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5); 2023 > Article
개인역량이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뷰티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Abstract

Because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workers playing a pivotal role is requir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ompetencies in the process of workers’ performing their task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prior studies. The worker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have thei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so the industry requires a strong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individual competences are regarded as affecting job 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n beauty service industry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with their individual competencies, namely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 variables based on prior studies.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the worker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s individual competences, including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 were highe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Also, a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job performance was higher. All this is analyzed as follows: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an individual-customized servicecentered industry with high interactions with customers through small number of human resources in view of the industry workers’ job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if they continuously obtain knowledge required for their job so that they can have attachment to and a sense of achievement for the job, set achievable goals, make efforts to achieve them, do their utmost efforts for the job they like, and endeavor for self-development, job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eyond their capabilities. As individual competences are consolidated, if satisfaction with job performance increases, the workers will be faithful to their job performance, and they will achieve job performance by creating new skills (techniques) beyond their capabilities. To develop the workers’ potential capabilit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m to continuously develop individual capabilities and receive training fit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offer implications for the beauty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삶의 질의 향상과 더불어 뷰티서비스산업의 시장도 급속도로 커지면서 뷰티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미용인들의 입지도 넓어지고 있다. 미(美)에 대한 욕구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욕망이고, 이러한 욕구를 바탕으로 뷰티서비스업은 계속해서 발전해 왔으며 우리나라의 뷰티서비스업은 인구증가, 경제발전과 생활 수준의 향상, 각종 언론 매체 등의 발달로 다양한 변화를 원하는 고객들의 요구에 맞추어 그 수요가 매년 성장하고 있다(Lee, 2015). 또한, 경제 성장에 따른 소득과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뷰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오늘날의 뷰티서비스업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충족을 떠나 삶의 질에 더 가까운 문화생활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다(Choe, 2017). 그에 따른 뷰티서비스업 성장에 있어 종사자들의 개인역량은 중요하다. 종사자들의 개인역량으로 인하여 직무에 대한 기술 뿐 아니라 지식습득, 태도가 업무에 대한 애착과 자기 발전을 해나갈 것이다. 또한 인식과 현황을 개선해 나감으로써 자긍심과 만족을 위하여 업무성과의 분석이 필요하다(Jung, 2011). 개인역량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로 Pack(2019)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역량과 직무만족을 연구하였고, Choe (2014)은 간호사의 역량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업무의 성과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Hong(2013)은 미용사의 직무만족도와 업무성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특히, 뷰티서비스업의 특성은 인적 자원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종사자의 인적자원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종사자가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역량이 중요함을 선행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업무특성 상 고객과의 접점에서는 상호작용이 높은 개개인의 맞춤식 서비스 중심의 업종이므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개인의 가치관, 신념, 욕구 등의 태도에 대한 인식을 전환 시켜주고 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한다면 업무수행에 또 다른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뷰티서비스업에 있어서 개인역량의 특성은 업무의 생산성 및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대안으로 볼 수 있다. 뷰티서비업과 관련하여 개인역량과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므로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인역량이 직무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업무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고급인력 양성과 뷰티서비스업 경영관리 구축하는데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전반적인 지식과 기술, 고객을 대하는 태도 등에 대한 개인적인 역량의 변화는 실제 현장에서 임하는 직무 만족과 더불어 업무를 달성하는 성과의 연관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개인역량

역량의 개념은 지능개념의 중요성과 생각하는 영역 외에 동기와 성격이 포함되어 있는데, 과거 전통적인 의미에서 지능의 개념은 실제 삶의 적응결과를 산출하는 실제 요인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개인이 직무를 수행하여 실제 성과의 구체적인 결과물을 보여주는 개인역량에 대한 평가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McClelland, D. C. 1973). 역량은 개인이 담당하는 업무, 책임, 역할, 기능 등의 직무역량과 일반적인 역량기반으로 인적자원관리에 역량 개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역량의 효과적이고 탁월한 수행성과를 직·간접적으로 목표달성과 성과에 영향을 주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Choi, 2017).

1) 지식

지식은 조직의 다른 자원들에 비하여 무형적, 가변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것을 이용한 여러사람들이 학습해 왔다. 무형적 의미는 조직의 다른 자원과는 달리 암묵적인 요인을 포함하며 측정이 어려우며, 가변적 의미는 조직이 현재 처한 상황과 시기에 따라 조직의 형태와 내용이 달라지는 것으로 정의된다(Lee, 2014). 또한 지식은 활용목적과 범위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으며, 지식을 새로운 경험, 가치, 정보, 통찰력의 유동적 결합체로 정의하였다(Hwang, 2001).

2) 기술

기술(Technology)은 조직 내에서 투입된 산출물을 전환 시키는 과정 또는 방법으로 정의 되며, 또한 모든 생산 조직과 서비스 조직에서의 가치 창출을 위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무형적, 유형적 서비스나 제품을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Jong, 2004). 그리고, 개인수준 기술은 조직 내의 개인들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적인 기술과 지식을 말하는 것으로 기능 수준의 기술은 조직 내의 집단들이 그들의 작업 수행과 가치 창출을 위하여 사용되는 절차 및 기법을 말하며 조직수준의 기술은 조직이 투입물을 산출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말한다(Jeon, 2010).

3) 태도

태도란 자기와 자기개념 또는 자기 구조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는데 감지되어지는 자기에 대한 지각의 조각된 형태를 의미하며, 또한 자아개념은 자기의 특징, 능력에 대한 지각이나 타인과 환경의 관계에서 자기의 지각 또는 의미, 대상과 경험이 연합된 것이라 하였다(Lee, 2011).

2. 직무만족

Locke는 직무만족을 개인의 직무와 관련 사항을 평가하고 직무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경험을 평가하여 가지게 되는 긍정적인 감정 상태라고 정의하였고, 직무, 보수, 승진, 직무환경 등의 요인이 이에 영향을 준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직무만족을 개인이 조직에서 직무를 평가하거나 직무를 통하여 얻게 되는 경험을 스스로 평가함으로써 얻게 되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로 정의하였으며(Locke, 1976),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이 수행하는 조건에 대해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이라고 직무만족을 정의하였다(Wood & Zeffane, 2001). 또한 직무만족은 조직운영에서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조직에 대한 직원들의 자부심과 충성심의 배양은 경영성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정의하였다(Wendy, 2005).

3. 업무성과

Pincus는 조직구성의 직무가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개념으로 산업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생산성의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 개념화하였다(Pincus J. D, 1986). 이러한 업무성과에 관련해서 조직구성원들의 주어진 직무의 성과 수준이 그 업무에서의 요구되는 기대성과와 비교하여, 수행된 업무의 성과가 어느 정도 수준인가를 인식하여 자신의 직무에 대해 최선을 다하였다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라 하였다(Stumpf & Hartma, 1984). 조직의 효과적인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조직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조직과 조직 관리자에게는 중요하며, 또한 업무성과는 탐색을 통하여 새로운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지만, 기존의 과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과정을 창조적으로 개선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Choi, 2014).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직무에 대한 업적평가를 성과의 정도라고 하였다(Jeong, 2015).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모형 및 연구가설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개인역량이 직무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H1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개인역량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종사자의 지식역량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종사자의 기술역량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종사자의 태도역량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업무성과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개인역량이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종사자의 지식역량은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종사자의 기술역량은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3. 종사자의 태도역량은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업의 피부, 헤어, 네일, 메이크업, 종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5월 01일부터 5월 31일까지 31일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표본은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설문내용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 12부를 제외한 168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3. 측정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 사용된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으며, 5점 Likert 척도로 ‘1:매우 그렇지 않다’에서 ‘5점: 매우 그렇다’를 사용한 개인역량, 직무만족, 업무성과의 총 3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본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7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개인역량은 Seo(2020), Lee(2012)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지식역량 5문항, 기술역량 5문항, 태도역량 5문항 총15문항으로 재구성하였고, 직무만족의 문항은 Choi(2017)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단일요인으로 5문항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업무성과의 문항은 Lee(2020)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단일요인 6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개인역량, 직무만족, 업무성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다음<Table 1>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분석 결과이다. 분석결과 대상자 총 168명으로 남성 22명(13.1%), 여성 146명(86.9%)으로 성별은 여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으로는 50대 52명(31.0%)으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40대 44명(26.2%), 20대 39명(23.2%), 30대 31명(18.5%), 20대 미만 2명(1.2%)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학교재학/졸업 66명(39.3%),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전문대재학/졸업 42명(25.0%), 대학원 이상 32명(19.0%), 고등학교 졸업 28명(16.7%)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기혼이 91명(54.2%), 미혼 77명(45.8%)으로 기혼이 높게 나왔다. 소득은 300-400만원 미만 104명(22.6%),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400만원 이상 48명(28.6%), 200-300만원 미만 38명(26.8%), 100만원 미만 19명(11.3%), 100-200만원 미만 18명(10.7%)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연수는 5년 이상 100명(59.5%)으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1년-3년 미만 24명(14.3%), 6개월 미만 24명(14.3%), 6개월-1년 미만 7명(4.2%)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용분야는 피부 77명(45.8%),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기타 37명(22.9%), 헤어 28명(16.7%), 네일 15명(8.9%), 메이크업 11명(6.5%) 순으로 나타났다.

2. 개인역량, 직무만족, 업무성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

1) 개인역량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독립변수인 개인역량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검증 결과 <Table 2>와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수가 요인분석에 대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Bartlett의 구형성 검사와 KMO(Kaiser-Meyer-Olkin) 표본 적절성 검사를 실시했다. KMO(Kaiser-Meyer-Olkin)의 값이 . 926으로서 1에 근접하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은 요인분석에 적합하다. 15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역량의 하위요인을 ‘지식역량’, ‘기술역량’, ‘태도역량’로 명명하였다. 총 3개의 요인 적재 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가 ‘태도역량’이 .847, ‘지식역량’이 .881, ‘기술역량’이 .825로 높게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직무만족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검증 결과 <Table 3>과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수가 요인분석에 대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Bartlett의 구형성 검사와 KMO(Kaiser-Meyer-Olkin) 표본 적절성 검사를 실시했다. KMO(Kaiser-Meyer-Olkin)의 값이 . 870으로서 1에 근접하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 5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요인명은 ‘직무만족’로 명명하였다. 총 1개의 요인 적재 값이 ±0. 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가 .857로 높게 나타나 내적일관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업무성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종속변수인 업무성과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검증 결과 <Table 4>와 같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수가 요인분석에 대해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Bartlett의 구형성 검사와 KMO(Kaiser-Meyer-Olkin) 표본 적절성 검사를 실시했다. KMO(Kaiser-Meyer-Olkin)의 값이 .846으로서 1에 근접하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 6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요인명은 ‘업무성과’로 명명하였다. 총 1개의 요인 적재 값이 ±0. 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가 .865로 높게 나타나 내적일관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 검증

본 연구의 개인역량, 직무만족, 업무성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에 앞서 각 구성개념 간의 상관성과 방향성의 파악을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개인역량의 하위요인별 지식역량(r=.686, p<.01), 기술역량(r=.763, p<.01), 태도역량(r=.608, p<.01)은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역량의 하위요인별 지식역량(r=.635, p<.01) 기술역량(r=.529, p<.01), 태도역량(r=.752, p<.01)은 업무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r=.637, p<.01)은 업무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개인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개인역량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설명력(R²)은 63.5%로 나타났으며, F=94.29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 기술(β=.531, p<.001), 태도(β=.214, p<.01), 지식(β=.188, p<.05) 순으로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인역량의 기술역량의 영향력이 태도역량과 지식역량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별로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의 결과에서도 기술역량에 대한 인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술습득이 직무만족에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뷰티서비스업의 특성상 개인의 기술을 고객들에게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다양한 기술의 노하우를 현재 직무와 연계하는 것이 큰 역량이라 볼 수 있다. 이런 역량을 갖추는데 무엇보다 전문적인 지식습득과 그 지식을 업무에 활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기술적인 역량이 높으면,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가치 있는 일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면서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Choi(2017)의 미용장의 개인역량의 연구에서도 태도, 지식, 기술역량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Lee(2012)의 연구에서 미용종사자들의 개인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 있어 기술, 지식, 태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

5.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의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설명력(R²)은 40.5%로 나타났으며, F=113.07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로써 직무만족(β=.485, p<.001)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성과에 있어서 직무만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뷰티서비스 종사자가 지금 하는 일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결과를 볼 때, 하는 일이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하고, 무엇보다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쁨과 보람을 갖을 때, 직문만족이 커지면서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를 통해 고객들에게 신뢰를 높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찾는 고객이 많아졌다는 결과는 즉, 직무만족이 높아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Sin(2019)의 연구에서 뷰티서비스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이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와 Seo(2020)의 학습조직행동에서 개인역량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6. 개인역량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개인역량이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의 분석한결과는 <Table 8>과 같다. 설명력(R²)은 29.7%로 나타났으며, F=34.999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 태도(β=.571, p<.001), 기술(β=.089, p<.05), 지식(β=.148, p<.05) 순으로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인역량의 태도역량의 영향력이 기술역량, 지식역량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는 업무성과에 있어서 뷰티서비업 종사자의 개인 역량의 지식, 태도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개인역량의 하부요인인 태도역량, 기술역량, 지식역량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도역량은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뷰티서비스업 특성을 고려하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일에 대해 최선을 다하는 태도와,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신뢰감을 주는 태도가 높아지면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Choi(2016)의 모바일오피스 환경에서 개인역량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연구에서도 본 연구를 지지해 줌을 알 수 있으며, Kwak(2022)의 미용인의 개인역량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기술, 지식역량보다 태도역량이 업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업 종사자를 연구대상으로 개인역량이 직무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역량강화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설문내용 중에서 불상실한 응답자 12부를 제외한 168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개인역량, 직무만족, 업무성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역량의 지식, 기술, 태도는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개인역량은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수준이 높으면 직무만족 역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별로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술에 대한 인과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서비스업의 특성상 개인의 기술에 대한 의존이 높은 직업으로 기술습득이 직무만족과 관련성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은 업무성과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에서 하는일이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하고, 직무를 통해 기쁨과 보람을 느낄 때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셋째, 개인역량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면 개인역량 정도에 따라 업무성과에 영향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역량별로 보면 태도가 업무성과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서비스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고객과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개인역량 중 태도가 업무 성과에 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의 역량이 직무만족과 업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역량의 개발과 더불어 인적자원관리에 중요함을 제시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뷰티서비스업에 맞는 다각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업 경영관리 구축과 고급인력 양성과 확보를 위해 개인역량의 지식역량, 기술역량, 태도역량과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어떠한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방안들과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조사의 범위가 뷰티서비스 종사자로 한정되어 그 기능이 한정적이다. 또한, 표본의 특성을 고려하면 피부미용에 빈도가 편중되어 조사되었기 때문에 일반화를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개인역량에 관한 요인이 지식, 기술 태도에만 국한이 되었고, 결과변수인 업무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본 열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g. 1.
Models of research.
JKSC-2023-29-5-1222f1.jp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168)
Item Classification N %
Gender Male 22 13.1
Female 146 86.9
Total 168 100.0
Age Younger than 20s 2 1.2
20s 39 23.2
30s 31 18.5
40s 44 26.2
50s 52 31.0
Total 168 100.0
Education Graduated from high school 28 16.7
Enrolled in/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42 25.0
Enrolled in/graduated from university 66 39.3
Graduate school or higher 32 19.0
Total 168 100.0
Marital status Unmarried 77 45.8
Married 91 54.2
Total 168 100.0
Income Less than KRW 1 M (M = million) 19 11.3
KRW 1 M - KRW 2 M 18 10.7
KRW 2 M - less than KRW 3 M 38 26.8
KRW 3 M - less than KRW 4 M 104 22.6
KRW 4 M or higher 48 28.6
Total 168 100.0
Years of service Less than 6 months 24 14.3
6 months - less than 1 year 7 4.2
1 year - less than 3 years 24 14.3
3 years - less than 5 years 13 7.7
5 years or more 100 59.5
Total 168 100.0
Beauty care Hair 28 16.7
Skin 77 45.8
Nail 15 8.9
Makeup 11 6.5
Other 37 22.9
Total 168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Individual Competency Validity and Confidence
Item Factor Analysis
Attitude Knowledge Skills
I do my best for the work that I like. .855 .170 .048
I identify problems and causes of customer behavior patterns. .823 .242 .109
I endeavor to protect customer’s privacy for customer reliability. .775 .416 .166
I have a strong commitment to self-development. .758 .329 .266
I set achievable goals and make efforts for the goals. .744 .442 .367
I use knowledge for the task that I am performing now. .247 .852 .288
I tend to continuously acquire knowledge required for my work. .356 .822 .220
I persistently endeavor until I obtain information on expertise. .266 .781 .246
I continuously make efforts to obtain knowledge required for my work. .258 .680 .270
I can accurately explain my current work. .292 .677 .466
I have diverse and sufficient skills. .138 .196 .824
I have a clear technical objective to achieve. .008 .319 .822
My skills are highly associated with my current job. .467 .350 .641
I efficiently manage skills and adopted skills. .503 .218 .564
KMO .926
Eigenvalue 3.529 3.420 2.915
Variance (%) 23.976 22.800 19.432
Reliability (Cronbach’s α) .847 .881 .825
Table 3.
Verification of Job Satisfac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 Factor
I am satisfied with my working environment. .851
I am satisfied with my work overall. .838
I think what I am doing is a valuable job. .834
I feel joy and rewarded in performing my work. .767
I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my career through my job. .700
KMO .870
EigenValue 3.949
Variance (%) 65.824
Reliability (Cronbach’s α) .857
Table 4.
Verification of Job Performance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 Factor
I achieve by performing job up to the level expected to me. .812
I offer systematic and organizational customer service. .788
My expertise has improved. .785
I fully complete my responsibility for job. .759
The customers have high reliability on me. .757
More customers come to me. .746
KMO .846
EigenValue 3.603
Variance (%) 60.045
Reliability (Cronbach’s α) .865
Table 5.
Verification of Correlations
Classification Personal Competencies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Knowledge Skills Attitude
Knowledge 1
Skills .722** 1
Attitude .696** .584** 1
Job satisfaction .686** .763** .608** 1
Job performance .635** .529** .752** .637** 1

** p<.01

Table 6.
Effects of Personal Competencies on Job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tandard Error β Tolerance VIF
Job satisfaction (Constant) .096 .261 .368 .714
Knowledge .188 .080 .183 2.343* .020 .364 2.746
Skills .531 .069 .530 7.667*** .001 .466 2.148
Attitude .214 .083 .171 2.573* .011 .502 1.991
adj R²=.635 F=94.292 p=.001

* p<.05,

*** p<.001

Table 7.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Job performance (Constant) 2.268 .181 12.502 .001
Job performance .489 .046 .637 10.634*** .001
adj R²=.405 F=113.072 p=.001

*** p<.001

Table 8.
Effects of Individual Competencies on Job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tandard Error β Tolerance VIF
Job performance (Constant) .942 .212 4.440 .001
Knowledge .148 .065 .187 2.263* .025 .364 2.746
Skills .089 .056 .128 2.564* .011 .466 2.148
Attitude .571 .068 .595 8.448*** .001 .502 1.991
adj R²=.297 F=34.999 p=.001

* p<.05,

*** p<.001

REFERENCES

Choi, A. S. (2016). A Study of Individual Competencies on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Mobile Office Use Environmen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4.
Choi, K. S.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Nurse’s Competence, Organizational Justice, Knowledge Sharing and Work Performance.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45.
Cho, S. G. (2017). A Study on Master Hairdresser’s Individual Competencie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54.
Choi, S. G. (2017). A Study on Master Hairdresser’s Individual Competencie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
Choi, S. E.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Individuals’ Job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0.
Choi, Y. H.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Hospital Competencies Perceived by Nursing Hospital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86.
Gong, T. (2004).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Competencies on PersonalPerforma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Focusing on Semiconductor Companies.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70.
Hwang. U. S. (2001).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s Core Facto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10.
Hong, B. D. (2023). Effect of hairdresser's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28.
Hong, G. H., & Jin, Y. M. (2016). The Effects of Hairdresser’s Individual Competencies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3), 522.
Jeong, S. Y. (2011). The Effects of Beauty Care Worker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
Jeong, Y. D. (2015).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Use and Job Performance in a Performance Measuring System.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University, Jinju, 115.
Jeon, J. Y. (2010). The Effects of Restaurants’ Core and Individual Competenci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Family Restaurants.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91.
Kwak, M. J. (2022). The impact of a hairdresser's personal competencyonwork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aster’s, thesis Jeju University, Jeju, 49.
Kim, H. E., & Park, S. M. (2019). The Effects of Hairdresser’s Job Satisfac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3), 567.
Lee, E. Y.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mpetency and job involvement - targeting journals in the beauty salon service industry,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49.
Lee, E. Y.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mpetencies and Job Commitment: Targeting the Beauty and Tourism Service Industry Worker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71.
Lee, G. S. (2011). The Effects of SME Workers’ Individual Competenc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7.
Lee, H. J. (2015). A Survey on the Alkalic Oxidation Hair Dye Training Situation and Satisfaction of Hair Salon Workers.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1.
Lee, J. Y. (2014). Relationship among SME Workers’ Perceived Job Performance, Learning Organization, and Individual Competenci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 University, Seoul, 70.
Lee, S. Y. (2020).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45.
Seo, J. Y. (2020). The Effects of Learning Organizational Behaviors on Personal Competencie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90.
Shin, H. Y. (2012). A Study on Determinants of Public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Public Office Motivation, Status In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45-48.
Sin, R. M. (2019).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creativity,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Youngsan University, Busan, 74.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