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6); 2023 > Article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활용한 입체주의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창작 연구

Abstract

This study extracted six works from representative artists of Cubism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works to construct text prompts. Then, using Bing Image Creator model, a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mage generation model, art makeup design images were generated. The art makeup design created by the image generation model shows original style and expression compared to other studies, and has practicality and completeness that can be implemented as actual art makeup. The aim is to present a new way of creation and result through the integration of AI technology and ar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reation process and result, the aim is to present a new perception and possibility of diversity and expandability of art makeup. This method can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art makeup, and provide new ideas and inspiration to crea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a useful study that shows what role and possibility image gene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has in the field of art,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more in-depth and diverse studies in the future.

I. 서 론

아트메이크업은 일반적인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적 표현과 창조의 역할을 추구하는 메이크업으로 다양한 색상과 형태, 패턴 등을 활용하여 그림을 그리듯이 얼굴과 몸에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트메이크업은 여러 장르와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영상, 공연, 사진 등의 매체와 결합하여 다양한 주제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현대의 조형예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Son & Kim, 2014; Lee et al., 2000). 그러나 아트메이크업은 일반적인 메이크업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 기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구와 재료가 필요하며, 실제로 메이크업을 인체에 적용하기 전에 디자인을 구상하고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이란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 중 하나로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입력을 받아서 관련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사실적이고 정교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Lee & Choi, 2023).
입체주의(Cubism)는 20세기 초반 프랑스에서 탄생하여 유럽 전역으로 파급된 미술양식으로(Park, 2017), 기하학적 형태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현실을 새로운 관점에서 표현하려고 했다. 입체주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다각적이고 파편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색상과 재료를 사용하여 입체감과 동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입체주의 작품은 현대 미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추상화와 실험적인 표현방식을 활용한 예술 장르의 선구자가 되었다. 지금까지 입체주의 특징에 영향을 받아 연구된 메이크업 관련 논문은 다수 보고되고 있지만,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메이크업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체주의 작품의 특징을 텍스트 프롬프트(Text Prompt)로 구성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생성기인 Bing Image Creator 모델을 이용하여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함로써, AI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창작 방식과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창작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아트메이크업의 다양성과 확장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은 아트메이크업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여주고, 창작자에게 새로운 아이디어와 영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I. 이론적 배경

1.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 활용한 예술과 창작

1956년에 처음 등장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라는 용어는 사람과 동물의 지능과는 달리 기계가 보여주는 지능을 말하며, 이러한 지능적인 행동이나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컴퓨터와 기계의 능력을 말한다. 인공지능 개발에 대한 인간의 도전은 19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지만, 기술적으로 어려운 여러 문제 때문에 1990년대 중반까지 많은 진전이 없었다(Goodfellow, 2016; Kang & Heo, 2023). 이후 빅데이터(Big Data)와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은 인공지능 기술을 급속도로 발전시켰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생성형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 모델이 적용된 생성형 AI가 등장했다(Oh & Park, 2022). 이를 통해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 GAN의 확장형과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현재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입력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이 발전하였다(Hashwood, 2023). 이러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미지 생성 기술은 인간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예술과 창작의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예술의 다양한 장르와 매체와 융합되어 새로운 예술 형식과 표현 방식을 만들어낸다. 이미지 생성 기술은 미술, 영상, 공연, 문학, 음악, 뷰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예술 작품과는 다른 특징과 효과를 지닌 작품을 생성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은 인공지능이 인터넷에서 수집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내용을 창조한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창의성과 상상력을 모방하거나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예술가와 협업하거나 독립적으로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디지털아트, 메타버스, NFT(Non-Fungible Token) 등과 같은 새로운 매체와 플랫폼을 통해 예술의 영역과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있다.

2. 입체주의 표현방식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연구

20세기 미술계의 커다란 전환점이었던 입체주의는 1907년부터 1914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하여 유럽 전역에 파급된 미술 혁신 운동이다(Kim, 2009: Kim & LEE, 2010). 대표적인 작가로는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와 브라크 조르주(Braque Georges), 후안 그리스(Juan Gris) 등이 있다. 이들은 고전적인 규범과 원근법을 단절하고, 점과 분할된 투시법으로 기하학적 도형의 해체된 형태를 표현하였으며, 명도가 낮은 단순한 색채를 사용했다(Choi, 2014). 입체주의는 3단계로 불리는 초기 입체주의, 분석적 입체주의, 종합적 입체주의로 전개되었다. 1907~1909년의 초기 입체주의는 후기 인상파 화가 세잔(Paul Cezanne)의 영향을 받아 세자니즘(Cezannisme)이라고도 불린다. 르네상스 이래 회화를 지배해 온 원근법을 거부하고 대상을 다시 점으로 분해하여 형태를 단순화시켰다. 1910~1912년의 분석적 입체주의는 대상의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기하학적인 단위로 해체하고 재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배경과 사물을 동일하게 낮은 명도의 제한된 색채로 표현하여 입체감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였다. 1913~1914년의 종합적 입체주의는 풍부해진 색채와 질감, 사실적인 대상과 개성적인 작품을 표현하기 위해 콜라주(College), 파피에 콜레(Papier colllé)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현기법을 통하여 공간적인 깊이감, 물체의 질감을 더욱 강조하였고, 원근법과 명암법을 사용하던 과거 예술가들과는 전혀 다르게 대상에 사실감을 재현해 내는 방법을 창조해냈다(Park, 2017; Choi & Joung, 2019).
입체주의의 시대적 표현기법의 특성이 잘 나타난 피카소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Choi & Joung(2019)은 사람의 얼굴에 융합하여 아트메이크업 디자인하였고, Song(2023)은 피카소의 화풍을 응용하여 아트메이크업과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디자인을 통해 아트메이크업의 발전과 확장을 제시하였다. 또한 Lee(2012)는 입체주의적 꼴라쥬의 특성을 활용한 파피에 꼴레 기법을 응용하여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하였고, Park(2017)은 입체주의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융합디자인을 아트마스크에 제작함으로써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과 새로운 표현영역을 제시하였다. Choi(2014)는 입체주의 특성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의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디자인을 창작함으로써 아트메이크업의 질적인 고급화와 다양성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입체주의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선행논문 및 전문서적 등을 통해 입체주의 개념과 표현기법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아트메이크업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 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수행하였다. 둘째, 입체주의 대표 작가의 작품 중 6점을 추출하고 작품의 특징과 표현기법을 분석하여 텍스트 프롬프트를 구성하였다. 텍스트 프롬프트는 입체주의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의 특징과 요소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셋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인 Bing Image Creator에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입체주의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방법은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의 다양성과 표현력을 높일 수 있으며, 창의적인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입체주의 작품의 형태, 구성, 색상, 조화 등의 요소가 잘 표현되었는지 생성된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의 창의성, 표현력, 미적가치, 완성도 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평가는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의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도출할 수 있다.

IV. 결과 및 고찰

1. 초기 입체주의 관련 프롬프트에 따른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초기 입체주의는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이루어진 큐비즘의 시작 단계로, 이 시기에는 세잔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아 사물의 형태를 단순하게 표현했다. 대상을 왜곡시켜 형태를 구성하였고, 원근법이나 명암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기하학적인 평면성과 대상과 배경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나타냈다. 초기 입체주의 표현 방법을 처음 시도한 작품은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5)의 <아비뇽의 처녀들 Les Demoiselles d'Avignon, 1907>이다. 이 작품은 파리의 아비뇽 거리에서 매춘하는 여인들을 그린 것으로, 여인들의 얼굴과 몸은 각진 도형과 선으로 왜곡하여 단순화시켰으며, 특히 오른쪽 두 여인은 아프리카 조각상처럼 과장되고 기괴하게 표현하였다. 원근법, 명암법, 인상적 색채, 감정적 표현 등 사실주의적 전통을 거부하고, 자연의 여러 가지 형태를 입체 조각으로 표현하려는 특징을 보여준다. 작품 1은 <아비뇽의 처녀들> 작품을 모티브로 Art makeup(아트메이크업), Picasso(피카소), Les Demoiselles d'Avignon(아비뇽의 처녀들) Cubism(큐비즘), Geometry(기하학), Unshaded(비음영), Nonperspective(비원근)의 프롬프트를 구성하였고, Bing Image Creator 모델을 이용하여 아트메이크업 이미지를 생성하였다(Table 1). 프롬프트란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모델에게 필요한 결과물을 출력하기 위해 설명하는 입력값을 말한다. 이미지 생성 모델을 사용할 때 프롬프트를 텍스트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텍스트 프롬프트의 표현력과 정확도가 이미지 생성 모델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높은 수준의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잘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Lee & Choi, 2023). 생성된 이미지를 살펴보면 얼굴의 각 부위를 다른 색상으로 채워 평면적인 느낌으로 표현하였고, 얼굴의 윤곽선을 검은색 라인으로 기하학적 모양으로 그렸다. 또한, 얼굴의 일부분을 아프리카 마스크나 이베리아 조각상에서 영감을 받은 형태로 변형하기 위하여 눈을 큰 아몬드 모양으로, 코를 길게, 입술은 오므린 형태로 연출했다. 전반적인 이미지는 원근감과 음영을 배제하고 비환상적 효과 등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제시한 프롬프트에 적합한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Park(2017)은 입체주의 표현기법을 아트메이크업에 융합시켜 아트마스크에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 발상과 표현영역을 창출하였다. 피카소의 작품을 모티브로 복수시점, 형태의 분할, 콜라주 등의 기법을 아트마스크에 적용하여 입체주의적인 느낌을 부여하였다. Choi(2014)는 입체주의 특성을 아트메이크업 작품에 적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입체주의 특성은 다시점, 재구성, 파피에 콜레, 제한적 색채 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아트메이크업에 활용하면 다양한 표현력과 창의력을 발현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Kim(2023)은 입체주의의 조형적 특성을 동시성, 도형성, 중첩성, 해체와 재구성, 사실성 5가지로 분류하여 아트메이크업 작품을 제작하였고, 오브제와 디지털 미디어 기법을 접목하여 표현하였다.

2. 분석적 입체주의 관련 프롬프트에 따른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분석적 입체주의는 1910년부터 1912년까지 이루어진 큐비즘의 발전 단계로, 이 시기에는 인물과 물체를 입방체 또는 기하학적 평면으로 분해하고 재구성하였다. 사물의 여러 측면을 한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 대상을 선과 면으로 분해하고 재배치하여 형태가 왜곡되었다. 색채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갈색, 회색, 녹색 등의 단조로운 색상을 이용하여 형태와 구조에 집중하였다. 복잡한 주제는 피하고 단순한 정물이나 인물을 선택하여 대상의 식별이 어렵고, 공간감이 없는 특징을 지닌다.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 1882-1963)의 <바이올린과 팔레트 Violin and palette, 1909>와 <바이올린과 물병 Violin and pitche, 1910>은 분석적 입체파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대상을 단순하고 정형화된 기하학적 형태로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공간과 물체의 관계를 새롭게 표현하였다. 각진 도형과 선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하여 사물의 본질을 표현한 작품으로 색상은 회색과 갈색, 녹색 등의 유사 계통으로 단조롭게 나타내어 분석적 입체파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작품 2는 조르주 브라크의 두 작품을 모티브로 Art makeup(아트메이크업), Georges Braque(조르주 브라크), Violin and palette(바이올린과 팔레트), Violin and pitche(바이올린과 물병), Cubism(큐비즘), Geometry(기하학), Monochromatic tones(단색 톤), Brown(갈색), Green(녹색), Gray(회색)의 프롬프트를 구성하였고, Bing Image Creator 모델을 이용하여 아트메이크업 이미지를 생성하였다(Table 2). 생성된 이미지를 살펴보면 얼굴 전체에 바이올린의 윤곽을 그리고, 그 안을 다른 색상으로 구성하였다. 한쪽 눈은 바이올린의 몸통처럼 곡선과 직선으로 이루어진 모양으로 표현하였고 다른 쪽 눈은 바이올린의 현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나타냈다. 하단의 이미지는 프롬프트를 회색과 갈색, 녹색 등의 명도가 낮은 단색 톤으로 제한하여 일반적인 아트메이크업이 주는 화려함과는 달리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했다.
Lee(2012)는 아트메이크업의 다양한 표현을 위해 디지털 미디어인 포토샵을 활용하여 작업하였으며, 큐비즘적 양식이 주는 창의적인 디자인 창출의 가능성과 작품에 있어 메이크업만으로 연출하기 부족한 이미지의 표현을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함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준다고 주장하였다.

3. 종합적 입체주의 관련 프롬프트에 따른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종합적 입체주의는 큐비즘의 변화 단계로,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는 분석적 입체파에서 해체된 형태를 결합하여 대상의 본질을 드러냈으며, 잃어버린 색채를 다시 사용하여 대상의 분위기나 감정을 표현했다. 특히 인쇄된 신문, 벽지, 상품 포장지 등의 다양한 재료나 형태의 조각들을 잘라서 붙이는 콜라주(Collage)와 파피에 꼴레(Papier collé) 기법을 사용했다. 이것은 대상과 화면 사이의 관계를 더욱 현실적으로 표현하고, 사실감을 회복하려는 목적이었다. 이러한 콜라주 기법은 혁신적인 새로운 개념들을 만들어냈으며, 여러 미술 양식들이 생겨나는 데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후안 그리스(Juan Gris, 1887-1927)는 피카소와 함께 종합적 입체파의 주요한 화가로 평가되며, 초상화와 정물화라는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 종합적 입체파의 독창적인 양식을 정립했다. <책, 파이프와 유리 Livre, pipe et verres, 1915>는 후안 그리스가 그린 정물화로 종합적 입체주의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책상 위에 책, 신문, 파이프, 유리 등의 일상적인 물건을 다양한 각도와 면으로 분해하고 재구성하였다. 또한 콜라주와 파피에 콜레 기법을 사용하여 책에는 실제 잡지 조각을, 유리잔에는 반투명한 종이를 붙였다. 작품 3은 <책, 파이프와 유리> 작품을 모티브로 Art makeup(아트메이크업), Juan Gris(후안 그리스), Livre, pipe et verres(책, 파이프와 유리), Cubism(큐비즘), Geometry(기하학), Collage(콜라주), 파피에 꼴레(Papier colllé)의 프롬프트를 구성하였고, Bing Image Creator 모델을 이용하여 아트메이크업 이미지를 생성하였다(Table 3). 생성된 이미지를 살펴보면 얼굴의 비례나 형태를 무시하고 눈썹이나 입술과 같은 대칭적인 부위를 변형하거나 파괴하여 얼굴의 일부분을 과장되게 나타내고 새로운 형태로 표현하였다. 기본 구성의 어두운 색상과 대비되는 흰색의 윤곽선을 사용하여 강조한 이미지는 ‘White outlines contrasting with dark tones’의 프롬프트를 반영하면서 입체주의적인 느낌을 재현하였다.
Lee(2011)는 입체주의적 꼴라쥬의 특성을 활용한 파피에 꼴레 기법을 응용하여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파피에 꼴레 기법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은 아트와 메이크업이라는 단순한 미적인 범위를 벗어나 다양한 소재를 통한 예술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아티스트에게 창의성과 표현력을 부여한다고 주장하였다.
작품 4는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인 <기타 The guitar, 1913, 기타 음악악보와 와인 잔 Guitar sheet music and wine glass, 1912>을 모티브로 Art makeup(아트메이크업), Picasso(피카소), Guitar(기타), Sheet music(악보), Cubism(큐비즘), Geometry(기하학), Collage(콜라주), Papier colllé(파피에 꼴레), Orange(주황색), Blue(청색)의 프롬프트를 구성하였고, Bing Image Creator 모델을 이용하여 아트메이크업 이미지를 생성하였다(Table 4). 생성된 이미지를 살펴보면 콜라주의 일종인 파피에 꼴레의 표현방식을 응용하여 악보 조각을 얼굴에 붙여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종이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재료이지만 아트메이크업에 활용하여 예술적인 가치를 부여하였고, 아트메이크업의 텍스처와 볼륨감을 증대시켰다. 색채는 주황색과 청색을 사용하여 작품과 유사한 이미지를 나타냈으며, 악보 기호들을 단순하면서도 명확하게 표현하였다.

V. 결 론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인 Bing Image Creator를 활용하여 입체주의 작품의 특징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을 창작하였다. 생성된 디자인은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여 독창적인 스타일과 표현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실제 아트메이크업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의 실용성과 완성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인간이 생각하지 못하고 시도하지 못한 미적 표현과 입체주의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의 전통적인 요소를 변형하고 스타일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스타일과 기법을 만들어냈다.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과 입체주의 표현방식은 현실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다양한 시각과 면을 결합하며, 색채와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입체주의 작품의 특징인 복수시점, 형태의 분할, 콜라주 등의 표현기법을 아트메이크업에 적용하면서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이는 인공지능 모델이 입체주의의 표현방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과거와 현재, 예술과 기술, 인간과 기계 등이 융합되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예술적 표현방식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은 입체주의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에 대한 디자이너의 창작 과정과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창작 방법은 메이크업 디자이너 더 나아가 뷰티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도전과 협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전환 기술의 진화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여러 학문에서 디지털 관련 학문을 교과과정에 도입하고 있다(Kim & Yoo, 2021). 메타버스, AR·VR, ChatGPT, Bing, 뇌 기능 분석 등 사회수요의 변화에 따른 융합교육, 마이크로 디그리, Design Thinking 등의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Choi & Lee, 2023; Jang et al., 2020; Lee, 2022; Noh et al., 2020; Park & Chang, 2021). 뷰티 관련 학과 교육에서 학생들이 디지털 뷰티에 대한 친화적인 여건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개별학과 단위 교과과정 개편도 좋지만 융합교육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Joo, 2020).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특별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방안, 산·학·연협력 차원의 접근 및 일반대·전문대 LINC3. 0사업단 운용대학 간 공유협력 프로그램으로 디지털 뷰티 교과목을 운영해야 한다(Kim et. al. 2022; Kim & Noh, 2023; Noh & Kim, 2022; Noh et al., 2022).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지방대학의 위기도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학과들의 생존 문제에 미용학과도 그 위기에서 예외일 수 없을 것이다. 디지털 뷰티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해당 과목 이수가 취업의 품질에 어떻게 연계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과 품질에 의존적이라는 점이다.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이 만든 이미지는 텍스트 프롬프트의 표현력과 정확도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 적절한 프롬프트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텍스트 프롬프트의 작성 방법을 연구하고,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과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이 예술 분야에서 어떠한 역할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유익한 연구로서, 앞으로 더욱 깊이 있고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1.
Art Makeup Design Generated with Les Demoiselles d'Avignon as a Motif
JKSC-2023-29-6-1427i1.jpg
Table 2.
Art Makeup Design Generated with Violin and Palette, Violin and Pitche as a Motif
JKSC-2023-29-6-1427i2.jpg
Table 3.
Art Makeup Design Generated with Livre, Pipe et Verres as a Motif
JKSC-2023-29-6-1427i3.jpg
Table 4.
Art Makeup Design Generated with The Guitar, Guitar Sheet Music and Wine Glass as a Motif
JKSC-2023-29-6-1427i4.jpg

References

Bing Image Creator. (2023). https://www.bing.com/images/create.
Choi, E., & Lee, M. J. (2023 Analysis of Beauty Service Needs and Brain Fun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ized Beauty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7(2), 49-68. doi: 10.18397/kcgr.2023. 27.2.49.
Choi, E. H. (2014). A Study of Art Make-up Designs to Which Features of Cubism are Applied.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Jeonnam, 3-11.
Choi, J. E., & Joung, Y. J. (2019 Art Make-up Design Based on Expression Method of Picasso's Cubism.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1), 289-300. doi: 10.18693/jksba.2019.20.1.289.
crossref
Chung, J. Y. (2022 Case Study of AI Art Generat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 13:117-140. doi: 10.23086/trans.2022.13.06.
Goodfellow, L.. (2016). Deep Learning(Adaptive computation and learning series) Massachusetts, The MIT Press.
Hashwood. (2023). https://www.hashwood.org/.
Jang, J. H., et al (2020 Need for Learning English Pronunciation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1), 157-172. doi: 10.18397/kcgr.2020.24.1.157.
Joo, K. I. (2020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for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4), 137-166. doi: 10.18397/kcgr.2020. 24.4.137.
Son, H. Y., & Kim, S. H. (2014). A Study on Art Make-up by the Texture ex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10(1), 33-40.
Song, M. A. (2023). A Study on the Design of illustration and face painting technique applying Picasso’s art style.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Gyeongnam.
Kang, J. W., & Heo, J. Y. (2023). Designers’ Perception and Usage Intention of Style Transfer Technology as an AI Contents Generator Tool. Industrial Design, 17(1), 51-62.
crossref
Kim, B. M., & Noh, Y. H. (2023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Industry Cooperation Center (ICC) in University.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7(1), 97-118. doi: 10.18397/kcgr.2023.27.1.97.
Kim, B. M., Noh, Y. H., Kim, T. H., & Shin, Y. J. (202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2), 243-267. doi: 10.18397/kcgr.2022.26.3.243.
Kim, H. Y., & Lee, S. W. (2010). A Study on the Case of Textile Design Utilizing Painting Style in 20 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2), 188-197.
Kim, K. A. (2021 The effects of innovation success experience and support policy demand on the innovation support policy satisfaction.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2), 191-214. doi: 10.18397/kcgr.2021.25.2.191.
Kim, K. M., & Yoo, J. S. (2021 Digital Transformation as a Determina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Perceptions of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3), 69-94. doi: 10.18397/kcgr.2021.25.3.69.
Kim, S. J. (2023). A Study on Art Makeup Works appl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ubism.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94-96.
Kim, S. Y. (2009). A Study on the Partition by Applying Expression of Cubism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Space.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1.
Lee, G. R. (2011). The Study Artmakeup Apply a Collage Peculiarity of Cubism : Centered on Papier Colle.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84-85.
Lee, H. S., Kim, B. M., Chae, S. H., Lee, Y. J., & Lee, W. H.. (2000). (The) Art of Makeup Hyungseul, p.172.
Lee, K. M. (2012). A Study on Picasso-Cubistic Expression of Artistic Makeup Using Photoshop.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87-89.
Lee, M. J., & Choi, E. (2023 A Study on Creative Nail Art Design Generation Based on Text Prompt : Focused on Image-Gene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DALL-E 2 and Bing Image Creator.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29(4), 1058-1065. doi: 10.52660/JKSC.2023.29.4.1058.
crossref pdf
Lee, S. Y. (2021 Analysis and Overcoming Measures of Crisis in Local Universities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2), 215-252. doi: 10.18397/kcgr.2021.25.2.215.
Lee, S. Y. (2022 An Analysis on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and Overcoming Measure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nvergence Education Trends Based on Social Big Dat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3), 49-76. doi: 10.18397/kcgr.2022.26.3.49.
Lee, S. Y., & Noh, Y. H. (2021 Policy Direction for Humanities and Social-Based Convergence Research.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4), 287-310. doi: 10.18397/kcgr.2021.25.4.287.
Nam, K. B. (2022 A Study on the Local Metaverse Utilization and Guidelines: Focusing Japanese Metaverse Guidelines Case.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4), 143-164. doi: 10.18397/kcgr.2022.26.4.143.
Noh, J. Y., Lee, S. Y., & Noh, Y. H. (2019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nvergence Curriculum and their Convergence Capac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3(3), 447-472. doi: 10.18397/kcgr.2019. 23.3.447.
Noh, Y. H., & Kim, B. M. (2022 A Study on the Self-reliance Plan through Trend Analysis of Industry Cooperation Center Based on Social Big Dat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4), 215-232. doi: 10.18397/kcgr.2022.26.4.215.
Noh, Y. H., Kim, T. H., & Nam, Y. S. (2022 An Analysi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rends in New Technology Based on Big Data.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6(2), 1-26. doi: 10.18397/kcgr.2022.26.2.1.
Noh, Y. H., Lee, S. Y., & Park, M. S. (2020 Technology Assessment of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on the Response of Social Problem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3), 223-242. doi: 10.18397/kcgr.2020.24.3.223.
Oh, N. Y., & Park, J W. (2022). A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dia art Based on the Visual Similarit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 A Case Study on the Artwork ‘Goonghab’.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40(1), 193-202.
crossref
Park, L. L. (2017 Art Mask Converged Design Based on an Expression Method of Cubis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273-278. doi: 10.15207/JKCS.2017.8.4.273.
crossref
Park, S. I., & Chang, S. J. (2021 A Study on Building Health/Welfare Environment for Settlement in Elderly: Focusing on Concept of Blue Zone.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5(3), 233-256. doi: 10.18397/kcgr.2021.25.3.233.
Zhang, Y. C., & Park, S. H. (2023).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Digital Art using an AI Image Generator : Digital Art Research using AI Image Generator in the Post-Human Era.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82:107-118.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