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7(4); 2021 > Article
코로나19 이후 내국인대학생과 외국인대학생간의 블렌디드 러닝(대면+비대면)수업의 학습만족도 및 학습몰입도 연구 -서울소재 H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대상으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among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e Corona 19 era and to prepare the need and alternatives for blended learning classes (face-to-face + non-face) among various class methods. In this study, 20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very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at H University in Seoul, and 2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s follows: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rveyed; seco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ubjects surveyed; and third, a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Fourth, we conducted t-test, ANOVA to find differences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immer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ducted a Scheme-test as a post-test of ANOVA.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proportion than male students, and the proportion of Korean and foreign students was about the same. The Blended Learning course found that 39.8% of students take more than five courses, meaning that online classes alone are not enough to satisfy students' needs. Foreign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learning according to nationality than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also showed higher immersion in learning than Korean students.

I. 서 론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호흡기 감염질환인 코로나(COVID)19가 전 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육부에서는 대면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계에서도 전면 비대면 전환을 권고하였으며, 대인간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생활화하고 있다. 일부 교육기관에서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실기과목을 제외한 이론과목은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증가되는 추세인데, 그 이유는 비대면 수업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고, 교육환경, 수강방법 등을 수강자 본인이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대면 강좌의 단적인 부분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쌍방향 소통이 아닌 일방향적인 교육 형태를 가지는 특성이 있기에, 실제 대면수업에서 가능한 질의 응답이나 학습자의 수업참여도를 보면서 교육의 강약을 조절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Park, 2020).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의하면,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추후 제2, 제3의 유사한 바이러스 또는 변형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발발할 것으로 보도한 바, 모든 교육기관에서는 비대면 수업의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측한다. 특히, 실기 중심 학과인 뷰티관련학과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학과는 전면 비 대면이 아닌 새로운 수업방법의 전환과 강의진행법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혼합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제안한다. 대면과 비대면 교육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의 선행연구를 알아본 결과, 미용교과 분장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활용 효과 연구(Shin, 2013), 블렌디드 러닝 헤어미용 퍼머넌트 수업의 학습동기 및 학습몰입 관련 연구(Kwon, 2020),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미용교육 수업이 학습실재감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Kim, 2020),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뷰티스타일링 수업 설계 및 효과 연구(Kim, 2018)가 있다. 이와 유사한 플립러닝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미용관련 학생의 플립러닝 수업과 지속 참여도 관계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 연구가 진행되었다(Nam, 2021).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모두 국내 대학생에 한정되었고, 내국인 대학생과 외국인대학생 간의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하기에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내국인대학생 및 외국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도를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니즈를 반영한 학습효과 및 학습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대면이 필요한 뷰티전공분야에 블렌디드 러닝의 효율적인 학습운영 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학습만족도

학습만족도는 학습자의 주관적인 반응으로 만족의 정도라고 할 수 있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이 끝난 후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이 학습자로 하여금 만족정도를 평가하고 학습과정을 만드는데 있어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학습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임진호는 학습만족도를 학습자 자신의 노력의 결과가 자신의 기대에 일치하는 정도로 정의하였다(Lim, 2018). 홍현우는 학습만족도를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후에 학습자가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 또는 수업참여 기여정도를 개인이 느끼는 정도를 학습만족도로 정의하였으며(Hong, 2012), 유이는 학습만족도를 협력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습자가 가지게 된 전반인 만족정도로 정의하였다(Yoo, 2018). 학습만족도는 교육 전반에 자기 욕구를 해결하여 만족감을 느끼고, 교사 및 학생들의 관계에 조화된 상태로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생활환경과 학습에 대한 인식의 정도 차이에서 일어나는 충족감을 가지는 정도로 정의 하였다. 학습만족도를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활동의 결과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정도와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정도로 정의하였다(Heo, 2019). 학습만족도를 연구대상자가 지각하고 있는 배움에 대한 욕구충족정도, 즉 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내용이 최대로 제공되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였다(Kim & Jung, 1997).
학습만족도는 전공만족도와 유사개념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전공만족도는 학생들의 대학 전공 선택 시 전공의 전망과 특정 대학 학과가 갖는 사회적 인식 등과 함께 재학 중인 교육과정이 졸업 후 진로와 연계되어 있다고 정의하였다(Kim & Yoon, 2020). 지예림은 학습만족도는 수업과 학습경험 사이에서 느끼는 학습자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정서로 정의하였다(Ji, 2014). 이렇듯 선행연구자들의 연구에서도 학습만족도는 학습자들의 개인적인 감정이 학습만족에 밀접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학습태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2. 학습몰입도

학습몰입도란 수업에 대한 집중력이 높아지고 의식적으로 사고하거나 통제하지 않아도 그 행위 자체가 자기 보상이 되는 경험을 말한다.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몰입은 학습자가 학습을하는 행위 자체에 완전히 몰두하여 연속적인 학습 활동을 집중해서 하고 있는 상태로 볼 수 있다.
학습몰입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장재홍은 학습몰입도를 개인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명확한 목표 분명한 규칙을 가지고 학습과정에 몰두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심리적인 상태로 정의하였다(Jang, 2016). Harju & Eppler는 학습몰입도를 고차원적인 학습에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집중과 참여를 촉발시켜주는 심리로 정의하였다(Harju & Eppler, 1997). 석임복은 학습몰입도를 학습상황에서 학습하고 있는 활동에 완전히 몰두하여 시간 감각이나 주변 상황을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심지어 자의식도 잊어버리며 즐거움과 재미를 수반하는 상태를 학습몰입도라고 정의하였다(Seok, 2008). 이지혜는 학습몰입도를 학습상황에서 학습자의 주의가 목표만을 향하여 자유롭게 사용되어 행동과 의식의 완전한 일체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즐거운 상태로 정의하였다(Lee, 2009). 김연경, 박성익은 학습몰입도를 학습시간을 단축시키며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시키게 되어 학업 성취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능한다고 하였다(Kim & Park, 2006). 앞서 제시한 선행연구의 의미를 풀이해 보면, 학습몰입도는 결과적으로 학습의 결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다수의 연구자들이 학습 성과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3. 비대면(온라인) 수업

비대면(온라인) 수업은 유·무선의 컴퓨터, 모바일 등 웹 기반(클라우드) 상에서 실시하는 수업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대면(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을 할 수 있다는 편의성, 네트워크를 통해 동료학습자나 전문가와 지식을 공유할 수 있다는 연결성, 그리고 학습에 대한 접근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교육방법의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고(Lee, 2017), e-러닝, 사이버교육, 원격교육, 온라인교육은 실제로 크게 구분되지 않고 있으며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발표하였다(Choi & Jeon, 2020).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온라인)과 유사한 언텍트(untact)라는 신조어가 나타났다. 남주원의 연구에 의하면 영어의 “접촉하다”라는 콘텍트(contact)에 부정 접속사 언(un)이 붙어 접촉하지 않는 것을 선호하는 현상을 말한다고 하였다(Nam, 2020). 언텍트(untact) 교육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미네르바학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미네르바학교는 2014년 개교하였으며 학교의 가장 큰 특징은 학교건물이 없고 전 세계 7개의 기숙사만이 존재해 캠퍼스 없는 대학으로 불린다. 학생들은 4년간 미국 한국, 태국 등을 포함한 7개국을 이동하며 100% 온라인으로 수업을 듣고 프로젝트를 이행하며 수업방식으로는 토론 수업 시 학생들이 발언하는 시간에 따라 화면색이 변하여 교수는 학생들의 참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Lee et al., 2019). 이렇듯 선행연구자들의 연구에서도 비대면(온라인) 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언급 하였다(Kim, 2020).

4.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블렌디드 러닝 수업은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칵테일처럼 온라인과 오프라인교육, 그리고 다양한 학습방법을 혼합한 교육으로 2000년부터 미국의 일부 온라인 교육학자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학습 방법이다. 블렌디드 러닝의 시작은 e-러닝의 제한점을 면대면 교실학습의 장점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새로이 대두된 개념이다(Korean Educational Intelligence Service 2003).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영미의 연구에서 세계의 약 188개국 15억 8천여만명의 학생이 코로나 19로 인하여 원격수업을 통한 교육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Kim, 2020). 코로나 19 이전에도 블렌디드 러닝이나 거꾸로 교실이라 불리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문제 중심학습(PBL/problem-based learning))등 온라인을 활용한 교육방식의 변화는 요구되어 왔지만 확산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 않았고 코로나 19 발생 이후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을 병합한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드 러닝 같은 교육방식 등이 혁신모델로 부각되었다. 뷰티전공에서 블렌디드 러닝에 관한 선행연구로 김진희의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뷰티스타일링 수업 설계 및 효과 연구와(Kim, 2018),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네일 및 미용 수업 모형 설계가 있는데(Kim & Kim, 2019), 연구결과로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미용교육수업이 학습실제감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서울소재 H대학의 뷰티관련학과의 내국인과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 학습만족도 및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실증조사를 위해 서울소재 H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05월 17일부터 05월 26일까지 총 20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중 불성실한 설문지 2부을 제외한 206부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3. 측정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측정도구 구성은 총 38문항으로 첫째, 일반적 특성은 6개 문항을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측정하기 위해 Kwon(2020), Kim & Kim(2019), Kim(2018), Shin(2013)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개의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명목척도로 구성하였다. 셋째, 학습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Kim & Jeon(2019), Yang(2021), Lee(2020), Jang(2020), Lim(2018)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넷째, 학습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hoi(2018), Yoo(2020), Kim(2019)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Table 1>.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되는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검증을 위한 사전단계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들의 구성요인을 추출하는 주성분 분석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몰입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을 실시하고 ANOVA의 사후검정으로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내국인 학생과 외국인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 25명(12.1%), 여자 181명(87.9%)으로 나타났고, 국적은 내국인대학생 104명(50.5%) 외국인대학생 102명(49.5%), 연령은 21세가 78(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3학년이 110명(53.4%)로 나타났으며, 세부전공에서 메이크업 78명(37.9%)로 나타났다. 주당 수강과목 수는 5과목 82명(39.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Yang(2021)의 연구를 보면 세부전공은 헤어전공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본 연구의 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그 이유는 Yang(2021)은 전문대학생과 평생교육원 및 사이버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본 연구자는 서울소재 종합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에 선호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2.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연구변인인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문항 중 학습만족도 12개, 학습몰입도 15개의 문항을 요인분석 하였다. 요인분석의 기준으로 고유값 1.0이상, 요인적 재치와 공통성은 0.4이상으로 하고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KMO & Bartlett)은 0.951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Cronbach α)에서 학습만족도는 .959로 나타났고 학습몰입도는 .948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학과 과목의 특성상 내국인과 외국인 학생 모두 비대면 보다는 대면수업을 더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는 <Table 3>와 같다.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 차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과 같다.
성별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t=-2.157, p=.032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의 평균값이 여자(M=3.557), 남자(M=3.931)의 수치를 보여 남학생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학습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적에 따른 학습만족도 역시 t=-6.781,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국인(M=3.265), 외국인(M=3.939)의 수치를 보여 외국인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학습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타국간의 자유로운 여행이 불가능하고, 한국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활동영역이 제한된 상태에서 대면수업을 진행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나이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t=5.543,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21세(M=3.860)의 집단이 20세(M=3.068)의 집단에 비하여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t=6.535,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2학년(M=3.706)과 3학년(M=3.748)의 집단이 1학년(M=3.106)의 집단에 비하여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t=6.031,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피부전공(M=4.000)의 집단이 기타전공(M=3.151)의 집단에 비하여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강하고 있는 교과목 수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t=3.391, p=.01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도 차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ANO VA을 실시하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의 차이는 <Table 5>와 같다.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도 t=-1.369, p=.181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여학생과 남학생간 학습몰입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에 따른 학습몰입도는 t=-6.035,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국인(M=3.356) 외국인(M=3.862)의 수치를 보여 외국인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학습 몰입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또한 학습만족도에서 나타나듯 코로나 19로 인하여 타국간의 자유로운 여행이 불가능하고, 한국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활동영역이 제한된 상태에서 대면수업을 진행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나이에 따른 학습몰입도는 t=7.130,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21세(M=3.845), 24세 이상(M=3.612)의 집단이 20세(M=3.148)의 집단에 비하여 학습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습몰입도는 t=7.398,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2학년(M=3.749)과 3학년(M=3.717)의 집단이 1학년(M=3.171)의 집단에 비하여 학습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학습몰입도는 t=4.988, p=.001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피부전공(M=3.918)의 집단이 기타전공(M=3.321)의 집단에 비하여 학습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강하고 있는 교과목 수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t=3.808, p=.0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H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내국인학생과 외국인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이상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하게 되었고 시사점도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내국인학생과 외국인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87.9%가 여학생으로 나타났고 12.1%가 남학생으로 나타났다. 내국인학생은 104명(50.5%), 외국인 학생은 중국, 베트남, 몽골, 말레이시아, 일본, 홍콩 등에서 온 외국인 유학생이 102명(49.5%)으로 내국인학생이 외국인학생들 보다 0.5%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전체 학생의 비율은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는 21살이 78명(37.9%)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중 3학년 학생의 수가 110명(53.4%)으로 나타냈다. 이는 H대학의 경우에 유학생 중 3학년 편입 비율이 높은 결과로 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들이 선택한 전공은 메이크업 78명(37%), 피부 55명(26%), 헤어 51명(24%), 네일 11명(11%)순으로 메이크업 전공자들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블렌디드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5과목 이상 듣는 학생들이 82명(39.8%)로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특성상 비대면(온라인)수업 보단 대면수업을 선호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김주원의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수업 이용에 관한 만족도 조사: 미용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본 연구를 지지한다(Kim, 2021).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학습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외국인학생이 내국인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타국간의 자유로운 여행이 불가능하며 한국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활동영역이 제한된 상태에서 온라인 수업만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한 블렌디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게 된 것이 외국인 유학생 입장에서는 학습만족도에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나이와 학년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20세 학생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하였으나 학교에 적응하며 대학생활을 누릴 여유조차 없이 온라인수업을 통하여 교양 및 이론수업을 이어나가야 하고 생소한 블렌디드 수업에 적응할 여유를 가지지 못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학습몰입도를 확인한 결과도 외국인학생이 내국인학생보다 학습몰입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또한 활동영역이 제한된 상황에서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한 블렌디드 방식으로 진행하게 된 것이 외국인학생들 입장에서는 학습몰입도에도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나이와 학년에 따른 학습몰입도는 모두 20세인 1학년 학생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하였으나 캠퍼스생활을 누릴 여유조차 없이 온라인과 블렌디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거리두기라는 사회적 활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타국으로 유학 온 외국인학생뿐만 아니라 내국인학생에게도 블렌디드 러닝수업은 매우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학습만족도와 학습몰입도가 가장 낮은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는 대학생활에 대한 충분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여 만족도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블렌디드 러닝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에서는 학생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금까지 실시하던 단일화 방식의 교육이 아니라 다소 생소한 블렌디드 러닝수업에 대하여 학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충분히 교육하고 교수자는 질 좋은 강의 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많은 지원의 노력이 이루어 져야할 것이다(Lee, 2020). 학생에게는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방법과 LMS, e-class 등의 활용도를 높이며 학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상호 소통 창구를 마련하는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제시해 줄 필요성이 있다. 또한 학생몰입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을 제시할 수 있는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통하여 학습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소재 H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므로 지역적 특성과 대학마다 교육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별 또는 대학별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습만족도 비교 및 교수자이미지가 내국인대학생과 외국인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1.
The composition and measurement instruments
Variable Content Number of Questions Scale Sourc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Nationality, Age, Grade, Detailed major, Number of courses taking 6 Nominal scale a Researcher
Blended Learning Recognition of number of blended learning subjects, Degree of access to blended learning classes, Average duration of blended learning classes, Educational effects of blended learning classes, Absence of practical classe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5 Nominal scale Kwon(2020)
Kim & Kim(2019)
Kim(2018)
Shin(2013)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Satisfaction 12 Isometric chart Kim & Jeon(2019)
Yang(2021)
Lee(2020)
Jang(2020)
Lim(2018)
Learning Immersivenes Learning Immersivenes 15 Isometric chart Choi(2018)
Yoo(2020)
Kim(2019)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 (N=206, %)
Classification N Percentage(%) Classification N Percentage(%)
Gender Female 181 87.9 Detailed major Hair 51 24.8
Male 25 12.1 Make-up 78 37.9
Nationality Local 104 50.5 Asthetic 55 26.7
Foreign 102 49.5 Nail 11 5.3
Age 20 23 11.2 Etc 11 5.3
21 78 37.9 Number of courses taking 1 Course 11 5.3
22 40 19.4 2 Courses 17 8.3
23 32 15.5 3 Courses 46 22.3
Over 24 33 16.0 4 Courses 50 24.3
Grade 1st 30 14.6 Over 5 Courses 82 39.8
2nd 40 19.4
3rd 110 53.4
4th 26 12.6
Total 206 100.0
Table 3.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immersion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Cronbach α
Variable Measurement variables Factor
Similarity Alpha if Deleted Cron bach α
Factor 1 Factor 2
Learning satisfaction I could feel satisfied after taking blended class. .744 .685 .956 .959
I think there was a vision or change through the blended class. .814 .801 .954
I think there has been a change in my behaviour through the blended class. .700 .519 .960
I think blended has helped me improve my overall college life. .754 .715 .955
I think the education in blended is consistent with what I want to learn. .725 .723 .955
I think that blended class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life. .704 .719 .955
I think blended lecture has something to do with my academic development. .732 .686 .955
I would like to take any additional or in-depth classes related to blended. .718 .577 .959
I am lectures in blended presented practical requirements. .730 .676 .956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he blended class. .750 .779 .954
I would like to recommend blended classes to others. .734 .732 .955
I think the blended class was taught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733 .743 .954
Immersion satisfaction I tend to take blended classes and study regularly. .761 .704 .943 .948
I before blended class, I review and review whether I understand what I am learning. .634 .556 .945
I tend to take blended classes and plan and learn systematically. .675 .557 .946
I after taking blended class, she is good at organizing the contents of lectures in notes. .699 .541 .947
I tend to concentrate on the blended class. .614 .591 .945
I tend to think about how what I learned in the blended class will be related to real life. .604 .610 .944
I blended classes tend to apply what she learned in real life. .597 .592 .944
I tend to look for ways to find the content of blended class interesting .570 .708 .943
I tend to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class outside of blended .575 .705 .943
I when there is a learning material needed for blended classes, I tend to be motivated to learn. .667 .717 .943
I blended tends to ask or present questions in class. .688 .607 .945
If there is something that I don't understand well in blended class, I tend to ask questions to educators. .717 .591 .945
I te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small group discussions in blended classes. .684 .550 .946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the assignments and exams in blended class, you tend to contact the educator to ask questions. .611 .423 .948
If there are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blended classes or assignments, they tend to help. .583 .477 .947
Eigenvalue 9.155 8.128
Variance description(%) 33.908 30.102
KMO & Bartlett 0.951
Table 4.
Differences in learning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 SD t/F value p Scheffe
Gender Female 3.557 .787 -2.157 .032*
Male 3.931 .578
Nationality Local 3.265 .819 -6.781 .000*
Foreign 3.939 .550
Age 20(a) 3.068 .857 5.543 .000* b>a
21(b) 3.860 .622
22(c) 3.557 .784
23(d) 3.457 .887
Over 24(e) 3.569 .690
Grade 1st (a) 3.106 .682 6.535 .000* b,c>a
2nd (b) 3.706 .651
3rd (c) 3.748 .745
4th (d) 3.397 .908
Major Hair(a) 3.471 .836 6.031 .000* c>e
Make-up(b) 3.450 .796
Asthetic(c) 4.000 .553
Nail(d) 3.725 .570
Etc(e) 3.151 .744
Number of courses taking 1 Course 3.125 .466 3.391 .010*
2 Courses 3.485 .547
3 Courses 3.350 .767
4 Courses 3.705 .657
Over 5 Courses 3.762 .868

* p<0.05

Table 5.
Differences in learning immer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 SD t/F value p Scheffe
Gender Female 3.589 .655 -1.369 .181
Male 3.755 .517
Nationality Local 3.356 .662 -6.035 .000*
Foreign 3.862 .510
Age 20(a) 3.148 .783 7.130 .000* b,e>a
21(b) 3.845 .536
22(c) 3.595 .629
23(d) 3.394 .601
Over 24(e) 3.612 .592
Grade 1st (a) 3.171 .668 7.398 .000* b,c>a
2nd (b) 3.749 .568
3rd (c) 3.717 .577
4th (d) 3.453 .749
Major Hair(a) 3.476 .689 4.988 .001* c>e
Make-up(b) 3.509 .641
Asthetic(c) 3.918 .536
Nail(d) 3.655 .478
Etc(e) 3.321 .595
Number of courses taking 1 Course 3.227 .357 3.808 .005*
2 Courses 3.518 .457
3 Courses 3.374 .647
4 Courses 3.682 .573
Over 5 Courses 3.754 .691

* p<0.05

References

Choi, I. H. (2018).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Practical Ability in NCS Nail Beauty Education: Daejeon. With Chungnam at the center. Ph.D. thesis at Westminster Theological University, 6.
Choi, W. H., & Jeon, Y. K. (2020). Review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focusing on video recording and real-time video classes. Field Study, 1(2), 1-28.
Harju, B. L., & Eppler, M. A. (1997). Achievement of motivation, flow and irrational beliefs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Instructional Pshchology, 22(3), 147-157.
Heo, J. E. (2019).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perceived game realism,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game-based learning.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Hong, H. W. (2012). The effects of professor factors and class environmental factor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1.
Jang, J. H. (2016).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 interac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SNS utilization classes. Master's thesis at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
Jang, W. S. (2020).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music majors'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h.D. thesis at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109-111.
Ji, Y. R. (2014).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on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A master's thesis at Andong University, 6.
Kim, A. R., & Yoon, M. Y. (2020). The Effect of Beauty Prior Learning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5), 1119.
Kim, D. I., & Kim, K. H. (2019). Design of nail beauty class model us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 9(2), 263-279.
Kim, E. K., & Jeon, H J. (2019). Impact of Study Motivation of Flip Learning on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Classes Related to Aesthetic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42-50.
Kim, J. H. (2018). Design and effectiveness of beauty styling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Ph.D.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Kim, J. W. (2021). A Satisfaction Survey on the Use of Online Classes in the Untext Era.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master's thesis.
Kim, S, H., & Jung, O, B. (1997). A Study on Percep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Subjective Learning Effects of the 6th Middle School Home an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Family and Education, 9(2), 47-67.
Kim, S. H. (2020). The effect of beauty education classes on learning rea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im, Y. A.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level of adult learners 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performance. Ph.D. thesis at Baekseok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Christianity, 149.
Kim, Y. K., & Park, S. I. (200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immersion factors, immersion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Open Educational Research, 14(1), 108.
Kim, Y. M. (2020). Transition to an untact society, future growth, and newtil: A time when rapid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s needed by discovering growth engines. Localization, 56-61.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2020) http://www.Kess.ked.re.kr (2021.05.22.).
Korean Educational Intelligence Service (2003). A series of strategies for activating remote classes, 12.
Kwon, H. J. (2020). A study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in a permanent class for blended learning hair beauty.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ee, B. K. (2020). A Study on the Learner's Response to Non-Face Culture and English Class due to Corona 19. Liberal Education Research, 14(4), 97-112.
Lee, D. H. (2018).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of beauty colleg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Ph.D. thesis at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6.
Lee, E. H. (2017). A survey 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both online and offline beauty education.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ee, H. J., Lim, S. H., & Kang, S. M. (2019). Exploring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Minerva School Case. Lifelong Learning Society, 15(2), 59-84.
Lee, J. H. (2009).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Motivational Factors and Learning Immers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Education, 36(3), 6-26.
Lee, M. R. (2020).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Immunity, Academic Achievement and Transfer of Learning: focusing on NCS-based Barista Learners applying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A Master's Degree thesis at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100.
Lim, J. H. (2018). A Study on the Open Sourc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Vietnam Case. Master's thesis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7.
Nam, H. J. (2021).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lip learning classes and continuing participation of beauty students. Master's thesis at Seokye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Nam, J. W. (2020). A Study on the Marketing of Performing Arts in Untact Techniques: Marketing of Performing Arts Using OnlineBased Media. Master's thesis at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Technology.
Park, S. Y. (2020). Efficient design education programs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practical classes Research,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6.
Seok, I. B.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on: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sikszentmihalyi's Immersion Model. Educational Engineering Research, 24(1), 187-212.
Shin, J. H.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blended learning for makeup class in beauty curriculum.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ang, M. S. (2021). The effect of online educators' image and teaching ability 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beauty students.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master's thesis, 2:63.
Yoo, H. J. (2020).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on learning attitudes and learning satisfaction: focusing on homeroom teachers at beauty high schools. Master's thesis at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52.
Yoo, Y. (2018). Effects of type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on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effectiveness in SNS cooperation learning. Master's thesis at Korea University, 5.
TOOLS
METRICS Graph View
  • 5 Crossref
  •  0 Scopus
  • 3,158 View
  • 47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