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중년여성의 이너뷰티 소비인식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피부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Now, the life span of human by aging, life expectancy and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extend and the human attended health and beauty according to aging. Also, new groups consumed items such as inner beauty, well-aging and anti-aging focused on beauty industry. in this study, we known definition of inner beauty and investigated factor analysis on recognition of inner beauty, skin health and beauty care behavior in 40 age’s women, Furthermore, the medication of beauty care behavior analyzed by the correlation among the recognition of inner beauty, skin health and beauty care behavior analyzed. The survey was obtained with questionnaire with 297 middle-aged women living Busan and Gyeongsangnam-do between June 2021 and August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WIN 21.0. As the results, the standard suitability of Kaiser-Meyer-Olkin (KMO) in recognition of inner beauty was 0.782, the standard suitability of KMO in beauty care behavior was 0.794 and the standard suitability of KMO in skin health was 0.739. Therefore, all items showed reliability with positive correlation among recognition of inner beauty, beauty care behavior and skin health. In effect analysis on skin health of recognition of inner beauty, the results showed effect of perfective medication. The beauty care behavior had effect on skin health indirectly, after the recognition of inner beauty had effect on beauty care behavior. The data from these results will be use basic data to develop study of inner beauty.

I. 서 론

UN World Social Report 2023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노인의 수와 인구 비율이 모두 증가한 반면, 어린이와 청소년의 수와 비율은 줄어들기 시작하여 2050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두 배로 늘어나 16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2년 통계청이 발표한 ‘2022 통계청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2년 현재 우리나라 인구의 17.5%(901만 8천 명)가 65세 이상인 고령인구로 나타났고, 이런 속도로 고령인구가 증가한다면 2025년에는 처음으로 20%(20.6%)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 한다. 이 한 예상은 2021년 3월 3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내용(2011~2020까지 한국의 고령화 비율이 연평균 4.4%씩 증가하였고, 이는 OECD 평균의 2.6%로 보다 1.7배가 빠른 것으로써 OECD 37개국 중 가장 빠르다는 분석)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는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고령화의 가속화가 우리 사회의 또 다른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소득증가와 소비패턴의 변화는 건강식품 시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소비패턴이 다양화됨에 따라 건강식품 제조업체들도 소비자들 의 니즈에 맞춘 다채로운 제품의 출시를 늘리고 있고(BP, 2022), COVID-19의 팬데믹으로 인한 시장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소비자의 구매패턴과 시장수요의 변화 등 상식적인 정체성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Park, 2022). 나아가 삼성KPMG 경제연구원(2021)의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19 확산 이후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스스로 반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여, 건강, 안전, 생명, 환경, 행복, 가족 등 본원적 가치(Essential Value)를 중시하는 현상이 강화되었다고 한다. 이는 외면의 아름다움과 내면의 신체 건강 유지와 질병, 성인병 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건강 지향적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또한 증가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Jung, 2006),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카테고리의 특성과 더불어 코스메틱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품목으로 좀 더 다각적이고 복잡한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Park, 2022).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발달과 건강 중시라는 사회 분위기 변화에 따른 뷰티산업 시장의 인식 변화와 새로운 화장품인 이너 뷰티 화장품의 개념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너뷰티의 인식, 피부건강, 뷰티케어행동에 대한 요인분석을 하여 일반적 특성에 다른 피부건강, 이버뷰티인식 및 뷰티케어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너뷰티의 인식 및 뷰티케어행동이 이너뷰티 인식과 피부건강 관계에서의 매개역활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는 이너뷰티관련 미용제품들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뷰티산업에서 독자적인 지위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해 나갈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맞닿은 고령화 사회에 단순히 나이 듦이 아니라 젊고 아름답게 살고자 하는 ‘건강한 아름다움의 연장’에 대한 향후 연구발전 방향에 초석이 되리라 사료된다.

II. 이론적 배경

1. 중년여성

일반적으로 중년여성이라 함은 청년과 노년의 중간시기의 여성 또는 인생의 전반에서 후반으로 바뀌어 가는 전환점의 시기에 놓여있는 여성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Ki, 2008)되며, 학자마다 그 의미의 해석을 달리한다. 또한 시대나 문화, 연구의 필요에 따라서 연령대를 선택하고 있는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중년(中年)을 마흔 살 안팎의 나이 또는 그 나이의 사람. 청년과 노년의 중간을 이르며, 때로 50대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라고 정의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의 중년여성은 41~59세에 해당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이너뷰티

일반적으로 이너뷰티라 함은 신체의 건강함이 피부의 아름다움으로 표출되는 것(Lee, 2005) 또는 건강한 아름다움은 곧 몸속에서부터 시작된다(Shim & Lee, 2019)라는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내면을 가꾸고 관리하는 것이 외적으로 표출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나아가 이너뷰티는 미용기능식품(Nutricosmetics)으로 불리며, 외부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아우터 뉴트리션(Outer nutrition)에 반대되는 이너 뉴트리션(Inner nutri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화장품과 식품의 중간 형태로 이너뷰티 개념이 등장하였다(Shim & Lee, 2019).
이너뷰티의 개념을 사전적 의미에서 살펴보면, 네이버와 다음 국어사전에서 ‘먹는 화장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내부에서부터 건강한 피부를 가꾼다’라고 거의 동일하게 정의 하고 있으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현재까지 미등재된 단어이다. 우리나라의 이너뷰티 제품은 2002년 아모레퍼시픽이 ‘뷰티 푸드’라는 컨셉으로 웰빙 브랜드 V=B(Vital=Beauty)를 런칭하면서 출시(Han, 2004)되었다. 이에 ‘코스메틱 푸드=이너뷰티’라는 개념(Lee, 2012)으로 서술한 선행 논문도 있어 기존의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거나 붙이는 등 도포의 방법을 사용한 반면, 이너뷰티는 먹거나 마시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이는 사용방법의 전환으로 인한 화장품의 기대효과를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이너뷰티의 정의에 대하여는 기능별, 원료, 섭취형태나 미용효과 등에 따라서 학자마다 그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나 내면에 영향을 주어 외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으로,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일련의 모든 행위 자체를 미용으로 규정지음을 이유로 건강기능이 강화된 미용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너뷰티인식에서 하위요인을 이너뷰티의 신뢰성, 필요성, 안전성으로 나누었다.

3. 뷰티케어행동

뷰티케어란 인체를 예술적으로 꾸미는 예술행위와 인체를 사랑하는 돌봄의 철학으로 실행하는 치료행위를 일컫는 것으로서 외모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꾸며주는 것이고(Choi, 2010), 뷰티관리행동이란 우리가 타인을 지각할 때 단서로 사용하는 신체적 특성인 얼굴모습, 피부,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매니큐어 등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고 내면화시켜 나가는 행동을 말하며, 뷰티관리행동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노력으로 이루어지며 복잡하고 다양화되는 사회에서 자신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도구로 여겨진다(Seol, 2010). 뷰티케어(Beauty care)라는 어원은 영국의 적십자사에서 제1차 세계대전 때 야전병원에서 병사들에게 복지감 향상을 위한 마사지 처치를 한 것이 뷰티케어의 시작(Choi, 2010)으로 보고 있으며, 뷰티관리행동이란 ‘뷰티’와 ‘관리’, ‘행동’이라는 단어의 합성어(Seol, 2010)이다. 여러 학자들의 관련 해석을 살펴보면 견해가 다양하고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뷰티를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모든 행위를 가리키고 있음에는 이견이 없다고 할 수 있으며, 용어표현을 살펴보면 뷰티케어, 뷰티관리, 뷰티헬스, 미용관리, 뷰티케어행동, 뷰티관리행위, 미용관리행동, 뷰티헬스케어행동 등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표기에 있어 beauty, care, 미용, 관리와 같이 한글·영문을 함께 사용하기에 비슷하거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선행논문을 살펴보면, 미용관리행동과 건강증진행위의 운동과 영양 요인을 합쳐서 미용건강관리행동으로 명명(Kim, 2017)하였고, 뷰티케어행동은 개인이 타인과의 상호관계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해 나가는 과정이며 자신의 외적인 이미지를 관리하는 수단으로 헤어관리, 두피관리, 피부관리, 체형관리, 메이크업 및 미용성형관리 등을 이용해 이미지를 개선시키고 변화시켜 아름다운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행동(Kim, 2019)이라 하면서, 뷰티와 관련된 여러 가지 도구와 다양한 방법으로 인체의 외적 이미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매력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행동(Kim, 2021)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미용 건강관리행동 내지 뷰티관리행위라는 같은 의미를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결국, 뷰티케어란 넓은 의미에서 고객의 얼굴, 체형, 피부 등의 상태를 개선하고 외모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꾸미는 관리(Park, 2016)이고, 뷰티관리행동이란 자신이 기대하는 모습으로 보이도록 다양한 도구들을 이용해 외모를 관리하는 행동(Lee, 2016)이다. 따라서 뷰티케어행동이란 아름다움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케어관리 행위와 관련하여 뷰티케어행위 전체를 포함하는 ‘뷰티케어행동’으로 명시하였고, 하위요인을 피부관리행동, 몸매관리행동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4. 피부건강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의 조건은 피부표면에 적당한 수분과 유분이 있고 매끈하며 부드럽고 탄력, 윤기와 광택이 있어야 하며(Yoon, 2007), 피부는 촉촉하고 윤기가 흐르고 피부결이 고와야 한다(Kim, 2013). 피부건강관리란, 외적으로는 자신의 외모, 내적으로는 자신의 개성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건강하고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생활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피부가 지닌 기능을 가능한 완전하게 유지시키고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행위(Shin, 2016)라고 한다. 피부의 건강상태는 개인의 생활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청결,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영양섭취, 적당한 운동, 적절한 휴식 등으로 건강을 유지하도록 자신의 생활습관에서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을 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하기에(Oh, 2012) 피부건강을 유지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피부유형을 인식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생활습관, 식습관, 피부관리행위, 피부건강교육이 중요하다(Kim, 2013).
오늘날 피부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특히 매스 미디어 및 사회진출의 영향으로 피부건강 관리를 위한 실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Choi, 2018), 피부관리인식이 높을수록 생활습관, 화장품 선택, 영양관리, 운동관리 등을 통한 피부건강관리의 실천행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Kim, 2019). 이는 아무런 인식 없이 피부건강을 위한 행위 자체보다는 피부건강에 대한 정한인식과 이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행위가 피부건강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너뷰티인식이 피부건강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피부건강을 피부진단, 피부상태, 피부문제성여부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모형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다음 Fig. 1과 같다.

2. 연구가설

중년여성의 이너뷰티소비인식이 피부건강상태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1 이너뷰티소비인식의 신뢰성이 피부진단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2 이너뷰티소비인식의 필요성이 피부진단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3 이너뷰티소비인식의 안전성이 피부진단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4 이너뷰티소비인식의 신뢰성이 피부상태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5 이너뷰티소비인식의 필요성이 피부상태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6 이너뷰티소비인식의 안전성이 피부상태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7 이너뷰티소비인식의 신뢰성이 피부문제성여부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8 이너뷰티소비인식의 필요성이 피부문제성여부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9 이너뷰티소비인식의 안전성이 피부문제성여부 간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부산·경남을 중심으로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조사 기간은 2021년 06월 01일 부터 2021년 8월 31일 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하여 답변이 불성실 한 3부를 제외한 나머지 297부를 최종 표본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4. 측정 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은 총 4개 부문으로 되었다. 이너뷰티 인식 변수 9문항, Woo & Park(2021), Lee(2018), Kwon(2022)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구성하였다. 뷰티케어행동 6문항, Park(2019)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고, 피부건강 9문항으로 Han(2013), Lee(2021)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특성 7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5점 Likert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에서 5-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5. 자료처리 방법

연구 자료의 통계적 방법은 SPSS 24.0,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분석으로는 이너뷰티인식, 피부건강, 뷰티케어행동 문항에 대한 요인추출법으로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s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지정한 고유치 이상의 값을 갖는 요인만을 추출하였다. 요인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베리맥스(Verimax)회전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의 요인간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요인적재량(Factorloading)의 수용기준은 보통 .40 이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문항 척도로 측정된 문항이 동질적인 문항들로 구성되었는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간의 내적 일치도를 보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너뷰티인식, 뷰티케어행동, 피부건강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너뷰티인식과 피부건강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뷰티케어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음 <Table 1>과 같다.
설문에 응답한 297명의 설문조사 분석결과 연령은 ‘50대’ 168명(56.6%), 40대 129명(43.4%)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는 ‘기혼’ 212명(71.4%), ‘미혼’ 85명(28.6%)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업’ 116명(39.1%), ‘전문대 졸업’ 90명(30.3%), ‘대학원 졸업’ 54명 (18.2%), ‘고등학교 졸업’ 이하 37명(12.5%)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기술전문직’ 80명(26.9%), ‘사무직공무원’ 71명(23.9%), ‘판매서비스직’ 63명(21.2%), ‘자영업’ 57명(19.2%), ‘주부 및 학생’ 26명(8.8%) 순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은 ‘400만원 이상’ 112명(37.3%), ‘300~400만원 미만’ 104명(35%), ‘300만원 미만’ 81명(27.3%) 순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이너뷰티제품 사용비용은 ‘10~20만원 미만’ 136명(45.8%), ‘10만원 미만’ 114명(38.4%), ‘20만원 이상’ 47명(15.8%) 순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뷰티케어행동 사용비용은 ‘10~20만원 미만’ 134명(45.1%), ‘10만원 미만’ 116명(39.1%), ‘20만원 이상’ 47명(15.8%)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용한 요인추출법으로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s analysis)을 통하여 지정한 고유치 이상의 값을 갖는 요인만을 추출 하였다. 회선요인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베리맥스(Verimax)회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의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요인적재량의 수용기준은 보통 .40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문항 척도로 측정된 문항들이 동질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일치 도를 보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1) 이너뷰티인식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이너뷰티인식 변수에 대해 하위요인을 최종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너뷰티인식의 전체 분산 설명력은 61.369%를 보이고 있다. Kaiser-Meyer-Olkin(KMO) 표준 적합도는 .782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558.922, p<.001로 나타났다. 인식의 하위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가 이너뷰티 인식 중 신뢰성(Reliability)은 .727, 필요성(Necessity)는 .616, 안전성(Safeness)은 .648로 나타나 .616~.727까지 모두 적절한 값으로 나타났다.

2) 뷰티케어행동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뷰티케어행동 변수에 대해 하위요인을 최종적으로 분석한 결과 뷰티케어행동의 전체 분산 설명력은 56.775%를 설명하고 있다. KMO 표준 적합도는 .794으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249.608, p<.001로 나타났다. 뷰티케어행동의 하위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가 피부관리(Skin care)은 .628, 몸매관리(Body care)는 .627로 나타나 .627~.628까지 모두 적절한 값으로 나타났다.

3) 피부건강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피부건강 변수에 대해 하위요인을 최종적으로 분석한 결과 피부건강의 전체 분산 설명력은 56.828%를 설명하고 있다. KMO 표준 적합도는 .739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411.052, p<.001로 나타났다. 피부건강의 하위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가 피부진단(Self judgment)은 .613, 피부상태(Skin condition)는 .609, 문제성여부(Skin problems status)는 .602로 나타나 .602~.613까지 모든 문항에 적절한 값으로 나타났다.

3.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이너뷰티인식과 뷰티케어행동 그리고 피부건강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의 이너뷰티인식이 피부건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에 대한 변수간의 관련성이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매개효과 분석

먼저 이너뷰티인식과 피부건강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가 있다고 검증되기 위해서는 ⑴ 회귀방정식에서 독립 변인은 종속변인과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며, ⑵ 독립변인은 가정된 매개 변인과 유의한 영향을 미쳐야 하고, ⑶ 매개변인은 회귀방정식에서 종속변인의 분산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매개변인을 추가할 때 독립변인의 계수가 유의미 수준에서 무의미 수준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완전매개(Full mediation), 계수가 감소하는 하나 무의미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관계가 성립된다고 본다.

1) 이너뷰티 신뢰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

이너뷰티인식의 하위요인인 신뢰성은 1단계 회귀계수 (β)는 .119 (t=2.062, p<.05)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317 (t=5.732,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035 (t=0.598, p>.05),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265 (t=4.488,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 유의미하였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이너뷰티인식 중 신뢰성이 피부건강 중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피부관리행동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너뷰티 신뢰성이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몸매관리행동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2) 이너뷰티 필요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

1단계 회귀계수 (β)는 .144 (t=2.506, p<.05)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268 (t=4.775,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076 (t=1.307, p>.05),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256 (t=4.411,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 유의미하였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인식 중 이너뷰티 필요성이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너뷰티 필요성이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몸매관리행동도 정의 완전매개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3) 이너뷰티 안전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

1단계 회귀계수 (β)는 .153 (t=2.651, p<.01)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306 (t=5.515,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075 (t=1.279, p>.05),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253 (t=4.314,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 유의미하였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 안전성이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피부관리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너뷰티 안전성이 피부진단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몸매관리행동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Kim(2002)의 연구에서 피부건강관리를 위해 특별한 곳을 방문하거나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보다 화장품을 사용하거나 영양분의 섭취 등의 방법을 피부건강을 위해 더 선호한다는 것과, (주)마크로밀엠브레인의 리서치보고서(2016)에서 향후 이너뷰티 제품 구입 시 주로 고려하게 될 요인으로는 ‘피부 미용 효과’가 선호가 높게 나온 결과와 같이 이너뷰티인식의 신뢰성, 필요성, 안전성은 피부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4) 이너뷰티 신뢰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상태 에 미치는 영향

1단계 회귀계수 (β)는 .179 (t=3.133, p<.01)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317 (t=5.732,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085 (t=1.468, p>.05),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298 (t=5.148,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 유의미하였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 신뢰성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너뷰티 신뢰성과 피부상태와의 관계에서 몸매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단계 회귀계수 (β)는 .179 (t=3.133, p<.01)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144 (t=2.507, p<.05),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127 (t=2.353, p<.05),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363 (t=6.721,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 신뢰성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몸매관리 행동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5) 이너뷰티 필요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너뷰티 필요성과 피부상태와의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단계 회귀계수 (β)는 .235 (t=4.146, p<.001)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268 (t=4.775,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159 (t=2.814, p<.01),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283 (t=5.002,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 인식 중 필요성이 피부건강 중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 중 피부관리행동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너뷰티 필요성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도 몸매관리행동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6) 이너뷰티 안전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너뷰티 안전성과 피부상태와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피부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단계 회귀계수 (β)는 .249 (t=4.424, p<.001)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306 (t=5.515,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166 (t=2.898, p<.01),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275 (t=4.807,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 안전성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너뷰티 안전성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몸매관리행동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인식의 신뢰성, 필요성, 안전성은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에서 피부관리행동과 몸매관리행동에 있어 정의 완전매개효과와 정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너뷰티 제품을 섭취한 이유는 피부 고민을 개선하기 위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Park(2022)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7) 이너뷰티 신뢰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 문제성 여부에 미치는 영향

이너뷰티인식 중 신뢰성이 피부건강 중 문제성 여부와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단계 회귀계수 (β)는 .081(t=1.404, p>.05)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어 이너뷰티인식 중 신뢰성이 피부건강 중 문제성 여부와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피부관리행동과 몸매관리행동의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8) 이너뷰티 필요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 문제성여부에 미치는 영향

이너뷰티 필요성과 문제성여부와의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단계 회귀계수 (β)는 .132 (t=2.289, p<.05)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회귀계수 .268 (t=4.775, p<.001),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의 회귀계수는 .083 (t=1.402, p>.05), 매개변인 회귀계수가 .184 (t=3.124, p<.0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단계에서 유의미하였던 독립변인의 회귀계수 값이 3단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너뷰티인식 중 필요성이 피부건강 중 문제성 여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피부관리행동은 정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이너뷰티 필요성이 문제성여부와의 관계에서는 3단계에서 매개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어 몸매관리행동의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9) 이너뷰티 안전성이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한 피부 문제성여부에 미치는 영향

이너뷰티인식 중 안전성이 피부건강 중 문제성 여부와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단계 회귀계수 (β)는 .093(t=1.611, p>.05)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어 이너뷰티인식 중 안전성이 피부건강 중 문제성 여부와의 관계에서 뷰티케어행동의 피부관리행동과 몸매관리행동의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이 이너뷰티제품을 사용함과 동시에 피부건강을 위하여 피부과를 이용하고, 세안에 신경 쓰며 기능성 화장품을 즐겨 바르며, 출근이나 외출 전에 피부화장을 하며, 몸매관리를 위하여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며 과식을 하지 않으려고 스스로가 노력하고 있고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본인들의 피부상태가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관리가능 하다가 생각하고 있음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50대 이상인 여성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가 노화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화장품을 바르는 것으로는 피부 개선에 한계를 느껴 먹는 제품인 이너뷰티 제품의 효과가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Park, 2022)와 일치하다.

V. 결 론

본 연구는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언택트 시대의 중년여성의 이너뷰티인식, 뷰티케어행동, 피부건강에 대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이너뷰티인식과 피부건강 요인의 관계, 뷰티케어행동의 매개 역할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이너뷰티 제품은 피부에 필요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속적인 섭취는 피부를 건강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중년여성의 인식은 전체적인 피부건강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나아가 이너뷰티 제품의 섭취로 인한 면역력 향상 및 체지방 감소 등은 이너뷰티 제품섭취의 필요성 및 피부건강과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너뷰티 제품의 인증방법, 제조 가능 업체 및 주성분에 대한 인식 또한 피부건강 상태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년여성의 이너뷰티에 대한 인지력, 섭취 필요성 및 인식은 40~50대 중년 여성의 뷰티케어행동인 피부 관리를 위해 기능성 화장품을 즐겨 바르며 피부과를 이용하거나 세안에 신경을 쓰며 외출 전에는 피부 화장을 하며, 피부건강 뿐 아니라 몸매관리를 위하여 과식을 하지 않으며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는 것의 뷰티케어행동을 매개로 피부상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년여성의 이너뷰티인식이 피부 예민성 및 트러블에 있어서 뷰티케어행동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는 본인들이 이너뷰티 제품을 꾸준히 섭취하면서 뷰티케어행동 등으로 관리한다면 피부 예민성 및 트러블은 관리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현대 중년여성은 외모관리에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리의 노력이 외모의 평가에 있어서 자신감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이너뷰티의 연구의 필요성 및 발전방향에 기초자료로 활용 되리라 사료된다.
연구의 한계 및 제언으로는 첫째, 이너뷰티의 개념 및 이너뷰티행동에 대한 정의가 정확하게 정립되지 않았기에 인어뷰티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둘째, 본 연구가 이너뷰티분야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인구 비례에 따른 다양한 연령군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더 세분화된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 조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셋째, 부산·경남 소재지의 297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를 가지고 이너뷰티인식과 피부건강 요인의 관계, 뷰티케어행동의 매개 역할에 대해서 효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할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이너뷰티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에 비추어 구매자가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통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제품 표기방법 및 인증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Fig. 1.
Research mode
JKSC-2023-29-3-561f1.jpg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 %
Age 40s 129 43.4
50s 168 56.6
Marital status Single 85 28.6
Married 212 71.4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or below 37 12.5
Junior college 90 30.3
Four-year college 116 39.1
Graduate school 54 18.2
Occupation Technical profession 80 26.9
Office worker 71 23.9
Sales service job 63 21.2
Self-employed 57 19.2
Housewives and students 26 8.8
Average monthly income <KRW 3 mil 81 27.3
<KRW 4 mil. 104 35.0
KRW 4 mil. or higher 112 37.7
Average monthly cost of using inner beauty products <100,000 won 114 38.4
< 200,000 won 136 45.8
≥200,000 won 47 15.8
<100,000 won 116 39.1
Average monthly cost of using beauty products < 200,000 won 134 45.1
≥200,000 won 47 15.8
Total 297 100.0
Table 2.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ner beauty Awareness
Beauty care behavior
Skin health status
1 2 3 4 5 6 7 8
1 1
2 .334*** 1
3 .401*** .373*** 1
4 .317*** .268*** .306*** 1
5 .144* .276*** .371*** 320*** 1
6 .119* .144* .153** .276*** .216*** 1
7 .179*** .235*** .249*** .325*** .381*** .410*** 1
8 .081 .132* .093 .207*** -.049 .313*** .206*** 1
M 3.44 3.52 3.26 3.43 3.36 3.23 3.31 3.39
S.D .655 .597 .640 .570 .643 .581 .525 .673

1. Inner beauty reliability, 2. Inner beauty necessity, 3. Inner beauty safeness, 4. Skin care, 5. Body care, 6. Self judgment, 7. Skin condition, 8. Skin problems status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 : p<.05,

** : p<.01,

*** : p<.001

Table 3.
Analysis of Effect on Skin Diagnosis of Inner-beauty’s Reliabili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866 .180 15.965*** .000 .014 4.252* .040
reliability .106 .051 .119 2.062* .040 1.000
2 (Constant) 2.487 .168 14.789*** .000 .100 32.851*** .000
reliability .275 .048 .317 5.732*** .000 1.000
3 (Constant) 2.194 .230 9.557*** .000 .077 12.336*** .000
reliability .031 .052 .035 .598 .550 1.111
skin care .270 .060 .265 4.488*** .000 1.111
1 (Constant) 2.866 .180 15.965*** .000 .014 4.252* .040
reliability .106 .051 .119 2.062* .040 1.000
2 (Constant) 2.868 .198 14.490*** .000 .021 6.284* .013
reliability .142 .057 .144 2.507* .013 1.000
3 (Constant) 2.340 .230 10.154*** .000 .055 8.493*** .000
reliability .080 .051 .090 1.568 .118 1.021
body care .184 .052 .203 3.545*** .000 1.021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4.
Analysis of Effect on Skin Diagnosis of Inner-beauty’s Necessi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735 .200 13.663*** .000 .021 6.281* .013
necessity .141 .056 .144 2.506* .013 1.000
2 (Constant) 2.534 .191 13.260*** .000 .072 22.802*** .000
necessity .256 .054 .268 4.775*** .000 1.000
3 (Constant) 2.074 .245 8.453*** .000 .082 13.068*** .000
necessity .074 .056 .076 1.307 .192 1.077
skin care .261 .059 .256 4.411*** .000 1.077
1 (Constant) 2.735 .200 13.663*** .000 .021 6.281* .013
necessity .141 .056 .144 2.506* .013 1.000
2 (Constant) 2.309 .215 10.736*** .000 .076 24.328*** .000
necessity .297 .060 .276 4.932*** .000 1.000
3 (Constant) 2.337 .232 10.056*** .000 .054 8.471*** .000
necessity .089 .057 .092 1.555 .121 1.082
body care .173 .053 .191 3.234** .001 1.082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5.
Analysis of Effect on Skin Diagnosis of Inner-beauty’s Safe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779 .174 16.010*** .000 .023 7.026** .008
safeness .138 .052 .153 2.651** .008 1.000
2 (Constant) 2.547 .164 15.536*** .000 .093 30.418*** .000
safeness .272 .049 .306 5.515*** .000 1.000
3 (Constant) 2.121 .227 9.329*** .000 .081 13.028*** .000
safeness .068 .053 .075 1.279 .202 1.103
skin care .258 .060 .253 4.314*** .000 1.103
1 (Constant) 2.779 .174 16.010*** .000 .023 7.026** .008
safeness .138 .052 .153 2.651** .008 1.000
2 (Constant) 2.139 .180 11.862*** .000 .138 47.209*** .000
safeness .373 .054 .371 6.871*** .000 1.000
3 (Constant) 2.421 .208 11.635*** .000 .053 8.189*** .000
safeness .076 .055 .084 1.371 .171 1.160
body care .167 .055 .185 3.026** .003 1.160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6.
Analysis of Effect on Skin Status of Inner-beauty’s Reliabili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821 .161 17.565*** .000 .032 9.815** .002
reliability .144 .046 .179 3.133** .002 1.000
2 (Constant) 2.487 .168 14.789*** .000 .100 32.851*** .000
reliability .275 .048 .317 5.732*** .000 1.000
3 (Constant) 2.138 .203 10.515*** .000 .112 18.583*** .000
reliability .068 .046 .085 1.468 .143 1.111
skin care .275 .053 .298 5.148*** .000 1.111
1 (Constant) 2.821 .161 17.565*** .000 .032 9.815** .002
reliability .144 .046 .179 3.133** .002 1.000
2 (Constant) 2.868 .198 14.490*** .000 .021 6.284* .013
reliability .142 .057 .144 2.507* .013 1.000
3 (Constant) 1.971 .196 10.061*** .000 .161 28.229*** .000
reliability .102 .043 .127 2.353* .019 1.021
body care .296 .044 .363 6.721*** .000 1.021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7.
Analysis of Effect on Skin Status of Inner-beauty’s Necessi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589 .178 14.584*** .000 .055 17.189*** .000
necessity .206 .050 .235 4.146*** .000 1.000
2 (Constant) 2.534 .191 13.260*** .000 .072 22.802*** .000
necessity .256 .054 .268 4.775*** .000 1.000
3 (Constant) 1.930 .216 8.948*** .000 .129 21.806*** .000
necessity .140 .050 .159 2.814** .005 1.077
skin care .260 .052 .283 5.002*** .000 1.077
1 (Constant) 2.589 .178 14.584*** .000 .055 17.189*** .000
necessity .206 .050 .235 4.146*** .000 1.000
2 (Constant) 2.309 .215 10.736*** .000 .076 24.328*** .000
necessity .297 .060 .276 4.932*** .000 1.000
3 (Constant) 1.944 .197 9.850*** .000 .163 28.717*** .000
necessity .123 .049 .140 2.525* .012 1.082
body care .280 .045 .342 6.171*** .000 1.082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8.
Analysis of Effect on Skin Status of Inner-beauty’s Safe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648 .154 17.252*** .000 .062 19.575*** .000
safeness .204 .046 .249 4.424*** .000 1.000
2 (Constant) 2.547 .164 15.536*** .000 .093 30.418*** .000
safeness .272 .049 .306 5.515*** .000 1.000
3 (Constant) 2.005 .200 10.041*** .000 .131 22.074*** .000
safeness .136 .047 .166 2.898** .004 1.103
skin care .253 .053 .275 4.807*** .000 1.103
1 (Constant) 2.648 .154 17.252*** .000 .062 19.575*** .000
safeness .204 .046 .249 4.424*** .000 1.000
2 (Constant) 2.139 .180 11.862*** .000 .138 47.209*** .000
safeness .373 .054 .371 6.871*** .000 1.000
3 (Constant) 2.064 .177 11.661*** .000 .159 27.749*** .000
safeness .103 .047 .125 2.172* .031 1.160
body care .273 .047 .335 5.809*** .000 1.160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9.
Analysis of Effect on Troubling Skin of Inner-beauty’s Reliabili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3.106 .209 14.890*** .000 .007 1.972 .161
reliability .084 .060 .081 1.404 .161 1.000
2 (Constant) 2.487 .168 14.789*** .000 .100 32.851*** .000
reliability .275 .048 .317 5.732*** .000 1.000
3 (Constant) 2.516 .271 9.297*** .000 .043 6.598** .002
reliability .018 .062 .018 .297 .766 1.111
skin care .237 .071 .201 3.340** .001 1.111
1 (Constant) 3.106 .209 14.890*** .000 .007 1.972 .161
reliability .084 .060 .081 1.404 .161 1.000
2 (Constant) 2.868 .198 14.490*** .000 .021 6.284* .013
reliability .142 .057 .144 2.507* .013 1.000
3 (Constant) 3.293 .273 12.069*** .000 .010 1.552 .213
reliability .093 .060 .090 1.543 .124 1.021
body care -.065 .061 -.062 -1.064 .288 1.021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10.
Analysis of Effect on Troubling Skin of Inner-beauty’s Necessi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2.870 .232 12.363*** .000 .017 5.241* .023
necessity .149 .065 .132 2.289* .023 1.000
2 (Constant) 2.534 .191 13.260*** .000 .072 22.802*** .000
necessity .256 .054 .268 4.775*** .000 1.000
3 (Constant) 2.318 .289 8.021*** .000 .049 7.578** .001
necessity .093 .067 .083 1.402 .162 1.077
skin care .218 .070 .184 3.124** .002 1.077
1 (Constant) 2.870 .232 12.363*** .000 .017 5.241* .023
necessity .149 .065 .132 2.289* .023 1.000
2 (Constant) 2.309 .215 10.736*** .000 .076 24.328*** .000
necessity .297 .060 .276 4.932*** .000 1.000
3 (Constant) 3.094 .273 11.330*** .000 .025 3.835* .023
necessity .178 .067 .158 2.634** .009 1.082
body care -.097 .063 -.093 -1.550 .122 1.082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Table 11.
Analysis of Effect on Troubling Skin of Inner-beauty’s Safety Through Beauty Care Behavior
Phase B S.E β t p VIF R2 F p
1 (Constant) 3.074 .202 15.189*** .000 .009 2.595 .108
safeness 0.098 .061 .093 1.611 .108 1.000
2 (Constant) 2.547 .164 15.536*** .000 .093 30.418*** .000
safeness 0.272 .049 .306 5.515*** .000 1.000 .093
3 (Constant) 2.484 .268 9.250*** .000 .044 6.714** .001
safeness 0.035 .063 .033 0.557 .578 1.103
skin care 0.232 .071 .196 3.278** .001 1.103
1 (Constant) 3.074 .202 15.189*** .000 .009 2.595 .108
safeness 0.098 .061 .093 1.611 .108 1.000
2 (Constant) 2.139 .180 11.862*** .000 .138 47.209*** .000
safeness 0.373 .054 .371 6.871*** .000 1.000
3 (Constant) 3.292 .245 13.418*** .000 .017 2.528 .082
safeness 0.136 .065 .130 2.080* .038 1.160
body care -0.102 .065 -.097 -1.565 .119 1.160

S.E: standard error,

* : p<.05,

** : p<.01,

*** : p<.001

References

BP technology transaction. (2022). Inner beauty mee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y report, Seoul.
Choi, Y. S. (2010). Study of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visual beauty care program and tactile beauty care program on elderly women at the welfare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gbuk-do.
Choi, J. W. (2018). Study on Women's Perception and Practice regarding Management of Skin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Choi, E. (2019). Analysis of Behaviors and Status of Beauty and Health Care of Adult Men and Women -Focus on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5(2), 384-395.
Go, S. M. (2021). The Effects of Skin Health Care Awareness on Practic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Han, Y. H. (2004). A Study on Well-Being Tre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Han, J. 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health status and lifestyle, cosmetics use and purchasing behavior in young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Jung, S. J. (2007). Plan of information service publicity through the survey on the consumer`s usage and recognition of functional f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Jeon, H. R., & Jeon, H. J. (2016).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cosmetic surgery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2(6), 1196-1206.
Ki, S. J. (2008). The study of the influences between the sexualrelated variables of the middle-aged woman and their roles i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im, J. Y., Kim, H. A., Pakr, K. H., & Cho, Y. H. (2004). Understanding of Functional Foods for Nutritional Skin Car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0(3), 313-320.
Kim, E. S. (2013). A study on necessity of skin health education in relation to high school girls interest in and satisfaction with skin condi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im, S. J., & Kim, S. Y.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76-187.
crossref pmid
Kim, H. J. (2016). A research on the behaviors of beauty care and beauty lifestyl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Kim, I. O., & Kim, D. Y. (2019). Difference between body image, interest of aesthetics and beauty-management behavior by age groups in Korean fem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5(1), 111-124.
crossref
Kim, S. H. (2021).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and the mitigation of stress : Ba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happiness and body este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Chungcheongbuk-do.
Kim, H. S., & Heo, H. S. (2022). Awareness of color therapy and expectation effects in middle-aged womens.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16(1), 85-91.
crossref
Kwon, E. L. (2022) Perceived value and purchasing propensity of inner beauty product consumers according to lifestyle after COVID-19.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Lee, E. Y. (2005). Attitude & percepions on the skin care health food among working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Lee, J. M. (2012). A research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about cosmetic f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Lee, H. N.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men's values by age on beauty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Lee, J. M. (2017). Influence of beauty and health care behaviors on perceived physical sttractivenes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in middle-aged 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Lee, S. H., Cho, Y. J., & Kang, S. M. (2017). Potential efficacy against anti-inflammation and wrinkle improvement of tyndallized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for Inner Beauty.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23(2), 345-351.
Lee, H. R. (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inner beauty products in beauty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Lee, Y. J., & Lee, J. H. (2020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n physical respec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7(6), 1605-1618. https://doi.org/10.12925/jkocs.2020.37.6.1605.
crossref
Lee, S. Y. (2021). A study on the relevance of consumption attitude toward functional foods to the perceived skin cond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Gyeongsangbuk-do.
Macromill, E.. (2016). Research on inner beauty Macromill Embrain.
Oh, E. H. (2012).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behavior on skin health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 In University, Gyeonggi-do.
Park, M. J. (2016). The effect of value view yype of pregnant women on beauty concern degree and beauty care purchas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Park, M. E. (2019).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 aesthetic image and social and cultural attitudes to & psychological influence on sppear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ungsan University, Gyeongsangnam-do.
Park, J. S. (2020 Changes in beauty service industry in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ging: Focused on expandability of the smart beauty care marke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1(1), 205-219. http://dx.doi.org/10.22143/HSS21.11.1.16.
crossref
Park, J. A. (2022).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Gyeonggi-do.
Park, S. J. (2022). A study on women‘s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inner beauty suppl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crossref
Seol, H. J. (2010). A study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eauty behavior according to sociocultural factors on appearance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Seo, J. M. (2012). An inner beauty product sales strategy for a brand 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Shin, S. G.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op among skin condi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skin care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Shim, B. S., & Lee, B. J. (2019 Market trends for nutricosmetics. Market Trends for Nutricosmetics, 22(1), 23-37. https://doi.org/10.33097/JNCTA.2021.05.03.476.
crossref
Yoon, S. Y. (2007). A study on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management in college women-focused on hair, skin care, makeup, and cosmeti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Zeitham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crossref pd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