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men’s permanent makeup motivation 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data analysis, SPSS 26.0 was used as a statistical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ub dimensions of motiv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autonomy under psychological well-being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experience satisfaction, where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 psychological well-being had no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experience satisfaction. The reason why the care behavior induced by permanent makeup or plastic surgery failed to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psychological factor is that unlike women, men tend to have autonomous self-determination to overcome defects of their looks and pursue self-efficiency for more self-confidence, rather than follow others’ consciousness motivation to attract others’ attention to makeup.

I. 서 론

오늘날 현대사회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변화와 미디어의 영향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삶의 질이 향상되며 외모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가 높아졌다. 사회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 집중되었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은 현대로 오면서 남성의 의식 변화로 여성과 남성의 구분 없이 인간 모두에게 중요한 욕구가 되었다(Kim & Park, 2013; Kim & Kim, 2021).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여러 사람들과 관계와 비즈니스 활동 등으로 인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대중의 관심이 높아진 이러한 신체의 외모가 자아만족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 또한 생기면서 화장 심리학이 새로운 연구 분야로 급격히 부상하기 시작하였는데 심리적 후원과 자신감 회복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화장 처치를 하여 외모를 돋보이게 했을 때 많은 심리적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Jeanann graham, 2004). 이처럼 화장은 시각적인 효과뿐만아니라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준다고 할 수 있다. 메이크업은 자신을 위해 꾸미고 가꾸는 것 자체가 즐거움과 기쁨이 되고, 메이크업이라는 외모 관리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호감을 받게 되면 자신감이 향상되어 대인관계가 좋아질 뿐 아니라(Choi, 2012),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행동은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며 그중에서도 신체적 외모가 자기효능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반영구화장 관련 심리연구가 새로운 연구 분야로 부상하기 시작한 것이다(Han, 2022).
외모가 경쟁력이고 남성도 가꿔야 한다는 생각이 사회에서 트렌드(trend)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를 바탕으로 1990년대 뷰티와 패션에 관심이 많은 새로운 남성 이미지인 메트로 섹슈얼(metro sexual)에서부터 자신의 외모 관리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그루밍족(grooming), 최근 남들보다 한발 빠르게 각종 뷰티 제품과 패션 신제품을 사용하는 등 자기관리에 더욱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그루답터(groo-dopter:grooming+Early Adopter) 라는 신조어도 생겨날 정도로, 남성 뷰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10대에서 50대 이상까지도 외모를 가꾸면서 남성들이 뷰티 업계의 핵심 소비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추세이다(Lee & Park, 2015; Park & Kim, 2019).
아름다움에 관한 가치와 이상적인 신체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외모 관리 행동에 있어서 성별이나 연령대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으며(Aubrey, 2004), 현대 남성들은 자신의 외모가 경쟁력이고 성공을 위한 중요 수단이라는 인식으로 전략적 이미지 구현을 위해 다양한 외모 관리 행동을 보이고 있다(Kim & Na, 2019). 적극적으로 자신의 외모를 관리하는 성향의 남성이 뷰티 서비스의 소비 주체가 되고 있다는 것으로 피부관리, 메이크업, 미용성형까지 다양한 외모 관리 행동으로 남성들도 외모가 경쟁력이자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Kim, 2011).
이러한 여러 외모 관리 행동 중 외모를 변화시킬 수 있는 비교적 간편하고 시술 후 바로 일상생활도 가능한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이 큰 각광을 받고 있으며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이목구비 중 눈썹이 이미지 결정의 70%를 차지하며 또렷하고 신뢰감 있는 눈빛과 인상을 줄 수 있어서 여성보다 화장을 통한 이미지 개선이 쉽지 않은 남성들에게 눈썹을 통한 이미지 표현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Cho, 2013). 남성의 눈썹 퍼머넌트메이크업은 뚜렷하지 않아 지저분해 보이는 눈썹 윤곽을 바르게 정돈해주거나 끊어진 눈썹, 빈약한 눈썹의 숱을 풍성하게 보이게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눈썹 숱이 적거나 머리숱이 적은 남성들에게 자신감을 주는 외모 관리 방법으로 선택되었다(Song, 2021).
퍼머넌트메이크업은 세계 곳곳에서 활발한 인기몰이를 하고 있고 외모 관리의 한 장르가 되었으며 또 다른 하나의 화장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다. 외모는 타인에 대해 제일 먼저 얻을 수 있는 정보이고 그 사람의 연령대, 직업, 사회적 지위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도와주는 상징적 역할을 한다(Kim & Jung, 2006). 퍼머넌트메이크업은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으로 통용은 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법적으로는 아직 미용시술로써는 합법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서는 정치적인 변신이나 사회적으로 이미지 관리차원에서 남성들이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i(2022)은 남성들의 외모인식과 반영구화장 시술 선호도가 시술 만족도 및 심리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시술 선호도가 시술 만족도 및 심리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의 외모에 대한 만족을 높여주고, 심리적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Song & Kim(2022)은 남성의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반영구화장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Song(2021)은 20~30대 남성의 외모관심도가 반영구화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영구화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영구화장 인식이 자기를 표현하는 것보다 외모를 관리하고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하였다. Han(2020)은 남성의 반영구 자연눈썹 시술에 따른 외모인식도 및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에서 반영구 자연눈썹 시술이 남성의 외모에 대한 만족을 높여주고, 외모인식과 자아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Kim(2022)은 30~50대 남성의 반영구화장이 외모자신감과 자기효능감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남성들의 반영구화장이 외모자신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남성이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을 받았을 때 심리적으로 느껴지는 외모 자신감과 더불어 경험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또한 퍼머넌트메이크업의 경험만족감과 심리적안녕감의 요인에 따라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에 대한 보다 양질의 자료를 구축하고,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시술동기

Deci(1975)는 동기의 정의를 개인이 직면하고 있는 입장에서 유능감(comptence)과 자기결정성(self-determination)을 느끼려는 욕구라고 하였고, Ryan & Deci(2000)은 동기란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는 동인으로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며 행동을 유지시키는 심리적 요인으로 정의하였다.
Yoo(2021)은 눈썹 반영구메이크업 피시술 동기에 따른 이미지 변화와 만족도 연구에서 사회적 활동과 외모 관리 행동에 있어 피시술자가 인식하는 눈썹의 중요도는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고, 눈썹 반영구메이크업 피시술 동기가 강할수록 만족도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ee(2020)은 메디컬스킨케어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기만족, 동조성, 성적 매력은 경험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메디컬스킨케어 시술동기를 파악하여 획일화된 메디컬스킨케어 프로그램에서 더 발전된 다양한 방면에서의 메디컬스킨케어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중년여성에게 맞는 메디컬스킨케어를 추천할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남성이 호감 가고 신뢰감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도록 이상적인 외모를 얻기 위해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을 받는 목적이라 정의하였다.

2. 경험만족도

Li et al.(2001)은 경험을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일 또는 그 과정이면서 그 대상에 대한 내적인 인식이 포함된 개념이라고 하였으며, 만족이란 개인이 가지는 기대와 실제로 받는 보상 사이의 일치 정도로 개인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Park, 2015). Oliver(1980)은 기대-불일치 이론을 통해 고객은 기대한 바와 지각된 성능을 비교하여 평가를 하게 되고, 이 평가로 인한 상태의 인식이 경험만족 이라고 정의하였다.
Lee & Kim(2020)은 중년여성의 뷰티관심도에 따른 메디컬 스킨케어 이용실태조사 및 메디컬스킨케어 방문의도, 경험만족도, 심리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뷰티관심도가 높을수록 방문의도가 높아지고, 중년여성의 메디컬 스킨케어 방문의도가 높을수록 경험만족도 역시 높아진다고 보았다.
Cha(2022)은 반영구화장 경험자가 샵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에서 경험자의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선택속성의 하위요인 중 서비스 전문성과 매출 촉진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전문성, 매출 촉진, 가격이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 후 자기욕구, 자기만족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이라 정의하였다.

3. 심리적안녕감

Diener(1984)은 심리적안녕감을 개인이 자신의 삶 전체에 만족하며 행복함을 지각하고 있는지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으로 정의하고 있다. McDowell와 Newell(1990)은 심리적안녕감을 일상생활의 사건에 사람들이 적응하면서 느끼는 정서로서, 환경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나 환경의 자극과 개인의 반응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의 지각된 주관적인 경험에 기초한 행복감 또는 전체적인 감정을 일컫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An & Lim(2020)은 20대 여성의 메이크업 행동과 대인관계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심리적안녕감은 환경통제력, 개인적성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의 6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고, 자신의 문제를 잘 관리하고 주어진 상황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며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삶을 잘 꾸릴 수 있다는 환경통제력이 잘 작용할 때 심리적안녕감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Jeon & Kim(2015)은 여중고생의 메이크업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메이크업이 주는 만족감이 심리적안녕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여학생들은 민낯에 대한 만족도 보다 메이크업 한 후 얼굴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맨 얼굴보다 메이크업 한 후의 얼굴의 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등 심리적안녕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메이크업과 심리적안녕감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남성이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 후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심리적욕구에 충족하여 정신적 행복감을 느끼는 정도라 정의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시술동기, 경험만족도, 심리적안녕감의 요인은 어떠한가?
셋째,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2.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조사 기간은 2022년 7월 20일부터 2022년 9월 25일까지 경남, 부산 소재 퍼머넌트메이크업의 시술경험이 있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되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로 병행 수집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31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방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시술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Lee(2021)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은 총 1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경험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Lee(2021) & Gila(2021)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설문지 문항은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심리적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Hwang(2020)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은 자율성, 대인관계로 문항은 총 9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시술 동기, 경험만족도, 심리적안녕감의 타당도는 선행연구의 요인적재치는 0.4 이상이 모두 확보되었다.

4. 자료분석 방법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술동기, 경험만족도, 심리적안녕감의 신뢰성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다.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 경험만족도, 심리적안녕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령의 경우 30대가 38.9%, 40대가 31.0%, 50대이상이 15.7%, 20대가 14.4%로 30대가 높은 응답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유무의 경우, 기혼이 53.7%로 미혼 46.3%에 비하여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고, 직업의 경우, 서비스직이 26.8%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았고 자영업이 24.6%, 전문직이 24.1%, 사무직이 17.5%, 학생이 7.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졸 이상이 60.1%로 고졸이하가 34.6%, 대학재학이 5.3%으로 가장 낮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월평균소득의 경우, 300~400만원이 36.2%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았고 200~300만원이 31.0%, 500만원이상이 20.1%, 200만원 미만이 12.7%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2.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1) 시술동기 요인분석

시술동기의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 및 베리멕스(varimax) 요인회전을 실시하였다. 총 12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KMO 측도 값이 0.926,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의 비율이 60.854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요인분석 결과의 요인의 살펴보면 요인1의 한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의 모든 항목에 대한 요인 부하량이 0.4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문항의 타당도가 만족한다고 할 수 있으며. 시술동기라고 명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2).

2) 경험만족도 요인분석

경험만족도 요인에 대해 하위요인은 주성분 분석 및 베리멕스(varimax) 요인회전을 실시하였다. 총 6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KMO 측도 값이 0.895,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의 비율이 73.196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요인분석 결과의 요인의 살펴보면 요인1의 한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의 모든 항목에 대한 요인 부하량이 0.4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문항의 타당도가 만족한다고 할 수 있으며, 경험만족도라고 명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3).

3) 심리적안녕감 요인분석

심리적안녕감의 요인은 주성분 분석 및 베리멕스 요인회전을 실시하였다. 9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KMO 측도 값이 0.827,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적분산의 비율이 61.731로 요인분석의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요인1과 요인2의 두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의 모든 항목에 대한 요인 부하량이 0.4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문항의 타당도가 만족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자율성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대인 관계 요인으로 명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4).

3. 시술동기, 경험만족도, 심리적안녕감의 상관관계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는 상관계수가 0.844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술동기와 심리적안녕감의 자율성은 상관계수가 0.471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만족도와 심리적안녕감의 자율성은 상관계수가 0.479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만족도와 심리적안녕감의 대인관계는 상관계수가 0.134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4.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

1)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 자율성의 매개효과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의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 심리적안녕감의 자율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매개효과 검증 단계의 1단계에서 독립변수(시술동기)와 종속변수(경험만족도)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2단계에서 독립변수(시술동기)와 매개변수(자율성)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매개변수(자율성)와 종속변수(경험만족도)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결과, 회귀계수의 값이 0.858로서 1단계의 회귀계수의 값 0.909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그 영향력이 작아지므로 심리적안녕감의 자율성 요인은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6).

2)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의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 심리적안녕감의 대인관계가 매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1단계에서 독립변수(시술동기)와 종속변수(경험만족도)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2단계에서 독립변수(시술동기)와 매개변수(대인관계)와의 회귀분석 결과의 유의 확률 값이 0.208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으므로 대인관계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심리적안녕감의 요인 중 자율성은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Jung(2018)은 상담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소진을 종속 변인으로, 심리적안녕감을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지지에 정서, 평가, 정보적인 지지를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심리적안녕감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는 요인이면서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호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자의 심리적안녕감은 상담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im(2017)은 남자 대학생의 남성 성역할 갈등과 이성관계 만족도간 관계에서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인초기 남자 대학생의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안녕감, 성역할 갈등과 이성관계 만족도, 심리적안녕감과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심리적안녕감은 남성 성역할 갈등과 이성 관계 만족도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안녕감의 대인관계가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에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본 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안녕감의 자율성 요인은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헤어관리, 피부관리, 메이크업관리가 아닌 지워지지 않는 특수화장이라는 요인과 취미생활과 운동, 관조적인 태도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경험하고 즐기며 즐겁게 생활하는 쪽에 주력을 가지는 남성이라는 특성에 따라 연구 결과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진다. 이렇듯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이나 성형에 의한 관리행동이 심리 요인 중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남성들이 여성들과 달리 화장으로 타인의 주목을 받기 원하는 타인의식 동기가 아닌 외형적 결점 보완과 자신감 상승 자기효율성을 추구하는 자율성 자기결정성 특성 때문이라 보아진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남성들의 일반적 특성과 동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한 퍼머넌트메이크업의 심리변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V. 결 론

본 연구는 경남, 부산 소재의 퍼머넌트메이크업 경험이 있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령의 경우 30대가 38.9%, 결혼유무의 경우 기혼이 53.7%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직업의 경우, 서비스직이 26.8%, 학력의 경우 대졸 이상이 60.1%, 월평균소득의 경우 300~400만원이 36.2%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았다.
둘째,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관계에서 자율성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안녕감의 자율성 요인은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었으며, 심리적안녕감의 대인관계는 시술동기와 경험만족도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술동기와 자율성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경험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다고 볼 수 있고, 시술동기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경험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성 미용 시장이 가파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과거의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은 언론의 노출이 많은 일부 연예인, 유명인 등의 전유물로만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행동은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현재의 남성 퍼머넌트메이크업은 20대뿐 아니라 중, 장년층 남성들에게도 낯설지 않은 미용시술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남성의 퍼머넌트메이크업이 외모자신감과 만족감, 자기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퍼머넌트메이크업에 대한 다각적 심리연구가 아닌 만족도나 시술목적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남성들이 퍼머넌트메이크업이 일반적인 헤어관리나 피부관리등과 같은 미용관리라는 의미보다 성형에 가까운 의료영역이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성이 성형에 만족감은 여성보다 높았지만 수술을 받았다는 사실을 숨기고 싶어 하며, 변화된 외모를 알아봐주기를 원하는 여성들과 달리 시술 효과로 인해 자연스럽게 원래 본인의 얼굴로 인식해 주길 바라는 바가 더 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남성들의 퍼머넌트메이크업의 만족감을 위해서 그들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들어나 보이는 시술보다 좀 더 자연스럽게 그들의 외모 결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시술로 남성들의 자기만족감을 충족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남성들이 의료영역이 아닌 미용적인 부분의 화장술로서 독립되어 가는 퍼머넌트메이크업의 대중화를 이해하고 좀 더 실용성을 지닌 또 다른 미용 문화뷰티 관련 신산업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과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시술동기의 타당성 검증에서 요인분석이 구분이 되었다면 좀 더 구체적인 요인들을 가지고 매개효과를 살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 경험이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므로 엄격하게 스크리닝 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고,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자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역을 통해 설문을 조사하였으므로 지역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한정 지은 요인 외에 개개인의 특성인 내적 심리요인들 즉, 연령, 직업, 월 소득, 등 경제적 상황, 라이프스타일, 사회문화적 태도, 성역할 태도 또는 외부적인 환경문제와 심리적안녕감의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급성장하고 있는 남성 미용시장이 심리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주된 원인을 이해하고 뷰티산업 전반에 걸쳐 남성들의 퍼머넌트메이크업과 외모관련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tribute Category Frequency (persons) Percentage (%)
age Under 20s 33 14.4
30s 89 38.9
40s 71 31.0
Over 50s 36 15.7
Marital status unmarried 106 46.3
Married 123 53.7
vocation student 16 7.0
Service Jobs 61 26.8
Business owners 56 24.6
Professions 55 24.1
Office work 40 17.5
Education High school diploma 79 34.6
Attending University 12 5.3
University or higher 137 60.1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200 won 29 12.7
200~300 won 71 31.0
300~400 won 83 36.2
More than 500 won 46 20.1
All 229 100.0
Table 2.
Factor Analysis on Permanent Makeup Motivation
Factor name Question Factor loading
Motivation I had self-confidence after permanent makeup. 0.841
After permanent makeup, it helped to improve my impression. 0.851
Permanent makeup helped to overcome a sense of inferiority to my looks. 0.836
I came to look younger than my age. 0.781
I underwent permanent makeup in order to invest in myself. 0.787
Permanent makeup seemed to increase my value. 0.756
I think permanent makeup gives a good impression to others. 0.786
I think I need permanent makeup to improve my impression. 0.698
After undergoing permanent makeup, I think that it helps to overcome a sense of inferiority to my looks. 0.701
I want to give a good impression to my spouse or women 0.780
I think that making a clear impression or good looks is human nature. 0.778
I think that permanent makeup for better attraction is helpful to achieve self-satisfaction and give a good impression to others. 0.750
Eigenvalue : 7.302, Percentage of variance (%): 60.854, Percentage of cumulative variance: 60.854
KMO value = 0.926, Bartlett’s p-value = 0.000

*** p<.001

Table 3.
Factor Analysis on Experience Satisfaction
Factor name Question Factor loading
Experience satisfaction Permanent makeup helped to improve my looks. 0.862
I improved self-confidence after undergoing permanent makeup. 0.876
After I had permanent makeup, my acquaintances told me that I have a better impression. 0.874
I think that permanent makeup is highly safe. 0.797
After undergoing permanent makeup, I came to trust more permanent makeup. 0.847
In terms of cost effectiveness, I think that the outcome of permanent makeup is satisfying. 0.875
Eigenvalue: 4.392, Percentage of variance (%) : 73.196, Percentage of cumulative variance : 73.196
KMO value = 0.895, Bartlett’s p-value = 0.000

*** p<.001

Table 4.
Factor Analysi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 name Question Factor loading
Autonomy I tend to be uninfluenced by others when making a decision on something. 0.670
I tend to fulfill my duty in everyday life. 0.770
I assess myself according to the criteria defined on my own, rather than those made by other people. 0.757
Interpersonal relationship I fail to recommend my opinions on controvertible issues. 0.736
I easily change my decision if my friend or family makes an opposition. 0.636
It is hard to keep friendly relationship with people. 0.862
There are not many close friends to whom I can get it out. So, I feel lonely sometimes. 0.886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listen carefully to what I say in my hour of need. 0.873
Most people seem to have more friends than me. 0.752
Eigenvalue 3.852 1.702
Percentage of variance (%) 42.800 18.913
Percentage of cumulative variance 42.800 61.731
KMO value = 0.827, Bartlett‘s p-value = 0.000

*** p<.001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on Motiv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Treatment motiv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utonom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tivation 1 .844*** .471*** 0.084
Experience satisfaction 1 .479*** .134*
Psychological well-being Autonomy 1 -0.039
Interpersonal relationship 1

*** p<.001

Table 6.
The Mediation Effects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Experience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Mediator variable Verification steps of mediation effects B β t P Mediation role
Motiv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Autonomy Step 1 0.909 0.844 23.631 0.000 Partial mediation
Step 2 0.484 0.471 8.004 0.000
Step 3 Mediation 0.110 0.105 2.634 0.009
Independence 0.856 0.795 19.882 0.000
Table 7.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experience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Mediator variable Verification steps of mediation effects B β t P Mediation role
Motiv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Autonomy Step 1 0.909 0.844 23.631 0.000 None
Step 2 0.110 0.084 1.263 0.208
Step 3 Mediation 0.052 0.063 1.772 0.078
Independence 0.903 0.839 23.510 0.000

References

An, C. R., & Lim, E. J.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6(2), 167-175.
Aubrey, J. S. (2004). The Media’s impact on self-objectification, bosy emotions, andsexual dysfunction: a test of objectification theor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Cha, Y. K. (2022).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f Semi-permanent Makeup Experienced People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ealth Industry, Pocheon CHA Medical University. Gyeonggi.
Cho, S. Y. (2013). A Study on Semi-permanent Special Make-up Technique for Effective Eyebrow Correc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kyong University. Seoul.
Choi, E. S. (2012). A study of the efficacy of makeup therapy to improve self-estee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sign, Konkuk University.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lity causality orientions 126scale: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Deci, E. L. (1971). Effeect sofexter nally me diated rewardon intrinsic motivation. Journalof Social Psychology, 18, 105-115, (1975).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Press, development, Yale University Press.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crossref pmid
Gil, R. H. (2022). The Influence of Image Making through Semi-permanent Makeup upon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Image Industry, Konkuk Industrial School. Seoul.
Han, S. H. (2020). Study on the Appearanc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Men’s eyebrow Tattoo treat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kyong University. Seoul.
Han, S. H. (2022). Awareness and Perception of Risk of Semi-permanent Makeup, Interest in Its Legalization and Neces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cial and Cultural Administration and Welfare, Hannam University. Daejeon.
Hwang, E. S. (2020). The Influence of Public Officials' Retirement Plan on Individual Quality of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Ph.D.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Jeon, H. J., & Kim, J. D. (2015). Impact of Skin and Make-up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Secondary School Girls. Korean Journal of Cosmetic and Cosmetology, 5(1), 89-98.
Ji, S. K. (2022). The Influence of Appearance Perception and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 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le Custom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cial Culture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Welfare, Hannam University. Daejeon.
Jung, C. H. (2018). The mediation effect of counselor's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urnout.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Konyang University. Daejeon.
Kim, C. H. (2011). (A)study on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type of men's fashion lifestyle.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usan.
Kim, H. K., & Park, M. H. (2013). The Sociocultural Value Research of Man Image and Make-up in Med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11(4), 449-457.
Kim, J. E. (2022). The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for Men in their 30s and 50s on the Self-confidence in Appearance and the Self-efficacy : Focusing on Seoul and Capital Area.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Seoul.
Kim, J. H., & Kim, K. H. (2021).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the Self-esteem of Males in Their 20s and 30s. Society for Culture of HAN-BOK, 24(2), 59-70.
crossref
Kim, J. M., & Jung, M. S. (2006). Effect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gender role identity and interest in the opposite sex on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s. Society for Costume Culture, Spring Conference, 2006:44-45.
Kim, K. S. I. (2017). The mediat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relationship with Gender Role Conflic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Graduate Educ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im, Y. M., & Na, Y. Y. (2019). The Effect of the Success Orientation of the Appearance of Adult Men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and Pursuit of Appearance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2), 79-91.
crossref
Lee, H. N., & Park, O. R. (2015). The Effect of Men’s Values by Age on Beauty Care Behavior. Korean Journal of Skin and Aesthetics, 13(6), 891-901.
Lee, H. Y., & Kim, E. S. (2020). A convergence study on middleaged women's beauty interest, medical skin care visit intenti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11(8), 309-316.
Lee, H. Y. (2021).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Interest in Appearance and Motivation for Medical Skin Care 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Goodwill.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of Beauty Arts, Seokyong University. Seoul.
Li, H., Daugherty, T., & Biocca, F. (2001). Characteristics of virtual experiencein electronic commerce: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5(3), 13-30.
crossref pdf
McDowell, I., & Newell, C.. (1990). Measuring health: A guide to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MA, Oxford Pres.
Oliver, R. L. (1980). heoretical Bases of Consumer Satisfaction Research:Review, critique, and future direction. LambC., DunneP. In: Theoretical Developments in Marketing, p.206-210 p. Chicago, American Marketing.
Park, H. S. (2015). The Influences of Servic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Children Using in Community Child Center. Master's thesis, Wide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Gyeongbuk.
Song, M. J., & Kim, S. H. (2022). Correlations between Appearance Interest and Perception &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among Young Adult Men in their 20-30s. J. Kor. Soc. Cosmetol, 28(2), 204-215.
Song, M. J. (2021). Effects of Appearance Interest in Men in Their 20s and 30s on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Gwangju.
Yoo, J. A. (2021). A Study on Image Chang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Treat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Dankook University. Gyeonggi.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