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uty salon worker competency on service commitment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for beauty services.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th to February 10th, 2023, targeting men and women working in hair sal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beauty salon worker competency on service immer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customer immersion, job immersion, and quality immersion. Beauty salon worker competenc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service immersion. Therefore, if you set a strategic goal for competency enhancement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beauty salon workers and concentrate on service immersion, sales of beauty salons will increase and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for beauty services will also increase. Althou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limited number of research subjects and variables, it is hoped that comprehensive and practical research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will continue in follow-up studies.

I. 서 론

서비스산업 발전은 우리 생활과 미용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나라 경제와 고용효과 등의 측면에서 많은 기여를하고 있다. 서비스산업의 새로운 혁신과 노력으로 서비스산업의 역할이 증대되었고 경제발전과 인터넷은 서비스산업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Park, 2017). 미용 산업 또한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의 극대화를 위한 미용실 경영 전략으로 종사자의 역량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종사자들의 고객관리와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종사자의 숙련성, 배려성, 친절성 등의 인적 서비스는 미용실 방문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결정적 요인으로 인식 되었다(Kim, 1998). 미용 산업은 타 서비스업과 비교했을 때, 고객과의 유대관계가 중요시되는 인적 서비스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고객 관점에서 종사자의 업무지식, 태도, 신속한 응대, 대화 방법과 약속의 이행 등 미용실 매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Park et al., 2020). 미용실 종사자의 개인성과를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다양한 행동적, 심리적 특성을 가진 종사자역량은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에서 중요한 부분에 영향을 끼치고 업무의 성과와도 관련성이 높아 조직에 있어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성과 기준에 대비해서 측정될 수 있으므로 종사자의 역량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Son, 2013). 즉, 미용실은 인적 서비스 자원이 중요한 자산 중 하나로 역량 있는 종사자를 통해서 조직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조직의 서비스를 다른 경쟁사와 구별하는 조직 역량과 고객의 관점에서 가치를 확립, 자사만의 고유하고 독자적인 역량 모델을 구축하여 무한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해야 할 것이다.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에 관해 연구한 Son(2013)은 조직의 경쟁력 확보와 종업원들의 서비스몰입 추구가 급변하는 서비스업의 경영 환경 변화와 인적자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고 하였다. Seo & Lee(2021)는 고객과의 공감과 신뢰는 고객의 정서적 몰입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으며, Kim & Lee(2020)는 서비스몰입과 품질은 고객 충성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Park & Jung(2019)은 헤어미용 종사자의 역량은 헤어샵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Lee & Kim(2020)은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종사자역량에 관한 연구로는 사회적 기업의 종사자 특성과 조직특성에 관해 연구한 Oh(2021), 업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연구한 Park & Song(2019),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업무역량과 아동 서비스 질의 유의한 영향 관계를 밝힌 Park(2021)가 있다. 또한, 한국사 자동차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을 비교 분석한 Kim(2009), 서비스 종업원에 관해 연구한 Choi & Lee(2014)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미용실 종사자를 대상으로 현재의 흐름와 추세를 반영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시류와 추세를 반영한 미용실 종사자의 역량이 고객서비스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함으로써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인적자원의 품질을 높일 방안을 제시하고 고객 서비스몰입 향상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미용 서비스

미용 공중위생 관리법 제2조(정의)의 미용업은 ‘손님의 머리 얼굴 피부 등을 손질하고 손님의 외모 등을 아름답게 꾸미는 영업’이라 정의하고 시행규칙 제 28조(업무 범위)는 ‘머리카락 자르기, 파마, 머리 피부 손질, 머리카락 모양내기, 머리감기, 머리카락 염색, 화장, 피부 및 손톱 손질로 의료기구와 의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한 피부미용 또는 순수한 화장을 말한다. 즉 얼굴의 손질 및 화장으로 규정하며 복식을 제외한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한 다양한 기교를 활용하여 외모를 꾸며 아름다워지기 위한 목적으로서 사람의 피부, 머리, 얼굴 등을 예뻐지게 매만지는 행위라 정의할 수 있다(Kim, 2014). 미용 서비스는 화장과 헤어스타일 등으로 미(美)를 창조하는 예술로 다양한 지식과 예술적인 감각이 필요하다. 미용 서비스는 수요자에게 서비스를 공급하며, 노동집약적이고 공간적 시간적 조절이 필요하다. 무형의 인적 서비스 요소와 결합하여 유형으로 제품화하는 미용 서비스의 근본적인 특성 인적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Jung, 2012). 따라서 미용 서비스는 미용 기술뿐 아니라 고객에게 지속해서 제공되는 유·무형의 모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고객의 요구가 다양화되어 지는 현대사회에서 미용 서비스는 단순하게 제품만 판매하는 것이 아닌 고객이 아름다워지기 위한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수단으로써 전문적인 미용기술과 시설, 고객과 미용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공되는 유·무형의 모든 행위라고 할 수 있다(Yang, 2020).

2. 종사자역량

역량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여 통일된 한가지의 개념과 정의가 있지 않다. 각 조직에서 유사한 내용의 역량을 다르게 사용하고 명명하여 유사한 이름으로 역량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Zemkre, 1982). 하지만 이러한 역량의 공통된 특징으로 역량은 어떠한 일을 해낼 수 있는 힘 즉, 능력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관련된 개념으로 조직의 성공이나 성과를 위해서 필수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역량 모델이 성숙해지는 시기는 1980년대이며, 역량 모델이 조직 내에서 실제로 적용되고 발전된 시기는 1990년대라 할 수 있다(Jeon, 2011). Spencer & Spencer(1993)는 역량개념을 특정한 직무나 상황에서 구체적인 기준이나 준거로 평가됐을 때 효과적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준거에 대한 기준은 개인의 역량이 우수성으로 구체적인 기준이나 준거 때문에 예측된다고 하였으며, 역량에 대한 정의 중 가장 공통으로 모든 산업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Dubois(1993)는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역량 추출방법 및 응용 방법을 제시하고 인사실무자의 관심을 증대, 역량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를 활용한 교육과 훈련에 대해 다루었다. 조직역량과 개인역량은 기준과 분석 수준이 다르지만 서로 관련성으로 분석 설계함으로 조직 차원에서의 거시적 방향성과 개인 차원에서의 미시적 차원이 통합적으로 인식될 수 있게 각 기업의 부서별 직원들의 능력과 조직의 전략적 기능을 강화하여 조직 운영에 따라 전략을 보다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Son, 2013). 또한, Sparrow(1996)는 역량을 유형별로 개인역량, 관리역량, 조직역량으로 나누어 정의하였으며, 개인역량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행동목록으로, 관리역량은 직업 또는 부문의 지식, 기술, 행동으로 조직역량은 조직의 전반적인 자원과 능력으로 나누어 정의하였다. 많은 연구자가 역량을 우수한 성과를 낸 자가 갖는 역량 요인과 그 수준을 도출하고 직무군 별, 종업 별로 분류하여 우수한 성과를 낸 자가 가지고 있는 분류영역별 역량과 수준을 분석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Kang et al.,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원개발에 적용되는 역량의 개념으로 Spencer & Spencer(1993)의 역량개념과 Sparrow(1996)의 역량 유형을 바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Son(2013), Jung(2012)의 연구를 토대로 역량의 하위요인을 성과지향, 태도지향, 관계지향, 협력지향으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3. 서비스몰입

몰입의 개념은 대체로 조직몰입 때문에 설명되나 많은 학자가 몰입을 단일 차원이 아닌 다양한 구성요인으로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Heo, 2009). Peccei & Rosenthal(1997)는 서비스 몰입이란 종사자가 고객서비스에 몰입하는 태도로써 고객의 이익을 위해서 지속적 향상을 도모, 서비스에 노력을 기울이는 개인 경향으로 정의하였다. Yang(2007)은 서비스 몰입을 종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종사원 자신의 직무에 구체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몰두하는 심리적 상태로 정의하였으며, Seo & Ahn(2004)은 서비스 몰입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스스로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업무에 구체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몰두하는 심리적인상태라고 정의하였다. Zeitham(1988)는 서비스몰입은 서비스가 결과가 아니라 그 과정으로 서비스의 가치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상호 작용과 향상 요인과 관련된 과정에서 불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서비스가치와 관련된 여러 개념을 구분하고 궁극적인 목표는 가치 지향적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Heo(2009)은 종사자가 이해하는 서비스에 대한 지식, 고품질의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할지에 대한 지식의 정도와 서비스 종사자 자신이 제공해야 할 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양질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자신감과 능력을 증대시켜 서비스몰입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Parasuraman & Berry(1988)는 서비스 몰입은 수행하는 주체에 따라서 경영자의 서비스몰입과 종사자의 서비스몰입으로 구분하며 경영자의 서비스몰입은 운영 및 전략 차원에서 품질향상과 자원 활용의 측면이고 종사자의 서비스몰입은 고객에 대한 행동적 차원에서 고개의 편의를 이해하는 직무에 대한 지속적 향상을 위해 몰입하는 개인의 정도로 설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arasuraman & Berry(1988)의 종사자 몰입개념을 바탕으로 Heo(2009), Lee(2010)의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몰입의 하위요인을 고객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의 3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조사대상 과 자료수집

본 연구는 미용실 종사자를 대상으로 종사자역량과 서비스 몰입의 하위요인을 분석하고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및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지역 헤어미용실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재 방법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정확한 자료측정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2022년 12월 10일부터 30일까지 미용실 종사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질문과 문항의 어휘가 불분명한 부분들은 수정 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2023년 01월 10일부터 02월 10일까지 한달 동안 이루어졌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나누어 주어 245부를 수거, 불성실한 응답 7부를 제외한 23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설문지 구성

본 연구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미용실 종사자역량, 서비스몰입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은 연구의도에 따라 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명목 척도가 사용되었다. 미용실 종사자역량은 Jung(2012), Son(2013)등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하위요인을 성과지향, 관계지향, 태도지향, 협력지향으로 나누어 15문항을 사용하였다. 서비스몰입은 Lee(2010), Heo(2009) 등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하위요인을 고객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의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설문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인 ‘매우 그렇다’ 5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사용되었다.

3. 측정도구 및 자료의 분석

수집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0,0v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방법이 사용되었고,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둘째, 미용실 종사자역량, 서비스물입의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고, 요인의 추출방법으로는 변수의 수가 많고 공통인자 분산의 값이 심하게 변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주성분 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요인의 회전방법으로는 Varimax가 사용되었다. 셋째, 미용실 종사자역량과 서비스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물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의 투입방법은 단계적 방법이 적용되었다.

IV.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조사대상은 총 238명이며, 성별은 여성이 70.3%, 남성이 29.75%로 나타났다. 나이는 20대 51.3%, 30대 34.4%, 40대 14.3%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이 49.2%, 전문대 재학/졸업 37.7%, 대학원 이상 8.1%, 고졸 이하 5.1%로 나타났다. 미용실 종사자의 직책은 디자이너 50.0%, 인턴 27.5%, 관리자(실장, 매니저, 원장) 22.5%로 나타났으며, 미용경력은 10년 미만 48.8%, 3년 미만 25.0%, 1년 이상 15.3%, 5년 미만 11.0%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월평균 소득은 200만 원 미만 39.9%, 300만 원 미만 25.4%, 400만 원 미만 22.9%, 400만 원 이상 11.9% 순으로 나타났다.

2. 미용실 종사자역량과 서비스몰입의 하위요인

1) 종사자역량의 하위요인

종사자역량의 하위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문항들을 요인 분석하기에 앞서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다. Bartlet구형 성을 알아본 결과 χ²은 1351.049(df=105, Sig.=.000)로 나타나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었다. KMO의 표본 적합도를 알아본 결과 KMO 값이 0.811로 나타났고, 공통성을 알아본 결과 0.555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사자역량을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시행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들의 전체 설명력은 62.2%로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 계수는 0.850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0.707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의 명명은 Table 2와 같다.
요인1(17.5%)은 개인의 영향력에 관한 관심과 특정한 인상을 심어 주기 위해 노력하며, 원인이나 결과를 찾아내기 위해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회를 놓치지 않고 기술 습득 의지와 목표가 높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성과지향’으로 명명하였다.
요인2(17.4%)는 고객의 입장에서 문제를 처리하고 고객의 요구에 대해 성의 있게 답하며 구체적 사례로 고객을 설득, 업무에 필요한 지식 습득을 지속해서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관계지향’으로 명명하였다.
요인3(13.6%)은 업무시간 시간과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업무에 있어 행동 원인과 이유를 파악, 고객의 눈높이에 맞추어 언어를 사용하며 어떠한 장애에 직면해도 포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태도지향’으로 명명하였다.
요인4(13.6%)는 동료들의 업무 성과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칭찬하고 동료들에게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시할시, 동료들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협력지향’으로 명명하였다.

2) 서비스몰입 하위요인

서비스몰입의 하위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문항들을 요인 분석하기에 앞서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하게 하는지 알아보았다. Bartlett 구형 성을 알아본 결과χ²은 2088.695(df=105, Sig.=0.000)로 나타나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었다. KMO의 표본적합도를 알아본 결과 KMO 값이 0.928으로 나타났고, 공통성을 알아본 결과 모두 0.573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서비스 몰입을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시행하는 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들의 전체 설명력은 66.3%로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계수는 0.932로 나타났으며, 요인별 신뢰도계수는 0.84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의 명명은 Table 3과 같다.
요인1(23.41%)은 모든 고객이 최고의 서비스를 받아야 하며 고객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나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고객을 응대하는 것이 매우 즐겁고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몰두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고객몰입’으로 명명하였다.
요인2(22.9%)는 직업을 주위에 적극적으로 추천하고 현재 맡은 업무를 계속하고 싶으며 고객 만족을 향상하기 위해 내 업무가 아닌 일도 자주 하고 직업에 애착과 업무를 통해 성취감을 느낀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직무몰입’으로 명명하였다.
요인3(19.9%)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며 고객을 만족하게 하려고 많이 노력을 기울인다. 모든 고객을 성심성의껏 대접하고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을 자주 제안, 고객에게 좋은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므로 ‘품질몰입’으로 명명하였다.

3. 미용실 종사자역량과 서비스몰입의 상관관계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미용실 종사자역량과 서비스몰입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성과지향은 직무몰입,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지향은 고객몰입,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지향에서는 직무몰입과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지향에서는 고객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종사자역량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서비스몰입을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첫째,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 중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F=9.254, p<.001), 종사자역량은 고객몰입에 관계지향(β=.312, p<.001), 협력지향(β=.164, p<.05)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과지향, 태도지향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살펴보면, 고객의 관점에서 문제를 처리하고 고객의 요구에 대해 성의 있게 답하며, 업무에 필요한 지식 습득을 지속적으로 하는 관계지향과 동료들의 업무 성과에 대해 공개적으로 칭찬하고 동료들에게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시하는 협력지향 요인이 높아질수록 모든 고객이 최고의 서비스를 받아야 하며 고객에게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가치 있는 일이고 고객을 응대하는 것이 매우 즐겁고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시간 가는 줄 모르는 고객몰입 요인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 중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F=17.672, p<.001). 종사자역량의 태도지향(β=.372, p<.001), 협력지향(β=.263, p<.001), 성과지향(β=.151, p<.05)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지향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살펴보면, 업무시간과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업무에 있어 행동 원인과 이유를 파악하며 고객의 눈높이에 맞추는 태도지향과 동료들의 업무 성과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칭찬하고 동료들에게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시, 동료들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협력지향, 개인의 영향력에 관한 관심과 특정한 인상을 심어 주기 위해 노력하는 성과지향 요인이 높아지면 직업을 주위에 적극적으로 추천하고 현재 맡은 업무를 계속하고 싶으며 직업에 애착과 업무를 통해 성취감을 느끼는 직무몰입 요인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 중 품질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F=24.530, p<.001), 미용실 종사자역량은 품질몰입에 관계지향(β=.450, p<.001), 성과지향(β=.241, p<.001), 태도지향(β=.165, p<.01), 협력지향((β=.162, p<.05)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며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회를 놓치지 않고 고객의 눈높이에 맞추어 언어를 사용하며 동료들에게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시하는 관계지향, 성과지향, 태도지향, 협력지향 요인이 높아질수록 고객을 성심성의껏 대접하여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을 자주 제안하고 고객에게 좋은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품질몰입 요인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 헌신하는 역량이 높아질수록 고객 서비스 몰입이 높아진다고 연구한 Son(2013) 책임감과 조직의 헌신성이 높아지면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관계를 밝힌 Jung(2012), 고객에게 관심을 갖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 노력하면 품질향상 몰입이 높아진다고 연구한 Ryu(2015)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라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미용 서비스 산업의 인적자원 품질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고객 서비스몰입 향상을 위해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은 미용실 종사자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자 70.3%, 남자29.7%, 나이 20대 51.3%, 최종학력 전문대 재학/졸업 37.7%, 직책은 디자이너 50.0%로 나타났으며, 미용경력 10년 미만 48.8%, 월평균 소득 300만 원 미만이 39.9%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 종사자역량의 하위요인은 4가지(성과지향, 관계지향, 태도지향, 협력지향)로, 서비스몰입은 3개의 요인(고개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 종사자역량과 서비스몰입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성과지향은 직무몰입,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지향은 고객몰입,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지향에서는 직무몰입과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지향에서는 고객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실 종사자역량이 서비스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미용실 종사자역량 중 성과지향은 직무몰입, 품질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관계지향은 고객몰입,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지향은 직무몰입과 품질몰입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협력지향은 서비스몰입의 하위요인인 고객몰입, 직무몰입, 품질몰입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실 종사자역량은 서비스몰입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최근 미용 서비스산업의 인력 채용은 경력직원의 이동과 개인 가치관의 변화에 의한 인적자원의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미용실은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종사자 역량관리 시스템개발과 내부역량 강화 점검을 위한 척도 개발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미용 서비스산업은 미용실 종사자가 자신의 업무에 자부심을 느끼고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력과 디자인을 위한 창의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에 따른 훈련비용의 절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미용실 종사자가 자신의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종사자에 대한 긍정적 성과급의 지급 및 개인역량 강화를 위한 보상 시스템의 구축으로 종사자들의 사기를 증진한다면 종사자들이 적극적으로 서비스몰입에 몰두해 미용실 매출은 상승할 것이다.
넷째, 미용실 종사자 개인역량 및 조직 역량 강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을 통해 종사자의 성향과 취약점을 분석하여 각 종사자에게 맞는 역량 강화 피드백이 이루어진다면, 미용실 종사자의 개인역량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미용실 종사자를 대상으로 종사자역량이라는 변수로 한정되어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전국의 미용실 종사자와 다른 업종 간에는 비교분석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제약이 따르므로,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미용실 종사자역량을 선행변수로 하여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미용실 종사자역량 개발을 통한 역량관리 프로그램과 역량 증진을 위한 연구 및 역량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길 바란다. 또한, 헤어미용이 아닌 다른 업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종사자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Content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70 29.7
female 168 70.3
Age 20's 121 51.3
30's 81 34.4
40's 34 14.3
Last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ion 12 5.1
Student/graduation from a junior college 116 37.7
University graduation 89 19.2
Graduate school Over higher 19 8.1
Position Assistant 65 27.5
Designer 118 50.0
Manager (director, manager, director) 53 22.5
Hairdressing career Less than 3 years 59 25.0
Less than 5 years 26 11.0
Less than 10 years 115 48.8
More than 10 years 19 15.3
Month average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60 25.4
Less than 3 million won 94 39.9
Less than 4 million won 54 22.9
Over 4 million won 28 11.9
Sum 238 100 (%)
Table 2.
Sub-factors of Worker Competency
Sub-factor Worker competency question Factor load Commonality
Performance orientation Concerns about personal influence and endeavors to create a particular impression. .826 .746
Systematically analyzes a situation to find a cause or effect. .817 .780
I don't miss my chance .738 .682
Willingness to learn skills and high goals. .593 .681
Eigenvalue: 2.627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17.511 Cronbach's α: .842
Relationship orientation Handle problems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so that you can become a lasting customer. .732 .602
Respond sincerely to customer requests. .686 .635
Convince the customer with concrete examples. .669 .629
Continuous acquisition of knowledge necessary for work. .647 .555
Eigenvalue: 2.618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34.962 Cronbach's α: .775
Attitude orientation Work hours Do not waste time and resources. .702 .564
Identify causes and reasons for behavior at work. .688 .591
Use language tailored to the customer's eye level. .665 .561
I do not give up no matter what difficulties I face. .634 .557
Eigenvalue: 2.048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48.613 Cronbach's α: .707
Cooperation Orientation Publicly praise colleagues for their work performance. .812 .677
Express positive expectations for co-workers. .771 .627
Empower colleagues to do their job well. .731 .608
Eigenvalue: 2.043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62.231 Cronbach's α: .713
KMO=.811, Bartlett=1351.049, df=105, p<.001,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62.2, Overall Reliability=.850
Table 3.
Sub-factors of Service Commitment
Sub-factor Service immersion question Factor load Commonality
Customer immersion We believe that every customer should receive the best service. .798 .724
We believe that doing our best for our customers is the most valuable thing. .774 .717
I will use my abilities to the best of my abilities in providing services to customers. .672 .684
I enjoy serving customers very much. .664 .621
When providing service to customers, they are immersed without noticing the passage of time. .657 .596
Eigenvalue: 3.518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23.453 Cronbach's α: .864
Job immersion I would like to actively recommend the job to people around me. .785 .739
I want to continue my current job. .782 .719
I often do things that are not my job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701 .582
I am attached to my job. .676 .666
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my work. .652 .717
Eigenvalue: 3.441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46.392 Cronbach's α: .880
quality immersion Str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customers. .788 .666
We put a lot of effort into making our customers satisfied. .707 .697
Treat all customers with sincerity. .649 .612
Suggest ways to improve quality frequently. .621 .573
We want to provide good products to our customers. .597 .644
Eigenvalue: 2.997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66.372 Cronbach's α: .840
KMO=.833, Bartlett=4056.090, df=109, p<.001,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73.548, Overall Reliability=.928
Table 4.
Correlation between Worker Competence and Service Commitment
Subvariable Edu tech awareness
Immersion in learning
performance orientation relationship orientation attitude orientation Cooperation Orientation customer immersion Job immersion quality immersion
performance orientation 1
relationship orientation .000 1
attitude orientation .000 .000 1
Cooperation Orientation .000 .000 .000 1
customer immersion .094 .312** .070 .164* 1
Job immersion .151* .063 .372** .263** .000 1
quality immersion .241** .450** .165* .162* .000 .000 1

* p<0.05,

** p<0.01 (N=238)

Table 5.
The Effect of Worker Competency on Service Immersion
Dependent variable (Service immersion) Independent variable (Worker competency) Β β t Correction R² F
Service immersion customer immersion (A constant) -1.001E-013 .000 1.000 *** 138 .123 9.254 .000
performance orientation .094 .094 1.540 .125
relationship orientation .312 .312 5.107 .000 ***
attitude orientation .070 .070 1.150 .251
Cooperation Orientation .164 .164 2.690 .008 *
Job immersion (A constant) 1.001E-013 .000 1.000 *** .234 .221 17.672 .000
performance orientation .151 .151 2.616 .009 *
relationship orientation .063 .063 1.088 .278
attitude orientation .372 .372 6.463 .000 ***
Cooperation Orientation .263 .263 4.571 .000 ***
quality immersion (A constant) -1.000E-013 .000 1.000 *** .298 .286 24.530 .000
performance orientation .241 .241 4.378 .000 ***
relationship orientation .450 .450 8.156 .000 ***
attitude orientation .165 .165 2.996 .003 **
Cooperation Orientation .162 .162 2.760 .064 *

* P<.05,

** P<.01,

*** P<.001

References

Barrett, G., & Depinet, R. (1991). A reconsideration of tes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46:1012-1024.
crossref pmid
Choi, C. J., & Lee, K. H. (2014). Structural causal relations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marketing, service orientation, service commitment and employees’ loyalty in electric service setting.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7(11), 1943-1959.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p.70.
Heo, S. Y. (2009). A Study on the Factors of service commitment and the Relation of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9-74.
Jeon, J. Y. (2011). The Effect of the Food Service Company’s Employee Value Proposition(EVP) on Job Attitude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9-35.
Jung, H. Y. (2012). Research Paper : An Effect of Beauty Shop's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Communication -Focus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gu, Gyeongbuk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2), 446-451.
Kang, S. H., Lee, H. J., & Leem, C. S. (2010). Analysis of Individual Capability Factor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5(3), 183-193.
Kim, D. H., & Lee, I. H. (2020).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Waxing Shops on the Rel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6), 1278-1288.
Kim, E. Y. (2009). Comparison of Core Competencies of Salespeople of Korean Automobiles and Imported Automobi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10.
Kim, S. J. (2014). Controlling role of switching barriers in connection between beauty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ung University, Seoul, 8-36.
Kim, J. K. (1998).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of beauty service industry us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youngnam, 1-5.
Lee, Y. A., & Kim, J. Y. (2020).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Beauty Servic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4), 795-805.
Lee, S. H. (2010).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rvice education satisfaction, service involv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hospital employ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yungpook, 46-47.
Oh, S. J. (2021). The effect of employee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5.
Park, K. H., & Jung, J. Y. (2019). The Effect of Competency of Hair Care Workers on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84-90.
Park, S. A., Choi, J. I., Oh, H. Y., & Yeon, J. Y. (2020). The Effect of Employee’s Image Mak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21(3), 105-128.
crossref
Park, W. J. (2021). Effects of Working Competency of Local Child Centers on the Quality of Service for Childre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ienc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1), 590-602.
Park, W. J., & Song, S. H.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orkforce Capacity of Local Children Cent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4), 256-266.
Park, J. E. (2017).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among human resource management, knowledge sharing, and job satisfaction in beauty service indu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ung University, Seoul, 1-2.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Peccei, R., & Rosenthal, P. (1997). The Antecedents of Employee Commitment to Customer Service: Evidence from a UK Contex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8(1), 66-85.
crossref
Ryu, H. R. (2015). Beauty Industry Employees' Capability on Service Commi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ung University, Seoul, 3-5.
Seo, C. J., & Ahn, S. H. (2004). An Effect of Employees` Service Involv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n Servic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5(3), 77-105.
Son, S. K.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etencies on the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Kwangju, 2-36.
Seo, H. W., & Lee, I. H. (2021).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Spa on the Rel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1), 21-23.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p.18-89.
Sparrow (1996). Competency-Based pay TOO good to be true. People Management. Dec. 5, 22-25.
Yang, S. K. (2020). The Effect of Hair Shop Service Quality & Marketing Mix 7Ps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 Behavioral Intention on Beauty Consum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6-10.
Yang, T. S. (2007). (A) study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ffect on service commitment and service quality in service fir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Kyonggi, 38-40.
Zeithaml, V. A. (1988). ConsumerProception of Priceand Value: a Mean and Model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2), 2-22.
crossref pdf
Zemkre, R. (1982). Job competencies: Can they help you design better training. Traininf, 19(5), 28-3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