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4); 2023 > Article
미용전공 여대생의 퍼스널 컬러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how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perceive personal color and how makeup behavior differs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ersonal color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reference perception and direct recognition on aesthetics and synchrony. In addition, external advice and direct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epidemic, external advice and preference perce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erest, and direct advice, external advice, and preference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ivility. Therefore, the higher the preference perception and direct recognition for each subfactor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the higher the aesthetics and sympathy during makeup behavior, the higher the external advice and direct recognition, the higher the prevalence during makeup behavior, and the higher the external advice and preference recognition, the higher the interest during makeup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irect awareness, external advice and preference awareness, the higher the interest during makeup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t a specific university, so it cannot be generalized, but it is significant that a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and makeup behavior, which increases the value by branding one's individuality.

I. 서 론

현대사회에서 외모가 경쟁력이 된다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외모는 타인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첫번째 단서로 사람의 인상을 결정 짓게 되어 성격이나 이미지가 외적으로 드러나 대인관계 형성의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많은 연구들에서 외모가 아름다운 사람이 자존감이 높고 대인관계가 좋으며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Yeon, 2005). 외모는 단순히 신체를 아름답게 가꾸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하고, 외모에 대한 기준과 평가는 개인의 자존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므로(Kim & Choi, 2016) 외모관리를 위한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다양한 외모관리행동 중 메이크업은 접근성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빠르게 외모를 변화시킬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외모관리방법으로 선택하고 있다(Kim & Kim, 2019). 메이크업은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켜 인상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Lee, 2021), 다양한 컬러를 사용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모든 사물에는 컬러가 존재하기 때문에 컬러에 대한 전문적인 공부를 하지 않아도 컬러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되어 메이크업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Kim & Yun, 2018).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컬러를 이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브랜드 화하여 가치를 높이는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가 주목받고 있다. 퍼스널 컬러는 각자의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의 신체 색을 돋보이게 하는 색으로써 개인마다 다른 신체 색과 조화를 이뤄 생기 있고 활기차게 보이도록 하는 개인 고유의 컬러를 일컫는다.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해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찾아 메이크업, 헤어 컬러링, 네일 아트, 패션 코디네이션 등에 활용할 수 있고, 개인의 고유한 신체의 색과 어울리는 컬러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외모의 상승효과를 가져와 자기 만족감을 높이게 되고(Yu, 2006) 사회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얻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Shin, 2002). 따라서 자기 만족감을 높이는 등 심리적, 사회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주는 메이크업 행동(Kim & Kim, 2019)과 퍼스널 컬러의 연관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그동안 퍼스널 컬러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퍼스널 컬러에 대한 컬러 선택요인 및 만족도 연구(Han, 2002)와 20-30대 한국여성의 퍼스널 컬러(Park & Moon, 2005)를 비롯하여 퍼스널 컬러가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Jeong & Park, 2014), 퍼스널 컬러를 활용한 네일 컬러 시슬 만족도 연구(Beak & Hong, 2023), 퍼스널 컬러의 정량적 진단 모델 연구(Jeong, 2021), 퍼스널 컬러 진단 어플리케이션의 GUI디자인 사례분석(Kim & Shin, 2023), 퍼스널 컬러 진단시스템의 네일아트 적용에 관한 연구(You & Kim, 2020), 음성과 퍼스널 컬러 유형의 상관관계 연구(Moon & Park, 2013), 형태재인 이론을 활용한 퍼스널 컬러 메이크업 교육에 관한 연구(Han & Nam, 2020), 퍼스널 컬러 사계절 이미지에 따른 네일 디자인 연구(Kang & Jung, 2022), 여성의 퍼스널 컬러 인식, 메이크업행동, 이미지관리 행동 간의 관계 연구(Lee, 2021) 등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화장품 시장의 주요 고객으로 부상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대생 중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Ham et al., 2023) 미용 전공 여대생이 퍼스널 컬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로 퍼스널 컬러 관련 산업의 마케팅 자료 및 퍼스널 컬러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퍼스널 컬러

퍼스널 컬러는 사람의 얼굴에 가장 어울리는 색상을 찾아 적용하여 이미지를 연출하는 미용 이론으로, 프로소본(prosopon)과 라틴어의 페르소나(persona)에서 유래한다. 프로소본과 페르소나는 그리스, 로마의 연극에서 배우의 외형적 모습, 캐릭터, 개성 및 개인의 존엄성으로 해석된다(Park, 2000). 퍼스널 컬러의 개념은 1810년 괴테가 색채론에서 거론하였고(Hong, 2005), 1919년 요하네스 이텐(Yohannes Itten)이 사람의 피부색, 모발색, 눈동자색과 잘 어울리는 색채가 있다고 최초로 언급하였다. 그는 같은 분홍색의 옷을 여러 여성에게 착용하도록 하였을 때 아름답게 어울리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으며,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은 따로 있다고 저술하였다(Hong et al., 2012). 1980년 미국의 캐롤 잭슨(Carole Jackson)은 요하네스 이텐의 신체 고유의 색, 색채 선호에 대한 통계, 색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을 4계절 유형으로 분류, 그에 적합한 색채 팔레트를 개발하여 메이크업, 의복을 위한 이론으로 발전시켰고, 이후 많은 학자들에 의해 퍼스널 컬러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퍼스널 컬러가 과학적 이론이 아니라 주관적이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현재는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퍼스널 컬러 진단기기가 개발되어 과학적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다. 퍼스널 컬러는 자신에게 어울리는 컬러를 찾아 적용함으로서 이미지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고, 지속적으로 연구를 통해 퍼스널 컬러 인식 요인을 직접인식, 선호인식, 외부조언으로 분류하고 있다(Hong et al., 2012; Lee, 2021).

2. 메이크업 행동

메이크업은 다양한 화장품과 도구를 사용하여 장점을 드러내고 단점을 보완하여 자신의 외모를 아름답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또한 메이크업 행동이란 개인이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과정과 결과, 즉 외모를 가꾸기 위해 경험하는 다양한 행동들을 의미하며(Kim & Kim, 2019), 메이크업 행동요인은 이러한 메이크업 행동을 하게 되는 사회적·심리적 기대효과와 즐거움, 자아실현을 포함한 요인을 말한다. 메이크업 행동은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쳐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반면 대인관계의 결함은 사회적·정서적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9). 따라서 메이크업 행동은 개인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장식 행동을 넘어서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대인관계에 필요한 의사소통 및 의사전달의 수단이라 할 수 있다(Kim, 2020).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메이크업 행동요인을 크게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 동조성, 예의성(Choi et al., 2017: Kim & Kim, 2019: Kim, 2020)으로 분류하고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K대학교 미용 전공 여대생 중 조사에 응하기로 한 대상자에게 4월 3일부터 4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27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퍼스널 컬러 인식에 관한 문항은 Lee(2021)Hong et al.(2012)의 연구를 참고하여 직접인식, 선호인식, 외부조언을 하위요인으로 11개 문항을 구성하였고, 메이크업 행동요인은 Choi et al.(2017), Kim & Kim(2019), Kim(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 동조성, 예의성을 하위요인으로 19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학년, 전공, 외모관리 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 계수를 사용하였다. 퍼스널 컬러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퍼스널 컬러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학년은 1학년 51명(22.5%), 2학년 56명(24.7%), 3학년 70명(30.8%), 4학년 50명(22.0%)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메이크업 91명(40.1%), 헤어미용 75명(33.0%), 네일미용 36명(15.9%), 피부미용 25명(11.0%)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모관리 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은 메이크업 126명(55.5%), 헤어스타일 29명(12.8%), 피부관리 29명(12.8%), 의상 19명(8.4%), 네일아트 17명(7.5%), 색채 7명(3.1%)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퍼스널 컬러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퍼스널 컬러 인식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데이터수의 적정성과 단위행렬 여부를 검증하였는데, KMO지수는 0.839로 나타나 데이터수가 적정함을 알 수 있고, Bartlett 구형성 검정은 1478.199로 p<.001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75.385%로 나타났다. 먼저 요인 1(27.923%)은 ‘직접인식’, 요인 2(25.501%)는 ‘선호인식’, 요인 3(21.961%)은 ‘외부조언’으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고, 신뢰도는 모두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메이크업 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메이크업 행동에 대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데이터수의 적정성과 단위행렬 여부를 검증하였는데, KMO지수는 0.857로 나타나 데이터수가 적정함을 알 수 있고, Bartlett 구형성 검정은 2504.705로 p<.001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73.499%로 나타났다. 먼저 요인 1(16.156%)은 ‘심미성’, 요인 2(15.741%)는 ‘동조성’, 요인 3(15.284%)은 ‘흥미성’, 요인 4(14.836%)는 ‘유행성’, 요인 5(11.481%)는 ‘예의성’으로 명명하였다. 총 5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고, 신뢰도는 모두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상관관계 분석

퍼스널 컬러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인식, 선호인식, 외부 조언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 예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1),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인식, 선호인식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동조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001) 퍼스널 컬러 인식이 높아질수록 메이크업 행동도 높아진다는 Lee(2021)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퍼스널 컬러 인식이 메이크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1) 퍼스널 컬러 인식이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인식이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1%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5.329, p<.001). 독립변수별로는 선호인식(β=.227, p<.01), 직접인식(β=.213, p<.01)이 심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선호인식, 직접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심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퍼스널 컬러를 인식하고 메이크업할 때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메이크업 행동이 높게 나타나며, 외모관리에서 자신의 장점을 부각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아름답게 보이고자 한다는 Kim (2015)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2) 퍼스널 컬러 인식이 유행성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인식이 유행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1.29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부조언(β=.223, p<.01), 직접인식(β=.163, p<.05)이 유행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직접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유행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타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유행을 중시한다는 An & Im(2022)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3) 퍼스널 컬러 인식이 흥미성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인식이 흥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3.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3.237, p<.001). 독립변수별로는 외부조언(β=.324, p<.001), 선호인식(β=.200, p<.01)이 흥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선호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흥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메이크업 행동에 있어서 흥미성은 메이크업 스타일에 변화를 주고, 메이크업에 대해 이야기하는 등 메이크업에 관심을 가지는 요인(An & Im, 2022)이므로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 요인인 외부조언과 사용하는 색상에 대한 관심요인인 선호인식이 높은 것과 관련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4) 퍼스널 컬러 인식이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인식이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1.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9.584, p<.001). 독립변수별로는 직접인 식(β=.267, p<.01), 선호인식(β=.184, p<.01)이 동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인식, 선호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동조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Ham et al.(202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퍼스널 컬러 인식이 예의성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 인식이 예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5.856, p<.001). 독립변수별로는 직접인 식(β=.242, p<.01), 외부조언(β=.147, p<.05), 선호인식(β=.139, p<.05)이 예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인식, 외부조언, 선호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예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An & Im(2022)의 연구에서 직접인식, 외부조언, 선호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성취추구가 높게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다. 메이크업에서 예의성은 타인에게 비치는 나의 이미지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여대생 중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이 높은 미용 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퍼스널 컬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인식, 선호인식, 외부조언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심미성, 유행성, 흥미성, 예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1),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인식, 선호인식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동조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퍼스널 컬러 인식이 메이크업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인 선호인식, 직접인식이 심미성, 동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조언, 직접인식은 유행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외부조언, 선호인식은 흥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접인식, 외부조언, 선호인식은 예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선호인식, 직접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심미성과 동조성이 높아지고, 외부조언, 직접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유행성이 높아지며, 외부조언, 선호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흥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인식, 외부조언과 선호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 중 흥미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정 대학의 미용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할 수는 없겠으나 자신의 개성을 브랜드화하여 가치를 높이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의 상관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한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메이크업 행동 요인은 사회․심리적 관점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변수들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Grade 1 51 22.5
2 56 24.7
3 70 30.8
4 50 22.0
Major Hair 75 33.0
Makeup 91 40.1
Skin Care 25 11.0
Nail Art 36 15.9
Important points when taking care of appearance Hair 29 12.8
Makeup 126 55.5
Skin Care 29 12.8
Nail Art 17 7.5
Fashion 19 8.4
Color 7 3.1
Total 227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Question Ingredient
Direct Recognition Preference Recognition Outside Advice
3. I know the colors that go with my image. .849 .132 .139
4. I know colors that go well with my skin tone. .848 .145 .182
1. I know the color that suits me. .833 .130 .284
2. I know which color goes well with my hair color. .775 .287 .239
6. I prefer a personal color that matches my hair color. .070 .866 .070
7. I prefer personal colors that match my skin. .153 .848 .110
5. I know colors that go well with my skin tone. .229 .786 .025
8. The color I prefer matches the color that suits me. .147 .725 .199
11. I need to know my personal color through expert diagnosis. .093 .135 .890
10. I have been diagnosed with personal color by an expert. .331 .046 .872
9. I have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personal colors. .340 .188 .785
Eigenvalue 3.072 2.805 2.416
Variance explanation (%) 27.923 25.501 21.961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27.923 53.425 75.385
Reliability (Cronbach's α) .894 .841 .871

KMO=.839, Bartlett's test χ²=1478.199 (df=55, p=.000)

Table 3.
Validation and Reliability Validation of Makeup Behavior
Question Ingredient
Aesthetics synchronicity Interest Pandemic Courtesy
12. I try to choose cosmetics that accentuate my strengths. .885 .018 .146 .130 .130
1. I work hard to hear reviews saying that my Makeup-on face looks good. .778 .137 .250 .277 .137
5. When I do Makeup, I pay special attention to color harmony. .770 .211 .218 .200 .182
8. I have copied or applied Makeup after looking at magazines or YouTube. .759 .094 .217 .120 .037
14. When I meet a friend who usually wears Makeup, I don't go out without Makeup on. .041 .911 .045 .155 .034
7. When I wear Makeup similar to my friends, I feel closer to them. -.001 .822 .045 .262 .103
16. I buy cosmetics after talking about fashionable things with my friends. .081 .807 .237 .255 -.002
11. I wear Makeup that I like even if my friends don't like it (r). .293 .772 -.053 -.041 .032
17. I look at other people's Makeup with interest. .143 .140 .857 .151 .028
13. I like to talk about Makeup with my friends. .225 .083 .806 .116 .036
18. I look at other people's Makeupp with interest. .241 -.056 .734 .128 .222
3. Even if I don't, I want to know what new cosmetics are like. .152 .059 .729 .292 .025
9. When I buy cosmetics, I always keep the trend in mind. .104 .173 .163 .847 .082
15. I tend to buy new cosmetics before my friends. .072 .173 .289 .804 -.003
2. Following a new style of Makeup is important to me. .213 .181 .239 .783 .060
6. I think following trends is a waste of time and money (r). .296 .089 .030 .621 .047
19. When choosing cosmetics, I choose a natural and calm color rather than a color that is too flashy. .076 .087 .119 .048 .897
10. I feel embarrassed when I see people who wear too flashy Makeup. .042 .122 -.022 .020 .879
4. I think fancy Makeup is okay as long as it suits me. .331 -.091 .162 .091 .676
Eigenvalue 3.070 2.991 2.904 2.819 2.181
Variance explanation (%) 16.156 15.741 15.284 14.836 11.481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16.156 31.898 47.182 62.018 73.499
Reliability (Cronbach's α) .891 .878 .848 .845 .794

KMO=.857, Bartlett's test χ²=2504.705 (df=171, p=.000)

Table 4.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Personal Color Recognition
Makeup Behavior
Direct Recognition Preference Recognition Outside Advice Aesthetics Pandemic Interest Synchronicity Courtesy
Direct Recognition 1
Preference Recognition .396*** 1
Outside Advice .526*** .295*** 1
Aesthetics .346*** .335*** .261*** 1
pandemic .302*** .185** .325*** .454*** 1
Interest .342*** .333*** .432*** .493*** .475*** 1
synchronicity .285*** .259*** .090 .291*** .400*** .214** 1
Courtesy .374*** .278*** .316*** .328*** .174** .230*** .138* 1

* p<.05,

** p<.01,

*** p<.001

Table 5.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Aesthetics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constant) 2.144 .272 7.871 .000
Direct Recognition .186 .066 .213 2.840** .005
Preference Recognition .233 .069 .227 3.395** .001
Outside Advice .061 .054 .082 1.130 .260
R²=.171, Adj. R²=.160, F=15.329***, p=.000

** p<.01,

*** p<.001

Table 6.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Pandemic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constant) 1.635 .330 4.958 .000
Direct Recognition .169 .079 .163 2.127* .035
Preference Recognition .066 .083 .054 .789 .431
Outside Advice .197 .065 .223 3.026** .003
R²=.132, Adj. R²=.120, F=11.295***, p=.000

* p<.05,

** p<.01,

*** p<.001

Table 7.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Interest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constant) 1.325 .302 4.391 .000
Direct Recognition .094 .073 .093 1.289 .199
Preference Recognition .238 .076 .200 3.124** .002
Outside Advice .279 .060 .324 4.686*** .000
R²=.238, Adj. R²=.228, F=23.237***, p=.000

** p<.01,

*** p<.001

Table 8.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synchronicity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constant) 1.475 .341 4.320 .000
Direct Recognition .283 .082 .267 3.439** .001
Preference Recognition .230 .086 .184 2.666** .008
Outside Advice -.094 .067 -.105 -1.402 .162
R²=.114, Adj. R²=.102, F=9.584***, p=.000

** p<.01,

*** p<.001

Table 9.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Courtesy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B S.E β
(constant) 1.495 .312 4.798 .000
Direct Recognition .243 .075 .242 3.232** .001
Preference Recognition .164 .079 .139 2.088* .038
Outside Advice .126 .061 .147 2.050* .041
R²=.176, Adj. R²=.165, F=15.856***, p=.000

* p<.05,

** p<.01,

*** p<.001

References

An, C. R., & Im, E. J.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Self-esteem and Body Imag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8(1), 53-64.
Beak, M. H., & Hong, S. N. (2023). Influencing Factors of Nail Care Satisfaction Based on Personal Color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9(1), 91-100.
crossref
Choi, S. K., Gill, M. C., & Kim, M. S. (2017). The Effect of State of Makeup and Makeup Behavior Factor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Journal, 7(5), 409-420.
crossref
Ham, S. J., Hwang, S. M., & Kim, S. H. (2023). A Study on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Personal Color Recogn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Han, M. S. (2002). Centered on the Colors for Hair and Make-up = A Study on the Personal Color Selectio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4(4), 369-375.
Han, S. Y., & Nam, W. S. (2020). A Study on the Personal Color Makeup Education Using Morphological Theory: PI education for general job applicants. Design Research, 5(3), 324-339.
Hong, M. S. (2005). A study on Koreans' personal colors: Focusing on those in their 20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aster's Thesis, 7.
Hong, S. N., Bang, H. J., & Lee, S. E. (2012).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personal color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Body Beauty Arts, 13(3), 133-147.
Jeong, S. Y., & Park, Y. S. (2014).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on children's emotions = Focusing on the best color.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8(4), 25-38.
Jeong, Y. S. (2021). A study on the quantitative diagnosis model of personal color.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11), 277-287.
Kang, M. K., & Jung, Y. S. (2022). A Study on Nail Design According to Personal-Color Images of the Four Seasons. The Korean Human Image Design, 4(1), 63-82.
Kim, E. H., & Choi, E. M. (2016). Appearance Satisfaction has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Junior High School Girl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4), 263-272.
crossref
Kim, E. H., Jeon, H. K., & Kim, S. H. (2019). The Effects of Makeup Behavior Factor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2), 284-295.
Kim, E. H., & Kim, S. H. (2019). The Effects of Makeup Behavior Factors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Wome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3), 702-712.
Kim, H. M., & Yun, C. S. (2018). Study on validity of personal color self-diagnosis measurement scal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4), 689-696.
Kim, J. Y., & Shin, S. Y. (2023). GUI Design Case Analysis of Personal Color Diagnosis Application.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8(1), 153-160.
crossref
Kim, M. J. (2015).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perceptions on makeup behaviors and pre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im, S. H. (2020). Correlations Between Makeup Behavior and Social Media Among Adolescen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5), 1121-1130.
Lee, J. A., & Kim, C. H. (2020).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Color Product Purchase Criteria an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3), 635-645.
Lee, Y. A. (202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and imag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uman Image Design Society, 3(2), 17-31.
Moon, W. M., & Park, Y. S. (2013).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oice and personal color types.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7(3), 61-69.
Park, H. S. (2000). Personal color type of university students and evaluation of clothing color image accordingl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Park, Y. S., & Moon, W. M. (2005). Personal color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1), 121-127.
Shin, H. S. (2002). A study on the degree of subpopulation and color diagnosis variables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system: Focusing on the colors of makeup, hair, and clothes.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Yeon, K. H. (2005). A study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after makeup. Master's thesis at Che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You, E. K., & Kim, H. M. (2020). A Study on Nail Art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Through the nail ball design production case.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5(3), 301-312.
Yu, J. S. (2006). A study on nail col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system. Yongin University master's thesi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