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의 퍼스널 컬러 관심도에 따른 네일컬러링 인지 및 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Personal Color of Women in Their 20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3;29(6):1477-148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3.29.6.1477
1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Gwangju Women’s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곽수정1, 최은미2,
1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겸임교수
2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Eun-Mi Choi Tel : +82-62-950-3844 E-mail : cem@kwu.ac.kr
Received 2023 October 10; Revised 2023 October 31; Accepted 2023 November 10.

Trans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was influenced by the personal color interest of women in their 20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nterest in color and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nail coloring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awareness and behavior level of nail color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ignifies that personal color makes effect on nail coloring. Consider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nail coloring by type according to the visual measurement results of the visual measurement objects, it does not appear to affect the nail coloring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ccording to the visual measurement results. The comparison between the visual measurement result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the cube (hand) measurement results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visual measurement result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seems that the concordance between the cloth measurement result and the cube(hand) measurement result was low. This signifies that accurate diagnosis of personal color would be necessar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before and after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of the subjec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erception and behavior level of the measurement group. It was identified that they are related to personal color perception, positive image impact, and satisfaction with nail color. In other words, it was identified that personal color diagnosis is very important in nail coloring and makes effect on the difference in awareness and behavioral level. By investigating whether recognition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interest in personal color affects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useful data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customer management method if it is used for personal color nail coloring that suits personal characteristics.

I. 서 론

우리는 자연과 더불어 사는 생활 속에서 주변의 많은 색과 함께 생활하고 있고, 모든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어울리고 아름다워 보이게 하는 색상이 있다. 인간은 호감 가는 첫인상과 원활한 대인관계를 위해 이미지를 가꾸는데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상적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이미지 연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고, 그중 퍼스널 컬러는 자신에게 맞는 특별한 아름다움을 찾기 위해 알아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Kim & Yun, 2017). 개성발현이 중요해지고 있는 지금 개인에게 어울리는 컬러를 찾아주는 퍼스널컬러 시스템은 자아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You & Kim, 2020). 자신에게 어울리는 컬러를 찾는 방법으로 개인 신체의 고유색에 따른 컬러 진단을 시작으로 자신에게 어울리는 컬러가 적용되어 외모관리 행동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는 외적으로 변화된 호감 가는 이미지를 주고 내적 자신감이 상승하는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준다(Park, 2018).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알고 그 컬러를 이용하여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면 자신의 이미지를 좋아 보이게 하고 호감 가는 이미지로 연출할 수 있다.

21세기 정보화 사회는 감성과 이미지 시대이면서 색에 관해 관심이 높아졌다. 자신의 얼굴 피부색에 어울리는 컬러는 자신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분석하는 외적인 면과 내적인 면의 색채 환경을 구성하여 가장 좋은 컬러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Ro, 2017).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만들어내는 자기 자신의 이미지는 실제 자아의 모습이라 하기보다는 스스로가 이상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좋아 보이게 하는 모습이다. 이것은 바로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나타나는 대인 감성 이미지이다(Vvhang, 1999). 색채는 선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개개인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산업에 응용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Sin, 2002).

특히, 퍼스널 컬러는 인간을 위한 감성 제품 개발에 중요한 요소이며, 그중에서 한국인의 감성에 맞는 화장, 의상, 액세서리 등의 배색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색채 감성은 소비자에게는 고급감, 만족감, 쾌적감을 창출하고, 기업에게는 제품의 고부가가치로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명품 브랜드인 프랑스의 샤넬, 일본의 겐조 등의 기업들은 소비자의 감성 이미지 분석과 같이 퍼스널 컬러를 활용한 고가의 가치성 제품을 생산하여 세계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내수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렇듯, 퍼스널 컬러에 대한 높은 관심은 화장품 업계에서도 컬러를 이용한 컬러 마케팅을 선보이는 사례가 늘고 있고, 미용 산업 현장에서도 고객에게 색상선택의 도움을 주고자 퍼스널 컬러를 고객에게 많이 적용하고 있다. 현장전문가들이 퍼스널 컬러를 교육을 받고 있긴 하나 현실적으로 현장에서 퍼스널 컬러를 구분하긴 어렵고,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더이상 고객들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생활에서의 미용은 삶을 영위하고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대 여성들은 개인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 수단인 동시에 표현수단으로써, 사회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Lee & Sin, 2000) 있으므로 정확한 퍼스널 컬러를 알고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성을 표현하고 소비와 유행의 층으로 대두되고 있는 20대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관심도에 따라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 퍼스널 컬러 진단 후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현재 뷰티 미용 분야에서도 다양한 컬러 마케팅을 적용하고 있음을 반영하여 개개인의 신체 색과 선호 색채 유형을 뷰티미용 서비스에 적용한다면 보다 더 나은 서비스 만족도와 자신의 이미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퍼스널 컬러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는 퍼스널과 컬러의 합성어로 개인이 지닌 컬러를 말한다. 독일의 바우하우스 스쿨의 색채론 예술가인 요하네스 이덴(Yohannes Itten)은 색에 대한 이론을 교육하면서 처음으로 계절의 색에 기초가 되는 컬러를 발견하였고, 캐론 잭슨(Carole Jackson)은 피부색, 눈동자 색, 모발 색 등 타고난 자신의 신체의 컬러에 따라 퍼스널 컬러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You, 2006).

퍼스널 컬러의 개념은 개인이 타고난 피부색, 눈동자색, 모발색을 기본으로 분석하며, 신체색의 온도감에 따라서 yellow base와 blue base로 구분하고, 따뜻한(warm)유형과 차가운(cool)유형으로 나눈다(Hong, 2013). 이를 바탕으로 하여 차가운 유형은 여름과 겨울, 따뜻한 유형은 봄과 가을로 구분한다(Lee, 2012). Oh(1999)의 논문에서는 퍼스널 컬러를 선호색과 조화색을 중심으로 알아본 결과 선호하는 색과 조화로운 색은 대부분 일치한다고 하였으며, Kim(2005)은 퍼스널 컬러 진단에 따라서 어울리는 메이크업 색채를 연출했을 시 얼굴의 단점들이 보완되며 조화롭게 건강하게 보이는 반면, 어울리지 않는 색채를 사용할 경우는 그 반대의 현상들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최근 컬러를 이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브랜드화하여 가치를 높이는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가 주목받고 있다(Kim, 2023).

이러한 퍼스널 컬러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컬러로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패션, 메이크업, 네일 등 모든 코디네이션과 뷰티 분야에서 적용되어 개인의 이미지와 전체적인 조화를 연출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한다(Baek & Hong, 2023). 퍼스널 컬러의 진단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의 이미지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Sin & Kim, 2023). 최근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연구는 뷰티미용 뿐만아니라 패션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채와 어울리지 않는 색채에 따라서 헤어, 메이크업, 패션 의상 등의 컬러 이미지에 연출에 따라 소비자 구매 행동까지 연결된다.

2. 네일컬러링에 관련 선행 연구

네일관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네일아트의 미적 특성이나 네일아트의 기법들에 관한 것들이 많이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네일 관리가 미용 서비스 산업 중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한 필수적인 요인임을 인식하고, 고객의 만족 및 재방문과의 관계를 확인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Woo(2005)의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의 메이크업과 네일아트에 관한 연구를 보면 네일 서비스 중 색상 바르기 서비스와 손톱 굳은살 정리를 가장 받고 싶어 했다. 선호하는 색상으로는 핑크계열을 선호하는 여대생이 가장 많았으며, 네일 컬러 보유 개수는 3-4개를 가지고 있‘는 여대생들이 많아 네일 컬러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Ro, 2017). Kim(2004)의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네일 관리 인식도에 관한 연구에서는 네일 관리로 기본 케어를 가장 선호하였다. 그 이유로는 청결함과 나만의 개성을 표현해 낼 수 있는 순으로 네일 케어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또한, 개성을 중요시 하는 젊은층, 여대생들을 중심으로 네일아트 부분이 패션과의 이미지 코네이션의 개념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인식되어 네일 관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다(Yu, 2006). 네일 관리를 받고 나서의 만족도에 대해서도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Yu(2006)의 연구에서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네일 컬러에 관한 연구에서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피부유형을 분석하여 피부에 맞는 네일 시술을 받을 경우 고객의 만족도와 선호도가 높았다는 결과를 얻었다. 퍼스널 네일 컬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자신에게 어울리는 네일 컬러 유형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네일 컬러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는 무관하게 퍼스널 네일 컬러와 일치되게 컬러링 했을 경우에 불일치 되도록 컬러링 했을 때보다 손의 변화를 더 민감하고 긍정적으로 판단하게 되며 또한 만족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 Kwon, 2019).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조사집단의 20대 여성의 네일 컬러링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사전 조사집단의 20대 여성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을 알아본다.

셋째, 사전 조사집단의 20대 여성의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을 비교해 본다.

넷째, 측정대상자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을 알아본다.

다섯째, 퍼스널 컬러 진단 후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에 수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수준의 차이를 비교해 본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사전조사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뷰티와 패션에 관심이 많은 20대 여성 235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9-2022년 5월 13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여 20대 여성의 컬러 색상 만족도, 네일컬러링 행동에 관한 퍼스널 컬러 사전인식 정도를 알아보았다.

사전조사 대상에서 시감평가를 통해 퍼스널 컬러 유형별 적용대상자를 봄, 여름, 가을, 겨울 5명씩 총 20명을 퍼스널 컬러 측정대상자로 선정하여 2022년 5월 26일부터 5월 27일까지 총 2일간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였다.

3. 측정도구 및 연구재료

본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는 20대 여성의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와 행동에 대한 사전 조사대상에 활용한 설문지와 측정 후의 설문지를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Yu(2006), Hong(2015), Lee(2019), Moon(2022)의 선행 연구의 문항을 토대로 재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수정·보완한 설문 문항은 연구의 가능성을 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시감 측색 평가인 육안평가를 측정하기 위한 신체색상 육안 분석지는 Chun(2012), Yanf(2019), Kim(2020)의 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대상자의 정량적인 손등 피부색의 측색 측정을 위해 컬러 디지타이저 큐브(Portable Color Digitizer, CUBE)를 사용하였다. PCS 진단천은 코코리 색채연구소의 151색 퍼스널 컬러 진단 드레이핑 천중 단색 버전으로 KS 기본색이 4계절마다 모두 포함되어 있어 계절 및 톤별로 색상을 비교하기에 용이한 진단 천 중 Warm & Cool color 10색의 진단 천과 심리 4원색 4계절의 빨강 & 초록, 노랑 & 파랑의 진단 천을 선정하여 사용하였고, 네일컬러링 팁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된 젤 폴리쉬는 컬러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국내 D사의 풀컬러젤 96종과 P사의 풀 컬러젤 100종, 총 196종을 사용하여 유형별 컬러를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5.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전 조사대상의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ANOVA와 t-test를 실시하였고, 육안측정 - 천 측정 - 큐브 측정 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Chi-square test(Fisher's exact test)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퍼스널 컬러 진단 전 -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사전 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특성

사전 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특성을 네일컬러링 빈도, 네일컬러링 시 고려사항, 네일아트 컬러 선택 기준, 퍼스널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의 4개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Nail Coloring of the Pre-Investigation Group (N=%)

네일컬러링 빈도는 1-2회가 74명(31.5%)으로 가장 많았고, 없음 69명(29.4%), 3-4회 47명(20.0%), 5-6회 40명(17.0%), 기타 5명(2.1%) 순이었다. 네일컬러링 시 고려사항은 나의 피부색에 가장 어울리는 색조가 무엇인지가 117명(49.8%), 유행을 따라서 79명(33.6%), 의상 색과의 조화 31명(13.2%), 메이크업과의 조화 8명(3.4%) 순이었다. 네일아트 컬러선택 기준은 나에게 어울리는 색이 88명(37.4%)으로 가장 많았고, 내가 좋아하는 색 63명(26.8%), 계절에 어울리는 색 36명(15.3%), 인터넷이나 SNS에서 유행하는 색 28명(11.9%), 전문 매장 직원이 추천하는 색 13명(5.5%), 직업이나 장소에 어울리는 색 5명(2.1%), 연예인이 하고 나오는 색 2명(0.9%) 순이었다. 퍼스널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은 아니오 200명(85.1%), 예 35명(14.9%)로 아니오가 과반수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20대 여성들은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일컬러링 시 가장 고려사항으로 ‘피부색에 가장 어울리는 색조가 무엇인지’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Ro(2017)의 연구의 네일 컬러 선택의 기준의 연구 결과와 유사함을 보이며, 네일아트 컬러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은 ‘나에게 어울리는 색’ 과 ‘내가 좋아하는 색’ 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네일아트 컬러 선택시 피부색을 고려하여 본인이 좋아하는 색과 어울리는 색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사전 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

사전 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인식과 행동 수준을 6문항을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의 전체 평균은 3.63점이었다. 각 문항의 평균점수는 ‘6.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00점’, ‘4. 네일컬러링 컬러를 선정할 때 손의 피부색을 고려한다 3.96점’, ‘5. 네일컬러링 컬러를 선정할 때 나를 돋보이게 하는 색을 선택한다 3.72점’, ‘3. 나는 나에게 네일컬러링이 중요 하다고 생각한다 3.69점’, ‘2. 나는 나에게 어울리지 않는 네일컬러링 색상을 알고 있다 3.27점’, ‘1. 나는 나에게 어울리는 네일컬러링 색상을 알고 있다 3.16점’ 순이었다.

이와 같이 20대 여성들은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가 그다지 크지 않았고,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를 묻는 문항 중에서는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에 대해 가장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Moon(2022) 연구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를 선택할 때 중요하다는 내용과 부분적으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3. 사전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비교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Comparison of Interest in Color and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il Coloring of the Pre-investigation Group

분석결과, 컬러 색상 관심도는 네일아트 컬러선택 기준과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은 네일컬러링 빈도, 네일컬러링 시 고려사항, 네일아트 컬러 선택 기준,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의 모든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 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네일아트 컬러선택 기준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의 평균은 연예인이 하고 나오는 색이 3.75점으로 가장 높았고, 계절에 어울리는 색 3.60점, 내가 좋아하는 색 3.59점, 나에게 어울리는 색 3.54점, 전문 매장 직원이 추천하는 색과 인터넷이나 SNS에서 유행하는 색이 각각 3.26점, 직업이나 장소에 어울리는 색 3.13점 순으로 높았다(F=4.237, p=.000). 또한,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의 평균은 예가 3.69점으로 아니오의 3.48점보다 높았다(t=2.845, p=.005).

네일컬러링 빈도에 따른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은 기타가 3.93점으로 가장 높았고, 5-6회 3.87점, 3-4회 3.80점, 1-2회 3.60점, 없음 3.40점 순으로 높았다(F=6.826, p=.000). 네일컬러링 시 고려사항에 따른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은 나의 피부색에 가장 어울리는 색조가 무엇인지가 3.72점으로 가장 높았고, 유행을 따라서 3.64점, 메이크업과의 조화 3.46점, 의상 색과의 조화 3.32점 순으로 높았다(F=4.726, p=.003). 네일아트 컬러선택 기준에 따른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은 나에게 어울리는 색이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계절에 어울리는 색과 직업이나 장소에 어울리는 색이 각각 3.67점, 전문 매장 직원이 추천하는 색과 내가 좋아하는 색이 각각 3.54점, 연예인이 하고 나오는 색 3.50점, 인터넷이나 SNS에서 유행하는 색 3.38점 순으로 높았다(F=2.479, p=.024). 또한,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에 따른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은 예가 3.98점으로 아니오의 3.57점보다 높았다(t=4.098, p=.000).

이상의 결과는 Lee & Kwon(2019) 연구의 퍼스널 네일 컬러와 네일컬러링의 일치 여부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와 유사하며, 네일의 컬러선택 기준은 본인이 좋아하는 색과 어울리는 색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자신에게 어울리는 네일 컬러 유형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조화롭고 돋보일 수 있다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Kim(2016) 연구의 트렌드 컬러를 활용한 네일아트를 디자인하여 유행시킨다는 논문과 다소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4. 측정대상자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

측정대상자의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을 6문항을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before the Measurement of the Subject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의 전체 평균은 3.59점이었다. 각 문항의 평균점수는 ‘6.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10점’, ‘5. 네일컬러링 컬러를 선정할 때 나를 돋보이게 하는 색을 선택한다 4.05점’, ‘4. 네일컬러링 컬러를 선정할 때 손의 피부색을 고려한다 3.80점’, ‘3. 나는 나에게 네일컬러링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3.55점’, ‘2. 나는 나에게 어울리지 않는 네일컬러링 색상을 알고 있다 3.10점’, ‘1. 나는 나에게 어울리는 네일컬러링 색상을 알고 있다 2.95점’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20대 여성들은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는 그다지 높지 앉게 나왔고,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를 묻는 문항 중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인 것으로 보아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5. 퍼스널 컬러 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

측정대상자의 퍼스널 컬러 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퍼스널 컬러 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의 전체 평균은 4.46점이었다. 각 문항의 평균점수는 ‘3. 퍼스널 컬러는 네일 컬러링시 중요하다 4.70점’, ‘4. 네일컬러링시 나의 손 피부색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 4.65점’, ‘5. 네일컬러링시 나에게 어울리는 퍼스널 컬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4.50점’, ‘6. 나는 다음 네일컬러링시 진단받은 퍼스널 컬러를 네일컬러링에 적용할 것이다 4.45점’, ‘2. 나는 나에게 어울리지 않는 네일 색상을 알게 되었다 4.25점’, ‘1. 나는 나에게 어울리는 네일 색상을 알게 되었다 4.20점’ 순이었다.

이는 Lee(2019) 연구의 경우 퍼스널 컬러 인식과 그에 따른 네일컬러 선정에 따른 네일컬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 만족도와 상관이 있다는 연구결과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퍼스널 컬러 진단 전-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 차이 비교

퍼스널 컬러 진단 전과 후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Comparison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before and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음의 순위는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진단 후) <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진단 전)을 의미하고 양의 순위는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진단 후) >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의 평균(진단 전)을 의미한다. 측정대상자 집단의 진단 전-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다(Z=-3.068, p=0.001).

이는 Yu(2006) 연구의 경우 퍼스널 컬러 인식과 그에 따른 긍정적인 이미지 영향, 네일컬러 만족도와 상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퍼스널 컬러 진단이 네일컬러링 시 매우 중요하며 인식과 행동 수준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20대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관심도에 따라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개인의 신체 색과 선호 색을 구분하여보다 세분화하여 고객의 특성에 맞게 네일컬러링 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전 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특성을 네일컬러링 빈도, 네일컬러링 시 고려사항, 네일아트 컬러 선택 기준,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의 4개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로 보아 20대 여성들은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일아트 컬러 선택시 본인이 좋아하는 색과 어울리는 색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 조사집단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을 살펴본 결과 네일컬러링 인지가 행동수준의 전체 평균은 3.63점이었다. 이와 같이 20대 여성들은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가 그다지 크지 않았고,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를 묻는 문항 중에서는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를 선택할 때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전조사 집단의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른 컬러 색상 관심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을 비교한 결과 컬러 색상 관심도는 네일아트 컬러선택 기준과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은 네일컬러링 빈도, 네일컬러링 시 고려사항, 네일아트 컬러 선택 기준, 퍼스널 컬러 적용 네일컬러링 경험의 모든 네일컬러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 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네일 컬러와 네일컬러링의 일치 여부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조화롭고 돋보일 수 있다.

둘째, 사전 조사집단의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을 살펴본 결과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의 전체 평균은 3.59점이었다. 각 문항의 평균점수는 ‘6.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10점’, ‘5. 네일컬러링 컬러를 선정할 때 나를 돋보이게 하는 색을 선택한다. 4.05점’,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20대 여성들은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는 그다지 높지 앉게 나왔고,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를 묻는 문항 중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인 것으로 보아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측정대상자의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을 살펴본 결과 측정 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의 전체 평균은 3.59점이었다. 20대 여성들은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는 그다지 높지 앉게 나왔고, 네일컬러링에 대한 관심도를 묻는 문항 중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인 것으로 보아 퍼스널 컬러는 네일컬러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측정대상자의 측정별 결과에 따른 유형별 네일컬러링 특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육안측정 결과에 따른 유형별 네일컬러링 특성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퍼스널 컬러 진단 시 육안측정의 결과와 측색기 큐브(손)의 측정이 다르게 나온 것은 육안측정으로 본 것과 측색기 측정 손의 피부색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퍼스널 컬러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측정대상자의 퍼스널 컬러 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을 살펴본 결과 퍼스널 컬러 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 수준의 전체 평균은 4.46점이었다. 각 문항의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보아 퍼스널 컬러 인지가 네일컬러 선정에 따른 네일컬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상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퍼스널 컬러 진단 전과 후의 네일컬러링 인지와 행동수준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측정대상자 집단의 진단 전-진단 후 네일컬러링 인지 행동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다(Z=-3.068, p=0.001). 이는, 퍼스널 컬러 인지가 그에 따른 긍정적인 이미지 영향, 네일컬러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퍼스널 컬러 진단이 네일컬러링 시 매우 중요하며 퍼스널 컬러 인지가 행동수준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퍼스널 컬러 관심도에 따른 네일컬러링 인지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맞게 퍼스널 컬러를 네일컬러링 시술에 활용한다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고객 관리 방안의 유용한 데이터가 될 것이며, 퍼스널 컬러가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표본 집단이 2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과 직업에 따른 차이, 계절 요인이 네일컬러링 소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Baek M. H., Hong S. N.. 2023;Influencing Factors of Nail Care Satisfaction Based on Personal Color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9(1)
2. Cho, J. J. (2018).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Experience among the Elderly: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Secondary Data Analysi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3. Chun, J. Y. (2012). A study on the hair and skin color of Korean men for personal color analysis : focusing on quantitative analysis using colorimetry, Wonkwang University.
4. Choi J. I., Lee J. M.. 2019;Analysis of transitions on Healing-related concepts and trends - Focusing on well-being, wellness, and healing keyword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4):597–612.
5. Hong, D. K. (2015). development of the nail color guidebook in accordance wit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Koreans' hand skin tones, Yongsan University.
6. Hong S. N.. 2013;Differenc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Accordance with Personal Color Awareness of Single Women of 20~30’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11(5):909–916.
7. Kim, D. E. (2020).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ersonal Color Using Lip stick Colors, Konkuk University.
8. Kim E. H.. 2023;A Study on Personal Color Recognition and Makeup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4):1042–1049.
9. KIm H. M., Youn C. S.. 2018;Study on Validity of Personal Color Self-Diagnosis Measurement Scal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4):689–696.
10. Kim, K. H. (2007). Awareness of Nail Care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Quality of Nail-Shop Servic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3.
11. Kim K. H.. 2020. Image Making is Iife Making Seoul: book publishing High Oreum. p. 163.
12. Kim, S. J. (2005). A Study about Color Make-up Personal Color System, Design Daegu University, 57.
13. Kim Y. S., Park J. Y.. 2009;The Analysis on Appearance Management of Mal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Management of Hair, Skin, Cosmetic Surgery, Fashion and Body Shap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1):259–273. doi: 10.5934/KJHE.2009.18.1.259.
14. Lee, E. Y. (2012).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and evaluation about personalcolor typ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5.
15. Lee H. Y., Kwon H. S.. 2019;The Effect of Nail Coloring with Personal Color regarding Recognition of Body Image Change and Satisfaction with the Nail Coloring.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1):257–271.
16. Lee, J. H. (2019).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on the Selection of Nail Color and the Satisfaction of Nail Color, Sungshin University.
17. Lee S. O., Sin J. H.. 2000;A study of the color trend in 2001 - on the basic of the Fash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6(2):435–456.
18. Moon, S. H. (2022). The Influence of the Nail and Pedicure Application in Personal Color upon Beauty Styling, Konkuk University.
19. Oh H. S.. 1999;A Study on Personal Color in Relation with Well-matched Color and Preferred Colo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3(2):31–36.
20. Park, Y. S. (2018).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s of Personal Color Consulting on Motivation, Decision-Mak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1. Ro, C. R. (2017). The effect of perceived personal color on nailcolor selection,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1.
22. Sin, H. S. (2002). The Distribution of Personal Color Types and Color-Diagnosis Variable Factor : the color of makeup, hair and dress, Kon-Kuk University, 3.
23. Sin S. R., Kim E. H.. 2023;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on Makeup Behavior in Generation MZ.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3):697–708.
24. Yang, Y. W. (2019). The comparison of normal hair dyeing with using 'Personal color' dyeing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focusing on women in 20s to 30s-, Dongduk Women's University.
25. You E. K., Kim H. M.. 2020;A Study on Nail Art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Through the nail ball design production case. Design Research 5(3):301–312.
26. Yu, S. J. (2006). AStudyon Nail Colors Depending on Personal Color System, YongIn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27. Vvhang, S. M. (1999).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310-317.
28. Woo, S. J. (2005). A Study on Make-up and Nail Art in College Women(Centering on Seoul and Jeonbuk Area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haracteristics of Nail Coloring of the Pre-Investigation Group (N=%)

Questions N %
Frequency of nail coloring None 69 29.4
1-2 times 74 31.5
3-4 times 47 20.0
5-6 times 40 17.0
Others 5 2.1
Considerations for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trend 79 33.6
Harmony with the color of my outfit 1 13.2
Harmony with makeup 8 3.4
The color that best suits my skin color 117 49.8
Color selection of Criteria for nail art Color recommended by professional store staff 13 5.5
The color that celebrities wear 2 0.9
The trendy color on the Internet or SNS 28 11.9
Seasonal colors 36 15.3
The color I like 63 26.8
The color that suits me 88 37.4
The color suitable for a job or place 5 2.1
Experience in applying personal colors or nail coloring No 200 85.1
Yes 35 14.9
Total 235 100.0

Table 2.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Questions Min Max Mean S.D.
1. I know the color of nail coloring that suits me. 1 5 3.16 0.95
2. I know the nail coloring color that doesn't suit me. 1 5 3.27 1.06
3. I think nail coloring is important to me 1 5 3.69 1.05
4. I consider the skin color of my hand when choosing a nail coloring color. 1 5 3.96 0.85
5. When choosing a color for nail coloring, I choose a color that makes me stand out. 1 15 3.72 1.21
6. I think personal color is important for nail coloring. 1 5 4.00 0.88
Whole average 1.67 5.83 3.63 0.56

Table 3.

Comparison of Interest in Color and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il Coloring of the Pre-investigation Group

Interest in color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Mean S.D. Mean S.D.
Frequency of nail coloring None 3.45 0.40 3.40 0.62
1-2 times 3.52 0.42 3.60 0.53
3-4 times 3.53 0.42 3.80 0.48
5-6 times 3.55 0.48 3.87 0.48
Others 3.40 0.51 3.93 0.28
F(P) 0.528 0.715 6.826*** 0.000
Considerations for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trend 3.50 0.39 3.64 0.58
Harmony with the color of the outfit 3.43 0.54 3.32 0.60
Harmony with makeup 3.52 0.26 3.46 0.28
Depending on the color tone that suits my skin color 3.53 0.42 3.72 0.53
F(P) 0.430 0.732 4.726** 0.003
Selection criteria for nail art colors Color recommended by professional store staff 3.26 0.50 3.54 0.48
The color that celebrities wear 3.75 0.00 3.50 0.24
The color that is popular on the Internet or SNS 3.26 0.49 3.38 0.54
Seasonal colors 3.60 0.41 3.67 0.51
The color I like 3.59 0.35 3.54 0.58
The color that suits me 3.54 0.41 3.78 0.56
The color suitable for a job or place 3.13 0.42 3.67 0.66
F(P) 4.237*** 0.000 2.479* 0.024
Experience in nail coloring with personal color Yes 3.69 0.40 3.98 0.46
No 3.48 0.42 3.57 0.56
t(P) 2.845** 0.005 4.098*** 0.000
Whole 3.51 0.42 3.63 0.56
*

p<.05,

**

p<.01,

***

p<.001

Table 4.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before the Measurement of the Subject

Questions Min Max Mean S.D.
1. I know the color of nail coloring that suits me 1 5 2.95 1.10
2. I know the nail coloring color that doesn't suit me. 1 5 3.10 1.07
3. I think nail coloring is important to me. 1 5 3.55 1.32
4. I consider the skin color of my hand when choosing the color for nail coloring. 2 5 3.80 1.01
5. I choose the color that makes me stand out when choosing the color for nail coloring. 1 15 4.05 2.78
6. I think personal color is important for nail coloring. 2 5 4.10 0.85
Whole average 1.67 5.83 3.59 0.90

Table 5.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Questions Min Max Mean S.D.
1. I got to know a nail color that suits me. 3 5 4.20 0.77
2. I got to know a nail color that doesn't suit me. 3 5 4.25 0.72
3. Personal color is important for nail coloring. 3 5 4.70 0.57
4. The color of my hand has a great impact on nail coloring. 4 5 4.65 0.49
5. When I color my nails, I choose a personal color that suits me. 3 5 4.50 0.69
6. I will apply the diagnosed personal color to the nail coloring when I do the next nail coloring. 3 5 4.45 0.60
Whole average 3.33 5.00 4.46 0.46

Table 6.

Comparison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Behavioral Level of Nail Coloring before and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Before
After
Negative rank
Positive rank
Others
Z(p)d
,mean S.D. mean S.D. N mean rank rank sum N mean rank rank sum N
3.59 0.90 4.46 0.46 3a 6.33 19.00 16b 10.69 171.00 1c -3.068 (0.001)
a

Post nail coloring perception and behavioral average < Perception and behavioral average before nail coloring

b

Post nail coloring perception and behavioral average > Perception and behavioral average before nail coloring

c

Post nail coloring perception and behavioral average = perception and behavioral average before nail coloring

d

Wilcoxon signed-rank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