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과 마이크로디그리 분석 및 설계 방향성

Analysis and Design Directions for the 4-year University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and Microdegree Program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6):1450-145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6.1450
1Graduate Student, Kwangju Women's University General Graduate School of Beauty Science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채현호1, 김서희2,
1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과학과, 대학원생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Seo-Heui Kim Tel : +82-62-950-3833 E-mail : shkim@kwu.ac.kr
Received 2023 September 22; Revised 2023 October 29; Accepted 2023 November 6.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direc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microdegree programs in 4-year university beauty departments, in order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industries. To gather data, we utilized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to collect and analyze literature on the curriculum of 4-year university beauty departments and literature regarding directions for domestic microdegree programs. As a result, the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4-year university beauty departments have been identified as ‘Lack of emphasis on practical skills’, ‘Disorganized curriculum structure’, ‘Absence of personalization and suitability considerations’, ‘Inadequate incorporation of industry changes and trends’, ‘Challenges in practical application’, ‘Incomplet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Failure to address student demands and opinions’. As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domestic microdegree programs, it has been proposed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icrodegree programs focu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specific fields according to students' career interests is necessary’, ‘Promotional activities for motivating student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in microdegree courses are required’, ‘Continuous student needs assessment, evaluation, and monitoring are necessar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icrodegree programs and fostering institutional innovation’, ‘Enhancement of credit recognition for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ollaboration with industries and government policies is needed’, ‘An establishment of a microdegree committee within universities and the promotion of participation from industry representatives, government policies, alumni, professors, and current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he review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s necessary, and microdegree programs should not be operated superficially by universities solely for the sake of achieving results based on government support’, ‘The organization of competitions utilizing microdegree learning experiences and providing certification opportunities for job-related competencies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the directions to consider when designing microdegree programs in 4-year university beauty departments ‘Establishment of a committee for quality management of microdegree education’, ‘Design and feedback of microdegree programs based on the demands of beauty department students’, ‘Encouragement of easy goal-setting for beauty department students using microdegrees’, ‘Enhancement of competencies through integration between microdegrees and academic disciplines’, ‘Provision of job experience opportunities through microdegrees’, and ‘Importance of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nd expansion of resources for microdegrees’.

I. 서 론

기술혁신으로 급속한 변화를 거치고 있는 산업사회는 ‘4차 산업혁명’, ‘역량 중심’, ‘융·복합’, ‘창의인재’ 등과 같은 키워드를 등장시켰으며, 미래사회와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대학에게 교육혁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학문 중심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등이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Kang, 2020; Park & Ahn, 2021; Hong, 2020). 이에 교육부는 사회의 다변화된 수요에 대응하고,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을 미래 지향적인 학사 구조로 개편하기 위해 ‘벽을 허무는 대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벽을 허무는 대학이란 대학 내에서 전공 간의 경계를 허물어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확대하고 다양한 전공분야간의 지식을 연계·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생학습을 위한 상시 플랫폼으로서 ‘마이크로디그리(Microdegree)’과정을 대학에 도입하여 대학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신산업과 신기술 분야의 재교육 및 향상 교육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밝혔다(Ministry of Education, 2023).

마이크로디그리는 지식과 기술을 단기간 내에 습득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급변하는 사회·교육환경에 학습자가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기반 교육혁신 모델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23; Park & Ahn, 2021; Yoon & Kim, 2021). 이에 국내 4년제 대학에서는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일부 대학에서는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기존의 교육과정이 사회적 요구를 반영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대학에서도 받아들이고 급변하는 사회에 학생들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운영하려는 대학의 노력 일환이라 볼 수 있다(Park & Ahn, 2021).

마찬가지로 국내 뷰티산업 또한 다양한 장르의 대중문화가 세계에 알려지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지만 뷰티산업을 이끌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뷰티 산업은 기술과학, 미학, 인문사회, 소비자심리, 약학 등 다양한 역량이 요구되며 뷰티산업 기획자부터 온라인 마케터, 화장품 유통 전문가 등 뷰티에 특화된 인력이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부족하여 전문 인력양성이 절실한 상황이다(Segye, 2022; Sin, 2023).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자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마이크로디그리가 획일화된 기존 교육방식을 혁신하는 교육모델임을 인지하였고,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의 미용학과에서도 미래사회와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그간의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미용학과에서 마이크로디그리를 설계 시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I. 이론적 배경

1. 대학의 교육과정

대학의 교육과정은 교육 수요자가 배우고 익혀 나가야할 지식과 태도, 실천의 총체이자 일정한 교육의 목적에 따른 내용과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의 다양한 경험과 결과를 체득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Park, 2009; Park, 2018). 즉 대학은 전통적인 임무라고 할 수 있는 전인교육을 실현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기술과 직업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을 길러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Park & Ahn, 2021). 이러한 점에서 대학이 제공하고 있는 교육내용은 결국 실제로 사회에 나갔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포함하고,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전문적인 역량을 계발하는 것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져야 한다(Kim & Hwang, 2022). 그렇기에 대학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 마이크로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라는 개념은 ‘마이크로’와 ‘디그리’라는 단어의 합성어로서, 작은 단위의 학위를 의미한다. 마이크로디그리는 Davinci Coders에 의해 2012년 6월 콜로라도 정부에서 학위 과정인 micro college가 최초로 설립되어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이 운영되었다(Kang, 2023).

마이크로디그리는 일종의 집중된 직무교육으로 직무 관련 기술과 지식을 단기간 내에 습득하여 실무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학점당 학위제로 운영되며 분야별로 지정된 최소 학점을 집중 이수하면 학사학위와 별개로 미니 학위를 수여 한다. 약 3개월 동안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수업이 진행되며 교과내용은 IT관련 기술뿐만 아니라 특정한 직업이나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이러한 마이크로디그리는 학점을 부여하는 국내 학점은행제와 직업 교육과 관련된 국가 직무능력 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Jang & Kim, 2018).

전통적인 학위와 마이크로디그리는 다른 관점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학위의 교육과정은 광범위한 지식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깊은 이론적 지식을 전달하고 더 일반적인 교육 목표를 갖고 있는 반면 마이크로디그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와 산업 환경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짧은 기간 내에 실제적 기술과 지식을 집중적으로 습득하도록 설계되었다(Park & Ahn, 2021). 특정한 기술이나 자격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 수준의 교육을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대학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한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Jang & Kim, 2018).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의 자료 수집은 국내 학위자 논문 정보를 조사할 수 있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등록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2023년 8월 1일 기준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검색 색인에서 ‘4년제’라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1차 검색을 실시한 후 결과 재 검색을 통해 ‘대학’, ‘미용’, ‘교육과정’이라는 키워드를 순차적으로 재검색 한 결과 국내 학술논문 18건 국내 학위논문 91건이 집계되었다. 국내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연구를 수집하기 위해 ‘마이크로디그리’라는 키워드를 검색한 결과 국내 학술논문 18건, 국내 학위논문 1건이 집계되었다. 집계된 문헌에서 원문을 확인 할 수 없거나 중복된 내용의 문헌 또는 연구주제와 다른 문헌은 제외하였다. 또한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10년간의 문헌으로 대상을 지정하였다. 그 결과 4년제 대학 미용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관련 문헌은 국내 학술논문 5건, 국내학위논문 10건이 있었고 국내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문헌은 국내 학술논문으로 12건으로 집계되어 이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문헌 자료 분석은 연도별, 연구 주제별로 나누고 해당 문헌을 통해 10년간의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중복되어 나타나는 문제점과 국내 마이크로디그리 관련한 문헌을 통해 마이크로디그리 설계에 필요한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 연도별 문헌 분석

1) 2013년

2013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현장실습을 위한 필요한 뷰티트렌드 실무, 브랜드 현장실무, 현장매너 실무 등과 같은 신설 과목이 부재하여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한 준비가 미흡함’, ‘수업 후 전공에 대한 깊이 있는 개별 학습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전문성 발전에 제한이 있음’, ‘학생들의 요구와 진로 희망분야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여 개인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어려움’, ‘수업의 강의 내용 및 교육환경(환기 및 기자재)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산업체와의 연계를 통한 취업관련 프로그램 및 세미나가 부족하여 취업 준비에 어려움이 있음’, ‘네일교과에서는 전문성과 실용성 부족과 산업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프로그램 부재·실습 환경 및 기자재 문제 등이 있음’, ‘네일교과 교수자와 수강생의 비율 조정이 필요하며, 교수자와 학생 간의 원활한 피드백을 위한 개선이 필요함’, ‘네일교과는 전문 분야의 발전에 따라 교육도 전문화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2) 2014년

2014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경영, 마케팅, 컴퓨터, 심리상담, 인성 등 다양한 심리학 분야의 교과목이 부재하여 전문성과 다양성이 제한됨’, ‘학습시설의 쾌적함과 강의실 시설의 완비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습 환경 개선이 필요함’, ‘교수자의 교수 내용 이외에도 외부적인 학습관리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개별 학습 지원이 필요함’, ‘메이크업 전공에서는 분과적인 교과목 배열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커지고, 학습내용 실생활 적용이 어려움’, ‘메이크업교과는 나열식 교과과정으로 인해 학습 시간의 부족과 깊이 있는 내용에 대한 부재로 실제적인 활용이 어렵고, 학습자의 참여 기회 부족함’, ‘전문대학과 차별성 없는 교육과정’, ‘강의계획서와 실제 강의 진행, 전공 이론과 실기 간의 상호 연관성 부재가 문제’, ‘취업을 위한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해 전공실습과목과 실습 현장이 필요함’, ‘수업시간 외에 전공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기회가 제한됨’, ‘미용교육법에 관한 과목 개설이 필요(수요자 요구)’, ‘학생들의 취업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과 산업체와의 연계를 통한 취업 관련 세미나 및 설명회 등이 활성화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3) 2015년

2014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이론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와 연결된 교육과정이 필요하여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필요함’, ‘학생 개인의 적성을 파악하여 맞춤형 자기개발과 전공심화 과정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함’, ‘다양한 취업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폭넓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협조가 필요함’, ‘직무현장과 유사한 교육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배양이 필요함’, ‘다양한 교과를 다루는 교육과정으로 인해 이론수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기술 능력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 ‘현장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재교육 및 자기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함’, ‘단순한 기술 교육뿐만 아니라 실제 직무수행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적용한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4) 2016년

2016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긴 시간에 걸친 교육이 집중적인 학습을 방해하여 학습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 ‘저학년 때 헤어과목 수에 비해 다양한 타 전공 교과목 개설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전공 선택이 늦어지고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지적하였다.

5) 2017년

2017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강의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학습 기자재와 실습환경이 부족하여 개선이 필요함’, ‘실습교과목의 경우 수강 인원을 고려해야 하며, 적절한 환경에서 실습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 ‘미용이론과 전공 외 교과목(외국어)에 대한 어려움과 수업형태에 대한 불만족’하는 것에 대해 지적하였다.

6) 2020년

2018년도부터 2019년도 까지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은 없었다. 2020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전문 분야의 경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역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요구됨’, ‘경영, 교육, 제조, 뷰티 아티스트 등에서 심화된 수준의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함’, ‘종합적인 역량을 키우기 위해 프로젝트 과목을 개설하여 실전적인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함’, ‘학생들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나 현 대학의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수진에 대한 불만족이 발생’,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학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필요함’,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 경험을 풍부하게 해줄 전문 인력(교수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을 위한 최신 기자재 도입과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7) 2022년

2021년도에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은 없었다. 2022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전공교과목 구성이 비체계적이고 교과내용이 적절하지 않아 전공 교육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 ‘현장 중심의 교육에만 치중하여 다양성이 부족하며,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제공하는 교육이 부족함’, ‘학생의 개성, 인성, 적성을 고려하지 않는 교육과정이며, 개인 맞춤형 교육이 부족한 상황’, ‘전공영역의 최신 트렌드 및 시대적, 환경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졸업 후에도 필요하게 될 직무능력을 기반한 교과 구성이 필요함’, ‘학습성과와 학습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설, 장비, 커뮤니케이션 도구 등의 개선이 필요함’, ‘학습자의 요구와 의견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고 학습 환경을 개선하지 않는 문제’, ‘시대에 맞는 미용교육 서비스 품질이 미흡한 상황’에 대해 지적하였다.

8) 2023년

2023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뷰티크리에이터 교육에서 이론보다는 실습수업의 비중을 높여야함’, ‘뷰티크리에이터 교육은 조별수업이 아닌 학생 개개인의 개성이 담긴 결과물을 지향하는 수업 방식이 필요함’, ‘뷰티크리에이터 교육을 위한 적합한 장비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 ‘뷰티크리에이터 교육은 현업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특강 연계 및 제품 협찬, 활동비 지원이 필요함’, ‘뷰티크리에이터 교육은 학생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현장감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2. 국내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방향성 연도별 문헌 분석

1) 2020년

2020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디그리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방향성으로 ‘학생들이 실무 능력을 키우기 위해 영역별 교과를 필요한 역량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진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다양한 학문 분야 사이의 교육 용합을 촉진하며, 학생들의 사고를 융복합적으로 확장시켜야 함’, ‘체험 중심 교육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교육 목표와 과정을 제시해야 함’, ‘학생들이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에 제한 없이 신청할 수 있도록 함’, ‘이미 운영 중인 교육과정을 세부전공 모듈로 재구성하고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전공 선택권을 주도록 제안해야 함’, ‘마이크로 전공 개설은 산업체 수요와 정부 정책에 부합하도록 조정되어야 함’, ‘대학은 주기적으로 산업체 수요, 졸업생에 대한 고용주 만족도, 정부 및 지자체의 산업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대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2) 2021년

2021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디그리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방향성으로 ‘학생들이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신청을 망설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 ‘학생들의 수요와 의견을 수렴하여 관심 있는 마이크로디그리를 도입해야 함’, ‘이수증뿐만 아니라 학위로 인정되는 제도도 모색해야 함’, ‘전산화를 통한 마이크로디그리 관리가 필요하며, 인정은 마이크로디그리 신청서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함’, ‘마이크로디그리의 핵심 구성요소(역량 중심 교육목표, 짧은 교육 기간, 학생의 자율성 확보, 비정형적 교육과정, 학위 인증)가 반영되어야 함’, ‘학생 전체가 마이크로디그리 수강을 허용 받을 수 있어야 함’, ‘교육과정 설치 및 관리는 특정 단과대학(학과/부)이 전담하는 것이 필요함’, ‘교육과정은 주제나 과제를 중심으로 설계되며, 학제 간 교육을 위한 로드맵이 필요함’, ‘현재 운영 중인 학위 인정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성과를 평가하여 보다 단순화할 필요가 있음’, ‘대학 내·외부의 다양한 교육 경험(온라인 교육 및 학습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이 필요함’에 대해 제안하였다.

3) 2022년

2022년에 등록된 문헌을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디그리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방향성으로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홍보 활동을 강화하여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해야함’, ‘교수진과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홍보확대 및 교수법 지원이 필요함’, ‘마이크로디그리과정 운영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고, 질관리를 통해 산학협력, 자격증 연계, 취업 지원 등을 모니터링해야 함’,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을 통해 취업 연계와 진로 지원을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함’, ‘마이크로디그리를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의 철학과 융복합 능력을 강화하고 학과 간 연계성을 강조해야 함’, ‘교과목 구분, 편성, 분반 설치, 책임교수 및 질관리 부분에 대해 명확하고 간결한 지침이 필요함’, ‘기존 교육과정 기반으로 운영되는 보여주기 식 과정, 임시적인 과정으로 운영되는 것을 지양해야 함’, ‘외부 컨설팅을 통해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설계를 개선하고 학생 및 기업 요구를 고려해야함’, ‘학생과 기업의 평가를 수반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나가야 함’, ‘정부 재정지원 사업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며 사업의 성과나 실적만을 목표로 신설되는 것을 막기 위한 학내 교육과정 위원회의 참여 및 검토가 필요함’, ‘타 전공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성적평가 방법을 조정하여 학생들이 마이크로디그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함’, ‘학생들의 학습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경진대회를 운영하여 실제 응용 및 융합을 경험할 수 있게 해야 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체계를 활용하여 마이크로디그리의 직무능력 인증에 접목하도록 제안’, ‘개설하고자 하는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근거하여 구체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3.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방향성의 고찰

연도별 문헌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로 미용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그간의 문제점을 크게 7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실무 중심 부재’, ‘교육과정 구성의 무질서’, ‘개인화 및 적성 고려 부재’, ‘산업 변화 및 트렌드 반영의 부족’, ‘실질적 적용의 어려움’, ‘교육환경 및 시설의 불완전’, ‘학생 요구 및 의견 미반영’ 이라는 문제가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문헌에 계속해서 지적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4년제 대학의 미용학과가 10년간 학생 중심의 실용적인 교육방법, 현장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개인화된 학습 경험 및 최신 동향 반영, 산업과의 긴밀한 연계, 교육환경 및 기자재 개선 등이 미용학과 교육과정 설계에서 부족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국내 마이크로디그리 운영방향성을 제안하는 문헌을 통해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방향성을 크게 7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학생 진로 및 관심에 따른 영역별 역량 중심교과 교육과정 의 마이크로디그리 개발과 운영이 필요함’, ‘학생 동기 부여 및 참여를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홍보활동이 필요함’,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 품질과 제도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학생 요구조사·평가결과 모니터링 필요함’, ‘다양한 교육경험의 학점인정 및 산업체·정부정책 협력 강화가 필요함’, ‘대학 내 마이크로디그리 위원회를 구성하고 산업체·정부 정책·졸업생·교수와 재학생 참여를 증진시켜야함’, ‘정부 지원 사업 검토가 필요하며 대학이 마이크로디그리를 단순히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한 실적과 보여주기 식의 운영을 하면 안됨’, ‘마이크로디그리를 통한 학습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경진대회 운영 및 직무능력 인증 경험을 제공해야 함’ 이라는 방향성이 제안 되었다. 이러한 방향요소들은 교육과정, 학습경험, 협력관계 등을 학생중심으로 혁신하고 학생들의 진로와 역량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V. 결 론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산업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간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미용학과에서 마이크로디그리를 설계 시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되는지에 대한 고찰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등록된 4년제 대학 미용학과의 교육과정 문제점에 대한 문헌과 국내 마이크로디그리 운영방향에 대한 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마이크로디그리 위원회와 교육 품질관리’이다. 미용학과의 전통적인 교육방식, 교수진으로는 산업 트렌드와 미래 요구의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마이크로디그리를 혁신적인 교육품질로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디그리 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위원회는 정부의 지원 사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마이크로디그리가 실적을 위한 운영, 보여주기식 운영이 되지 않도록 면밀히 검토하고 관리해야 한다. 기사에 따르면 마이크로디그리 제도가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를 국내 대학들이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제도를 성급히 도입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해당 지적으로는 ‘기존 교과목 위주의 과목 편성’, ‘부실한 교과목 설계’, ‘불분명한 교육 목표’, ‘한정된 수업영역’, ‘취업시장에서 낮은 영향력’을 꼽고 있다(Hynews, 2023). 따라서 위원회는 대학 내의 교수진 참여유도와 교수들의 자기개발·역량강화를 독려하고, 마이크로디그리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직무 경험과 실제 실무 노하우, 진로개발, 교육지원에 이르기까지 기여 할 수 있도록 신중한 검토 후 설계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생 요구를 통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와 피드백’이다. 현 미용학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변화 없는 고정적인 교육과정은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디그리를 설계할 때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미용학과의 마이크로디그리 위원회는 학생들의 관심 직업(직무)과 직업(직무)에 요구되는 역량을 분석하고, 해당 분야에 필요한 내용을 마이크로디그리로 설계되어야 산업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 중심의 교육 만족도 평가와 산업체, 졸업생, 교수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피드백을 적극 수렴하고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셋째,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용한 목표설정’이다. 미용학과의 교육과정 문제점 중 하나는 무질서한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의 목표 설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대학 내에서 교과목은 학생의 원하는 진로나 직무분야와 상관없이 설계되어, 각 학년별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 주제나 미용관련 산업 및 직업(직무)에 따른 교육내용의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학생이 원하는 직업과 직무분야를 한 학기 동안 집중적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응집된 교과목 설계와 배치가 필요하다. 즉 학생들의 목표설정이 쉽도록 미용 산업분야 및 직업(직무)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로 개설되어야 한다. 이러한 미용 산업분야 및 직업(직무)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를 미용학과에서 다양하게 제공 한다면 학생들은 다양하게 개설된 미용 산업·직업(직무)분야의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를 통해 매 학기별로 목표설정를 설정하고 자신만의 산업분야·직업(직무)별 학습 경로로 성장 할 수 있다.

넷째, ‘마이크로디그리를 통한 학제간의 융합’이다. 현재의 미용학과 교육과정은 단일 분야인 미용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른 분야와의 융합이 부족하다. 다양한 미용분야의 역량을 강화하려면 마이크로디그리를 일차원적인 산업현장의 취업만을 위한 기본기술교육과정뿐만 아니라 학제간 융합적인 교과 형태가 필요하다. 대학 졸업 후 학생들은 다양한 직무환경과 빠른 사회변화로 인해 예술, 문화, 경영, 디자인, 디지털 및 AI와 같은 신산업 및 신기술에 관련된 역량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용학과는 미용분야와 타 전문분야 간의 융합 교과 형태인 마이크로디그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뷰티창업 인재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라면 일반적인 미용경영과 같은 단일 교과목이 아닌 창업, 디자인, 법률, 마케팅, 경영, AI, 재무 및 인사관리, 교육 등 관련 전문 학과와의 융합을 통해 한 학기동안 뷰티창업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창업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러한 형태는 유연학사제도인 집중이수제, 융합·연계전공제, 학생설계전공들과 비슷해보이지만 분명한 차별성을 갖는다. 마이크로디그리는 단지 늘어난 학기 안에서 주 전공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교과에 해당하는 다수의 블록 수업을 수강을 한다거나, 대학에서 지정하는 학년, 학기에만 개설되는 전공 교과목, 비전공 교과목을 순차적으로 학생들이 수강해 나가는 형태가 아니다.

미용 산업·직업(직무)분야의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는 교육 목표와 학생들의 수강목적성이 분명하다. 학생들이 요구하는 특정한 분야 또는 직업(직무)에 필요한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한 학기라는 짧은 기간에 필요한 교과들로 응집되어 개설되어 있어 학생들이 해당 분야, 직업(직무)에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이러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설계는 학령기 학생들뿐만 아니라 산업현장 종사자들에게도 평생 학습 및 재교육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다섯째, ‘마이크로디그리를 통한 직무 경험 기회’이다. 현재의 미용학과 교육과정은 주로 기본 이론 위주의 교육과 마네킹, 가발을 이용한 실습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상호실습이 진행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실제 미용 산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현장감 있는 과정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 실무 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마이크로디그리는 학생들이 실제 미용 산업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얻은 학습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반드시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해당 직업(직무)의 환경과 비슷한 산업체와의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거나, 미용 봉사 활동, 지역사회 문화행사 및 공연 참여, 지역사회 협력 프로젝트 등을 해당 직업(직무)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안에 포함시켜 학생들이 실제 업무와 유사한 환경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미용학과는 지역사회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자신감과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실제 업무 중심의 학습과 사람에게 시술할 수 있는 과정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실무에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마이크로디그리를 위한 산학협력과 기자재 확대’이다. 현재 미용학과는 지역 산업과의 협업 및 연계가 부족하여 학생들이 실무적응력을 강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디그리를 설계할 때는 해당 직무분야의 산업과 산학 협력을 구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 관련 디지털·AI 교육, 미용 신산업분야 등에 종사하는 전문가와 협력하여 최신 산업 동향 및 미용 산업 동향과 기술에 대한 마이크로디그리를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산업분야의 전문가와 협력하는 마이크로디그리를 진행기 위해서는 학생 수에 비례한 기본 기자재와, 산업체 및 전문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자재 확보가 필요하다. 이는 기자재 부족으로 인해 학생들이 실습을 경험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이크로디그리는 모든 학생들이 실무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몰입하고 전문가를 통한 기술을 경험과 해당 직무의 역할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산업체 및 전문가와 함께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 업무 상황을 체험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등록된 문헌 중 미용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15건의 문헌을 통해 분석한 것이며 최근 미용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이 부족하기에 미용학과 전체의 문제점이라고 볼 수는 없다. 12건의 마이크로디그리에 관한 문헌도 미용학과에서가 아닌 다른 학과에서 운영되고 있는 마이크로디그리 중심으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미용학과와 적용할 때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마이크로디그리라는 교육제도가 미용학과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산업·직업(직무)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는 학생들의 목표와 직업경로에 따라 학기별로 선택하고 집중하여 성장 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디그리를 다각도로 설계한다면 학령기 학생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차원의 성인 학습자와 직무 경험이 있는 재교육 대상자까지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 대상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산업·직업(직무) 맞춤형 마이크로디그리을 설계한다면 4년제 대학의 미용학과 교육과정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llecting Data

Research Procedure

Literature Analysis and Reflection

References

1. Hong Y. G.. 2020;Introduction of Microdegrees for Converged Engineering Education. Korea Transport Institute Research Institute for Converged Technology 10:31–36.
2. Jang Y. J., Kim J. M.. 2018;Exploring the Utilization of Nano Degree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e-Learning 3:31–42.
3. Kang Y. D.. 2023;Introduction of Microdegrees and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4(3):2443–2452.
4. Kang Y. I.. 2020;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Microdegrees: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Master Course" at Mokwon University's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Studies in Language and Literature 103:33–65.
5. Kim D. H., Hwang Y. S.. 2022;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Microdegree Programs in South Korea: A Case Study of C University. Asian Educational Research 23(3):697–727.
6. Ministry of Education. 2023. 2023 Basic Plan for Korean-style Massive Open Online Courses (K-MOOC).
7. Ministry of Education. 2023. Announcement of Strategies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Public Education.
8. Park H. J.. 2018;A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The case of K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2):65–87.
9. Park M. J.. 2009;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and its critical issu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4):71–94.
10. Park S. M., Ahn J. M.. 2021;Analysis of Domestic Applications of Microdegrees as Competency-Based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7(1):173–197.
11. Sin B. H.. 2023;A Survey Study on the State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Beauty-related Departments in Korean Colleges.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1(1):41–54.
12. Yoon J. W., Kim H. Y.. 2021;A Study on Learner Perceptions of Microdegrees. Journal of Convergence Technology 5(2):301–30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ollecting Data

Classification 1 keyword 2 keyword 3 keyword 4 keyword year limitation
Beauty college curriculum Domestic academic papers 4-year (4,306) University/college (4,070) Beauty (47) Educational curriculum (18) 2013-2023 (5)
Thesis/dissertation 4-year (4,583) University/college (4,580) Beauty (187) Educational curriculum (91) 2013-2023 (10)

Table 2.

Research Procedure

Step Procedure
Data Collection Phase Collecting literature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beauty in 4-year universities.
Collecting literature on the operational directions of domestic microdegree programs.
Analysis Phase Analyzing the collected literature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beauty in 4-year universities.
Analyzing the collected literature on the operational directions of domestic microdegree programs.
Reflection phase The Analysis of Issue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4-Year University Beauty Programs and the Consideration of Design Direction for Microdegree Programs

Table 3.

Literature Analysis and Reflection

Major Categories Subcategories Findings
Literature on Beauty Program Curricula Common Issues · Lack of emphasis on practical skills
· Disorganized curriculum structure
· Absence of personalization and suitability considerations
· Inadequate incorporation of industry changes and trends
· Challenges in practical application"
· Incomplet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 Failure to address student demands and opinions
Microdegree Direction Literature Common Directions ·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icrodegree programs focu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specific fields according to students' career interests is necessary
· Promotional activities for motivating student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in microdegree courses are required
· Continuous student needs assessment, evaluation, and monitoring are necessar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icrodegree programs and fostering institutional innovation
· Enhancement of credit recognition for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ollaboration with industries and government policies is needed
· An establishment of a microdegree committee within universities and the promotion of participation from industry representatives, government policies, alumni, professors, and current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 The review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s necessary, and microdegree programs should not be operated superficially by universities solely for the sake of achieving results based on government support.
· The organization of competitions utilizing microdegree learning experiences and providing certification opportunities for job-related competencies should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