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2); 2024 > Article
플립러닝이 미용전공 여대생의 학습참여 동기, 학습만족,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how flipped learning affect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the higher the learning orientation, goal orientation, a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The higher the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activity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of each sub-factor of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the higher the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f each sub-factor of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beauty major classes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 서 론

교육은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어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Bob, 2004; Kim, 2017)으로 거대한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보편적으로 진행되던 강의식 교수법은 학습자 입장에서 볼 때 개별화되거나 미래핵심역량을 키워주지 못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won, 2015). 이에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목적아래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대학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견인할 인재의 양성이며(Kim, 2023),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목표는 시대의 흐름을 고려하여 변하게 되나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것은 시대와 상관없이 교육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현재의 교육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Iot(Internet of Things),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스마트시티(Smart City)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기존 전공과의 융합, 그리고 코로나 19로 인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 온라인 수업에 따른 스마트 기기 교육 및 활용까지 영역의 확장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 온라인 교육 및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법의 확대, 두 가지 이상의 학습방법으로 진행되는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혼합교육)이 실현되고 있으며(Kim, 2023), 사전학습과 수업시간의 고차원적 학습을 결합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 적극 시도되고 있다. 플립러닝은 기존의 학습 방식을 탈피하여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습 탐구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증진하고, 수업 집중력 및 수업 참여도를 향상하여 팀 단위 활동으로 토론 능력 및 협동심 함양하며, 교수자와 학습자 간, 학습자와 학습자 간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수자가 가르치는 영역에서 단순히 지식 전달자가 아닌 수업설계자, 학습촉진자, 학습안내자 등 교수자의 역할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에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현을 위해 플립러닝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플립러닝은 이론 중심의 교과목 뿐 아니라 실기 위주의 교과목에도 적용 가능하여 다양한 전공분야에서의 도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 연구(Lim & Lee, 2021)를 비롯하여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보육교사 수업사례연구(Oh, 2020),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과연계 글쓰기 연구(Kim, 2017), 플립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Lim, 2021), 사회복지실천 교과목에 대한 플립러닝 교수법 적용의 효과(Moon et al., 2021), 프로그래밍 실습을 위한 플립러닝 교수법 적용 전략 연구(Kim, 2023), 플립러닝을 적용한 디자인교육 연구(Park et al., 2019) 등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설계, 학습방법과 학습태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나 미용전공 분야에서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미용 수업을 실시하여 플립러닝이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만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써 온라인을 통한 사전학습과 비대면 수업시간의 학습을 결합한 플립러닝이 전공분야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거쳐 학습참여 동기 및 학습만족과 학업성취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플립러닝의 개념

플립러닝이란 수업 내용을 온라인으로 선행학습한 뒤 진행하는 수업 방식으로(Park, 2018). 플립수업(Flipped Classroom)이라고도 하며 한국어로는 역진행 수업이라 한다(Park, 2018). 플립러닝은 두 가지 이상의 학습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블랜디드 러닝의 하나이다. 블랜디드 러닝은 주로 디지털 기기나 컴퓨터를 매개로 하며,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학습 방식을 혼합하는 형식을 취한다(Ha, 2018). 블랜디드러닝의 가장 흔한 형태인 플립러닝은 온라인에서 동영상 등을 통한 선행학습 후 대면수업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질의․응답, 토론 등을 통해 심화학습을 진행한다(No, 2020). 수업은 새로운 내용을 배우기보다는 이미 온라인으로 학습한 내용을 연습하거나 익히기 위한 시간으로 활용되며, 교사는 과제를 소화하지 못하거나 학습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을 돕는다. 전통적인 수업보다는 학습자 중심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점도 플립러닝의 특징이다.

2. 학습참여 동기, 학습만족, 학업성취

학습참여 동기는 학습자의 자발적 교육 참여를 주도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성취목적 및 학습의 바탕이 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행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을 학습참여로 정의하거나(Kwon, 2013; Yang, 2019)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에 대한 의욕 및 노력, 학습 지속 등 학습동기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행동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Johnson & Johnson, 1975). 학습만족은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만족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학습참여 동기와 같은 내재적 가치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Ha & Lim, 2010). 또한 여러 가지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학습의 지속성과 강조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은 학습동기이며, 학습자가 동기화 되지 않으면 제대로 된 학습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학습참여 동기는 학습만족과 더불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Ha & Ha, 201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K대학교 미용관련학과 2학년 여대생 중 현재 플립러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121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2학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것은 2학년에 플립러닝 수업이 가장 많이 개설되었기 때문이고 미용전공 학생의 대다수가 여성이었기 때문이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문항을 개발하였고,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문항은 Kim(2023)의 연구를 참고하여 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참여 동기, 학업성취도는 Yang(2019)의 연구를 참고하여 각 15문항,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학습만족도 5문항은 는 Kim(2023)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3문항은 위의 연구를 참고하여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SPSS 25.0 Ver.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학습참여 동기,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정 방법은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학습참여 동기,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전공은 메이크업/네일미용 74명(61.2%), 헤어미용 24명(19.8%), 피부미용 15명(12.4%), 화장품 8명(6.6%) 순으로 나타났고, 희망진로는 취업 74명(61.2%), 창업(프리랜서) 17명(14.0%), 진학(대학원, 유학) 12명(9.9%), 고시 12명(9.9%), 미정 6명(5.0%)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전학기 성적은 3.0 미만 8명(6.6%), 3.0-3.5 미만 43명(35.5%), 3.5-4.0 미만 49명(40.5%), 4.0 이상 21명(17.4%)으로 나타났다.

1)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 값은 0.860으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고, Bartlett 검증결과 501.400(df=10,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1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77.779%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플립러닝 교수법에 대 한 인식’이 77.779%로 나타났다. 이 1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고, 신뢰도는 0.920으로 나타나 0.60 이상으로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2) 학습참여 동기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학습참여 동기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 값은 0.829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고, Bartlett 검증결과 1375.768(df=105,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3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70.601%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활동지향’이 26.615%, ‘목표지향’이 22.287%, ‘학습지향’이 21.700%로 나타났다. 이 3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는 0.862~0.924로 나타나 0.60 이상으로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3) 학습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학습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KMO 값은 0.776으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481.524(df=6,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1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85.224%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학습만족도’가 85.224%로 나타났다. 이 1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는 0.941로 나타나 0.60 이상으로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4) 학업성취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학업성취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먼저 KMO 값은 0.869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423.074(df=10,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1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75.399%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학업성취도’가 75.399%로 나타났다. 이 1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는 0.917로 나타나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상관관계 검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플립러닝 교수법에 대한 인식은 학습참여 동기의 하위 요인별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학습 만족도, 학업성취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학습참여 동기의 하위요인별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은 학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학업성취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플립러닝 학업 태도가 학습 성취도 및 지속참여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Suh et al.(2021)의 연구와 관련 있다.

3.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습참여 동기,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습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습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먼저 학습지향 동기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5.0%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1.058, p<.001). 독립변수로써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β=.388, p<.001)은 학습지향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지향 동기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표지향 동기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0.2%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3.528, p<.001). 독립변수로써 플립러닝 교수법에 대한 인식(β=.319, p<.001)은 목표지향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목표지향 동기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활동지향 동기에 있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3.0%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5.502, p<.001). 독립변수로써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β=.479, p<.001)은 활동 지향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활동지향 동기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인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 3개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학습자의 학습목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Yang(2019)의 연구와 관련이 있다.

2)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5.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40.871, p<.001). 독립변수로써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β=.506, p<.001)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교육에 효과적이고 학습만족도가 높다는 Seol(2022)의 연구와 일치한다.

3)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5.248, p<.001). 독립변수로써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β=.418, p<.001)은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Suh et al.(2021)의 연구와 일치한다.

4.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1)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2.7%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9.110,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동지향(β=.483, p<.001), 목표지향(β=.300, p<.001)이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참여 동기의 하위요인별 활동지향, 목표지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플립러닝 학습법으로 전공 수업이 진행될 때 수업내용과의 관련성에 따라 학습만족도가 높아진다는 Kim & Jeun(2019)의 연구와 관련 있다.

2) 학습참여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참여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7.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3.742, p<.001). 독립변수별로는 활동지향(β=.453, p<.001), 학습지향(β=.273, p<.01)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참여 동기의 하위요인별 활동지향, 학습지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uh et al.(2021)의 연구에서 학업의욕, 학습태도, 자신감이 높아질수록 학업성취의 하위요인인 학습자요인이 높아진다는 결과와 관련 있다. 학업의욕은 학습지향과 관계있으며, 학습태도, 자신감은 활동 지향과 관계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참여 동기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Yang(2019)의 연구와 일치한다.

5. 학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8.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11.618, p<.001). 독립변수로써 학습만족도(β=.696, p<.001)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학습만족이 높을수록 학습 성과가 커진다는 Cho(2018)의 연구, 학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Lee(2017)의 연구와 일치한다.

V. 결 론

본 연구는 플립러닝이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만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여 플립러닝이 전공분야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거쳐 학습 참여 동기 및 학습만족과 학업성취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이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으로 진행한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은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 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고, 학습참여 동기의 하위요인별 활동지향, 목표지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도 높아지며, 학습참여 동기의 하위요인별 활동지향, 학습지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플립러닝을 미용전공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습참여 동기 및 학습만족과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플립러닝이 학습에 기여하는 바는 교사 위주의 강의식 수업에서 학생 위주의 활동으로 진행된다는 점과 교수자가 학습의 보조자 역할을 하고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심도 있는 지식을 학습한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수 업방식인 강의식 수업에서도 학습자는 예습의 중요성을 알고 있으나 어떠한 관리나 제제 없이 스스로 학습을 위한 예습을 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플립러닝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대면수업 이전에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사전학습을 통해 예습의 과정을 실천하도록 독려하고, 사전학습과 동영상 시청에 퀴즈를 낸다거나 점수를 부여하는 등의 관리로 학습자가 예습하는데 흥미를 느끼고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 교육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전학습에 활용되는 온라인 콘텐츠 요인, 교수자 요인, 환경적 요인을 배제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되는 요인들을 포함시키고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able 1.
Composition of Survey Questions
Division Number of Questions Prior research Measure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5 Kim(2023) 5 Likert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15 Yang(2019)
Learning satisfaction 4 Kim(2023)
Academic achievement 5 Yang(2019)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3 Researcher development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Division Frequency(N) Percent(%)
Major Hair 24 19.8
Skin care 15 12.4
Makeup & Nail Art 74 61.2
Cosmetics 8 6.6
Hope after graduation Employment 74 61.2
Entrepreneurship (freelance) 17 14.0
Advancement (Graduate School, Study Abroad) 12 9.9
Examination (public officials, teachers, national qualifications) 12 9.9
Undefined 6 5.0
Previous semester grades Less than 3.0 8 6.6
Less than 3.0-3.5 43 35.5
Less than 3.5-4.0 49 40.5
4.0 or higher 21 17.4
Total 121 100.0
Table 3.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Question Factor 1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2. I think flipped learning classes are effective in learning this subject. .935
3. I think flipped learning helps me understand the topic of each week. .929
4. They believe that flipped learning helps them learn on their own. .880
5. I believe that learners' reciprocity-oriented activities are helpful in achieving the objectives of this course. .847
1. I know what flipped learning classes are. .812
Eigenvalue 3.889
Variance explanation(%) 77.779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77.779
Reliability .920
KMO=.860, Bartlett's test χ²=501.400 (df=10, p=.000)
Table 4.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Question Factor 1
Factor 2
Factor 3
Activity-oriented Goal-Oriented Learning-oriented
11. I take classes to build good relationships. .864 .144 .252
15. I take this course to gain vitality through social exchange. .852 .214 .090
12. I take classes to participate in group learning activities. .851 .157 .227
14. I take a course to experience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786 .260 .248
13. I take courses to develop a hobby/specialty. .774 .245 .138
9. I take courses to gain the knowledge/skills I need now/in the future. .151 .892 .057
8. I take the course to professionally fulfill my role in the workplace after I get a job. .239 .784 .098
10. I take classes so as not to be left behind in a competitive society. .303 .734 .171
6. I take this course because I want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re recognized by society. .108 .695 .335
7. I take the course to earn a certificate. .166 .695 .141
3. I take courses to get satisfaction in life through learning. .255 .152 .857
5. I take the course because I enjoy the learning activity itself. .360 .122 .817
4. I take courses for continuous self-actualization through learning. .230 .260 .754
2. I take courses to fill in the gaps. .293 .006 .731
1. I take this class to learn professional knowledge. -.185 .322 .611
Eigenvalue 3.992 3.343 3.255
Variance explanation(%) 26.615 22.287 21.700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26.615 48.901 70.601
Reliability .924 .862 .863
KMO=.829, Bartlett's test χ²=1375.768 (df=105, p=.000)
Table 5.
Validation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Question Factor 1
Learning Satisfaction
2. I am satisfied with the overall teaching method. .951
3. I believe that learning activities are professional. .927
4. I believe that the activities are tailored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909
1. I am satisfied with the overall content of the training. .905
Eigenvalue 3.409
Variance explanation(%) 85.224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85.224
Reliability .941
KMO=.776, Bartlett's test χ²=481.524 (df=6, p=.000)
Table 6.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Question Factor 1
Academic Achievement
3. I have improved my practical skills through learning activities. .903
4. I feel like I'm constantly growing after learning activities. .892
1. I have improved my learning ability through learning activities. .862
2. I have improved my professional knowledge through learning activities. .847
5. 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fter a learning activity. .835
Eigenvalue 3.770
Variance explanation(%) 75.399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75.399
Reliability .917
KMO=.869, Bartlett's test χ²=423.074 (df=10, p=.000)
Table 7.
Correlation Validation
Division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1
Learning-oriented .388*** 1
Goal-Oriented .319*** .437*** 1
Activity-oriented .479*** .496*** .482*** 1
Learning Satisfaction .506*** .319*** .510*** .602*** 1
Academic Achievement .418*** .481*** .299*** .570*** .696*** 1

*** p<.001

Table 8.
The Effect of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o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Learning-oriented (constant) 2.331 .401 5.813 .000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410 .089 .388 4.589*** .000
R²=.150, Adj. R²=.143, F=21.058***, p=.000
Goal-Oriented (constant) 2.580 .454 5.686 .000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371 .101 .319 3.678*** .000
R²=.102, Adj. R²=.095, F=13.528***, p=.000
Activity-oriented (constant) .444 .588 .755 .452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780 .131 .479 5.958*** .000
R²=.230, Adj. R²=.223, F=35.502***, p=.000

*** p<.001

Table 9.
The Effect of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Learning Satisfaction (constant) 2.179 .369 5.899 .000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525 .082 .506 6.393*** .000
R²=.256, Adj. R²=.249, F=40.871***, p=.000

*** p<.001

Table 10.
The Effect of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Academic Achievement (constant) 2.738 .364 7.527 .000
Awareness of Flipped Learning .407 .081 .418 5.025*** .000
R²=.175, Adj. R²=.168, F=25.248***, p=.000

*** p<.001

Table 11.
The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Learning Satisfaction (constant) 2.388 .329 7.268 .000
Learning-oriented -.051 .082 -.052 -.624 .534
Goal-Oriented .268 .074 .300 3.624*** .000
Activity-oriented .309 .055 .483 5.644*** .000
R²=.427, Adj. R²=.413, F=29.110***, p=.000

*** p<.001

Table 12.
The Effect of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Academic Achievement (constant) 2.581 .320 8.058 .000
Learning-oriented .252 .080 .273 3.143** .002
Goal-Oriented -.032 .072 -.039 -.451 .653
Activity-oriented .271 .053 .453 5.080*** .000
R²=.378, Adj. R²=.362, F=23.742***, p=.000

** p<.01,

*** p<.001

Table 13.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Academic Achievement (constant) 1.609 .281 5.728 .000
Learning Satisfaction .651 .062 .696 10.565*** .000
R²=.484, Adj. R²=.480, F=111.618***, p=.000

*** p<.001

References

Bob Pike. (2004). Creative teaching methods Seoul, Kimyoungsa.
Cho, K. M. (2018).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n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Perceived by Adult Female Learn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 Doctoral thesis at Jungwon University.
Ha, Y. (2018). A study on multimedia-related subjects by using Flipped Learning for Young Child’s Prelimin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3(1), 139-145.
Ha, Y. J., & Ha, J. H. (2011).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mong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chievement on a base of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7(2), 197-217.
Ha, Y. J., & Lim, Y. W. (2010). Prediction of Learning Persistenc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e-learning Adult Learners' Intrinsic Value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JCDL), 5(3), 46-67.
Johnson, D. W., & Johnson, R. T.. (1975).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Kim, E. G., & Jeun, H. J. (2019). Impact of Study Motivation of Flip Learning on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Classes Related to Aesth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42-59.
Kim, E. H. (2023). Correlations between Team-Teaching Factor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3), 643-355.
crossref pdf
Kim, H. A. (2023). Study on Strategy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Method for Programming Practi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753-761.
Kim, J. R. (2017). 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Flip-Learning-based Hair Beauty Classes.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8(4), 239-251.
crossref
Kim, N. M. (2017). New Challenges in Pedagogy Classes: Blended Teaching Method of Flip-Learning and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WAC).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5), 423-443.
crossref
Kim, S. H. (2023). The Effect of Habruta Teaching Method on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Ability of Beauty Major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4), 1016-1025.
crossref pdf
Kwon, M. J. (2015). A study on cases of middle school English grammar flipped learning classes based on peer guidance and changes in the attitudes of participating learner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Lee, Y. R. (2017).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eacher Training Programs.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Lim, H. J., & Lee, K. C. (2021).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y Clas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1), 259-274.
crossref
Lim, J. S. (2021). A Study on a Current Korean Lesson Case Based on Blended Learning -With a focus on an Eclectic Teaching Method of Flipped Learning and PBL.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92:219-231, DOI: https://doi.org/10.46392/kjge.2021.15.2.219
crossref
Moon, H. J., Kang, J. H., & Park, H. S. (2021).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Social Work Practice Course: Focused on Counseling in Social Work Practice Proces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2(1), 2209-2224,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2.1.156
crossref
No, C. H. (2021). A Study on the learners' perceptions of non-real-time online Korean classes.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Research Society, 26:107-129.
Oh, S. N. (2020). A Case Study of Multimedia for Child Care Teachers class Based on Flipped Learn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 1365-1387,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21.1365
crossref
Park, E. S. (2018). Korea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27:187-216, DOI: https://do.org/10.24285/CLER.2018.6.27.187
Park, J. Y., Park, H. S., & Kang, E. J. (2019).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Design Education - focused on Case of ‘Spatial Design Issue’ Class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091), 214-225.
Seol, H. J. (2022).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model for nail beauty educ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3), 444-454, DOI: https://doi.org/10.29049/rjcc.2022.30.3.444
crossref
Suh, Y. J., Nam, H. J., & Park, E. J. (2021).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cademic Attitude on the Academic Achivement and Continuo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2(2), 225-236, DOI: https://doi.org/10.18693/jksba.2021.22.2.225
crossref
Yang, Y. M. (2019). A Study on the Effect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Far East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Thesi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