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2); 2024 > Article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가 잠재적수요가치와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Currently, the AI-based customized cosmetic market is the time when customized strategies for potential demand and development are needed with the aim of popular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inions on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on the potential demand valu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and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AIbased customized cosmetic industry.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al 827 copies of data collected for women interested in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inion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influenced the quality value, social eth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factors of the potential demand value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and did not affect the brand value 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pinion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influenc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role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strengthening their utility through education, and establishing strategic marketing for the AI-based customized cosmetic industry.

I. 서 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화에 따른 초개인화 시대의 도래는 각 산업구조의 대전환을 촉발시키고 있다. 이에 화장품 산업 역시 역량 강화된 디지털화의 도입으로 인해 맞춤형화장품의 조제 기술은 대전환되고 있으며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이 탄생되었다. 최근 화장품 기업들은 AI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출시함과 동시에 플랫폼 참여 유도를 위한 홍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이와 같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 기술의 발달로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 변화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의 질적·양적인 성장이 추구되고 있다.
특히,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의 신고사항에 명시되어 있는 맞춤형화장품의 혼합과 소분, 품질 및 안전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말한다(Cosmetics Act, 2022).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맞춤형화장품 조 제의 주체였지만,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주체는 AI 기술이 탑재된 로봇 시스템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조제의 주체가 변화됨에 따라 새롭게 구축된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화장품 책임판매관리자의 자격을 허용하고 요건을 완화하면서 역할수행의 범위가 확대되었다(Newsis, 2023). 이처럼 식약처의 지속적인 제도적 노력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량 강화는 물론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활성화 방안으로써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노력은 물론 소비자 니즈(Needs)가 내포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잠재적수요가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잠재적 수요는 소비자들이 인식하지 못했던 숨어있는 수요로써(Big Data Strategy Lab, 2018),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가치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내재되어 향후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유효수요자로 전환될 가능성을 말한다. 때문에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예측한다면 소비력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소비시장의 활력에 도움되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발전방향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전방향은 더 좋은 상태나 더욱 높은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어떤 뜻이나 현상이 일정한 목표를 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Namu wiki, 2023). 그러므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발전을 위해서는 화장품 기업들이 AI기반 맞춤형화장품만의 경쟁력 확보에 전력투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피부미용사의 직무관련성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국가자격시험제도의 개선방향성에 관한 Hong(2020)의 연구와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경력개발과정과 자격시험제도의 운영에 관한 Shim(2021)의 질적 연구가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자격시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와 같이 AI기반 로봇 시스템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 변화와 이에 따른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가치와 발전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 있는 20대 이상의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를 통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가치와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수행 확대 및 교육을 통한 효용성 강화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관련 기업·기관들의 전략적인 마케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은 개개인의 피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이 접목되어(K-health, 2020; Jeong et al., 2023) 각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맞춤형으로 추천해주거나,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조제 업무를 담당하던 조제관리사를 대신하여 소비자의 피부 타입과 취향에 맞게 조제한 제품을 말한다(Hankyung, 2021). 현재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화장품인 아모레퍼시픽의 커스텀미 브랜드는 리뉴얼된 피부 분석 서비스 및 피부 밸런스 맞춤 제품뿐만 아니라 1대1 전담 매니저 서비스를 통하여 각 고객에게 특화된 라이프 맞춤 뷰티를 제공한다(Meconomynews, 2023). 또한 코스맥스는 AI 기술을 이용하여 화장품의 다양한 사용감을 예측할 수 있는 ‘텍스처 표준 측정’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맞춤형화장품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Hankyung, 2023). 이처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관련 기업들은 축적해온 화장품 연구와 개발 노하우를 AI 기술과 접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지키며 디지털 혁신을 진행하고 있다.

2.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맞춤형화장품의 소분 및 혼합 업무에 종사하는 자로 규정되어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국가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한다(Choi, 2019).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는 AI 기술이 탑재된 로봇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생겨났으며, 기존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와 동일하지만 역할에 변화가 온 근무자이다. 따라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변화된 업무 및 AI기반 로봇 시스템이 불가능한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AI 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만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제도적으로 확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AI기반 로봇 시스템으로 인한 업무 변화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재교육을 통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효용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Shin(2018)의 연구에서는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를 검증 시스템 필요성, 자격제도 신설 인지, 적절한 학습기간으로 정립하였고, Han(2020)의 연구에서는 맞춤형화장품 및 조제관리사의 인식·선호도를 하위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를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3. 잠재적수요가치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는 AI기반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내재되어 향후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유효수요자로 전환될 가능성을 말한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직접 물건을 구매하고(Kim, 2020) 사용한 후에 얻은 부가가치의 결과로 형성된 상호작용적인 상대적 선호 경험을 파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Kim, 2018). 그러므로 잠재적 수요자의 심리적인 욕구를 파악하고 욕구충족이 가능한 제품으로 관심도를 높여 최종 구매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Cheon, 2019).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ark & Lee(2021)의 비건화장품에 대한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소비 가치를 경제적 가치, 상황적 가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나눴고, 본 연구와 관련된 Kong(2021)의 맞춤형화장품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에서는 품질 추구, 브랜드 추구, 지각적 가치 추구, 가격 추구를 소비자 추구혜택의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Kim(2023)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연구에서는 소비 가치를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 증대에 필요한 소비자 가치를 품 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 경제적 가치, 브랜드 가치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4. 발전방향

화장품 산업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이 일반 화장품과 기능성 화장품, 그리고 기존의 맞춤형화장품보다 성분 및 품질이 차별화되고 고객 피부에 적합한 기능성이 더 많아짐으로써 품질 향상을 위한 고품질의 목표에 달성하는 것을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Han(2020)의 연구에서는 발전방향을 소비자 욕구, 소비자 기대, 소비자 구매의도, 제주형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 맞춤형화장품 가치로 분류하였고, Choi(2019)의 연구에서는 발전방향을 성분에 대한 교육, 개인담당 판매원 유무, 체계적인 시스템 도입, 지불 능력에 따른 차별화, 유통채널, 구매의도, 제형 선택, 판매원의 성분 지식으로 하위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을 소비자 기대, 상용화에 필요사항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가 잠재적수요가치와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를 알아본다.
연구문제 2. 각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본다.
연구문제 3.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연구문제 4.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5.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발전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연구대상의 선정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이상의 AI 기반 맞춤형화장품에 관심 있는 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이용하였다. 2022년 10월 6일부터 10월 9일까지 4일간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총 827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의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3. 측정 도구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은 Han (2020)의 연구,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는 Kim(2019)의 연구한 문항을 참고하여 수정하였으며,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는 연구자 Yoo(2023)가 개발하였다. 그리고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는 Cho(2020), Kong(2021)의 연구,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은 Choi(2019)의 연구한 문항을 참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연구자 Yoo(2023)가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 5문항,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 1문항,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 6문항,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 16문항,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 9문항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명목척도를 사용한 일반적 특성 및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를 제외한 모든 문항은 Likert 5점 척도(①점: ‘전혀 그렇지 않다’, ⑤점: ‘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는 SPSS WIN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AI기반 맞춤형 화장품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후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잠재적수요가치,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

일반적 특성에 따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는 <Table 1>과 같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39.2%), 30대(38.4%), 40대(44.6%) 모든 연령에서 ‘피부 분석을 통한 피부 타입 맞춤 화장품’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로써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p<0.01). 직업에 따라서는 전문/기술직(49.0%), 사무/관리직(37.4%), 판매/서비스직(32.3%), 학생(60.6%), 전업주부(55.6%)에서 ‘피부 분석을 통한 피부 타입 맞춤 화장품’이 높게 나타났으나(p<0.05), 자영업(31.2%)은 ‘성분 및 효능의 안전성·신뢰성 높은 화장품’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p<0.05). 이와 같이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는 연령과 직업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결혼 여부와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이는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모든 여성 소비자와 자영업을 제외한 모든 직업군에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피부 분석을 통한 피부 타입 맞춤 화장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 각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공통성 값이 0.4보다 작은 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5개의 항목에 대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KMO (Kaiser-Meyer-Olkin)값이 0.818,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1245.739(df=10,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총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누적분산설명력은 71.235%, ‘조제 과정 감독·관리’가 38.146%, ‘안전·위생 관리’가 33.089%로 나타났다. ‘조제 과정 감독·관리’ 요인, ‘안전·위생 관리’ 요인에 대한 Cronbach's a 값은 각각 0.754, 0.708로 나타남에 따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2)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공통성 값이 0.4보다 작은 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15개의 항목에 대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 (Kaiser-Meyer-Olkin)값이 0.853,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3169.699(df=105,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누적분산설명력은 56.546%, ‘품질적 가치’가 15.870%, ‘사회윤리적 가치’가 14.573%, ‘경제적 가치’가 13.957%, ‘브랜드 가치’가 12.146%로 나타났다. ‘품질적 가치’ 요인,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 ‘경제적 가치’ 요인, ‘브랜드 가치’ 요인에 대한 Cronbach's a 값은 각각 0.707, 0.701, 0.713, 0.743으로 나타남에 따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3)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총 15개의 항목에 대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 (Kaiser-Meyer-Olkin)값이 0.902,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χ2=2148.956(df=36, p=0.000)으로 요인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총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누적분산설명력은 54.355%, ‘소비자 기대’가 28.025%, ‘상용화에 필요사항’이 26.329%로 나타났다. ‘소비자 기대’ 요인, ‘상용화에 필요사항’ 요인에 대한 Cronbach's a 값은 각각 0.767, 0.748로 나타남에 따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3. 상관관계 분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 결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의 하위요인인 소비자 기대, 상용화에 필요사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 브랜드 가치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의 하위요인인 소비자 기대, 상용화에 필요사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4.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를 종속변수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가치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p<0.001),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변수가 경제적 가치 요인을 예측하는데 21.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제 과정 감독·관리(β=0.392), 안전·위생관리(β=0.103)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경제적 가치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하위요인인 품질적 가치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변수가 품질적 가치 요인을 예측하는데 50.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제 과정 감독·관리(β=0.540), 안전·위생관리(β=0.240)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품질적 가치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하위요인인 사회 윤리적 가치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p<0.001),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변수가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을 예측하는데 23.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제 과정 감독·관리(β=0.417), 안전·위생관리(β=0.108)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사회윤리적 가치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하위요인인 브랜드 가치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즉,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AI기반 로봇 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감독·관리와 주기적인 품질관리를 의미하는 조제 과정 감독·관리, AI기반 로봇 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한 안전관리, 조제관리사의 용기 위생관리를 의미하는 안전·위생관리 요인은 잠재적수요가치의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에 영향을 미쳤고 반면, 브랜드 가치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2020)의 연구에서는 제조환경 안전성, 사용기한 안전성이 높아질수록 맞춤형화장품 품질 선택속성이 높아졌으며, 맞춤형화장품 구매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맞춤형화장품 보편적 안전성 인식이 높을수록 가격(경제적)에 상관없이 구매행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수요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제 과정 감독·관리와 안전·위생관리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품질 향상과 적정가격 형성, 안전 성분 사용에 주력함으로써 잠재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을 종속변수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의 하위요인인 소비자 기대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변수가 소비자 기대 요인을 예측하는데 21.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제 과정 감독·관리(β=0.480), 안전·위생관리(β=0.189)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소비자 기대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의 하위요인인 상용화에 필요사항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하위요인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변수가 상용화에 필요사항 요인을 예측하는데 53.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조제 과정 감독·관리(β=0.532), 안전·위생관리(β=0.278)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상용화를 위한 필요사항 역시 높아짐을 의미한다. 즉,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은 발전방향의 소비자 기대, 상용화에 필요사항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im(2022)의 연구에서는 맞춤형화장품 지각된 인식 중 안전성 인식이 발전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화장품 기업들은 소비자가 기대하고 있는 사항을 반영하여 개발하고, 기업 브랜드의 충성고객 및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용화에 필요한 적극적인 체험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에 심혈을 기울여 AI기반 맞춤형화장품만의 발전성을 높여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수행 확대 및 교육을 통한 효용성 강화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관련 기업·기관들의 전략적인 마케팅 수립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이미지에 따라 연령과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는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모든 여성 소비자와 자영업을 제외한 모든 직업군에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이미지를 ‘피부 분석을 통한 피부 타입 맞춤 화장품’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잠재적수요가치에 미치는 영향 결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의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의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가치 요인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즉,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경제적 가치, 품질적 가치, 사회윤리적 가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견해가 발전 방향에 미치는 영향 결과,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 요인)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발전방향(소비자 기대, 상용화에 필요사항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높아질수록 소비자 기대, 상용화에 필요사항 모두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볼 때,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가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와 발전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에 대한 견해인 조제 과정 감독·관리, 안전·위생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잠재적수요가치가 높아진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은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품질과 가격 및 윤리적인 부분을 꼼꼼히 살펴보고 구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잠재적수요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식약처의 제도적 노력에 따른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업무에 관한 교육과 역할 확대를 통해 수준 높은 전문성을 겸비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효용성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가격 할인으로 적정 가격을 형성하고 동물실험 성분 배제 및 천연성분 사용, 지속가능한 포장 용기의 사용을 통해 윤리적인 소비를 담은 화장품 내용물을 생산하며, 성분의 안전성과 효능 및 효과를 강화시키는 화장품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발전방향 수립을 위해서는 개인의 취향을 충족하고 각 피부에 적합한 기능성이 포함되며, 다른 화장품과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경쟁력 확보에 도움되는 AI로봇 시스템에 필요한 다양한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은 물론 기존 고객 유지 및 잠재 고객의 소비를 촉진하는 적극적인 마케팅과 다양한 제품에 대한 체험 서비스의 시행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는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변화된 역할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따라 변화된 AI기반 맞춤 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 잠재적수요가치를 알아보고 AI기반 맞춤형화장품의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20~40대 이상의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울, 경기 지역에서 국한되어 조사되었다는 것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연령 세분화 및 확대, 성별 영역의 확대, 지역 범위의 확대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AI기반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역할수행 확대 및 교육을 통한 효용성 강화, 그리고 AI기반 맞춤형화장품 관련 기업·기관들의 전략적인 마케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able 1.
Image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Choice Image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Total Fisher χ² (p)
Cosmetics tailored to skin type through skin analysis Cosmetics to improve skin problems Cosmetics with high safety and reliability of ingredients and efficacy Scientifically-based high-end cosmetics
Age (years) 20s 67 48 50 6 171 20.125 (0.003**)
(39.2) (28.1) (29.2) (3.5) (100.0)
30s 184 137 129 29 479
(38.4) (28.6) (26.9) (6.1) (100.0)
Over 40s 79 34 40 24 177
(44.6) (19.2) (22.6) (13.6) (100.0)
Marital status Single 174 122 123 23 442 6.088 (0.106)
(39.4) (27.6) (27.8) (5.2) (100.0)
Married 156 97 96 36 385
(40.5) (25.2) (24.9) (9.4) (100.0)
Job Specialized Job 49 25 18 8 100 28.993 (0.012*)
(49.0) (25.0) (18.0) (8.0) (100.0)
Office Job 146 108 109 27 390
(37.4) (27.7) (27.9) (6.9) (100.0)
Self-employment 28 26 29 10 93
(30.1) (28.0) (31.2) (10.8) (100.0)
Sales/Service job 42 39 40 9 130
(32.3) (30.0) (30.8) (6.9) (100.0)
Student 20 6 7 0 33
(60.6) (18.2) (21.2) (.0) (100.0)
Housewife 45 15 16 5 81
(55.6) (18.5) (19.8) (6.2) (100.0)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62 30 30 9 131 11.097 (0.264)
(47.3) (22.9) (22.9) (6.9) (100.0)
Less than 2 to 3.5 million won 159 111 99 25 394
(40.4) (28.2) (25.1) (6.3) (100.0)
Less than 3.5 to 5 million won 89 57 73 17 236
(37.7) (24.2) (30.9) (7.2) (100.0)
More than 5 million won 20 21 17 8 66
(30.3) (31.8) (25.8) (12.1) (100.0)
Total (39.9) 330 219 219 59 827
(26.5) (26.5) (7.1) (100.0)

* p<0.05,

** p<0.01

Table 2.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Opinions
Question Ingredient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Safety·Hygiene management
I think it is necessary to supervise and manag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for cosmetics manufacturers. 0.842 0.115
I think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manage the quality of prepared customized cosmetics by AI-based robots(a mixture of contents and raw materials). 0.798 0.306
I think it is necessary to supervise and manag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for the operation of AI-based robots. 0.621 0.490
In the prepareing process of AI-based robots, I think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afety of the robot operation process of th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0.123 0.890
In the prepareing process of AI-based robots, I think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hygiene of the container by a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 0.402 0.718
Eigen values 1.907 1.654
Dispersion explanation(%) 38.146 33.089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38.146 71.235
Cronbach's a 0.754 0.708
KMO=0.818, χ²=1245.739, df=10, p=0.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otential Demand Value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Question Ingredient
Quality value Social-Ethical value Economic value Brand value
Efficacy and effectivenes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758 0.167 0.089 0.091
Safety of cosmetic ingredients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756 0.054 0.145 0.016
Scent, color, and softness of the cosmetics content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587 0.204 0.179 0.215
Quality mark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KS, KC marks, etc.). 0.543 0.413 0.093 0.057
Consider whether animal tested ingredients are included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104 0.755 0.117 0.161
Consider the use of sustainable packaging containers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recycling, reuse). 0.077 0.755 0.123 0.091
Consider whether it is a product of a company that practices ethical management ideology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330 0.606 0.144 0.158
Consider whether it contains natural ingredients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289 0.566 0.187 0.194
Price discount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007 0.128 0.801 0.041
Price importance according to capacity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418 0.119 0.692 0.042
Cost-effectiveness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359 0.054 0.688 0.070
Option products such as sample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015 0.298 0.550 0.188
Model of brand advertising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205 0.184 0.123 0.784
Brand trademarks are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188 0.048 -0.024 0.772
Brand's sincere advertising story is important when purchas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068 0.244 0.169 0.643
Eigen values 2.381 2.186 2.094 1.822
Dispersion explanation(%) 15.870 14.573 13.957 12.146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15.870 30.443 44.400 56.546
Cronbach's a 0.707 0.701 0.713 0.743
KMO=0.853, χ²=3169.699, df=105, p=0.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evelopment Direction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Question Ingredient
Consumer expectations Commercialization requirements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smetics. 0.784 0.092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will contain more functionality suitable for my skin. 0.732 0.327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are products that only I can have. 0.701 0.264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will satisfy personal tastes. 0.627 0.355
Experience services for general consumers are required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171 0.751
There is a need for experiential marketing for loyal customers of each brand of a company that is pursuing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0.111 0.729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system with offline stor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app that can analyze skin. 0.392 0.577
AI-based customized cosmetics-related companies need active marketing to promote the consumption value of potential customers. 0.409 0.563
Complementary work is needed to diversify the data analysis values of AI robot devices. 0.354 0.560
Eigen value 2.522 2.370
Dispersion explanation(%) 28.025 26.329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28.025 54.355
Cronbach's a 0.767 0.748
KMO=0.902, χ²=2148.956, df=36, p=0.000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The name of a factor M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opinions
Potential demand value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Development direction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s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Safety·Hygiene management Economic value Quality value Social Ethical value Brand value Consumer expectations Commercialization requirements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4.06 1
Safety·Hygiene management 4.20 .600** 1
Economic value 3.89 .453** .338** 1
Quality value 4.13 .683** .563** .461** 1
SocialEthical value 3.89 .482** .358** .454** .506** 1
Brand value 3.60 .062 .031 .266** .133** .406** 1
Consumer expectations 4.04 .593** .477** .448** .614** .447** .225** 1
Commercialization requirements 4.07 .698** .597** .509** .719** .534** .187** .659** 1

** p<0.01

Table 6.
The Effect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Opinions on Potential Demand Values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Durbin-Watson
(Constant) Economic value 2.026 .134 15.126 .000 1.913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361 .036 .392 10.134 .000***
Safety·Hygiene management .096 .036 .103 2.668 .008**
Adj-R² =0.210, F=111.044, p=0.000
(Constant) Quality value 1.265 .103 12.289 .000 1.977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482 .027 .540 17.601 .000***
Safety·Hygiene management .216 .028 .240 7.819 .000***
Adj-R² =0.503, F=418.384, p=0.000
(Constant) SocialEthical value 1.883 .134 14.101 .000 1.943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390 .036 .417 10.983 .000***
Safety·Hygiene management .102 .036 .108 2.850 .004**
Adj-R² =0.238, F=129.794, p=0.000
(Constant) Brand value 3.333 .189 17.599 .000 1.931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078 .050 .067 1.553 .121
Safety·Hygiene management -.011 .051 -.009 -.218 .827
Adj-R² =0.001, F=1.603, p=0.202

** p<0.01,

*** p<0.001

Table 7.
The Effects of AI-based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Opinions on The Development Directions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 Durbin-Watson
(Constant) Consumer expectations 1.471 .121 12.137 .000 1.870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449 .032 .480 13.940 .000***
Safety·Hygiene management .178 .033 .189 5.487 .000***
Adj-R² =0.210, F=111.044, p=0.000
(Constant) Commercialization requirements 1.233 .095 13.036 .000 1.907
Supervision·management of the preparation process .452 .025 .532 17.965 .000***
Safety·Hygiene management .238 .025 .278 9.377 .000***
Adj-R² =0.536, F=478.270, p=0.000

*** p<0.001

References

Big Data Strategy Lab. (2018). Block Data Revolution Seoul, Anglebooks.
Cho, M. (2020). The Effects on Customized Cosmetics Selection Attributes and Safety Perception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Choi, E. (201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and the System of Preparation Manager who Dispense the Customized Cosmetic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5), 1229-1238.
Choi, S. M. (201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ustomized Cosmetics for Women in their 20s to 50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Cheon, S. L.. (2019). Psychology for Bosses: 99 percent of management is about reading people's minds Seoul, Sensio.
Cosmetics Act. NO 1848.
Han, H. J. (2020). The Effects of Customized Cosmetics an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Cosmetics Development Depending on Perceptions of Prescription Managers and Preference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in Jeju.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Hankyung. (2021). AI's 'customized cosmetics'…Beauty also wears tech. [Hankyung Edge], Online.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1163140i.
Hankyung. (2023). Development of Cosmetics Tactile and Texture Prediction Technology without Application, Online.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21581071.
Hong, J. Y. (2020). A Study on Improving Directions for the Korean Certification System of Manager Who Dispense the Customized Cosmetics focus on analysis job relevance of esthetician.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Jeong, D. B., Lee, M. S., & Choi, H. J. (2023). Study on Recognition and Brand of Customized Cosmetics According to Sex, Residental Area and Final education Level.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3), 751-763, doi.org/10.52660/JKSC.2023.29.3.751
crossref pdf
K-health. (2020). Beauty, ''Customized cosmetics'. ‘The future of K-beauty depends on it.', Online. https://www.k-health.com.
Kim, M. J. (2019). Custom cosmetics and specialty cosmetics analysi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im, M. S. (2023).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smetic Pursuit Benefits.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23(2), 211-221.
Kim, H. N. (2022).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and DIY Cosmetics and Skin Interest on Reliabil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im, J. P. (2018).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onsumer Valu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im, T. W. (2020). Hotel Sensory Marketing Influencing Brand Personality, Customer Value, and Brand Royalty.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ng, B. C. (2021). The Effect of the Value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Devices on the Pursuit Benefits and Intention to Purchase for consumers in their 20s to 40.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Meconomynews. (2023). Amore launches 1:1 Life Beauty Customized Brand 'Custom Me', Online. https://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776.
Namu wiki. (2023). Development, Online dictionary. https://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 sense_no=1009&viewType=confirm.
Newsis. (2023). "Pay attention to job seekers"…Cosmetics Responsible Sales Manager Requirements Ease, Online.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622_0002348336&cID=13001&pID=13000.
Park, E. H., & Lee, I. H. (2021). The Effect of Consumer Decision Type on the Consumption Value of Vegan Cosmetic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2), 442-454, doi.org/10.52660/JKSC.2021.27.2.442
crossref pdf
Shim, J. H. (2021).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Test System for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Shin, Y. Y. (2018). A Research on the Cosmetic Industry Employees’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and the Initiation of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Producer of Customized Cosmetic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