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가상현실)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뷰티관련학과 재학생, 뷰티교육전문가, 뷰티산업종사자 비교 연구
The Impact of Perception, Experience, and Experiential Elements of VR(virtual reality) on Expectations of Educational Application: Comparative study of beauty-related department students, beauty education experts, and beauty industry worker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VR awareness, experience, and experiential elements on expectations of educational application among beauty-related department students, beauty education experts, and beauty industry work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awareness of VR on expectations of educational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higher the usefulness and interest in each subfactor of awareness of VR, the higher the positive expecta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concer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VR experience on educational application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higher the usability and experience of each subfactor of VR experience, the higher the positive expecta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concer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experience elements for VR on expectations of educational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higher the cognitive, educational, and immersion of each sub-factor of experience elements for VR, the higher the positive expecta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concern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experience, and experiential elements of VR, the higher the positive expecta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concern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R-based beauty education programs.
I. 서 론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다양한 기술과 산업의 융합이며, 교육의 융합, 소프트웨어와의 융합과 하드웨어와의 융합으로 나타나고 있다(Kim, 2022). 교육의 융합은 전공의 경계를 넘어선 창의적 관점의 교육을 경험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서(Kim et al., 2021) 통합, 창조적 사고를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과학, 예술 분야의 지식 및 기능을 융합하여 다루는 교육을 말한다(Kim, 2019). 이는 학습자의 혁신적, 창의적 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방법이며, 학생 스스로가 지식의 통합능력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의 의미를 찾기 때문에 현실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효과적 방법이 된다(Choi, 2012). 이전에 우리나라는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였으나 현재 지식 집약적 산업구조로 재편되었으며, 미래 사회의 신산업 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Kim, 2022) 융합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대학의 인력양성 수준이 산업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상향되면서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과 전공을 융합하는 교육으로의 변화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Kim, 2023).
뷰티산업에서도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과 뷰티 기술을 융합한 서비스나 제품들인 스마트 미러, 살롱 랩, 메이크업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제품과 기기들이 연구, 출시되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편리함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다(Kim, 2022).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인데, 뷰티 교육은 인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 기술력을 확보하기까지 오랜 시간의 교육, 실습, 훈련 기간을 거치게 되므로 가상 현실을 활용한 뷰티 교육이 가능하다면 비용, 시간, 피부문제에서 자유로울 것이므로 매우 유용하고 안전한 융합교육이 실현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뷰티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융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비용절감이나 실재감 측면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VR을 활용한 교육에 대한 관심 또한 뜨겁다. VR교육 관련 선행연구는 영상제작교육(Na, 2022), 생존수영교육(Park et al., 2023), 간호학 실습교육(Kim et al., 2023), 한국어교육(Sim & Yoo, 2019), 산업안전교육(Jong et al., 2023), 판소리교육(Kim, 2019), 영어발음교육(Kim & Park, 2020) 등 다양하다. 그러나 뷰티산업의 변화와 더불어 VR기반 뷰티 콘텐츠에 대한 뷰티관련학과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Seo et al., 2021; Lee, 2021) VR을 활용한 뷰티 교육은 미흡한 상태이다. 교육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관련학과 재학생, 뷰티교육 전문가, 뷰티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VR 기반 뷰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광주여자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1041465-202308-HR-001-25)을 받았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 5개의 뷰티관련학과 재학생과 시간강사 이상의 뷰티교육전문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의 뷰티산업체종사자 184명을 대상으로 8월 11일부터 8월 2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VR에 대한 인식은 Jang et al.(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9문항, VR에 대한 경험은 Kwon(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12문항, VR체험요소는 Kim(2020), Kim(2019), Chong(2016)의 연구를 참고하여 25문항, 교육적용기대감은 Kim(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13문항을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위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6문항을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VR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 요소와 교육적용기대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VR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의 일반적 특성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여성 68명(91.9%), 남성 6명(8.1%)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미용 36명(48.6%), 피부미용 7명(9.5%), 메이크업 26명(35.1%), 네일미용 5명(6.8%)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은 1학년 28명(37.8%), 2학년 18명(24.3%), 3학년 17명(23.0%), 4학년 11명(14.9%)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망진로는 취업 27명(36.5%), 창업(프리랜서) 18명(24.3%), 진학(대학원, 유학) 18명(24.3%), 고시(공무원, 교사, 국가자격증) 11명(14.9%)으로 나타났고, 학교 소재지는 광주광역시 23명(31.1%), 전라남도 39명(52.7%), 전라북도 12명(16.2%) 순으로 나타났다.
2) 뷰티교육전문가의 일반적 특성
뷰티교육전문가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여성 42명(87.5%), 남성 6명(12.5%)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미용 19명(39.6%), 메이크업 13명(27.1%), 피부미용 8명(16.7%), 네일미용 8명(16.7%)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은 1-5년 미만 7명(14.6%), 5-10년 미만 5명(10.4%), 10-15년 미만 7명(14.6%), 15-20년 미만 11명(22.9%), 20년 이상 18명(37.5%)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급은 외래교수 16명(33.3%), 겸임 또는 초빙교수 14명(29.2%), 조교수 7명(14.6%), 부교수 5명(10.4%), 교수 6명(12.5%)으로 나타났고, 학교 소재지는 광주광역시 33명(68.8%), 전라북도 10명(20.8%), 전라남도 5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3) 뷰티산업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뷰티산업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여성 55명(88.7%), 남성 7명(11.3%)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미용 31명(50.0%), 메이크업 20명(32.3%), 피부미용 7명(11.3%), 네일미용 4명(6.5%)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은 1-5년 미만 12명(19.4%), 5-10년 미만 13명(21.0%), 10-15년 미만 6명(9.7%), 15-20년 미만 11명(17.7%), 20년 이상 20명(32.3%)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급은 스탭 6명(9.7%), 디자이너 또는 아티스트 15명(24.2%), 관리자 11명(17.7%), 원장(대표) 30명(48.4%)으로 나타났고, 산업체 소재지는 광주광역시 30명(48.4%), 전라북도 28명(45.2%), 전라남도 4명(6.5%) 순으로 나타났다.
2. 상관관계 검증
VR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요소와 교육적용기대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호기심(r=.309, p<.001), 유용성(r=.607, p<.001)은 교육적용기대감의 하위요인별 긍정적 기대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호기심(r=-.387, p<.001), 유용성(r=-.442, p<.001)은 교육적용기대감의 하위요인별 부정적 우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체험(r=.365, p<.001), 활용성(r=.424, p<.001)은 교육적용기대감의 하위요인별 긍정적 기대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체험(r=-.424, p<.001), 활용성(r=-.446, p<.001)은 교육적용기대감의 하위요인별 부정적 우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흥미성(r=.662, p<.001), 몰입성(r=.687, p<.001), 교육성(r=.736, p<.001), 일탈성(r=.590, p<.001), 인지성(r=.749, p<.001)은 교육적용기대감의 하위요인별 긍정적 기대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흥미성(r=-.542, p<.001), 몰입성(r=-.585, p<.001), 교육성(r=-.596, p<.001), 일탈성(r=-.437, p<.001), 인지성(r=-.585, p<.001)은 교육적용기대감의 하위요인별 부정적 우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VR에 대한 인식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1) 전체 대상자
VR에 대한 인식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40.6%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61.749,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569, p<.001), 호기심(β=.195, p<.01)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호기심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8.8%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6.672,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380, p<.001), 관심(β=-.311, p<.001)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VR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교육기대감이 높다는 Lee(2021)의 연구와 관련 깊으며, 실제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융합한 교과목으로 수업하게 되면 수업 전보다 VR에 대한 인식이 향상된다는 Seo et al(2021)의 연구와 관련 있다.
2) 뷰티관련학과 재학생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VR에 대한 인식이 교육 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34.8%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8.92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528, p<.001), 관심(β=.208, p<.05)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5.8%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2.354,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405, p<.001), 관심(β=-.263, p<.05)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대학생들이 VR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대한 긍정적 관심이 높고, VR 융합수업을 실시한 후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이 높아지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는 Lim et al.(2019)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3) 뷰티교육전문가
뷰티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인식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47.2%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0.12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636, p<.001)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31.9%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0.541,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382, p<.01), 관심(β=-.307, p<.05)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뷰티교육전문가가 VR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미래 교육 실현을 위해 VR인식의 하위요인인 관심, 유용성에 대해 더 주목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4) 뷰티산업종사자
뷰티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인식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44.4%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3.53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612, p<.001)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9.5%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2.357, p<.001). 독립변수별로는 유용성(β=-.339, p<.01), 관심(β=-.367, p<.01)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와 뷰티교육종사자의 VR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 두 집단의 연령이나 성별, 경력이 비슷하여 습득되는 정보의 양도 비슷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4. VR에 대한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1) 전체 대상자
VR에 대한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0.9%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3.892,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용성(β=.321, p<.001), 체험(β=.199, p<.05)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 체험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4.9%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0.059,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용성(β=-.309, p<.001), 체험(β=-.264, p<.01)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 체험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VR에 대한 관심이 경험과 상관이 있다는 Han(2020)의 연구의 연구와 관련 있고, VR에 대한 경험은 VR을 활용한 교육적용기대감과 관련이 있다는 Kim(2022)의 연구와 관련 깊다.
2) 뷰티관련학과 재학생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VR에 대한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6.1%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2.536,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용성(β=.457, p<.001)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2.3%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0.182,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용성(β=-.430, p<.01)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많은 대학생이 VR에 대한 긍정적 경험이 있다는 Kwon(2019)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또한 뷰티관련학과 재학생들이 VR을 경험함에 있어 체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3) 뷰티교육전문가
뷰티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28.3%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8.867, p<.01). 독립변수별로는 활용성(β=.479, p<.01)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40.1%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5.058,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용성(β=-.359, p<.05), 체험(β=-.329, p<.05)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 체험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뷰티교육전문가가 실제 활용하고 체험하게 되면 VR활용 교육에 적용 시 우려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4) 뷰티산업종사자
뷰티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13.6%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4.644, p<.05). 독립변수별로는 체험(β=.278, p<.05)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체험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19.5%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7.163, p<.01). 독립변수별로는 체험(β=-.353, p<.01)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체험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교육 현장보다 뷰티산업 현장에 VR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이 적용된 뷰티 디바이스가 먼저 도입되어 뷰티산업종사자의 VR에 대한 긍정적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해석할 수 있겠다.
5. VR에 대한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1) 전체 대상자
VR에 대한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68.1%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75.889, p<.001). 독립변수별로는 인지성(β=.387, p<.001), 교육성(β=.303, p<.001), 몰입성(β=.149, p<.05)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인지성, 교육성, 몰입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44.4%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8.37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인지성(β=-.283, p<.01), 교육성(β=-.235, p<.05), 몰입성(β=-.217, p<.05)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인지성, 교육성, 몰입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VR에 대한 체험이 원하는 지식 및 정보에 대한 실제감 제공에 따른 학습효과가 뛰어날 것이라는 Chong(2016)의 연구, VR을 활용한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Seo et al(2021)의 연구와 관련 있다.
2) 뷰티관련학과 재학생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VR에 대한 체험요소가 교육적용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73.0%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6.776, p<.001). 독립변수별로는 인지성(β=.370, p<.01), 교육성(β=.367, p<.01)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 요인별 인지성, 교육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44.9%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1.069, p<.001). 독립변수별로는 몰입성(β=-.477, p<.01)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몰입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의 긍정적 기대감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Kim(2019)의 연구 및 뷰티관련학과 재학생들이 VR기반 콘텐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Seo et al.(2021)의 연구와 관련 깊다.
3) 뷰티교육전문가
뷰티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5와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64.3%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5.159, p<.001). 독립변수별로는 교육성(β=.332, p<.05), 인지성(β=.269, p<.05)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교육성, 인지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51.9%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9.078, p<.001). 독립변수별로는 교육성(β=-.416, p<.05), 인지성(β=-.325, p<.05)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교육성, 인지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새로운 콘텐츠를 받아들이는데 거부감이 적다는 Lee & Lee(2017)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뷰티교육전문가가 뷰티관련학과 재학생과 마찬가지로 교육성, 인지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이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진다는 결과는 VR을 적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의 실효성을 기대하게 된다.
4) 뷰티산업종사자
뷰티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6과 같다. 먼저 긍정적 기대감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68.8%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4.753, p<.001). 독립변수별로는 인지성(β=.520, p<.001), 교육성(β=.305, p<.05)이 긍정적 기대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인지성, 교육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정적 우려에 있어 회귀식의 설명력은 51.3%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1.783, p<.001). 독립변수별로는 인지성(β=-.478, p<.01), 교육성(β=-.370, p<.05)이 부정적 우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인지성, 교육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는 다른 분야보다 먼저 VR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활용한 뷰티 디바이스를 체험하였기 때문으로 긍정적 피드백이 가능한 것이라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뷰티관련학과 재학생, 뷰티교육전문가, 뷰티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VR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VR기반 뷰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진행된 연구이다. VR에 대한 인식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은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뷰티교육전문가와 뷰티산업종사자의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VR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유용성, 관심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VR에 대한 경험이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 체험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의 경우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뷰티교육전문가는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활용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활용성, 체험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며, 뷰티산업종사자는 VR에 대한 경험의 하위요인별 체험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VR에 대한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인지성, 교육성, 몰입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관련학과 재학생은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인지성, 교육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몰입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우려는 낮아졌으며, 뷰티교육전문가와 뷰티산업종사자는 VR에 대한 체험요소의 하위요인별 교육성, 인지성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부정적 우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뷰티관련학과 재학생과 뷰티교육전문가, 뷰티산업종사자의 VR에 대한 인식, 경험, 체험요소가 교육적용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하여 VR기반 뷰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세 집단 사이의 차이점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빠른 시간 내에 VR기반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겠으나 관련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지 않으므로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미래 뷰티 인재 양성을 위해 좀 더 다양하고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