):215–252. doi: 10.18397/kcgr.2021.25.2.215.
20. Lee S. Y.. 2022;An Analysis on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and Overcoming Measure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nvergence Education Trends Based on Social Big Dat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3):49–76. doi: 10.18397/kcgr.2022.26.3.49.
21. Lee S. Y., Noh Y. H.. 2021;Policy Direction for Humanities and Social-Based Convergence Research.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4):287–310. doi: 10.18397/kcgr.2021.25.4.287.
22. Lee W. K., Kim Y. W.. 2018;A study on the direction of tourism educ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2(5):111.
23. Nam K. B.. 2022;A Study on the Local Metaverse Utilization and Guidelines: Focusing Japanese Metaverse Guidelines Case.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4):143–164. doi: 10.18397/kcgr.2022.26.4.143.
24. Noh J. Y., Lee S. Y., Noh Y. H.. 2019;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nvergence Curriculum and their Convergence Capac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3(3):447–472. doi: 10.18397/kcgr.2019.23.3.447.
25. Noh Y. H., Kim B. M.. 2022;A Study on the Self-reliance Plan through Trend Analysis of Industry Cooperation Center Based on Social Big Dat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4):215–232. doi: 10.18397/kcgr.2022.26.4.215.
26. Noh Y. H., Kim T. H., Nam Y. S.. 2022;An Analysi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rends in New Technology Based on Big Dat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2):1–26. doi: 10.18397/kcgr.2022.26.2.1.
27. Noh Y. H., Kwak W. J.. 2023;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nvergence Researchers for Innovation in Future Convergence Talent Training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4(1):925.
28. Noh Y. H., Lee S. Y., Park M. S.. 2020;Technology Assessment of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on the Response of Social Problem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3):223–242. doi: 10.18397/kcgr.2020.24.3.223.
29. Park J. S.. 2020;Changes in Beauty Service Industry in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ging: Focused on Expandability of the Smart Beauty Care Market. Humanities 21 11(1):205–220.
30. Park J. J.. 2023;A study on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for the innov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1):285.
31. Park M. S.. 2022;Lifelog Analysis and Futur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2):1–6. doi: http://dx.doi.org/10.17703/JCCT.2022.8.2.1.
32. Park S. M., Ahn J. M.. 2021;Analysis of Domestic Application Cases of Micro-Degree as Competency-Based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7(1):173–197. doi: 10.26857/JLLS.2021.2.17.1.173.
33. Yoon J. W., Kim H. Y.. 2021;A Research Study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Micro Degree.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5(2):301–30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Examples of Convergence Education Abroad

International Examples Blended Learning Features
Minerva University - All students who enter as undecided majors will learn key competencies during their freshman year
- Characterized by competency-based training to teach practical knowledge
- Personalize data-driven instruction with a three-dimensional platform in the online classroom
- Students don't choose a major; curriculum is based on 120 core competencies
- Run competency-based courses by grade level (1st year: Cornerstone course - 2nd year: Core course - 3rd year: Intensive course - 4th year: Tutorial/Capstone course)
- Utilize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lipped learning, discussion and seminar classes, emphasis on faculty-student communication, and global locations
Arizona State University - Bachelor of Arts in Social Innovation: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 the humanities and qualitative social sciences, with a foreign language component
- Bachelor of Science in Social Innovation: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hat combines natural sciences, economics, engineering, and quantitative social sciences
Stanford University - Combining engineering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foster creativity in education
- Aims to teach Design Thinking in engineering schools and apply the principles of such thinking to real-world problems
- Organize your lessons around projects that meet the goals of your class
- Provide opportunities to get hands-on with learning topics, such as workshops, field trips, etc.
- Run by an interdisciplinary team
- Faculty teaching multidisciplinary classes also team teaching
Hartford University - Designed to provide an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students
- Refers to a collection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 Require undergraduate students in baccalaureate programs to take at least four interdisciplinary cours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major
- Most courses are team-taught, with two to three professors from different departments working together with 25 students once a week for joint discussions, debates, presentations, and labs on their respective parts of the course, and an additional one to two weeks for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 A course that combines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 An interdisciplinary course that synthesizes crit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society and human beings and develops competencies for all areas of future career choice and activity
- Students can choose to study all three disciplines, just two, or combine them with the neighboring disciplines of soci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Students take an introductory course in philosophy,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in their first year, and are required to take five courses in each of the three disciplines in their second and third years, with a variety of electives availabl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Germany - The German Research Agency (DFG) enables scholars to work together on long-term research projects across university or discipline boundaries
- Helping funded research teams connect with university education
- Respond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to the changing needs of society by enabling research and education to be integrated on a stable basis over the long term, rather than as temporary projects
Maastricht University in Netherlands - A new undergraduate university model centered on the humanities
- Consists of only three undergraduate colleges: University College Maastricht Science (UCM), Maastricht Science Programme (MSP), and University College Venio (UCV)
- As university education aims to cultivate general knowledge and intellectual competence rather tha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per, professors of humanities and professors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not separated, but are all housed in an integrated unit called the Faculty of Humanities and Science (FHS)
- Mandate core courses in the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Applied Humanities in French - Several universities in France have developed majors in applied humanities such as "cultural planning" and "cultural management" related to the cultural sector
- Presents courses that holistically address disciplines such as literature, art, sociology, media studies, law, political science,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s they relate to culture

Table 6.

Hureipositive, a Developer and Provider of Software for Digital Health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