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미용시설 이용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bstract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to improve the use of beauty facilities. Second,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UD guidelines for beauty sal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cognition of beauty salons and the necessity of U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al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survey, the uncomfortable space of the salon could be identified as the entrance, and the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recognition showed that 220 people (88.0%) were needed for UD in the salon, and the most needed UD in the salon was "stability. Third, expert meetings were held to enhance reliability by forming preliminary UD guidelines for hair sal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elated laws, and UD principles, and as a result, they were suggested to install guide signs, safety handles, and braille blocks. Afterwards, supplementation and correction were carried out to finally derive UD guidelines for beauty salons, an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UD guidelines for beauty salon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use of beauty salons.

I. 서 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더는 비장애인의 배려가 아닌 전 국민이 함께 고민하며 풀어가야 할 사회적 책무이며, 이러한 현실을 인식하고 함께 맞춰 나아가야 하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므로(Lee, 2007) 현재 사회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어린이 등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균형적인 복지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Shin, 2020)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Cho, 2015). 유니버설 디자인은 환경, 건축, 제품 등을 넘어 교육, 패션, 서비스 등도 포함하여 광의의 ‘최대한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생활하는 사회를 구현하는 디자인’으로 그 범위가 점차 늘어나면서(Lee, 2007) 다중이용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주거 단지 커뮤니티 시설, 종합병원 공용 공간, 업무시설, 상업 공간 등을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Yoo, 2015). 하지만 아직까지 미용실 공간 연구 사례로는 미용현장 종사자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보조 도구 개발 연구(Hong, 2023), 미용실의 공간디자인 마케팅, 선호도에 대한 연구(Kim, 2012), 그린디자인의 미용실 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Jang, 2005), 공간구조와 매출(Shin, 1998) 등이 있으나 유니버설 디자인을 미용실 공간에 적용하여 구체적으로 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지와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의무가 확산됨에 따라 미용실도 내부적, 외부적 환경에 의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이 확산 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계층들이 안전하고 평등하고 이용할 수 있는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시설

1) 미용실 현황

2021년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약 11만 개의 미용실이 전국적으로 영업 중이며 2020년 기준 10년 동안 증가율은 28%로 조사되었다. 경기(2만 4453곳)와 서울(1만 8912곳)이 가장 많으며 인구 대비 미용실이 가장 많은 곳은 대구(6313곳)로 조사되었다. 미용실 창업률은 8.2%이며 폐업률은 6.2%로 타 업종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2) 미용실 공간 구성

보편적으로 미용실 공간은 리셉션 공간, 대기 공간, 샴푸 공간, 약제실, 세팅 공간, 직원실, 화장실 등으로 구성된다. 점포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을 조합하여 간단히 구성하거나 더욱 세분화하여 구성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리셉션 공간, 대기 공간, 스타일링 공간, 샴푸 공간, 기타 공간으로 나누어진다(Yoo, 2010). 리셉션 공간은 고객이 진출입 시 처음 접하게 되는 공간으로 출입구, 카운터, 고객 락카, 헤어 관련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구성되며 부드러운 연출이 필요하다(Jang, 2005). 대기 공간은 고객이 시술을 받기 전 잠시 대기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보조 작업 공간의 역할과 직원의 휴식 공간이기도 하므로 많이 배려가 필요한 공간이다(Yoo, 1996). 스타일링 공간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다양한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이다. 헤어 커트, 퍼머넌트, 염색, 드라이 등 대부분의 작업이 이루어지며 미용사와 고객의 마찰이 가장 많은 곳이므로 동선상의 철저한 배려가 필요하다(Shin, 1998). 샴푸 공간은 미용행위가 시작되는 공간이기도 하며 샴푸행위가 시작되는 공간이다. 고객의 이동이 잦은 공간이므로 동선의 흐름에 유의하고 고객의 심리 안정을 위해 간접조명의 이용이나 칸막이 등을 활용하여 공간을 부드럽게 연출한다. 기타 공간은 일반적으로 직원실, 세탁실, 보일러실, 약제실, 화장실 등이 있으며 규모가 작은 미용실에서는 세분화 되지 않고 복합 된 공간으로 구성되기도 한다(Jang, 2005).

2. 유니버설 디자인

1950년 미국에서 일어난 ‘무장애 운동’을 시작으로 1970년 미국 로너드 메이스교수가 ‘총제적 접근’이라 정의하였으며(Lee, 2005) 인종, 성별, 연령, 능력 등으로 차별 없이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감각 능력, 인지능력, 사회문화적 배경에 관련없이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디자인 어프로치를 통한 우수 사례’ 들이 유니버설 디자인(UD)이라 정의되고 있다(Lee, 2007). 유니버설 디자인은 차별 없이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보편적인 디자인으로 제품, 환경, 건축, 서비스 등이 포함되며 ‘인간을 위한다’는 의미로 인간의 존엄성과 디자인의 평등을 실현하는 창조적 디자인이다(Oh, 2010).

1)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

국내에서는 기존의 UD 4원칙, 7원칙 원리와 머사 앤 리 의 사용자 이득 기준을 종합, 수정하여 UD 5원칙을 제시하였다(Lee, 2007). UD 5원칙은 다음 <Table 1>과 같다.

2)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사례

유니버설 디자인 국내 사례로는 블랙 캡 택시, 손잡이, 저상 버스 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국외 사례에서는 캐나다의 화장실, 일본의 공중전화박스, 미국의 전동카트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Table 2>와 같다.

3) 유니버설 디자인 미용 관련 사례

유니버설 디자인 미용 관련 사례에서는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가위, 안면 피부 미용 기기, 기반 화장품 포장 용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Table 3>과 같다.

3. 선행연구

Jang(2005)은 미용실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그린디자인의 적용가능성과 방법을 제시 한 연구를 하였고 Min(2009)은 공공디자인 관련사업의 문제점 파악 후 행정제도와 행정시스템 모색 연구, Yoo(2015)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커피전문점 시설별 체크리스트 작성 후 공간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제공 연구, Jang(2016)은 UD4원칙 및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전시 공간의 UD 적용수준 및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개선 방향 제시 연구, Park(2020)은 유적지 등 UD 체크리스트 적용 및 평가 연구, Yang(2022)은 시설물 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조사, 관련 법률을 참고 후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작성한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의 자세한 내용은 <Table 4>와 같다. 본 연구의 관련 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미용실 실내디자인 연구, UD 평가 연구, UD 가이드라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 인 미용시설 이용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과정

본 연구의 연구 과정은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필요성 설문 조사, 미용실 예비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성, 전문가 검증, 최종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성으로 진행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Table 5>와 같다.

1) 인식조사

본 연구는 미용실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찾기 위해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인식 및 필요조사를 2022년 9월 2일~9월 28일까지 장애인 50명, 임산부 50명, 고령자 50명, 영유아 동반자 50명, 일반인 50명 총 250명에게 구글폼 및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구성 및 항목으로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 6문항(Kim, 2017), 미용실 이용, 만족도 조사 9문항 (Woo, 2013), 유니버설 디자인 인식 및 필요성 조사 6문항(Seo, 2020), (Ryu, 2021)으로 총 21문항으로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2) 미용실 예비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미용실 UD 체크리스트, UD 5원칙, 관련 법규를 바탕으로 미용실에 맞게 구성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Table 6>과 같다.

3) 전문가 회의 및 검증

검증 평가를 위한 전문가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석사학위 소지자 2인, 시설 및 인테리어 관련 분야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갖춘 석사학위 소지자 2인과 미용교육 분야에서 박사학위 소지자로 10년 이상 경력을 갖춘 2인으로 총 6인의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미용실 UD 가이드라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2022년 10월 2일, 10월 19일 1차, 2차 회의를 진행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필요 유무 설문 조사 결과

1) 인구통계학적 속성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 총 250명의 인구통계학적 속성인 사회적 약자 유무, 사회적 약자 분류, 연령, 성별, 결혼 여부, 최종 학력의 6개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사회적 약자 유무의 경우, ‘사회적 약자’가 200명(80%)으로 ‘일반인’ 50명(20%)에 비하여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약자 분류의 경우, ‘장애인’, ‘임산부’, ‘고령자’, ‘영유아 동반자’가 모두 50명(25%)으로 동일한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다. 연령은 ‘30~40대’가 125명(50%)으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았으며, 성별은 ‘여성’이 159명(63.6%)으로 ‘남성’ 91명(36.4%)에 비하여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는 ‘기혼’이 155명(62.0%)으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았으며, 최종 학력은 ‘대학교’가 83명(33.2%)으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 미용실 이용, 만족도 조사 결과

미용실 이용 여부의 응답 결과, ‘네’가 250명(100.0%)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모두 미용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미용실 형태의 응답 결과, ‘개인 미용실’이 162명(64.8%)으로 브랜드 미용실 88명(35.2%)에 비하여 높은 응답으로 나타났다. 체류 시간의 응답 결과, ‘1시간 이상’ 98명(39.2.%) > ‘2시간 이상’ 70명(28.0%) > ‘30분’ 68명(27.2%) > ‘3시간 이상’ 14명(5.6%)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술 종류의 응답 결과, ‘펌’ 99명(39.6%) > ‘커트’ 95명(38.0%) > ‘염색’ 52명(20.8%) > ‘모발, 두피 클리닉’ 4명(1.6%) > ‘드라이’ 0명(0.0%)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 시 고려 사항의 응답 결과, ‘스타일’ 91명(36,4%) > ‘위치’ 64명(25.6%) > ‘가격’ 46명(18.4%) > ‘편의시설’ 42명(16.8%) > ‘인테리어’ 7명(2.8%)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만족도의 응답 결과, ‘보통’ 93명(37.2%) > ‘만족’ 82명(32.8%) > ‘만족하지 못함’ 54명(21.6%) > ‘매우 만족’ 17명(6.8%) > ‘전혀 만족하지 못함’ 4명(1.6%)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조사 유무의 응답 결과, ‘네’가 145명(58.0%)으로 ‘아니오’ 105명(42.0%)에 비하여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조사 결정요인의 응답 결과, ‘편의시설 여부’ 42명(29.0%) > ‘스타일’ 36명(24.8%) > ‘위치’ 30명(20.7%) > ‘가격’ 28명(19.3%) > ‘인테리어’ 9명(6.2%)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불편했던 공간의 응답 결과, ‘입구’ 84명(33.6%) > ‘샴푸 공간’ 74명(29.6%) > ‘카운터 및 대기실’ 42명(16.8%) > ‘시술 공간’ 36명(14.4%) > ‘바닥’ 14명(5.6%)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니버설 디자인 인식에 대한 분석 결과

분석 결과, UD 인지 여부의 응답 결과, ‘네’가 126명(50.4%)으로 ‘아니오’ 124명(49.6%)에 비하여 다소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D 적용 시설 이용 여부의 응답 결과, ‘네’가 233명(93.2%)으로 ‘아니오’ 17명(6.8%)에 비하여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 대상의 응답 결과, ‘장애인’이 159명(63.6%)으로 가장 높은 응답으로 보였으며, 미용실에 가장 필요한 UD의 응답 결과, ‘안정성’이 71명(28.4%)으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 UD 필요 여부의 응답 결과, ‘필요하다’가 220명(88.0%)으로 ‘필요하지 않다’ 30명(12.0%)에 비하여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 이용 만족도의 응답 결과, ‘만족’이 117명(50.2%)으로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Table 8>과 같다.

4) 사회적 약자에 따른 차이 분석

사회적 약자에 따른 불편했던 공간의 차이 분석 결과, 유의확률 값이 0.006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는 ‘입구’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일반인은 ‘샴푸 공간’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약자에 따른 시설 이용 만족도의 차이 분석 결과, 유의 확률 값이 0.018로 신뢰수준 95% 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는 ‘보통임’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일반인은 ‘매우 만족함’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한 내용은 <Table 9>와 같다.
사회적 약자에 따른 UD 필요 여부의 차이 분석 결과, 유의 확률 값이 0.335로 신뢰수준 95% 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약자에 따른 가장 필요한 UD의 차이 분석 결과, 유의 확률 값이 0.013으로 신뢰수준 95% 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사회적 약자는 ‘안정성’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일반인은 ‘편리성’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세한 내용은 <Table 10>과 같다.
분석 결과 미용실에 유니버설 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Yoo(2015)의 연구를 살펴보면 상업공간에도 유니버설 디자인 필요한 것으로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2. 전문가 검증 결과

본 연구는 미용실 예비 UD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와 1, 2차 회의를 진행하였다. 회의 결과 사회복지 전문가는 안전손잡이 설치를 제안하였으며, 시설 및 인테리어 전문가는 점자블록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또 미용 전문가는 공간별 안내 표지판을 제안하였다.

3. 최종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현재 미용실 공간 유니버설 디자인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미용실 이용자에게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필요성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 미용실에 유니버설 디자인이 ‘필요하다’가 220명(88.0%)으로 ‘필요하지 않다’ 30명(12.0%)에 비하여 높은 응답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미용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국내 관련법규와 유니버설 디자인 5원칙을 기준으로 삼고 중국 양로원 실내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Jang, 2022),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서울시 어린이대공원 놀이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Yang, 2022) 등의 각 분야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미용실에 알맞게 재구성 하여 미용실 예비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관련 전문가집단과의 회의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하였다.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최종 가이드라인은 다음 <Table 11>와 같다.

V. 결 론

장소적 가치성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유니버설 디자인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인간의 생활패턴을 담고 있는 상업 공간의 적용까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미용실의 수요와 공급이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특정 계층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계층에 사용상 평등한 기회가 제공되지 않고 있기에 유니버설 디자인이 미용실에 적용되어야 함을 착안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된 연구를 통해 사회적 경향과 그에 따른 복지 실현을 통해 UD이 미용실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미용실 UD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용실 UD 필요 여부에서 ‘필요하다’가 220명(88.0%)으로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미용실에 가장 필요한 UD에서는 ‘안정성’이 71명(28.4%)으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여 미용실에 UD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UD 5원칙과 관련 법규 기반으로 미용실 공간별에 적합한 UD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통해 검증 및 보완을 실시해 최종적으로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이에 미용실이라는 특수 산업에도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자의 미용실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미용실 UD 적용이 빠르게 이루어진다면 미용실 종사자와 고객 모두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제공될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인식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Table 1.
The Fiv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ive principles Meaning Content
Functional Supportability Functionality of space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spatial planning, ease of operation and use, versatility and high functionality
Physical function of space Hearing, vision, ergonomics, less physical effort, body support
Water solubility Consideration for diverse users General public, the elderly, the disabled, children, etc
Various Availability Provide space adjustment, changeability, flexibility in use, and various methods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changes
Communication Efficiency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itself Elimination of complexity, simplicity, intuition, etc
Space communicates information effectively Using a combination of directions, directions, pictures, voice, touch, etc
Pleasantness Prevention from Safety Accidents Hazard, injury error and failure, safety, durability, etc
Biological and aesthetic comfort Physiological discomfort, comfort, lighting, lighting, etc
Accessibility Physical disturbance of space Obstacles removed, wheelchair access
Soci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of space Social interaction incentives, visual accessibility, View, Privacy, Psychological Satisfaction
Table 2.
Universal Design Case Study
JKSC-2023-29-3-638i1.jpg
Table 3.
Universal Design Beauty Case
JKSC-2023-29-3-638i2.jpg
Table 4.
Prior study
Title Year Researcher/Affiliated Analysis method
A Study on the Interior Planning of the Beauty Salon in Green Design 2005 Jang/Kookmin University Presentation of Applicability and Method of Green Design in Interior Design Field of Beauty Sal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Seoul Street from the Perspective of UD 2009 Min/Yonsei University Exploring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public design-related projects
A Study on the Space Evaluation of Coffee Shop from the Perspective of UD 2015 Yoo/Yonsei University Provide basic data for space planning after preparing a checklist for each coffee shop facility from a UD perspectiv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D Applicability in Exhibition Space 2016 Jang/Yonsei University Based on UD4 principles and guidelines, the UD application level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exhibition space are evaluated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is presented
A Study on the UD Evaluation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2020 Park/Hongik University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UD Checklist for Historic Sites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for Children's Grand Park in Seoul from Universal Perspective 2022 Yang/Sejong University Design guidelines are prepared after specific investigation and referring to relevant law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able 5.
Beauty UD Checklist Development Process
JKSC-2023-29-3-638i3.jpg
Table 6.
Preliminary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air salons
Sortation Details Statutory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Surgical procedure Space Access to wheelchair and accessories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0.8-0.9 m, diameter: 3.2-3.8 cm)
Finish, Handle, Guide and Identify Braille block installation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Shampoo room Access and guidance, lighting Removal of the jaw
Walking Obstacles, Floor Finishing Braille block installation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Handle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0.8-0.9 m, diameter: 3.2-3.8 cm)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Atmospheric space Access and guidance Installation of at least one movable waiting chair
Walking obstacle
Counter Space Access and vision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0.8-0.9 m, diameter: 3.2-3.8 cm)
Rescue and guidance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Rear View Mirror Installation
Entrance Accessible the main entrance Width and height of Yuho, floor finish Secure effective width (minimum 1.2m secured)
Minimize floor clearance to ensure flatness
Shape and structure safety and guidance Minimize approach steps (height: 2 cm or less)
Do not exceed 1/12 (8%) when installing ramps
Braille block installation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Interior doorway Access, shape, and structure Door width 90 cm or more
Lever, bar handle applied - (height: 800-900 m)
Safety and Identification an automatic door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Table 7.
Demographic Attribute Results
Property Categories Frequency Percentage Property Categories Frequency Percentage
Presence or absence of a socially disadvantaged person (n=250) Yes 200 80.0 Gender (n=250) Man 91 36.4
No 50 20.0 Woman 159 63.6
Classific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n=200) Disabled person 50 25.0 Final academic background (n=250) High school 71 28.4
Pregnant women 50 25.0 Junior college 74 29.6
The elderly 50 25.0 A four year college 83 33.2
Infant companion 50 25.0 Graduate school 22 8.8
One's (n=250) 10~20 43 17.2 Marriage status (n=250) Single 78 31.2
30~40 125 50.0 Married 155 62.0
50~60 50 20.0 Besides that 17 6.8
70 32 12.8
Table 8.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Perception
Property Categories Frequency Percentage Property Categories Frequency Percentage
UD status Yes 126 50.4 Use of UD facilities Yes 233 93.2
No 124 49.6 No 17 6.8
Required target Disabled person 159 63.6 The most necessary thing for a hair salon. UD Convenience 65 26.0
The elderly 58 23.2 Equality 46 18.4
Pregnant women 18 7.2 Safety 71 28.4
Children 14 5.6 Diversity 18 7.2
Ordinary person 1 0.4 Accessibility 50 20.0
UD required Need 220 88.0 Use of facilities Satisfaction level Not satisfied at all 2 0.9
Be unnecessary 30 12.0 Not satisfied 5 2.1
General 67 28.8
Satisfaction 117 50.2
Very satisfied 42 18.0
Table 9.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 uncomfortable space
Disadvantaged Ordinary person Sum p Satisfaction with use
Disadvantaged Ordinary person Sum p
Categories Categories
Entrance Frequency 73 11 84 0.006** Not satisfied at all Frequency 2 0 2 0.018**
% 36.50 22.00 33.60 % 11.0 0.0 0.90
Shampoo room Frequency 54 20 74 Not satisfied Frequency 5 0 5
% 27.00 40.00 29.60 % 2.60 0.0 2.10
Treatment space Frequency 32 4 36 General Frequency 61 6 67
% 16.00 8.00 14.40 % 32.10 14.00 28.80
Counter waiting room Frequency 34 8 42 Satisfaction Frequency 94 23 117
% 17.00 16.00 16.80 % 49.50 53.50 50.20
Floor Frequency 7 7 14 Very satisfied Frequency 28 14 42
% 3.50 14.00 5.60 % 14.70 32.60 18.00
Sum Frequency 200 50 250 Sum Frequency 190 43 233
% 100.00 100.00 100.00 % 100.00 100.00 100.00

** p < 0.05.

Table 10.
Analysis of U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UD required
Disadvantaged Ordinary person Sum p UD most needed
Disadvantaged Ordinary person Sum p
Categories Categories
Necessity Frequency 178 42 220 0.335 Convenience Frequency 43 22 65 0.013**
% 89.00 84.00 88.00 % 21.50 44.00 26.00
Unnecessary Frequency 22 8 30 Equality Frequency 36 10 46
% 11.00 16.00 12.00 % 18.00 20.00 18.40
Sum Frequency 200 50 250 Safety Frequency 63 8 71
% 100.00 100.00 100.00 % 31.50 16.00 28.40
Diversity Frequency 16 2 18
% 8.00 4.00 7.20
Accessibility Frequency 42 8 50
% 21.00 16.00 20.00
Sum Frequency 200 50 250
% 100.00 100.00 100.00

** p < 0.05.

Table 11.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Final Beauty Salon
Sortation Details Statutory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Surgical procedure Space Access to wheelchair and assistive equipment users Handles of the treatment chair movably installed
Braille block installation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30 cm off door, flat with floor)
Safety and guidance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85 cm, diameter: 3.2-3.8 cm, circular or oval, 5 cm off the wall)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Shampoo space Access and guidance, lighting Braille block installation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30 cm off door, flat with floor)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Shampoo stand chair handle movable installation
Illumination range 300-400-600 lux (lx)
Walking Obstacles, Floor Finishing Minimize floor and steps
Safety and Identification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85 cm, diameter: 3.2-3.8 cm, circular or oval, 5 cm off the wall)
Rear View Mirror Installation
Atmosphere Space Access and guidance Accessibility of aids and wheelchairs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Gait obstruction, Safety and Identification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85 cm, diameter: 3.2-3.8 cm, circular or oval, 5 cm off the wall)
Rear View Mirror Installation
Counter space Rescue, Access and Safety Counter height of 1.2m or less (ensure wheelchair user's view)
Installing Information Desk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afety handle installation (height: 85 cm, diameter: 3.2-3.8 cm, circular or oval, 5 cm off the wall)
Rear View Mirror Installation
Announcement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Entrance Main entrance with access Shape and structure effective width, height, floor finish Slope installation (expansion, renovation, reconstruction, relocation, alteration, or alteration of use of 1.2m or more in effective width can be relaxed up to 0.9m, slope 1/18 (5%) or less, topographical features can be relaxed up to 1/12 (8%), surface non-slip finish)
Minimize floor clearance to ensure flatness
Minimize approach steps (height: 2 cm or less)
Safety and guidance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Installation of the braille block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30 cm off the door, flat with the floor)
Interior doorway Access, shape, and structure Effective width greater than 90 cm
Out-of-opening or sliding door
Lever, bar handle (height: 800-900 m)
Automatic door
Safety and Identification Installation of the guide sign
Braille block installation (size: 30 cm×30 cm, color: yellow, 30 cm off door, flat with floor)

References

Cho, H. S. (2015). Smartware design development apply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Hong, D. G. (2023). Development of Assistant Devices Need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for Beauty Industry Workers: Focusing on the power cord-holding devices. Korean Society of Human Body and Beauty Arts, 24(1), 1-12.
crossref
Jang, H. (202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Home for the Aged Interior Spaces in China. Doctoral dissertation, Dongseo University, Busan.
Jang, H. N. (2005). A Study on the Interior Planning of the Beauty Salon in Green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Jang, S. Y. (2020).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D Applicability in Exhibition Spa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im, J. M. (2012). Use survey beauty Franchise marketing with a consumer satisfactory.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Kim, T. G. (2017). A plan to improve the famous mountain natural recreation forest with universal desig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Lee, H. S.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Value Judgment of Univers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Design Society, 20(5), 148.
Lee, S. T. (2005).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Previous Research.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Lee, Y. S. (2007).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of Japanese Houses.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Architecture, 7(1), 5-13.
Min, B. A.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Seoul Street from the Perspective of U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Oh, H. J.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TM Interface from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Park, S. H. (2020). A Study on Universal Design Evaluation for Public Cultural Facilitie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Ryu, B. (2020).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of Korean and Chinese Park Fac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Dongui University, Busan.
Seo, M. J.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Facilities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Focusing on the Elderly Protection Zone in Incheon City.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Shin, E. J. (1998). A Study on Behavioral Interpretation in Indoor Living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Behavioral Evaluation of University Dormitor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Shin, K. N. (2020). A Study on the Space Improvement Plan of Kindergarten Facilities with Universal Design Full text of educational policy. Master's thesis, Korea Teachers' University, Seoul.
Woo, K. O. (2013).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reuse of franchise b eauty s alon customer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Yang, L. (2022).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for Children's Grand Park amusement facilities in Seoul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Yoo, E. J.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MD for the Introduction of Concept Beauty Salon: Focusing on Rococo Images Graduate School of Design & IT.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Busan.
Yoo, J. H. (199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ior Planning of Hair Salon by Type Graduate School of Design.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Yoo, Y. H. (2015). A Study on the Space Evaluation of Coffee Shop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Graduate School of Living and Environ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