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용전공자들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도입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hinese Beauty Major Students on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6):1442-144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6.1442
1Master, Department of Beauty & Cosmetic Science, Graduate Eulji University
2Ph.D. Cours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Eulji University
3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 Cosmetic Science, Eulji University
루야오1, 전선영2, 신규옥3,
1을지대학교 대학원 미용품화장품과학과, 석사
2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과정
3을지대학교 미용화장품과학과, 교수
본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 일부를 발췌하여 재편집한 것임
*Corresponding author: Kyu-Ok Shin Tel : +82-31-740-7243 E-mail : rayna@eulji.ac.kr
Received 2023 September 11; Revised 2023 November 8; Accepted 2023 November 10.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in China, where interest and demand for ‘Beauty’ is rapidly increasing based on recent economic development. The beauty industry in China is currently positioned as a promising occupation with high added value. Therefor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system that is being implemented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beauty majors in China from February 12 to February 18, 2023, and conducted a self-written survey using WeChat and the Wenjunxing program, which are available for online surveys in China. The final 302 of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all of China. In the future, if an extensive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beauty majors in more regions,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introduc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in China.

I. 서 론

중국의 국제적 위상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서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세계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더두드러지고 있다(Cao & Zhu, 2023). 중국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의 생활수준도 점차 향상되었고 ‘미(美)’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였다. 미용산업은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예술분야로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아름다움과 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Wang & Kim, 2022).

아쉽게도 이러한 미용산업의 발전상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미용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화된 교육이 미흡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미용 관련 국가자격증 제도 또한 갖추고 있지 않다. 중국에서도 많은 대학들이 미용학과를 신설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세분화가 이뤄지지 않아 학생들이 미용 관련 정책과 제도, 자격증 등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Baike, 2021).

반면 한국의 미용업계는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어 배울 점이 많음과 동시에 한국은 중국과 인접해 있어 접근성이 좋다. 한국에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술교육을 통해 미용 관련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원과 미용특성화고등학교, 전문대학, 4년제 대학에 이르기까지 능력지식, 미용기술 등을 개설하여 교육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기술자격증제도도 시행되고 있다(Yang, 2020).

국가기술자격증 제도는 국가가 산업현장에서의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기술이나 지식의 습득 정도를 파악하여 일정한 기준 및 절차에 따라 교육을 평가·인정하는 제도이다(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이에 따라 현재 미용분야의 국가자격증 제도가 없는 중국은 미용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미용직업교육 및 훈련을 위한 국가자격증제도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가별 미용 관련 자격증 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Cha(2010)의 한국과 독일 및 영국의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증제도의 비교연구, Lee(2011)의 한국 미용자격증과 면허증에 대한 인식조사 등이 있다. 또한 한국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Bae(2011)의 피부미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Jeong & Yoon(2021)의 국가별 피부미용자격제도 및 교육과정 비교 연구, Wang & Kim(2019)의 중국 미용인들의 미용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필요성 및 인지도 연구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것은 미용기술은 단기간에 습득하기 어려운 직업으로 꾸준한 기술 습득과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중국에서 미용직업교육이 발달된 시간이 상대적으로 주변 국가보다 짧고 업계가 규범화되지 않은 것, 보편적으로 미용인들의 학력이 높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Chinese Association of Plastics and Aesthetics, 2021). 현재 중국의 미용관련 자격증 및 면허증 제도 관련 연구는 미용관련 입법과 법률에 관한 기초적 연구만 이루어졌을 뿐, 미용분야 자격증을 도입을 위한 기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Wang & Kim,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미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도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중국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제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한국의 미용분야 국가자격증 제도

한국의 국가기술자격법은「자격기본법」에 따른 <국가자격증> 산업과 관련된 기술·기능 및 서비스 분야의 자격을 말하며(제2조), 설립의 목적은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자격제도를 확립하여 기술자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기술자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며 국가경제발전에 기여를 위함(제1조)이다 (국가기술자격법, 법제처). 미용사는 기능사 속에서 미용 국가자격증 시험은 학력, 경력 등의 제한이 없고 미용 전공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시험을 볼 수 있다(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한국의 미용사 국가자격시험은 2008년에 미용사(일반)와 미용사(피부)로 분리되었고, 2015년부터는 네일 미용이 추가로 분리되어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 미용사(네일) 3가지로 나뉘어졌고, 2016년부터는 메이크업분야가 다시 분리되어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 미용사(네일), 미용사(메이크업) 4가지로 분리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2. 중국의 미용제도와 현황

1) 중국의 미용제도

중국의 전게법률 제2조 전단에는 ‘미용(美容)’을 ‘전문적인 스킨케어 화장품과 전문적인 미용기기를 사용하여 전문적인 스킨케어 방법과 마사지 기법을 사용하여 인체의 피부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China Minisrtry of commerce).

이러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 중국에서 ‘미용(美容)’이라 함은 ‘피부미용’을 일컫는 용어로, 한국에서 흔히 미용이라고 불리는 헤어미용은 ‘미발(美髮)’이라고 별도로 칭하고 있으며, 중국의 미용교육과정은 피부미용 중심의 ‘미용(美容)’으로 구성돼 있다(China Minisrtry of commerce). 또한 중국 현대인에게 외모 인식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사람들의 사회 활동에서 외모의 중요성을 추구하며, 외모는 그 사람의 존재감을 나타내고, 외모를 받아들이거나 인정하는 것은 자신의 생각과 태도, 감정 상태를 반영한다(Kim, 2020).

2013년 상무부가 발표한 전국 최초의 ‘산업표준: 미용실 서비스 규범’(Minisrtry of commerce of china)에서 미용은 ‘의료 미용’과 ‘생활미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도출된다.

‘생활미용’은 수법기술, 기구, 장비를 사용하고 미용, 미발, 화장 등의 용품을 빌려 소비자에게 인체의 표면 무침습성, 비침습성 피부청결, 피부관리, 피부노화방지, 화장보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영행위를 말한다(All-China Federation of Indusrtry and Commerce). 주요 서비스 내용은 얼굴 미용케어, 바디 스킨십, 스파, 메이크업이다. 한편 ‘의료미용’은 피부에 침투하는 일련의 의학적 수단을 사용하여 인체의 용모와 신체의 모든 부분을 유지, 수리 및 재소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유로 ‘생활미용’은 상무부가, ‘의료미용’은 위생부가 관장하고 있다.

한편 중국 미용업계는 1980년대부터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2017년 10월 26일, ‘국가 미용 산업 발전 전략 계획 개요’ (Wang & Kim, 2019)는 베이징의 관련 중앙 부처 및 위원회와 미용 산업 전문가 및 학자들의 심사를 통과했다. 한국과 달리 중국의 생활미용업소는 ‘미용원(美容院)’, 미발(美发)업소는 ‘이발실(理发室)’이라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생활미용 중 미용업, 즉 한국의 피부미용을 연구한다.

2) 중국의 미용분야 민간자격증

중국은 1994년부터 입법을 통해 직업자격증제도를 관철하고 노동인사의 관리를 강화하고 사회공익을 보호하며 직업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직업자격증 규정’과 199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노동법’(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 code revision Committee), 1996년 ‘직업교육법’(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공포 및 기타 법률 직업기능검정의 기본 법적 지위와 정책보장을 확정했다. 실제로 2017년 9월 17일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인적자원사회보장부는 인사부발 68호(2017) ‘국가직업자격목록 공포에 관한 고시’>를 발표하여 국가직업자격목록을 공표하였다. 국가 직업 자격 목록에는 59개의 전문 기술자 직업 자격과 81개의 기능 인력 직업 자격을 포함하여 총 140개의 직업 자격이 있다. 또한, <2015년판 중화인민공화국 직업분류대회>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를 근거로 ‘국가직업기능표준편직기술규정(2018년판)’의 관련 요구사항을 엄격히 준수하고 ‘직업 활동을 지향하고 직업기술을 핵심으로 한다’는 지도사상으로 미용사 종사자의 직업활동 내용을 규범화하여 상세히 기술하고 각 등급 종사자의 기능수준과 이론지식수준을 명확히 규정하였다(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미용 산업이 발전하고 미용 시장이 커지면서 많은 미용 회사들이 미용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기 시작하고 있다. 종사자의 종사 행동을 표준화하고 직업교육 및 훈련의 방향을 안내하며 직업 기능 평가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미용사 자격증 응시요건 중 초급은 만 19세 이상이어야 하며, 학습훈련에 일정 시간 참여하면 신청할 수 있다. 중급은 만 21세 이상이어야 하며 초급시험이 끝나면 3개월 후에 고급시험을 볼 수 있다. 고급은 만 23세 이상이어야 하며, 중급 자격증을 취득했거나 5년 이상 근무하면 신청할 수 있다. 시험 내용은 화장품의 분류 및 응용, 미용 산업에 대한 인식, 피부 분석 및 진단, 문제 피부 치료, 골격 근육, 혈자리 경락 등이 있다. 현재 중국 미용 전공자는 중급 미용사 자격증을 직접 취득할 수 있으며, 자격증의 인증기관은 해당 성의 평가 기관이지만 전국적으로 통용될 수 있다. 중국 미용업계에는 자격증이 없는 미용사들이 있어 구체적인 사업 계획에 차질이 생기기에 중국은 직함 개념을 더욱 구체화 시키고 직업 자격 제도의 실시 범위를 확대하며, 국제화 접목을 촉진해야 한다(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23년 2월 12일부터 2월 18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설문 대상자는 중국에서 미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을 1차 선정하여 교수자들에게 설문조사 실시에 대해 설명한 후 사전 동의를 구하였다. 이후 해당 학교의 미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작성된 연구목적을 읽고 동의한 사람에 한하여 실시되었다. 설문 방법은 중국에서 온라인 설문조사가 가능한 위쳇(WeChat)과 왠쥬엔씽 프로그램(問卷星)에 접속하여 자기 기입식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된 총 325부 중 응답이 불성실한 답변 23부를 제외하고 30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설문도구

본 연구의 설문문항은 Jeon(2019), Wang & Kim(2019), Kam & Kim(2019), Choi & Kim(2010) 등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중국의 실정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 사용된 문항은 일반적 특성은 5문항, 피부미용 관련 민간미용자격증 취득실태 10문항,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 7문항,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 6문항, 피부미용사 인식 10문항으로 총 38문항을 조사하였다. 척도는 일반적인 특성, 피부미용 관련 민간미용자격증 취득실태와 피부미용사 인식은 명목척도로 구성되었고,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과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은 5점 리커트 척도로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로 점수가 높을수록 측정변수의 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3.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ver 2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피부미용 관련 민간미용자격증 취득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피부미용사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인식과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여성이 78.5%로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은 20-21세가 42.7%, 학력에서는 전문대 재학이 64.9%, 학년은 2학년 42.7%로 각각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거주지역은 중국 동북지역이 57.3%, 화북지역 18.9%, 화중 및 화동지역이 7.6%의 순서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2. 피부미용 관련 민간자격증 취득 실태

미용전공 학생들의 피부미용 민간자격증 취득 실태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미취득(84.4%)’이 매우 높게 조사되었고, 조사대상자의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각 학년 모두 70% 이상이 피부미용 관련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격증 미취득 이유로는 ‘자격증이 있는지 몰라서 취득하지 못한(52.2%)’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학력, 학년, 거주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그 중 피부미용 자격증이 있는 15.6%를 분석한 결과, ‘대학교 2학년(46.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cquisition of Private Esthetic Certificate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피부미용 민간 자격증 취득 동기로는 ‘흥미와 적성(25.8%)’과 ‘미래 전망(17.2%)’이 각각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거주지역에 따라 중국 동북지역이나 화중지역, 서북지역의 경우 대체적으로 ‘흥미와 적성’ 때문에 결정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 화북지역의 경우 ‘전문지식 습득’ 때문에, 중국 화남지역의 경우 ‘미래 전망’ 때문에, 중국 서남지역의 경우 ‘전문지식 습득’ 또는 ‘취업에 유리하기 때문에’, 중국 화동지역의 경우 ‘취업에 유리하거나 전문 직업을 갖기 위해’ 취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Wang & Kim(2019)에서 진로특성 분석 결과로 미용관련 자격증 취득 목적에서 ‘학업 성취감’, ‘미용기능 인정 받기 위함’이 각각 높게 나타났는데, 기능인정으로 인해 향후 취업 및 창업하기 위함을 뒷받침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격증 취득을 위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준비 과정으로는 ‘학교와 학원수업 병행’이 가장 높았다.

3.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인식

1)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증 도입 인식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증이 국가 및 사회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전반적인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중국 화북지역이나 화남지역, 동북지역, 화동지역, 화중지역의 경우 서북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ate for Esthetician

2)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증 효과 인식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증 효과 인식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이 신설되면, 현장에 취업할 때 미취득자보다 취득자를 선호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전반적인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84점으로 평균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Esthetician

일반적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 거주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4. 피부미용사 직업인식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피부미용사는 전문가로서 인정받기 위해 새로운 기술,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해 노력한다’는 답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조사되었다.

Occupational Perception of Esthetician

일반적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중국 화북지역이나 동북지역, 화동지역, 화중지역, 화남지역의 경우 서북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사 직업 선택 동기로 ‘자기 사업을 갖기 위해서(돈을 많이 벌기 위해)’(32.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졸업 후 진로 계획으로, ‘미용관련 전공분야 취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 학력, 학년, 거주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am & Kim의 연구(2019)에서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후 효과 관련 문항 요인 분석에서 국가자격증 취득 시 미취득자와 비교하여 급여가 더 많을 것이라고 기대한다는 답변에서 0.83으로 본 연구에서는 0.941로 각각 모두 높게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는 취득 시 급여·우대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5.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인식과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의 상관관계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인식과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은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r=.86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r=.867, p<.001)은 피부미용사 직업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r=.940, p<.001)도 피부미용사 직업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Esthetic and Perception of Esthetician Profession

이는 Kam & Kim(2019)의 연구에서 미용사(피부)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준비 중인 준비생과 취득자들을 대상으로 한 피부미용사 직업에 대한 인식도 요인 분석에서 모두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고, 피부미용사로서 호의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는 중국의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증 도입을 위하여 중국 내에서 미용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중요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중국 미용전공자들의 피부미용 관련 민간자격증 취득 실태를 알아본 결과 과반수 이상이 미취득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격증 미취득 가장 큰 이유로 여성의 경우 자격증 시험이 있는지 몰라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나 기관에서 미용분야 자격증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피부미용자격증의 효과인식에서 자격증이 신설되면 현장에서 취업할 때 취득자를 더 선호할 것이라는 답변이 높게 조사되었다. 미용전공 학생들의 피부미용 민간자격증 취득 실태는 중국 지역별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 화북지역이나 화남지역, 동북지역, 화동지역, 화중지역의 경우 서북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에 대한 인식은 피부미용사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남성과 여성의 답변에서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생활 미용에 이용하기 위해서였고, 여성의 경우 자기 사업을 갖기 위해(돈을 많이 벌기 위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피부미용업을 경영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절반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에 대해 알아본 결과, 피부미용사는 전문가로서 인정받기 위해 새로운 기술,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해 노력한다는 답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미용사에 대한 직업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피부미용사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 및 피부미용사 직업인식 사이에서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취득이 피부미용사의 직업 및 직무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내에서도 일부 미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므로 그 결과를 중국 전체 미용전공자의 의견으로 확대 해석하거나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중국에서 미용학과가 개설된 것은 한국에 비해 오래 되지 않았고 교육과정 등의 개편작업이 계속 진행되는 중이므로 앞으로도 중국의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증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중국의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증 설립 및 제도 구축을 위한 심층적 연구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All-China Federation of Indusrtry and Commerce. 2023. Beauty Salon Service Standards SINA Press.
2. Bae, Y. H. (2011). A Study on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Development Method of Actual Conditions of Business Concerning Skin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Daegu. 5-7.
3. Baike. Analysis on the Present Situation of Beauty Industry in China, from (https://baike.so.com/doc/1632397-1725709.html) 2021.07.31.
4. Bejing Court. Deci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on Several Issue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market economy Act. (http://www.bjcourt.gov.cn). 2023.1.15.
5. Cao L., Zhu H. F.. 2023;Looking at the stabilizing effect of China's economy on world economic growth from three dimensions Contemporary China and the World. China Jounal of Academy of Contemporary China and World Studies 1:11.
6. Cha, E. J. (2010). Beautician national licensing system in Germany, United Kingdom, and South Korea compar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5-6.
7. China Minisrtry of commerce. Interim Measure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Beauty and Hairdressing Industry of the Act. (http://www.mofcom.gov.cn) 2023.2.5.
8. Chinese Association of Plastics and Aesthetics. 2021. Report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alents in China's Medical Aesthetics Industry of the report. China Plastic and Aesthetic Association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CAPA Press.
9. Choi S. M., Kim E. H.. 2010;The Current Beauty National Qualifications System and Test for The Estheticians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8(1):289–299.
10. Jeong H. N., Yoon C. S.. 2021;A Comparative Study on the Beautician Qualification System and Curriculum by Countr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2(5):2523–2538.
11. Kam S. J., Kim J. W.. 2019;A Study on the Awareness of Beauty rel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in Korea For certificate holders and preparatory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1):1–14.
12. Kim, M. J. (2020). Study on the Idolization of K-pop Groups, the Perception of Appearance, Dietary Behavior, and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mong Boys and Girls in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
13.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Article Two Act. (https://www.q-net.or.kr) 2023.3.10.
14.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Estheticians Act. (https://www.q-net.or.kr) 2023.4.20.
15.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ct. (https://www.q-net.or.kr) 2023.05.30.
16. Lee, H. S. (2011). A Study on Recognition of Korean Beauty Treatment Certificate and License : Focusing on praticians related to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7-21.
17. Minisrtry of commerce of china. Industry Standard: Beauty Salon Service Specification Act. (http://fms.mofcom.gov.cn) 2023.2.5.
18. Minisr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ofessional conditions and Technical Requirements for the Opening of Face and Hair Beauty Enterprises (Draft of soliciting opinions) Article 2 Act. (http://www.mofcom.gov.cn) 2023.4.6.
19.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eauticians (2004 Edition) Act. (http://www.mohrss.gov.cn) 2023.1.20.
20.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gulations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Act. (http://www.mohrss.gov.cn) 2023.1.20.
21.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nd Securit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echnical Regulations for the Compilation of National Vocational Skills Standards Act. (2018 Edition). (http://www.gov.cn) 2023.3.22.
22. 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 code revision Committee. 2015.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Cod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ccupational Classification Dictionary Act. (2015 Edition) China: China Labor and Social Security Press.
23. Sun Y. J.. 2019;A Study on Curriculum,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3):237–249.
24. The Central Peoples’s Govermaent of the Peoples’s Republic of china. Vocational Education Law of the China. Act. (http://www.gov.cn) 2023.1.15.
25. Wang D. J., Kim G. L.. 2022;The Effect of Chinese Coastal Areas Cosmetolog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Major Satisfac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6):1254.
26. Wang Y. Y., Kim G. L.. 2019;A Study on the Necessity Percep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n Chinese Beauty Shop Worker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6):1438–1449.
27. Yang, C. Y. (2020).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of the Course at the Beauty Acade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3-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en 65 21.5
Women 237 78.5
Age 18s-19s 69 22.8
20s-21s 129 42.7
22s-23s 55 18.2
Over 24s 49 16.2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 junior college 196 64.9
a college 62 20.5
graduate school and above 25 8.3
other 19 6.3
Grade 1 52 17.2
2 129 42.7
3 63 20.9
4 58 19.2
Residential area northeast 173 57.3
North China 57 18.9
Central China 23 7.6
South China 14 4.6
southwest 9 3.0
northwest 3 1.0
East China 23 7.6
Total 302 100.0

Table 2.

Acquisition of Private Esthetic Certificate

Category Acquisition of private esthetic certificate
χ² (p)
Yes No
Gender Men 11 (16.9) 54 (83.1) .117 (.733)
Women 36 (15.2) 201 (84.8)
Age 18s-19s 14 (20.3) 55 (79.7) 3.931 (.269)
20s-21s 14 (10.9) 115 (89.1)
22s-23s 10 (18.2) 45 (81.8)
Over 24s 9 (18.4) 40 (81.6)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 junior college 29 (14.8) 167 (85.2) 1.824 (.610)
a college 10 (16.1) 52 (83.9)
graduate school and above 6 (24.0) 19 (76.0)
other 2 (10.5) 17 (89.5)
Grade 1 11 (21.2) 41 (78.8) 15.477** (.001)
2 10 (7.8) 119 (92.2)
3 18 (28.6) 45 (71.4)
4 8 (13.8) 50 (86.2)
Residential area northeast 19 (11.0) 154 (89.0) 9.689 (.138)
North China 10 (17.5) 47 (82.5)
Central China 7 (30.4) 16 (69.6)
South China 4 (28.6) 10 (71.4)
southwest 2 (22.2) 7 (77.8)
northwest 1 (33.3) 2 (66.7)
East China 4 (17.4) 19 (82.6)
Total 47 (15.6) 255 (84.4)
**

p<.01

Table 3.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ate for Esthetician

Quest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1. I know the difference between a national technical license for estheticians and a private association license for cosmetology. 3.76 .999
2. I know about the practical examination system for national certification of estheticia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3.81 1.013
3. If there is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dermatology in China, I will take the examination (compulsory examination). 3.79 .984
4. I have been invited to obtain a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in esthetic from a foreign countr 3.63 1.069
5. I think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for esthetic for employment in beauty-related industries. 3.82 .976
6. I believe that obtaining a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in esthetic will be useful when working in beauty-related fields. 3.87 .973
7. I believe that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in esthetic is helpful for n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3.86 .951
Total 3.79 .912

Table 4.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Esthetician

Quest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1. I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is established, I think it will increase the social awareness of cosmetologists about skin-related jobs. 3.84 .991
2. I think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will increase the social awareness of skin-related jobs among the general public. 3.86 .947
3. I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is established, I think that ‘acquisition’ will be preferred over ‘non-acquisition’ when employed in the field. 3.88 .956
4. I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is established, I think that the salary and preferential treatment of ‘acquirers’ and ‘nonacquirers’ should be different when employed in the field. 3.86 .949
5. I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is established, I think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in salary and preferential treatment between ‘acquirers’ and ‘nonacquirers’ when they are employed in the field. 3.85 .944
6. I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is established, I think it will be advantageous for ‘acquisition’ and ‘non-acquisition’ to be promoted in the workplace. 3.77 .977
Total 3.84 .899

Table 5.

Occupational Perception of Esthetician

Question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1. I believe that perception of esthetician is socially acceptable. 3.74 .988
2. I am satisfied with the job security of being an esthetician. 3.80 .955
3. As an esthetician, I feel proud and rewarded to work in the skin industry. 3.83 .961
4. As an esthetician, I think the skin industry is a good business compared to other self-employment. 3.76 .969
5. As an esthetician, I am satisfied with the number of hours per day and the amount of work I do. 3.75 .969
6. The esthetician strives to acquire new skills and specialized knowledge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3.88 .948
Total 3.79 .900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Esthetic and Perception of Esthetician Profession

Category Perception of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Perceive the effect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esthetic Perception of esthetician profession
Perception of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esthetic 1
Perceive the effect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esthetic .865*** 1
Perception of esthetician profession .867*** .940*** 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