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2); 2024 > Article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importance of sleep is being emphasized as interest in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creases. In particular, the use of aroma oil has been expanded as a complementary therapy for sleep disorders. Aroma oil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because it has various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Therefore, the use of aroma oil suitable for individual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leep habits of modern people who value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beauty industry by developing customized aroma products based on the diversity of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In this study, 200 adult women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Jeollabuk-do were survey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sleep habits, sleep habits type, differences in sleep habi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roma oil aroma preference, and aroma oil aroma preference according to sleep habi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Duncan test were used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roma oi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sleep habits of the subjects. In particular, high school graduates tended to prefer the scent of rosemary, the sleep-type group preferred the scent of lemon and lavender, and the insomnia group preferred the scent of rosemary.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sleep habits and aroma oil preference were closely related. This is a study that proves the need for aroma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and is intend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revitalizing the beauty industry.

I. 서 론

최근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수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Choi, 2022). 이로 인해, 수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국내외 수면 산업과 해당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이다(Kim, 2023; Park & Sun, 2020). 수면은 인간의 생애에서 매일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생리적 현상이자 일상생활에서 가장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신체적 활동 중 하나이다(Bae, 2019). 특히 수면의 양과 질은 모두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회복과 건강의 유지에 중요하다(Cho, 2022; Nixon et al., 2008). 만성적인 수면장애는 면역 기능 저하, 소화장애, 만성두통, 우울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돌연사 등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Kreitzer & Koithan, 2014; Luyster et al., 2012; O’Leary et al., 2017). 이에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하고 건강증진을 위해 아로마테라피가 접근성이 쉽고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보완 대체요법으로 주목받고 있다(Cho, 2022; Jo & Lee, 2006; Jung, 2009; Kim, 2006; Kim et al., 2008; Kim et al., 2009).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는 ‘향기’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인 아로마와 치료를 의미하는 ‘테라피’의 합성 용어이다(Park, 2009).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휘발성 향유인 아로마오일을 인체내에 흡수시킴으로써 심신을 건강하게 만드는 보완요법이다(Kim et al., 2008). 이처럼, 아로마테라피는 피부나 후각을 통해 흡입된 아로마 오일이 본능, 감정, 기억을 관장하는 대뇌변연계에 직접 작용하여 신체적·정신적·심리적으로 건강하게 만든다(Hwang, 2004; Kim et al., 2009; Lim & Park, 2016). 특히, 아로마테라피에서 사용되는 아로마오일은 선행연구에서 항박테리아 작용을 포함한 살균 작용과 피부재생 촉진, 면역력 강화, 우울 완화, 신체 이완, 근육 경련 해소, 에너지 회복, 그리고 수면 개선 등의 치유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Hwang et al., 2011; Kutlu et al., 2008; Song & Hur, 2012). 또한, 아로마오일은 자율신경계를 안정시켜 숙면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 et al., 2010).
이에 따라, 수면습관과 아로마오일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Lee(2016)는 버가못, 라벤더, 마조람을 블랜딩 한 흡입법으로 수면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Lee(2021)는 라벤더와 클라리세이지가 수면유도의 영향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An(2021)은 라벤더, 일랑일랑, 네롤리를 블랜딩 한 흡입법으로 피로 감소, 수면의 질 향상, 수면 시간 중 입면시간 단축 효과를 보고하였다. Cho(2022)는 라벤 더, 클라리세이지, 마조람을 블랜딩 한 아로마 흡입법으로 수면의 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Son(2022)은 라벤더, 버가못, 일랑일랑을 블랜딩 한 흡입법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아로마오일은 개인의 취향과 특성에 따라 향 선호도의 차이가 나타난다(Heo et al., 2017; Yu, 2019). 또한, 개인이 선호하는 아로마오일을 사용하는 것은 아로마테라피 본연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Kim, 2017; Park, 2012). 따라서 개인의 특성과 수면습관 등의 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며(Kim, 2017; Park, 2012), 현대인의 수면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맞춤형 아로마 제품개발이 필요하다(Lee, 2021).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여성들의 일반적 특성 및 수면습관 차이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아로마 제품개발 및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수면습관

수면의 사전적 정의는 활동을 쉬는 상태로, 잠을 자는 것을 의미한다(Lee, 2004). 수면은 인간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며 살아가기 위한 생물학적 현상으로 적절한 자극 시 깨어날 수 있는 자연적인 무의식 상태라고 할 수 있다(Go, 2014; Rodehn, 1999). 인간 생애의 1/3을 차지하는 수면은 건강의 필수적인 요소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Go, 2014; Rodehn, 1999). 또한, 수면은 각성 상태로 인해 뇌와 신체 조직에 발생한 손상을 복구하고 에너지를 보존하며, 전신과 뇌 조직에 필요한 휴식을 제공함으로써 일상 생활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Hirshkowitz & Sharafkhaneh, 2012). 이처럼 수면은 단순히 쉬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피로회복, 기억 등의 인지기능 강화를 시키는 과정이며 항상성 유지 및 정상적인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생존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Foreman & Wykle, 1995). 반면, 수면이 부족한 경우 과민성 증가, 공격성 유발, 현기증, 불안정, 지각력장애, 피해의식, 주의력장애, 감각장애, 일시적 수전증 등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Baker, 1985; Shin, 1994).
아울러 수면의 양상은 얼마나 오랜 시간동안 수면을 취했는지를 의미하는 수면의 양과 얼마나 지속적으로 깊은 수면을 취했는지를 의미하는 수면의 질로 구분이 된다(Min, 2000). 수면의 질은 수면의 양, 잠드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수면 중 깨는 횟수, 깬 후 다시 잠들기까지의 시간, 아침 기상 후 피곤함 정도, 수면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을 의미하며 자신의 수면에 대한 전반적이고 주관적인 느낌을 말한다(Kim, 2013; Ryu, 2020). 수면의 질이 낮은 경우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피로감 증가 등을 초래하여 일상생활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Han et al., 2011). 한편, 수면위생은 수면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으로 정의되므로, 수면습관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따르는 수면이 관련된 행동양식과 관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Jan et al., 2008). 따라서, 수면습관을 분석하는 것은 질병을 예방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개인 자신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임상 진료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Seo et al., 2023).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수면습관을 수면의 양과 수면의 질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수면의 양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잠자리에 드는 시간, 수면시간으로 정의하였다(Kim, 2022; Kown, 2021; Lee, 2012; Park, 2005) 수면의 질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수면상태, 기상시간, 취침시간, 수면시간, 수면의 힘겨움, 기상 상태, 수면 상태, 기상 후 컨디션, 수면의 만족도, 졸음 여부로 정의하였다(Mun, 2013; Pyo, 2011; Park, 2020).

2.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아로마(Aroma)는 그리스어로 향기를 의미한다(Kim, 2023). 아로마오일은 특별한 효능이 있는 식물의 꽃·잎·줄기·열매·뿌리 등을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한 100% 순수 정유이다(Ham, 2014). 아로마오일 향의 분류는 휘발 속도, 추출부위, 향의 유형에 따라 분류한다(Kim, 2010). 먼저, 휘발 속도에 따른 분류는 아로마 향의 잔류기간과 강도에 따라 탑(Top), 미들(Middle), 베이스노트(Base note)로 나누는 것이다(Oh et al., 2014). 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향이 소멸 되는 것을 측정하여 판정하는데, 24시간 이내로 지속되면 탑노트(Top note), 2~3일 지속되면 미들노트(Middle note), 4~7일, 혹은 1주일 후에도 지속되면 베이스노트(Base note)로 구분한다(Lee et al., 2003). 이에 유칼립투스는 탑노트로 캄포아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정신건강, 신경통에 효과가 있다(Battaglia, 1997; Lee, 2006; Lee, 2020; Oh, 2000; Yu, 2019). 레몬은 탑노트로 가볍고 신선하며 깨끗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근육이완, 피로해소, 신경쇠약, 불안증에 효과가 있다(Lee, 2006; Jo & Lee, 2006; Yu, 2019). 라벤더는 미들노트로 달콤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스트레스, 불안, 우울 해소, 불면증, 두통, 편두통에 효과가 있다(Lee, 2006; Lawless, 1997; Oh, 2000; Son, 1997; Yu, 2019). 로즈마리는 미들노트로 신선한 나무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피로, 두통을 해소시키고 심신의 균형을 잡아주며 기분을 회복시켜 전신을 상쾌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Battaglia, 2008; Go, 2014; Lee, 2006). 로즈는 베이스노트로 달콤한 꽃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며 불면증, 신경성 질환, 불안증, 생리전증후군, 폐경기 증후군, 두통, 우울증, 항균작용, 알레르기에 효과가 있다(Jo & Lee, 2006, Lee et al., 2012). 자스민은 베이스노트로 깊고 섬세한 꽃 향이 특징이며 두통, 불면증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Kim, 2007; Lee, 2003; Lee et al., 2012). 한편, 아로마 향은 꽃, 열매, 뿌리, 줄기, 잎 등 추출 부위와 이에 따른 향기 별로도 구분되며, 각 부위에서 추출한 아로마오일은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Kim, 2021).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탑노트(Top note)는 유칼립투스(Ham, 2015; Kim, 2007; Lee, 2013; Lee, 2006), 레몬(Ham, 2015; Lee, 2013; Lee, 2006)을, 미들노트(Middle note)는 라벤더(Go, 2014; Ham, 2015; Kim, 2007; Lee, 2013; Lee, 2006), 로즈마리(Go, 2014; Ham, 2015; Lee, 2013; Lee, 2006)를, 베이스노트(Base note)는 로즈(Ham, 2015; Lee, 2013), 자스민(Ham, 2015; Kim, 2007; Lee, 2013; Lee, 2006)을 6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아로마오일의 향 선호도의 조작적 정의는 향에 대한 주관적인 선호도로 정의하였다.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척도는 6가지 아로마오일에 대한 인상을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의 5가지의 선호도로 나누었다(Go, 2014; Ham, 2015; Kim, 2007).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표본크기가 요구되지만, 일반적으로 통계적 검정력을 판단함에 있어서 표본크기는 변수 당 5-20배가 권장되고 200 이상이면 바람직하다는 Kline(2005)의 연구를 참고하여 258명으로 하였다. 편의 표본 수집 방법으로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을 H 공원에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아로마오일에 관심이 있는 자율 참여자 총 258명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자의 동의를 획득한 후 참여하였다. 이에, 불완전한 답변을 제공한 58명을 제외한 200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측정 도구의 구성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Jang, 2018; Park, 2015), 수면습관 16문항(Kim, 2022; Kown, 2021; Lee, 2012; Park, 2005; Pyo, 2011; Park, 2020; Mun, 2013),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6문항(Go, 2014; Ham, 2015; Lee, 2013)인 총 25문항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광주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 (1041465-202305-HT-001-08)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Kim(2007), Kim(2010), Lee(2004)의 연구를 참고하여 2023년 6월 30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 진행 시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최종 연구 대상자인 200명의 서면 동의를 얻었다. 설문은 유기명으로 직접 대면 수집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설문지의 척도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면습관, 아로마 오일 향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한 설문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수면 습관 유형화를 위해 K-평균(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표본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사후 검정 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20대 70명(35.0%), 30대 26명(13.0%), 40대 62명(31.0%), 50대 이상 42명(21.0%)이었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73명(36.5%), 대학교 졸업 101명(50.5%), 대학원 졸업 학력자는 26명(13.0%)이었다, 결혼 여부는 기혼 110명(55.0%), 미혼 여성은 90명(45.0%)이었다.

2.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 수면 습관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수면 습관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 수행을 위한 검증 결과 KMO는 0.871,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1606.082(df=66, p=0.0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으로 추출된 요인은 총 2개의 요인으로, 이들 요인의 총 누적 분산의 설명력은 68.504%로 나타났다. 각 요인의 적재치는 0.40을 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타당도를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출된 2개의 요인은 각각 ‘수면의 질’(39.400%), ‘수면의 양’(29.104%)으로 명명하였다.
각 요인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수면의 질’은 0.921, ‘수면의 양’은 0.880으로 분석되어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3. 수면습관 유형

1) 수면습관 유형

수면습관의 유형 파악을 위하여 수면의 질과 수면의 양 등 2개의 요인별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군집 1은 총 200명 중 111명(55.5%)으로 수면의 질과 양이 상대적으로 모두 좋지 못한 상태로 나타나 ‘불면증’으로 군집 2는 총 200명 중 89명(44.5%)으로 수면의 질과 양이 상대적으로 모두 좋은 상태로 나타나 ‘숙면형’으로 명명하였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습관 유형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습관 유형에 차이의 유뮤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과 연령, 최종학력에 따라 수면습관 유형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연령에 따른 수면습관 유형은 20대나 50대 이상의 경우 불면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30대와 40대의 경우 숙면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른 수면습관 유형은 고졸 학력자의 경우 대체로 불면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졸 이상 학력자의 경우 숙면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결혼 여부에 따른 수면습관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고졸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가 다른 고학력자들보다 불면증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이는 Gu(2022)의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부적당한 수면을 취하는 경향을 나타난 연구결과와 Jun(2015)의 대졸이상 학력자에 비해 고졸 이하 학력자가 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짧게 나타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졸 이상 학력자가 고졸 학력자들보다 숙면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Kim(2001)의 수면 정상군에 대졸 학력자가 가장 많았다는 연구결과와 Kim & Kim(2023)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상적인 수면습관을 갖고 있다는 연구결과와 Lee et al.(2022)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수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가 일치하며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수면위생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Choi et al., 1997).

4.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1)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 결과 아로마오일 선호도는 평균 3.61점으로 나타났다. 아로마오일향 선호도는 ‘레몬’(M=3.9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라벤더’(M=3.67), ‘로즈마리’(M=3.63), ‘유칼립투스’(M=3.56), ‘로즈’(M= 3.48), ‘자스민’(M=3.36) 순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차이의 유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 결과, 최종학력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로즈마리 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졸 학력자가 대졸 학력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로즈마리 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 연령,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Yu et al.(2018)의 수면 부족군에서 중졸 이하가 많았다는 연구결과와 Kang(2006)의 불면 질환을 가진 집단은 로즈마리 향을 선호한다는 결과 그리고 Go(2014)의 학력이 낮을수록 로즈마리 향을 가장 선호하였다는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고졸 학력자가 대졸 학력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로즈마리를 더 선호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Oh(2008)의 라벤더와 로즈마리를 희석하여 손마사지를 실시한 결과 수면 만족도가 증가하였다는 결과는 로즈마리가 심신의 균형, 심신 회복, 기억력 자극, 두통, 피로해소, 스트레스 감소, 수면에 효과를 나타내므로 불면증 집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Kim et al., 2008; Oh, 2008).

3)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차이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표본 t-test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레몬, 라벤더, 로즈마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숙면형 집단의 경우 불면증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레몬, 라벤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면증 집단의 경우 숙면형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로즈마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와 하위요인별 유칼립투스, 로즈, 자스민 선호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Choi(2014)의 라벤더로 흡입법을 시행한 결과 수면장애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결과와 Kang(2023)의 유칼립투스, 레몬, 라벤더, 페퍼민트, 티트리로 블랜딩 한 흡입법을 시행한 결과와 Park(2011)의 레몬, 라벤더, 샌들우드로 블랜딩한 흡입법을 시행한 결과 모두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 이는 레몬과 라벤더가 수면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본 연구의 숙면형 집단에서 레몬과 라벤더 선호도와 수면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처럼 피로, 허약, 스트레스 회복효과를 가진 레몬 향과 불면증, 불안증 해소, 신경 안정, 긴장 완화 등 유효한 성분이 포함된 라벤더 향이 숙면형 집단에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력증진, 두통, 현기증, 우울증, 수면향상 등의 효과를 가진 로즈마리는 불면증 집단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2014; Kim, 2022; Oh, 2008; Park, 2011). 이러한 결과는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 제품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숙면형 집단에게는 레몬, 라벤더로 구성된 맞춤형 아로마 제품을 추천하며 불면증 집단에게는 로즈마리를 블랜딩 한 맞춤형 아로마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는 숙면형 집단과 불면증 집단의 수면습관 유지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건강과 삶의 질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수면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수면장애에 대한 보완대체요법으로 아로마오일의 대중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라북도 지역민 중 아로마오일에 관심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특성, 수면습관, 수면습관 유형,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습관 유형 차이,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일반적특성과 수면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 차이를 조사한 후 맞춤형 아로마 제품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는 집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수면습관에 추출된 요인은 수면의 양, 수면의 질로 구성하였으며 수면의 유형은 불면증 집단, 숙면형 집단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20대와 50대 이상의 경우 불면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30대와 40대의 경우 숙면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고,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고졸 학력자 경우 대체로 불면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졸이상 학력자 경우 숙면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종학력, 수면습관 따라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에 대한 차이가 있었다. 고졸 학력자가 대졸이상 학력자들보다 로즈마리 향 선호도가 높았고, 숙면형 집단이 불면증 집단보다 레몬, 라벤더 향 선호도가 높았으며, 불면증 집단이 숙면형 집단보다 로즈마리 향 선호도가 높았다. 이에 아로마오일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향의 마케팅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숙면형 집단에게는 근육이완, 피로해소, 신경쇠약, 불안증에 유효한 레몬과 스트레스, 불안, 우울 해소, 불면증, 두통, 편두통에 유효한 라벤더를, 불면증 집단에게는 피로, 두통 해소, 심신 안정, 수면 향상에 유효한 로즈마리를 블랜딩 한 맞춤형 아로마 제품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제품개발도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갖는다. 연구 대상이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어, 성별, 지역, 연령대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인구에 대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연령, 학력 등의 일반적 특성과 수면 습관에 따른 아로마오일 향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춘 맞춤형 아로마 제품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선호하는 아로마오일 향이 다른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에 현대인들의 생활습관에 따른 맞춤형 아로마 제품개발은 뷰티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Category Freq(N) Ratio(%)
Age 20s 70 35.0
30s 26 13.0
40s 62 31.0
50s or more 42 21.0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ion 73 36.5
University graduation 101 50.5
Graduate school graduation 26 13.0
Marital Staus Single 90 45.0
Married 110 55.0
Total 200 100.0
Table 2.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Sleep Habits
Items Factors
The quality of sleep The amount of sleep
The quality of sleep I tend to wake up often at night (r). .912 -.027
Can't get a deep sleep (r). .878 -.003
I can't sleep well (r). .819 .071
I think the quality of sleep has been good for the past month. .815 .240
I'm sober for the first 30 minutes after waking up in the morning. .791 .128
I had a good enough sleep last night. .756 .250
It is easy to wake up in the morning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sleep. .716 .237
The amount of sleep I am satisfied with my sleep condition now. .181 .839
The usual wake-up and bedtime are constant. .122 .825
I sleep six to eight hours. .052 .818
I go to bed and wake up time is constant. .101 .795
I think there is enough sleep time. .134 .779
eigenvalues 4.728 3.492
Explanation of variance(%) 39.40 29.104
Explanation of cumulative variance(%) 39.40 68.504
Cronbach’s α .921 .880
KMO=.871, Bartlett's test χ²=1606.082 (df=66, p=.000)
Table 3.
Types of Sleep Habits
Category Cluster
t-value p
Cluster1 (n=111) Cluster2 (n=89)
The quality of sleep -.26850 .33488 -4.554*** .000
The amount of sleep -.68905 .85937 -17.060*** .000
Types of Sleep Habits Insomnia A good night's sleep type

*** p<.001

Table 4.
Differences in Sleep Habi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Sleeping habits
χ² (p)
Insomnia A good night's sleep
Age 20s 48(68.6) 22(31.4) 8.596* (.035)
30s 11(42.3) 15(57.7)
40s 29(46.8) 33(53.2)
50s or more 23(54.8) 19(45.2)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ion 57(78.1) 16(21.9) 23.955*** (.000)
University graduation 44(43.6) 57(56.4)
Graduate school graduation 10(38.5) 16(61.5)
Marital Staus Single 56(62.2) 34(37.8) 2.994 (.084)
Married 55(50.0) 55(50.0)
Total 111(55.5) 89(44.5)

* p<.05,

*** p<.001

Table 5.
Aroma Oil Scent Preference
Category Mean (M) ± Standard deviation(S.D.)
Aroma Oil Scent Preference Eucalyptus 3.56 ± 0.965
Lemon 3.97 ± 0.961
Lavender 3.67 ± 1.042
Rosemary 3.63 ± 1.010
Rose 3.48 ± 1.089
Jasmin 3.36 ± 1.198
Total 3.61 ± 0.650
Table 6.
Aroma Oil Scent Preferenc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ategory Aroma Oil Scent Preference
Total
Eucalyptus
Lemon
Lavender
Rosemary
Rose
Jasmin

M ± S.D. M ± S.D. M ± S.D. M ± S.D. M ± S.D. M ± S.D. M ± S.D.
Age 20s 3.76 ± 0.939 3.89 ± 1.015 3.61 ± 1.133 3.73 ± 1.020 3.64 ± 1.104 3.53 ± 1.248 3.69 ± 0.699
30s 3.50 ± 0.860 3.96 ± 0.958 3.38 ± 1.061 3.38 ± 1.023 3.42 ± 1.027 3.15 ± 0.925 3.47 ± 0.552
40s 3.52 ± 0.882 4.03 ± 0.905 3.87 ± 0.966 3.56 ± 0.985 3.52 ± 1.170 3.40 ± 1.207 3.65 ± 0.644
over 50s 3.31 ± 1.137 4.02 ± 0.975 3.64 ± 0.958 3.69 ± 1.024 3.19 ± 0.943 3.12 ± 1.234 3.50 ± 0.618
F-value(p) 2.021(.112) .307(.820) 1.505(.214) .868(.459) 1.572(.198) 1.316(.270) 1.311(.272)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3.64 ± 1.059 3.85 ± .981 3.59 ± 1.103 3.89b ± 1.008 3.64 ± 1.123 3.55 ± 1.202 3.69 ± .723
University graduation 3.43 ± .920 4.00 ± .959 3.75 ± 1.033 3.44a ± 1.004 3.37 ± 1.046 3.27 ± 1.216 3.54 ± .606
Graduate school or higher 3.81 ± .801 4.19 ± .895 3.58 ± .902 3.62ab ± .898 3.46 ± 1.140 3.15 ± 1.084 3.63 ± .587
F-value(p) 2.130(.122) 1.325(.268) .638(.530) 4.448*(.013) 1.386(.253) 1.592(.206) 1.198(.304)
Marital Staus Single 3.67 ± .960 3.90 ± 1.006 3.53 ± 1.093 3.56 ± 1.040 3.62 ± 1.118 3.49 ± 1.220 3.63 ± .705
Married 3.46 ± .964 4.03 ± .923 3.78 ± .990 3.68 ± .986 3.36 ± 1.056 3.25 ± 1.175 3.59 ± .603
t-value(p) 1.484(.139) -.931(.353) -1.685(.094) -.879(.380) 1.679(.095) 1.433(.153) .366(.715)
Total 3.56 ± .965 3.97 ± .961 3.67 ± 1.042 3.63 ± 1.010 3.48 ± 1.089 3.36 ± 1.198 3.61 ± .650

* p<.05

Duncan : a<b

Table 7.
Aroma Oil Scent Preference Differences Based on Sleeping Habits
Category Aroma Oil Scent Preference
Total
Eucalyptus
Lemon
Lavender
Rosemary
Rose
Jasmin

M ± S.D. M ± S.D. M ± S.D. M ± S.D. M ± S.D. M ± S.D. M ± S.D.
Sleeping habits Insomnia 3.51 ± .971 3.84 ± .977 3.54 ± 1.051 3.77 ± .979 3.39 ± 1.130 3.32 ± 1.207 3.56 ± .680
A good night's sleep 3.61 ± .961 4.13 ± .919 3.83 ± 1.014 3.44 ± 1.022 3.60 ± 1.030 3.39 ± 1.193 3.67 ± .609
t-value(p) -.678 (.499) -2.192* (.030) -1.976* (.049) 2.370* (.019) -1.346 (.180) -.403 (.687) -1.122 (.263)
Total 3.56 ± .965 3.97 ± .961 3.67 ± 1.042 3.63 ± 1.010 3.48 ± 1.089 3.36 ± 1.198 3.61 ± 0.65

* p<.05

References

An, H. S. (2021). The Effect of Aroma Essential Oil Inhalation on Fatigue, Sleep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in shiftwork nurses.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Baker, L. (1985).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A replication.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23(1), 28-30.
crossref pdf
Battaglia, S.. (1997). The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Brisbane, The Perfect Portion(Aust) Pty Ltd.
Battaglia, S., Kown, S. Y., Kim, S. E., Kim, E. J., Kim, J. H., & Yu, K. M.. (2008).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Seoul, Hyunmoon.
Bae, S. H. (2019). Study of Visual Expression Through Sleep Observation.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Choi, Y. K., Kim, L., Suh, K. Y., & Shin, D. G. (1997). A Study on the Practice and Effects of Sleep Hygiene.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4(2), 156-163.
Cha, J. H., Kim, M. J., Kim, H. S., & Kim, Y. I. (2010). Effects of Aromatherapy in blending oil of Basil, Lavender, Rosemary, and Rose on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in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ycal Nursing Science, 12(3), 133-139.
Choi, S. W. (2014).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of the elderly woman with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Chungcheongnam-do.
Choi, Y. H. (2022). A study on purchase intention for sleep-improving health functional food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Science, 51(9), 985-996, doi: 10.3746/jkfn.2022.51.9.985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 of practice protocol :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Alterations in the sleep-wake cycle call for immediat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 NICHE Project protocol. Geriatr Nurs, 16(5), 238-243, doi: 10.1016/S0197-4572(05)80173-9
Go, S. H. (2014). Analysis of Sleep Habits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Go, S. W. (2014). Research of scent preference of aroma essential oil.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Gu, H. J. (2022). Relationship between postmenopausal period and sleep duration in middle-aged Korean women. Korean J. Health Educ. Promot, 39(3), 55-67, doi: 10.14367/kjhep.2022.39.3.55
crossref
Hwang, J. H. (2004). The Effects of the Inhalation Method using Essential Oils on Blood Pressure and Stress Responses of Cl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Hwang, J. H., Lee, S. O., & Kim, Y. K. (2011). Effects of Thermotherapy Combined with Aromatherapy on Pain, Flexibility, Sleep,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J. Muscle Joint Health, 18(2), 192-202, doi: 10.5953/JMJH.2011.18.2.192
crossref
Han, K. S., Park, E. Y., Park, Y. H., Lim, H. S., Lee, E. M., Kim, L., An, D. S., & Kang, H. C. (2011).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2), 121-131.
crossref
Hirshkowitz, M., & Sharafkhaneh, A. (2012). Introduction to sleep medicine. Sleep Medicine Clinics, 7(4), 577-585.
crossref
Ham, H. J. (2015). The Study on Aroma Essential Use and Scent Preference.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Heo, S. M., Yoo, S. M., & Shim, J. Y. (2017). Effects of two types of essential oil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depending on the extraction sit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3), 461-474.
Jo, S. J., & Lee, I. S.. (2006). Aromatherapy Seoul, Hakjisa.
Jan, J. E., Owens, J. A., Weiss, M. D., Johnson, K. P., Wasdell, M. B., Freeman, R. D., & Ipsiroglu, O. S. (2008). Sleep hygiene for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Pediatrics, 122(6), 1343-1350.
crossref pmid pdf
Jung, K. J.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Aroma Essential Blending Oils on Atopy Dermatiti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Jun, K. Y. (2015).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Working Hours and Sleep Duration Among Korean Adult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Jang, Y. J. (2018). A Study on Aromatherapy Awareness and Aromatherapy Types by Life Style.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Cho, Y. G. (2022). Effect of Aromatherapy using wearable device (Fitbit) on sleep quality.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sangnam-do.
Kim, I. J. (2001). A Study on Women's Sleep Disorder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im, H. N. (2006).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for Aromatherapy : Focusing on the Skin Care.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Chungcheongnam-do.
Kim, N. Y., Kim, C. S., & Kim, Y. S. (2008). Effect that Aromatherapy Gets in Woman's Period Pain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2), 378-383.
Kim, M. J., Kim, Y. J., Jeon, H. J., & Choi, S. L.. (2008). Aromatherapy Seoul, chungku.
Kim, J. S. (2007). The research on perception and aroma preference with the essential oil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im, N. Y., Kim, C. S., & Kim, Y. S. (2008). Effect that Aromatherapy Gets in Woman's Period Pain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2), 378-383.
Kutlu, A. K., Yilmaz, E., & Cecen, D. (2008).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examination anxiety.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3(4), 125-130.
crossref
Kim, J. S., Lee, J. R., Jeon, Y. S., Kim, B. R., & Park, C. M. (2009). The Effects of the Aromatherapy on Stress Related Hormone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4), 1452-1462.
Kim, S. A., Kim, S. J., Chung, J. H., Lee, S. Y., Han, M. S., Oh, S. H., & Kim, S. H. (2009). The Effect of Aroma Therapy on Lower Extremity Edema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 Controlled Trial.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2(3), 139-46, doi: 10.14475/kjhpc.2009.12.3.139
crossref
Kim, E. S. (2010). Research Study on the Preference, Use and Satisfaction of Aroma Perfume among Adolescen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im, M. J. (2013). A study on job stress and sleep quality in Dental Hygienis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gi-do.
Kreitzer, M. J., & Koithan, M.. (2014). Integrative Nurs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im, G. M. (2017).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lobal Beauty Market.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0:221-231, doi: 10.18555/kicpd.2017.50.20
crossref
Kim, J. M. (2021). Flavoral essential oil components in the stems of Agastache rugosa for aroma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36(3), 317-324.
Kwon, I. K. (2021). Effects on Snack Intake and Eating Behavior According to Sleep Tim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Areas of Gangwon Provinc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im, Y. H. (2022). Effect of herb oil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covery after plastic surgery.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im, M. J. (2022).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Sleep Duration of Workers: Based on Data from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im, H. Y. (2023). A study on the sleep induction device using carbon dioxide mixing gas for reduce to hypnagogic time. Doctoral dissertation, Jeonju University, Jeonbuk State.
Kang, H. Y. (2023).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ore throat, Total Nasal Symptom, Stress, Fatigue and Sleep of Quality to Adults Infected COVID-19.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Kim, J. H., & Kim, S. H. (2023).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Middle-aged Women Complaining of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Utilizing Data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4(8), 513-523, doi: 10.5762/KAIS.2023.24.8.513
crossref
Kim, M. K. (2023). Effects of Awareness, Efficacy, and Knowledge Level of Aroma Essential Oil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Lawless, J.. (1997). The Complete Illustrated Guide to Aromatherapy London, HarperCollins.
Lee, H. K.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natural essential oils on dandruff germ.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Gyeonggi-do.
Lee, A. S., Myeong, E. J., Jo, S. E., & Kim, Y. J.. (2003). Aromatherapy Seoul, Hyunmoon.
Lee, E. (2004). A Study on Quality of Women's Sleeping by Their Age Group.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Lee, J. H. (2004). The research on the preference of Aroma oi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age and sex. Journal of the Imstitute Oriental Medicine, 6:87-94.
Lee, S. N., An, K. M., & Park, K. H.. (2006). Aromatherapy Seoul, Seowoo.
Lee, Y. N., Kang, M. J., Park, S. J., Kim, M. K., & Nam, M. Y.. (2012). Aromatherapy Herb Cards Gyeonggi-do, Suzakbook.
Luyster, F. S., Strollo, P. J. Jr, Zee, P. C., & Walsh, J. K. (2012). Sleep: A health imperative. Sleep, 35(6), 727-734, doi: 10.5665/sleep.1846
crossref pmid pmc
Lee, Y. J. (2012). Effects of Sleep Time and Sleep Time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Master’s thesis, BaekSeok University, Chungcheongnam-do.
Lee, Y. S. (2013). The effects of the Aroma added product for usage and awareness of satisfaction.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Lim, S. Y., & Park, H. J. (2016).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Coronary Care Unit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3), 1-10, doi: 10.5392/JKCA.2016.16.03.001
crossref
Lee, J. K. (2017).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Fatigue and Sleep: Focused on Mothers with Preschool Choldren.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Lee, J. H. (2020). Essential Oil Recognition on Aromatherapy Satisfaction and Stress Reduction. Master’s thesis,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Gyeonggi-do.
Lee, C. Y. (2021). Effects of Lavender and Clary Sage Aroma Inhalation on the Sleep Induction of Middle-aged Women : Focused on Changes of Frontal and Central Part EEG Activit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Chungcheongnam-do.
Lee, S. H., Lee, M. J., & Seo, B. J. (2022).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Obesity in Korean Adul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2(4), 219-230, doi: 10.22156/CS4SMB.2022.12.04.219
Nixon, G. M., Thompson, J. M., Han, D. Y., Becroft, D. M., Clark, P. M., & Robinson, E. (2008). Short sleep duration in middle childhood: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Sleep, 31(1), 71-78, doi: 10.1093/sleep/31.1.71
crossref pmid pmc
Min, S. K.. (2000). Modern Psychiatry(the fourth edition) Seoul, Ilchokak.
Mun, D. C. (2013). A Study of Types of Sleeping and Quantity & Quality and Perception of Sleeping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Gyeongsangnam-do.
Oh, H. G.. (2000). Aromatherapy Seoul, Yangmoon.
Oh, H. S. (2008). The Effects Aroma Hand Massage on the Stress, Sleep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sangbuk-do.
Oh, H. M., Jeong, G. S., & Kim, J. O. (2014). The effect of aroma roll-on inhalation method on job stress, depression, and sleep of female shift workers in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Academic Technology, 15(5), 2903-2913, doi: 10.5762/KAIS.2014.15.5.2903
O’Leary, K., Small, B. J., Panaite, V., Bylsma, L. M., & Rottenberg, J. (2017). Sleep quality in healthy and mood-disordered persons predicts daily life emotional reactivity. Cognition and Emotion, 31(3), 435-443, doi: 10.1080/02699931.2015.1126554
crossref pmid
Park, Y. M. (2005). Interrelation of Living Habits and Living Quality of Shift Nurse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Park, K. S.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Aromatherapy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Beauty-Related Dept.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7(3), 225-238.
Park, S. N. (2011).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Sleep and Fatigue Recovery in Night Shift Nurse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Pyo, M. C. (2011). An Analysis on Sleep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Gyeonggi-do.
Park, J. M. (2012). A Study on the Aroma Essential Oils Use and Perference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Park, E. J. (2015). A Study on Aromatic Preference of Both Male and Female Adults on Essential Oil by Skin Type.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Park, S. J.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Work Engagement: The Monday Effect.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Park, S. H., & Sun, S. H. (2020).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leep-Tech Devices for Middle-Aaged Women: Focusing on Preferences for Device Types and Function. Industrial Design, 14(4), 51-60, doi: 10.37254/ids.2020.12.54.05.51
Rodehn, M. (1999). The importance of sleep. Nursing Standard, 13(24), 44-47.
crossref
Ryu, L. S. (2020). The effects of shift-working nurses' sleep quality,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their patient sagety nurs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Dongguk Unuiversity, Seoul.
Shin, M. K. (1994). The Effects of Partial Sleep Deprivation on the Sleep Structure, Sleepines and Fatigue in Healthy Young Adult.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Sonh, S. Y.. (1997). The art of aromatherapy Seoul, Geulirang.
Song, J. A., & Hur, M. H. (2012). Effects of A-solution on Halitosis and Oral Status in Preoperative NPO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405-13, doi: 10.4040/jkan.2012.42.3.405
crossref pmid
Son, J. H. (2022).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Quality of Sleep, Fatigue, Stres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Near Miss in Medication Error of Emergency Room Nurse on Night Duty.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buk-do.
Seo, S. M., Beak, Y. H., Lee, S. W., & Jang, H. C. (2023). Study on Compliance in Sleep Life Log: Observational Cohort Study.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9(1), 89-98, doi: 10.25153/spkom.2023.27.1.007
Yu, J. G., Kim, C. G., Jung, S. P., & Lee, K. M. (2018).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and Smoked Cigarettes per Day, Heavy Smoking in Smok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1-6, doi: 10.15384/kjhp.2018.18.1.1
crossref pdf
Yu, N. J. (2019). A study on the perception test and preferences of aroma scent. Master’s thesis, DongDuk Wome’s University. Seoul.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