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4); 2023 > Article
미용전공자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대에 관한 연구

Abstract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4th industrial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the beauty industry. In terms of education, hands-on education based on quaternary industrial technology is necessary for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ajor knowledge and practice.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4th industry technology in the subject of beauty education, the cosmetology major should consider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y technology on the content and sharing of major knowledge, improvement of practical 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he beauty industry. It is necessary that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recognition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cosmetology major learners' perceptions of quaternary industry technology, improvement of beauty practices, and industry-related mat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kin beauty (61.7%), makeup & nail beauty (20%), cosmetics (11.7%), and hair beauty (6.6%), a total of 60 beauty-related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ert knowledge and perception of practical ability differed by academic year,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ecialized knowledge and perception of practical ability (expertise, practical ability, industry-related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more the beauty-related majors had positive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knowledge, practical ability, and industry-related awareness. As a result, beauty education us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ill be operated not for specific grades but for all grades, and the scope of subject development and education need to be expanded to include nail beauty, makeup, skin beauty, hair beauty and cosmetics.

I. 서 론

미용산업 현장에서 4차 산업 혁명 기술과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화장품, 건강, 메디컬, 영화 등의 산업과 연계되어 더욱 발전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실무능력은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능력을 의미하며(Yun, 2015) 미용 실무능력은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에서 요구되는 능력이다. 미용업은 실무 수행이 가능한 개인의 역량을(Kim & Lee, 2014) 사회구성원들에게 전문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전문성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해졌고 그에 따른 직업 및 업무에 요구되는 지식 또한 다양하고 복잡해졌다(Kim & Lee, 2014). 미용 교육은 산업현장과 밀착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고 이에 맞는 실무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교육이 운영되어야 한다(Lee & Moon, 2021). 따라서 미용 교육 학습자들은 실습 및 임상실습 등을 통해 신체 표면에 직접적인 미용 기법을 수행하며 실무능력을 함양한다(Kim et al., 2011).
미용 교육은 인체를 대상으로 하므로 숙련된 기술력을 확보하기까지 오랜 시간을 들여 반복된 훈련이 필요하다(Choi, 2018). 그러나 일부 학습자료나 콘텐츠는 모형이나 이미지 등의 연출 위주라는 점에서 실물감을 체험하는 데 한계가 있어 흥미를 유발할 만한 몰입 요소가 부족하다(Kang, 2016). Yoo et al.(2018)의 연구에서는 VR, AR, MR 등을 이용한 교육에서 흥미도, 몰입감, 자신감, 학업 성취에서 실제로 높은 학습효과를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신체의 안을 체험할 수 있는 유용한 방안으로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시대와 산업이 요구하는 산업 현장의 밀착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Choi, 2018). 미용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4차 산업 혁명 기술은 얼굴에 색조화장품을 직접 바르지 않고 메이크업 후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있고, 거울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 피부 상태를 측정해 주며, 헤어스타일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새로운 헤어스타일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주는 스마트 뷰티(Smart Beauty) 등이 있다(Kim, 2017). 이러한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업현장과 유기적으로 밀착된 4차 산업 미용 교육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Lee & Moon, 2021). 이에 보다 적극적으로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실감형 교육으로 학생들의 이해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 흥미와 성취를 높여주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미래지향적인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Lee & Kim, 2023).
4차 산업 혁명 기술은 각종 지능화된 설비와 장비가 설치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자료를 디지털 기기로 다루기 때문에 디지털 전환기에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지속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더 복잡하고 네트워크화된 구조에 따른 숙련(qualification)이 요구됨에 따라, 시대적 변화에 맞춘 미래 교육은 교육 혁신, 디지털 학습, 혁신적 학습 방법 및 매체 그리고 훈련센터가 핵심이 되고 있다. Baek(2021)은 VR 활용 교육과 관련해 의학, 예체능과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미용 교육에서도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스마트 교육은 21세기 발전된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 역량개발 학습체제를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구성해야 하고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체험적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체험적 교육이 전공지식과 실무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지만 먼저 학습자들의 4차 산업 혁명 기술에 대한 인식과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체험적 교육이 전공지식과 실무 향상에 미칠 기대감에 대한 미용 전공 학생들의 인식조사가 필요하다. 이러한 선행조사를 통해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효과적인 미용 교육 교과목 활용 및 확대 방안을 마련함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뷰티산업 환경에서 4차 산업 혁명 기술의 활용

4차 산업 혁명은 초연결성, 초지능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사물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 혁명의 기술이 고용, 의료, 경제, 사회, 문화를 바꾸고 있다. 사회는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며 모든 산업이 상호 연결되어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뷰티산업에도 혁신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 혁명 기술 중 증강현실은 시각, 청각, 또는 기타 감각 요소들을 디지털 기능을 통해 구현하고 인공지능은 뷰티 제품에 대한 심층적 정보 및 가상 체험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와 콘텐츠 제작자 그리고 뷰티 브랜드가 함께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술과 같은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뷰티산업에 도입되면서 소비자들에게 간접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고 브랜드 마케팅의 핵심적 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가상현실 공간은 뷰티 브랜드가 스마트폰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팝업 매장으로 자리 잡으며 브랜드 및 제품 출시, 홍보 등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다(Paek, 2022). 피부 상태를 측정하거나 가상으로 사람에게 옷을 입혀주고 또는 거울을 이용하여 건강을 체크해 주는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 이외에도 사람들의 관심을 유혹하는 제품들이 전 세계적으로 대거 등장하고 있다(Hwang, 2018).
VR·AR은 이미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Lee, 2019) 대학은 학생들이 취업을 위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질적인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대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통하여 변화하는 뷰티산업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한 차원 높은 뷰티산업의 성장과 미용인 삶의 질 향상의 원동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활성화 및 확대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Hwang, 2018).

2. 미용 교육과 미래교육

뷰티 산업 분야의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연관 산업군과 융합하여 더욱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혁신을 주도하며, 소비자들이 접근하기 쉽도록 심미적, 기능적 효과의 극대화를 꾸준히 연구·개발하고 있다(Jang et al., 2021).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뷰티 산업 분야와 융합되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의 발전은 더디게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존 교육 시스템과 결합하여 시너지를 내는 콘텐츠 개발의 부재와 산업에 응용되는 각종 기술자 교육의 부족, 교육에 활용되는 서비스 개발 부족 등을 들 수 있다(Lee, 2019).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래 학교는 학교가 물리적 환경이 아닌 시공간을 초월하는 교육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온라인 공간, 재택 공간, 지역 공간이 되며 학교라는 자유로운 공간에서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가져올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를 하는 것을 시대적 요구라고 하였다.
21세기 교육의 패러다임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능력을 갖춘 미래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 교육 시스템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Chong, 2016). 2020년대인 지금 현장의 헤어미용은 미용기기와 제품을 활용하여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피부미용은 얼굴과 몸매의 피부를 피부미용 기기 및 기구와 화장품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메이크업은 이미지 분석, 디자인, 메이크업 등을 실행함으로써 얼굴·신체를 연출하고 표현한다. 네일미용은 건강하고 아름다운 네일을 유지, 보호하기 위해 네일미용 기구와 제품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한다(NCS, 2023). 이처럼 미용 전공 학생들은 신체 표면에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신체의 안을 체험할 수 있는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Lee & Moon, 2021).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들은 가상 체험활동을 수행한다. 학습자들이 경험한 가상의 임상 상황을 다양한 관점에서 성찰하며, 지식과 경험적 실무의 논리적 근거를 명확하게 체득할 수 있어 여러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직업교육에 있어 현실에서 기술 변화가 빨라 실습 장비의 교체 수명이 짧아져 지속적인 재원 투입에 한계가 있어 VR을 활용한 실습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Park, 2022). 미용 교육에 VR과 AR 등과 같은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체험적 교육이 실현된다면,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을 통해 기술, 서비스, 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경쟁력에 영향력을 발휘하며 시대와 산업이 요구하는 산업 현장으로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Kim, 2020).
최근 미용 교육에서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련 콘텐츠 연구를 살펴보면, Kim(2020)은 VR·AR의 체험 요소가 메이크업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발표하였고, Seo et al.(2021)은 VR 기반 뷰티 콘텐츠를 메이크업 교과목에 적용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Joo & Yoon(2021)은 증강현실 뷰티 애플리케이션 체험이 화장품 구매 행동에 영향이 있으며, Lee & Moon(2021)은 VR 기반 미용 교과목은 미용 전공자의 전문 지식과 실무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감을 연구하였으나 아직 미용 분야에서의 연구사례 빈도는 낮은 수준이다(Kim, 2020).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K 대학의 미용 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하여 4주 동안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연구 대상 취약자를 고려하여 2022년 VR 활용 바디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한 참여자 72명 중 산업 기술에 관심이 있고 VR 체험 경험이 있는 자율 참여자 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2. 측정 도구의 구성

본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의 구성은 4차 산업 혁명의 최신 기술 관심도(Choi, 2018) 6문항, 전문지식 2문항(Choi, 2018). 실무능력 3문항(Seo et al., 2021) 산업 관련 인식 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일반적 특성 2문항으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였다.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4년제 미용 교육 기관에서 미용 전공 학부생 중, VR 체험이 포함되어 있는 교과목 참여자를 대상으로 2023년 4월 25일에서 5월 24일까지 4주 동안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인터넷을 통해 연구 참여 동의 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개인정보 비밀 유지와 수집된 정보는 연구 목적으로만 활용됨을 명시하고 설문 대상자자 동의 체크 후 설문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습자들의 4차 산업 혁명의 최신 기술 관심도, 4차 산업 혁명 기술의 전공지식 함양과 공유에 대한 기대, 실무능력 향상에 대한 기대, 지역과 뷰티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네이버 오피스 사이트의 툴을 활용하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와 통계처리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4차 산업 혁명의 최신 기술 관심도,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 관련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 관계는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 결과 학년은 1학년 2명(3.3%), 2학년 20명(33.3%), 3학년 28명(46.7%), 4학년 10명(16.7%)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피부미용 37명(61.7%), 메이크업&네일 미용 12명(20%), 화장품 7명(11.7%), 헤어 미용 4명(6.6%)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KMO 값이 0.823, Bartlett 구형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χ2=335.677(df=15,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누적분산 설명력은 74.693%이었다. 즉, 요인 1(74.693%)을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 값이 0.847,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493.237(df=21,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누적분산 설명력은 93.435%로 나타났다. 즉, 요인 1(37.833%)은 ‘실무능력’, 요인 2(29.124%)는 ‘산업 관련 인식’, 요인 3(26.478%)은 ‘전문지식’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기술통계분석

1)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는 평균 3.57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년, 전공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러한 결과는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인 Kim(2020)의 연구와 차이를 보이나 Lee & Kim(2023)의 연구와는 유사한 결과로 최근 COVID-19로 인한 원격 수업과 새로운 매체의 다양한 콘텐츠를 접한 경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전문지식’(M=3.98), ‘산업 관련 인식’(M=3.9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무능력’(M=3.89)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은 평균 3.92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라서는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의 하위요인별 산업 관련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3학년의 경우 상대적으로 산업 관련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3학년의 경우 VR·AR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난 Kim(2020)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저학년일 때 새로 첨단기술에 대한 흥미와 친숙함을 더 많이 느끼며 거부감을 갖지 않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4. 상관관계 분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Table 6과 같다. 분석 결과 4차 산업 혁명의 최신 기술 관심도는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 관련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러한 결과는 4차 산업 혁명 최신 기술의 현장감이 학생들의 몰입을 유도하여 교육 효과를 향상된다는 Lee(2019)의 연구와 4차 산업 혁명의 최신 기술 인식은 교육성, 몰입성, 흥미성에서 미용 교육 기대감 향상된다는 Lee(2021)의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5.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가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가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전문지식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8%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7.379, p<.001). 독립변수로써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β=.623, p<.001)는 전문지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가 높을수록 전문지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무능력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9.3%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8.231, p<.001). 독립변수로써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β=.627, p<.001)는 실무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가 높을수록 실무능력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Park(2022)은 콘텐츠 적용 시 실습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Lee et al.(2009)의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 중심 학습이 문제 해결 역량과 자기 주도학습역량에 유의한 증가를 보인 연구와도 일치한다. 이를 통해 미용 교육에서도 VR 교육을 통한 실무능력 향상 교육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 관련 인식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8.1%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3.091, p<.001). 독립변수로써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β=.530, p<.001)는 산업 관련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가 높을수록 산업 관련 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불편함, 불안감이 낮으며, 심리적인 장애로부터 여유를 갖는다는 Kim(2020)의 연구 결과와 관련이 있으며, 4차 산업 혁명 기술 교육 콘텐츠를 체험한 후 학습자들의 관심도, 이해도, 재미 등의 교육 효과가 높아진다는 An et al.(2018)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로 4차 산업 혁명 기술 활용 미용 교육의 가능성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된다.

I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들의 4차 산업 혁명 기술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향상에 미칠 기대감을 규명하고,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활용한 미용 교육 교과목 활용 및 확대 방안을 마련 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 결과 학년, 전공에 따른 일반적 특성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상자의 4차 산업 혁명 기술에 대한 인식은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관련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4차 산업 혁명 기술 관심도가 높을수록 대상자들의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관련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다양한 4차 산업 혁명 기술 콘텐츠 경험이 많을수록 신기술에 대한 불편함, 불안감이 낮아지고 심리적인 장애로부터 여유를 가지며 학습자들의 관심도, 이해도, 재미 등의 교육 효과를 높아지는 것으로, 4차 산업 혁명 기술 활용 미용 교육의 가능성과 실효성이 확보된 것이다. 이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미용 교육에 활용하면 학습자가 산업 현장에서 접하게 될 새로운 첨단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이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융합형 인재의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 기술을 전 학년에 걸쳐 다양한 교과목으로 확대 적용하고, 기존에 주로 활용되었던 피부미용과 메이크업 전공을 넘어 네일미용, 헤어미용, 화장품 전공 등으로 교육 범위를 넓힐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번 연구는 미용전공 학습자들의 4차 산업 혁명 기술 활용과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파악한 것으로 미용 전공능력의 관점에서 4차 산업 혁명 기술 활용 시뮬레이션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의 기대인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데에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확대하여 진행할 것과 각 전공분야에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 후 그 효과성을 입증할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N=60)
Category Freq. (N) Ratio (%)
Grade 1 2 3.3
2 20 33.3
3 28 46.7
4 10 16.7
Major Skin care 37 61.7
Hair beauty 4 6.6
Makeup & Nail Beauty 12 20
Cosmetics 7 11.7
Total 60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Question Factor
Interest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n
I am interes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906
I am interested in 3D printing. .895
I am interested in big data. .885
I am interested in the Internet of Things. .883
I am interested in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844
I am interested in virtual reality (VR). .766
Eigenvalue 4.482
Variance (%) 74.693
Cumulative (%) 74.693
Cronbach's α .932

KMO=.823, Bartlett's test χ²=335.677 (df=15, p=.000)

Table 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cognition of Expertise and Practical Abili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Question Factor
Practical skills Industry-related awareness Expertise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help you grow as a beauty expert .860 .308 .296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be well suited to the beauty field situation. .845 .255 .348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help improve practical skills. .812 .366 .301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develop the local beauty industry. .351 .854 .344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341 .850 .370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help share beauty expertise. .379 .382 .809
The Fouth industrial technology will help to cultivate beauty expertise. .390 .384 .802
Eigenvalue 2.648 2.039 1.853
Variance (%) 37.833 29.124 26.478
Cumulative (%) 37.833 66.957 93.435
Cronbach's α .943 .973 .941

KMO=.847, Bartlett's test χ²=493.237 (df=21, p=.000)

Table 4.
Degree of Interest in the Latest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tegory M SD F-value p
Grade 1 3.00 .000 .751 .527
2 3.37 .834
3 3.72 1.013
4 3.60 .551
Major Skin care 3.72 .847 1.860 .147
Hair beauty 3.83 .782
Makeup & Nail Beauty 3.35 .839
Cosmetics 2.98 1.090
Total 3.57 .890
Table 5.
Recognition of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Category Recognition of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Total
Expertise
Practical skills
Industry-related awareness

M SD M SD M SD M SD
Grade 1 3.00 .000 3.00 .000 3.00a .000 3.00 .000
2 3.85 .727 3.75 .700 3.58ab .674 3.73 .604
3 4.15 .800 4.12 .860 4.20b .750 4.15 .752
4. 3.80 .823 3.63 .853 3.65ab .747 3.69 .740
F-value (p) 1.361 (.264) 1.759 (.165) 3.953* (.012) 2.519 (.067)
Major Skin care 4.05 .778 4.05 .741 3.96 .783 4.03 .704
Hair beauty 3.75 .500 3.50 1.000 3.88 .629 3.68 .653
Makeup & Nail Beauty 3.88 .801 3.75 .944 4.00 .739 3.86 .806
Cosmetics 3.86 1.029 3.57 .917 3.29 .756 3.57 .782
F-value (p) .337 (.799) 1.269 (.294) 1.649 (.188) .973 (.412)
Total 3.98 .788 3.90 .824 3.89 .777 3.92 .731

* p<.05,

Duncan : a<b

Table 6.
Correlation Verification
Category Interest in 4th industrial technology Recognition of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Expertise Practical skills Industry-related awareness
Interest in 4th industrial technology 1
Expertise .623*** 1
Practical skills .627*** .754*** 1
Industry-related awareness .530*** .779*** .711*** 1

** p<.01,

*** p<.001

Table 7.
Influence of Degree of Interest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on Percep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actical Ability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factor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Expertise (constant) 2.008 .332 6.055 .000
Interest in 4th industrial technology .551 .090 .623 6.114*** .000
R²=.388, Adj.R²=.377, F=37.379***, p=.000
Practical skills (constant) 1.828 .345 5.293 .000
Interest in 4th industrial technology .581 .094 .627 6.183*** .000
R²=.393, Adj.R²=.383, F=38.231***, p=.000
Industry-related awareness (constant) 2.232 .354 6.300 .000
Interest in 4th industrial technology .463 .096 .530 4.805*** .000
R²=.281, Adj.R²=.269, F=23.091***, p=.000

*** p<.001

References

An, H. D., Seo, M. H., Lee, S. C., & Jung, H. Y. (2018). Study for the presence and the interaction in the VR solar system education contents.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903-906.
Baek, R. Y. (2021). The effect of VR presence and interaction on education satisfaction in aviation service department education :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fun.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Choi, H. O. (2018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VR and AR in Education.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8(1), 59-81. doi:10.1109/ICRoM.2018.8657615.
Choi, J. H. (2016). VR/AR Business and Market Status.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KISA), 163:40-44.
Chong, Y. S. (2016 A Plan for Applying Mobile Augmented Reality (AR) to Art - Based Convergence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Visual Culture Contents Research Institute, 10(10), 113-126. doi:10.24174/jicc.2016.06.10.113.
crossref
Hwang, E. H. (2018).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Reaction (PAD) in the Relationship betweenSmart Mirror Quality and Persistent UseIntention using IoT-based Augmented Reality(AR) in Beauty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Jang, K. J., Chang, M. S., & Hahn, S. Y. (2021 A Case Study of ICT Convergence in Beauty Industry und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6), 1482-1497. doi:10.52660/JKSC.2021.27.6.1482.
crossref pdf
Joo, H. W., & Yoon, M. Y. (2021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Beauty Application and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3), 675-687. doi:10.52660/JKSC.2021.27.3.675.
crossref pdf
Kang, Y. H.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for The Contents of Petroglyph Museu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0), 443-453. doi:0.5392/JKCA.2016.16.10.443.
crossref
Kim, G. M. (2017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lobal Beauty Market. Journal of Cultural & Design, 50:221-231. doi:10.18555/kicpd.2017.50.20.
crossref
Kim, H. R., & Lee, I. H. (2014 An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for 'beautician(skin)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suggested by ‘NCS’ on profession and practice suitabil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6), 3512-3523. doi: 10.5762/KAIS.2014.15.6.3512.
crossref
Kim, J. K. (2014). A Study on Subject Setting for Convergence Education Based VR Technology.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47:31-44.
Kim, K. H., Chang, S. O., Kang, H. S., Kim, K. S., Kim, J. I., Kim, H. S., Park, J. H., Eom, M. R., Youn, M. S., Lee, O. C., & Won, J. S. (2011).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06-519.
Kim, S. H. (2020).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based Experiential Elements on Makeup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2), 394-401.
Lee, J. H. (2017). Future job prospect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umseong.
Lee, J. H. (2019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1), 357-366. doi:10.18208/ksdc.2019.25.1.357.
crossref
Lee, J. H., & Kim, Y. H. (2023 Eff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VR Recognition on VR Education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 29(2), 529-538. doi:10.52660/JKSC.2023.29.2.529.
crossref pdf
Lee, J. H., & Moon, J. S. (2021 Effect of Beauty Major's Recognition of VR-based Beauty Courses on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8(6), 1445-1454. doi:10.12925/jkocs.2021.38.6.1445.
Lee, J. Y. (2019). Development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the virtual augmented reality (AR/VR) industry. KIET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38-47.
Lee, W. S., Cho, K. C., Yang, S. H., Roh, Y. S., & Lee, G. Y.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Park, H. A. (2022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Airline Service Using VR Conten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21), 45-62. doi:10.22251/jlcci.2022.22.21.45.
crossref
Paek, H. Y. (2022). A Study on the Impact of COVID-19 on Beauty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2(3), 433-441.
Park, C. R. (2023). The Consumption Orientation Level and Behavioral Intention of Beauty Shop According to the Pandemic Era Risk Perception and the Measures for Vitalizing the Service Industry. Youngsan University, Busan.
Seo, H. K., Kim, J. A., & Kim, S. H. (202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keup Courses Converg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6), 1357-1365. doi:10.52660/JKSC.2022.28.6.1357.
crossref pdf
Seo, H. K., Kim, Y. J., Lee, S. H., & Kim, S. H. (2021).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VR)-based Beauty Contents to Makeup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1), 217-225.
Yun, S. G. (2015). A Study on College's NCS-based Curriculum that Integrates Key Competencies with Job Competenc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