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4); 2023 > Article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lor recognition,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that direct recognition, preference recognition, and external advice by sub-factors of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showed preference, fash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skin and recommendation (p<.00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with pursuit of satisfaction,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function, and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by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p<.001). In addition, preference, fashion, skin, and recommendation by sub-factors of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pursuit of satisfaction,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function, and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by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ppeared (p<.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ski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followed by preference and recommend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atisfaction pursui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llowed by function pursuit, social achievement pursuit, and fashion pursuit. If you apply personal color correctly, it is judged that you can expect to create a look that suits the individual and increase the image.

I. 서 론

현대 사회에서 외모가 가지는 경쟁력이 대두되면서 컬러의 중요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외모를 가꾸는 외모관리 행동으로 대표되는 메이크업, 헤어스타일링, 네일아트 등에는 컬러가 사용되며, 어울리는 컬러의 사용 여부에 따라 메이크업, 헤어스타일링, 네일아트를 비롯하여 패션과 액세서리 등이 얼마나 조화로운지, 얼마나 개인을 아름답고 조화롭게 연출하였는지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개인에게 적합한 컬러를 찾아 적용하는 것을 퍼스널컬러 시스템이라고 하며, 자신의 신체 고유색에 따른 컬러 진단으로 출발하여 컬러가 적용되는 외모관리 행동으로 연결된다(Park et al., 2019).
퍼스널컬러는 개인에게 가장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색을 찾아 적용하여 개인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분야이다. 이전에 전반적으로 유행하는 컬러를 따르던 것과 달리 본인에게 적합한 컬러를 활용한 외모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미지 창출, 자신만의 개성표현 방법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컬러의 색조화장품을 사용하여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방법인 색조 메이크업 역시 자신에게 어울리는 컬러의 선택으로 개성 표현 및 이미지 창출을 하는 외모관리방법이고, 자신에 어울리는 컬러의 선택은 개인의 이미지 변화에 큰 영향력이 있으므로 각 개인에게 어울리는 퍼스널컬러에 관한 지식은 필수적이다. 결국 개인의 신체색인 퍼스널컬러를 인지하고 그에 어울리는 색상을 알아내는 작업은 개인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색조 메이크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여대생들은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외모를 관리하고, 청소년기보다 자유롭게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게 된다. 학과 공부, 동아리, 스터디 그룹, 아르바이트 등 다양한 조직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긍정적인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 시행착오를 겪으며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만들어 간다(Lee & Kim). 이전에는 메이크업으로 개성을 표현하는 여성층이 주로 직장여성이었으나 현대에는 여대생으로 변화된 것은(Shin, 2011) 여대생들이 이전과 다르게 여러 조직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고, 사회초년생으로서 자신만의 이미지, 개성표현에 적극적인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또한, 여대생의 다수가 아르바이트 등을 통하여 화장품 소비를 할 수 있는 여력이 있기 때문에 주도적으로 메이크업 트렌드를 선도한다고 볼 수 있겠다(Kang & Kim, 2019).
이와 같이 여대생들이 개성을 표현하고 외모를 가꾸는데 필요한 색조 화장품 소비층의 고객으로 부상하게 되었으므로 이들의 퍼스널컬러에 대한 인식과 화장품 구매행동 및 외모관리 행동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퍼스널컬러, 화장품 구매행동, 외모관리행동 간의 선행연구 고찰 결과, 퍼스널컬러 인식도에 따라서 메이크업 행동과 메이크업 만족도가 달라지며(Woo & Kim, 2011; Lee, 2021; Ahn & Im, 2022), 메이크업 행동이 높아질수록 화장품 구매의도와 외모관리행동에 적극적이라는 연구가 있다(Lee & Kim, 2020; Ryu & Han, 2021). 그러나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퍼스널컬러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성표현에 적극적이고 메이크업 트렌드를 선도적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 화장품 구입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미용 산업에서 퍼스널컬러를 활용한 색상 개발 및 색조 화장품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퍼스널컬러

퍼스널컬러(Personal Color)란 프로소본(Prosopon)과 라틴어의 페르소나(Persona)에서 유래한 말로 개인이(Personal) 지닌 신체의 색과 조화를 이루어 활기차고 생기가 돌아 보이게 하는 컬러를 말한다(Kim, 2023). 퍼스널컬러는 태어나면서부터 타고나는 자신만의 색을 뜻하며 이는 피부색과 머리카락색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자신의 피부색, 머리카락색에 따라 어울리는 색은 자신만의 개성을 만든다(Park et al., 2017). 퍼스널컬러는 스타일을 포함하며, 자신만의 컬러에 따른 최상의 스타일을 연출하게 한다(Kim, 2017).
퍼스널컬러에 대한 이론은 독일의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이 색상의 사계절 타입을 사람에게 비유하여 이론을 정립하였다. 요하네스 이텐은 퍼스널컬러를 봄·여름·가을·겨울의 계절 색으로 구분하였는데, 봄은 자연의 밝은 색으로 표현되고 여름은 활기 넘치는 색으로 표현되며 가을은 깊은 색조로 갈색과 보라색이 주 색상이며 겨울은 대지의 힘의 수축적 작용에 의한 수동적 모습의 상징이라고 구분하였다. 요하네스 이텐이 정립한 이론은 곧 인간의 신체적 특징과 자연의 색이 조화로우며, 이것이 퍼스널컬러를 정립하는 기초가 되어 그의 이론이 퍼스널컬러를 정립하는 데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Jeong, 2015).
퍼스널컬러 시스템은 퍼스널컬러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색을 찾고 이를 통해 조화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신체 고유색과 조화가 되는 컬러를 적용하게 되면 그 사람의 피부 톤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얼굴의 잡티, 여드름, 팔자주름, 다크서클, 홍조 등의 강도가 도드라져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을 즉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얼굴 또한 또렷한 인상으로 변화하여 사람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다(Lee & Park, 2012). 오랜 세월 미인에 대한 기준은 각 시대에 따라 요구하는 바가 다르고 사회문화적 분위기에 따라 변화해왔는데, 퍼스널컬러 시스템의 경우 피부의 톤을 맑아보이게 하고 무엇보다 건강한 이미지를 통해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는 것이 장점이라 볼 수 있다(Kim et al., 2009).

2. 화장품 구매행동

화장품 구매행동이란 소비자의 개인적인 욕구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제품을 인식하고 제품에 정보를 찾아 평가, 선택하는 과장을 거쳐 구매하는 것을 말한다(Hong, 2007). 구매행동은 개인 혹은 집단이 상대방의 욕구를 만족하기 위해 사회적 상호 관련 환경적 요인의 제약 상태에 정보를 처리하는 심리과정과 상대방의 의사를 통해 서비스와 제품에 접근하고 구매, 사용하며 경험을 쌓아 표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Heo & Kim, 2022). 또 소비자의 소비방법 특징을 알 수 있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하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뷰티 관여도, 심리적 특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구매행동의 욕구와 성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Lee, 2012). 브랜드의 미래 지향성이나 그때의 트렌드에 따른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했던 제품이 만족할 경우 재구매로 이어지거나 브랜드를 변경하지 않는 소비특성이 있어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관점이다(Cheon, 2005). 화장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광고 선호에 영향을 미치며 세부 요인으로 드라마나 영화, 유명 연예인을 통한 제품 브랜드를 통해 구매 동기가 이루어지며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Lee, 2016).

3. 외모관리행동

외모관리행동이란 현대인이 의식하는 높은 관심사 중 일부분이며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모습을 나타내 보일 때 자신이 기대하는 대로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Hong & Cho, 2006) 외모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행동들이다. 외모관리는 인간이 자신의 권위, 위치, 신분과 이미지를 표현하고 증명해 보이는 일종의 과시욕, 소유욕이며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헤어관리 및 피부관리, 메이크업, 네일아트,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이나 의상,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꾸미는 행동에서부터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외모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말한다(Oh & Bae, 2020).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범위

본 연구는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23년 2월 9일부터 2월 23일까지 14일간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임의 표집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동의한 자에게 설문지를 배부, 자가 기입하게 하였으며, 총 23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 7부를 제외한 22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하여 Lee(2021), Ahn & Im(2022), Woo & Kim(2011), Ryu & Han(2021)의 연구에서 제시한 퍼스널컬러 인식의 하위요인이 되는 직접적 인식, 선호인식, 외부조언에 관한 문항 11문항, 화장품 구매행동 요인이 되는 선호, 유행, 피부, 추천에 관한 문항 10문항, 외모관리행동 요인이 되는 만족 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관한 문항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문항은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회수된 설문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사후검증(Duncan test)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학년은 1학년 56명(25.1%), 2학년 56명(25.1%), 3학년 27명(12.1%), 4학년 84명(37.7%)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인문사회계열 44명(19.7%), 자연과학계열 42명(18.8%), 예체능계열 38명(17.0%), 미용예술계열 38명(17.0%), 보건계열 26명(11.7%)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용돈은 50만원 미만 46명(20.6%), 50-70만원 미만 53명(23.8%), 70만 원 이상 124명(55.6%)으로 나타났다. 한 달 용돈 중 외모관리 사용금액은 1만원 미만 19명(8.5%), 1-5만원 미만 43명(19.3%), 5-10만원 미만 102명(45.7%), 10만 원 이상 59명(26.5%)으로 나타났고, 한달 용돈 중 화장품 구입비용은 1만원 미만 27명(12.1%), 1-5만원 미만 72명(32.3%), 5-10만원 미만 90명(40.4%), 10만 원 이상 34명(15.2%)으로 나타났다.

2.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퍼스널컬러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퍼스널컬러 인식에 대한 총 11문항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2와 같이 고유값 1 이상인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요인의 전체 변량은 89.084%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으로 요인 1(32.531%)은 ‘선호 인식’, 요인 2(30.992%)는 ‘직접적 인식’, 요인 3(25.561%)은 ‘외부 조언’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3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 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 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대한 총 10문항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이 고유값 1 이상인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요인의 전체 변량은 85.804%로 나타났다. 각 하위 요인으로 요인 1(29.885%)은 ‘피부’, 요인 2(19.158%)는 ‘추천’, 요인 3(18.799%)은 ‘선호’, 요인 4(17.963%)는 ‘유행’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4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 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총 15문항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이 고유값 1 이상인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요인의 전체 변량은 80.965%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으로 요인 1(24.091%)은 ‘만족추구’, 요인 2(21.551%)는 ‘유행추구’, 요인 3(18.421%)은 ‘기능추구’, 요인 4(16.901%)는 ‘사회성취 추구’로 명명하였다. 또한 4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퍼스널컬러 인식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퍼스널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 선호 인식, 외부 조언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하위요인별 선호, 유행, 피부, 추천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하위요인별 선호, 유행, 피부, 추천은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어(p<.001) Lee(2021), An &Im(2022)의 연구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먼저 선호에 있어 설명력(R²)은 48.6%로 나타났고, F값은 69.087(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561, p<.001), 직접적 인식(β=.160, p<.05)이 선호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선호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Park(2018)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의 피부에 어울리는 퍼스널컬러를 선호하고 직접 인식하고 있을수록 색조화장품 구매 시 외부 조언이나 추천보다는 본인이 선호하는 색상을 구매한다고 분석할 수 있겠다.
유행에 있어 설명력(R²)은 32.0%로 나타났고, F값은 34.376(p=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외부 조언(β=.311, p<.001), 직접적 인식(β=.260, p<.01)이 유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외부 조언,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유행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ee & Kom(202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퍼스널컬러 전문가에게 진단을 받아본 경험이 있거나 본인의 퍼스널컬러를 인지하고 있을수록 유행하는 색조화장품을 구매할 경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에 있어 설명력(R²)은 65.4%로 나타났고, F값은 137.966(p=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614, p<.001), 직접적 인식(β=.248, p<.001)이 피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피부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본인의 모발, 피부, 이미지와 어울리는 색상을 인식하고 그 색상을 선호 할수록 색조 화장품 구매 시 본인의 피부 톤을 고려하여 구매한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추천에 있어 설명력(R²)은 33.6%로 나타났고, F값은 36.917(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359, p<.001), 외부 조언(β=.289, p<.001)이 추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외부 조언이 높을수록 추천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전문가를 통해 퍼스널컬러를 진단 받은 경험이 없고,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로 할 경우 색조화장품 구매 시에도 판매원 혹은 TV, SNS에서 추천하는 색상을 기준으로 구매함을 의미한다.

5.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만족추구에 있어 설명력(R²)은 55.4%로 나타났고, F값은 90.847(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575, p<.001), 직접적 인식(β=.216, p<.01)이 만족추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만족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ee(202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의 피부에 어울리는 퍼스널컬러를 선호하고 직접 인식하고 있을수록 메이크업이나 헤어스타일, 체중관리에 있어서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유행추구에 있어 설명력(R²)은 30.1%로 나타났고, F값은 31.499(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276, p<.001), 외부 조언(β=.198, p<.01), 직접적 인식(β=.170, p<.05)이 유행추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외부 조언,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유행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전문가에게 퍼스널컬러를 진단받은 경험이 없거나 본인의 퍼스널컬러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상이 아니더라도 최근 유행하는 메이크업이나 헤어스타일, 유행하는 스타일의 옷을 구매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기능추구에 있어 설명력(R²)은 36.9%로 나타났고, F값은 42.736(p=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345, p<.001), 직접적 인식(β=.256, p<.01)이 기능추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기능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본인의 피부에 어울리는 퍼스널컬러를 선호할수록 본인의 피부톤 및 피부에 맞는 기능성을 중요시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Park(2018)의 연구에서 화장품을 선택하는 기준으로는 피부의 적합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사회성취추구에 있어 설명력(R²)은 34. 5%로 나타났고, F값은 38.399(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선호 인식(β=.298, p<.001), 외부 조언(β=.222, p<.01), 직접적 인식(β=.169, p<.05)이 사회성취추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퍼스널컬러 인식 중 선호 인식, 외부 조언, 직접적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성취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ee(202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인에게 어울리는 색상을 선호하고 본인의 퍼스널컬러를 인지하고 있을수록, 옷을 잘 입는다는 이야기를 듣기 위해 노력하거나 몸매를 유지하기 위해 체중관리를 하는 등 남에게 보여 지는 나의 모습을 중요시 여긴다고 해석할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 목적은 여대생을 대상으로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 산업에서 소비자의 퍼스널컬러에 맞는 색상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여대생 22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컬러 인식은 직접적 인식, 선호인식, 외부조언으로 분류되었으며,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은 선호, 유행, 피부, 추천으로 분류되었고, 외모관리행동은 만족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로 분류되었다. 둘째, 퍼스널컬러 인식과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퍼스널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 선호 인식, 외부 조언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하위요인별 선호, 유행, 피부, 추천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의 하위요인별 선호, 유행, 피부, 추천은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기능추구, 사회성취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선호, 추천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만족추구가 외모관리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기능추구, 사회성취 추구, 유행추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분석을 종합하여 보면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은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장이나 외모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은 시기인 여대생들은 색조 화장품 소비층의 가장 중요한 고객이며, 이들의 색조화장품 구매행동과 외모관리행동을 파악하고 다양하게 활용하여 제품에 적용한다면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퍼스널컬러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색조화장품 구매 및 외모관리에 조화롭게 활용하여 퍼스널컬러를 올바르게 적용하면 개인에게 어울리는 외모 연출과 이미지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화장품 기업에서는 신제품 개발 시 색조를 계절별 혹은 톤별로 나누어서 소비자에게 퍼스널컬러에 대한 관심을 자극하고, 소비자들이 직접 퍼스널컬러를 진단해 볼 수 있는 간단한 키트를 함께 제공한다면 매출액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의 주 표본이 여대생이라는 점과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전체로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연구대상 또한 모든 연령으로 확대하여 성별에 따른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퍼스널컬러를 계절별로 분석하여 퍼스널컬러 유형에 따른 색조화장품을 분석하고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색조화장품을 잘 활용하여 개개인의 어울리는 외모 연출과 이미지 상승효과를 기대한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age (%)
Grade 1 56 25.1
2 56 25.1
3 27 12.1
4 84 37.7
Major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44 19.7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42 18.8
Arts and Physical Education 38 17.0
Department of Beauty Art 38 17.0
Health department 26 11.7
etc 35 15.7
A months allowance less than 500,000 won 46 20.6
Less than 500,000-700,000 won 53 23.8
over 700,000 won 124 55.6
Out of a month's allowance, appearance care expenses Less than 10,000 won 19 8.5
Less than 10,000-50,000 won 43 19.3
Less than 50,000-100,000 won 102 45.7
over 100,000 won 59 26.5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out of monthly allowance Less than 10,000 won 27 12.1
Less than 10,000-50,000 won 72 32.3
Less than 50,000-100,000 won 90 40.4
over 100,000 won 34 15.2
Total 223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Question Ingredient
Preference Recognition Direct recognition External advice
7. I prefer personal colors that match my skin. .892 .299 .155
8. The color I prefer matches the color that suits me. .864 .287 .184
5. I prefer colors that help shape my image. .858 .255 .238
6. I prefer a personal color that matches my hair color. .854 .310 .198
3. I know the colors that go with my image. .296 .874 .257
4. I know colors that go well with my skin tone. .297 .859 .304
1. I know the color that suits me. .364 .824 .328
2. I know which color goes well with my hair color. .353 .806 .308
10. I have been diagnosed with personal color by an expert. .138 .263 .905
11. I need to know my personal color through expert diagnosis. .237 .274 .889
9. I have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personal colors. .247 .319 .829
Eigenvalue 3.578 3.409 2.812
Dispersion explanation (%) 32.531 30.992 25.561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32.531 63.523 89.084
Cronbach's α .951 .964 .934
KMO=.919, Bartlett's test χ²=2865.119 (df=55, p=.000)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Question Ingredient
Skin Suggestion Preference Trend
8. When purchasing color products, I consider the functionality that suits my skin. .822 .249 .162 .184
5. When purchasing color products, I use colors that match my skin tone as a standard. .797 .211 .368 .157
7. When purchasing color products, I consider the harmony between the entire face and the lips or eye area. .792 .253 .170 .232
6. I consider my skin tone when purchasing makeup products. .787 .206 .395 .085
10. When purchasing color products, I use the colors recommended by TV or SNS as a standard. .258 .909 .130 .074
9. When purchasing color products, I use the color recommended by the salesperson as a standard. .284 .892 .174 .034
1. When I purchase color products, I use my favorite color as a standard. .277 .212 .870 .132
2. When purchasing color products, I use my favorite brands as criteria. .364 .106 .829 .210
3. When I purchase color products, I use the latest popular color as a standard. .126 -.039 .174 .912
4. When I purchase color products, I use the latest popular brand products as a standard. .240 .154 .107 .881
Eigenvalue 2.988 1.916 1.880 1.796
Dispersion explanation (%) 29.885 19.158 18.799 17.963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9.885 49.042 67.841 85.804
Cronbach's α .915 .905 .870 .841
KMO=.848, Bartlett's test χ²=1524.673 (df=45, p=.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 Ingredient
Pursuit of satisfaction Fashion pursuit Function pursuit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1. I feel more confident when I put on makeup. .832 .236 .234 .155
4. I think makeup is important in creating an image. .785 .220 .255 .192
3. I change my usual hairstyle often. .730 .273 .147 .301
2. I make an extra effort to get my hair trimmed. .727 .300 .276 .269
5. I am bothered by small changes in my weight. .720 .281 .256 .257
8. I tried on a trendy hairstyle. .186 .878 .083 .164
9. I tend to buy popular makeup products even if they are expensive. .302 .811 .114 .158
6. I think that fashionable makeup is sophisticated makeup. .228 .805 .170 .232
7. I tend to buy fashionable styles of clothing. .317 .747 .232 .203
12. I always put sunscreen on my face when I go outside. .273 .153 .863 .240
11. I use hair nourishing products (treatment, essence, etc.). .288 .125 .862 .182
10. I use hair styling products (spray, gel, wax, etc.). .232 .215 .846 .265
14. I exercise regularly to stay in shape. .238 .221 .251 .838
13. I try to be told that I dress well. .251 .273 .236 .786
15. I think plastic surgery is valuable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social life. .341 .202 .236 .785
Eigenvalue 3.614 3.233 2.763 2.535
Dispersion explanation (%) 24.091 21.551 18.421 16.901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4.091 45.642 64.064 80.965
Cronbach's α .919 .906 .934 .900
KMO=.923, Bartlett's test χ²=2776.392 (df=105, p=.000)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Personal color recognition
Color Cosmetics Purchase Behavi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irect recognition Preference Recognition External advice Preference Trend Skin Suggestion Pursuit of satisfaction Fashion pursuit Function pursuit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Direct recognition 1
Preference Recognition .658*** 1
External advice .632*** .485*** 1
Preference .552*** .683*** .409*** 1
trend .506*** .397*** .511*** .378*** 1
Skin .662*** .785*** .471*** .660*** .410*** 1
suggestion .445*** .517*** .480*** .413*** .187*** .561*** 1
pursuit of satisfaction .605*** .725*** .431*** .673*** .486*** .792*** .499*** 1
fashion pursuit .477*** .484*** .439*** .427*** .650*** .499*** .247*** .633*** 1
function pursuit .541*** .558*** .421*** .511*** .437*** .656*** .358*** .608*** .446*** 1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506*** .517*** .474*** .480*** .477*** .587*** .345*** .648*** .553*** .582*** 1

*** p<.001

Table 6.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Color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Preference (a constant) 1.135 .178 6.386 .000 69.087*** .486 (.479)
Direct recognition .145 .066 .160 2.192* .029
Preference Recognition .517 .060 .561 8.651*** .000
External advice .028 .050 .036 .567 .571
Trend (a constant) .897 .228 3.926 .000 34.376*** .320 (.311)
Direct recognition .263 .085 .260 3.094** .002
Preference Recognition .077 .077 .074 .999 .319
External advice .277 .064 .311 4.289*** .000
Skin (a constant) .714 .149 4.791 .000 137.966*** .654 (.649)
Direct recognition .229 .056 .248 4.130*** .000
Preference Recognition .579 .050 .614 11.554*** .000
External advice .013 .042 .016 .302 .763
Suggestion (a constant) 1.235 .231 5.356 .000 36.917*** .336 (.327)
Direct recognition .027 .086 .026 .310 .757
Preference Recognition .378 .078 .359 4.878*** .000
External advice .263 .065 .289 4.037*** .000

* p<.05,

** p<.01,

*** p<.001

Table 7.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Pursuit of satisfaction (a constant) .763 .167 4.560 .000 90.847*** .554 (.548)
Direct recognition .198 .062 .216 3.172** .002
Preference Recognition .536 .056 .575 9.535*** .000
External advice .012 .047 .015 .263 .793
Fashion pursuit (a constant) 1.177 .212 5.556 .000 31.499*** .301 (.292)
Direct recognition .157 .079 .170 1.993* .048
Preference Recognition .260 .071 .276 3.654*** .000
External advice .161 .060 .198 2.692** .008
Function pursuit (a constant) .868 .229 3.799 .000 42.736*** .369 (.361)
Direct recognition .269 .085 .256 3.157** .002
Preference Recognition .369 .077 .345 4.799*** .000
External advice .085 .065 .092 1.319 .189
Pursuit of social achievement (a constant) .910 .227 4.011 .000 38.399*** .345 (.336)
Direct recognition .173 .085 .169 2.047* .042
Preference Recognition .310 .076 .298 4.068*** .000
External advice .200 .064 .222 3.127** .002

* p<.05,

** p<.01,

*** p<.001

References

An, C. R., & Im, E. J.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Self-esteem and Body Imag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8(1), 53-64.
Ceon, S. Y. (2000). A study on the brand recognition and psychological and purchas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of cosmetics pursuit benefit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Heo, E. S., & Kim, S. H. (2022). The Influence of Cosmetics Purchase Behavior on Makeup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College Wome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3), 427-438.
crossref pdf
Hong, B. S., & Cho, Y. H. (2006). Cosmetic Us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ell-Being Tendency of Middle and Old Ag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Society, 44:43-50.
Hong, S. S. (2007). Comparison of Cosmetic Purchase Behavior by Subgroup According to Men's Fashion Lifesty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57(2), 29-44.
Jeong, S. H. (2015). Emotional Response Effects of Children's Personal Curlers Ba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Hongik University Doctoral Thesis.
Kang, M. J., & Kim, B. M. (2019). A Study on the Use of Makeup Cosmetics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9(2), 233-244.
Kim, H. J. (2017). Personal Color (Kim Hyo-jin's Professional Directing Method for Beauty and Fashion PCS Designers), Free Books, 15.
Kim, H. J. (2023). Personal Color Recognition and Color Preference Lip Makeup Products Effect on Purchasing Psychology and Satisfaction : Focusing on Online Purchase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aster's Thesis.
Kim, Y. I., Kim, E. K., Kim, J. Y., Kim, H. S., & Moon, Y. E.. (2009). The color language of fashion Paju, Gyomunsa.
Lee, J. A., & Kim, C. H. (2020). The Effects of Personal Color Awareness on Color Cosmetic Purchase Criteria and Purchase Behavior.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3), 635-645.
Lee, Y. A. (202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and Image Management Behavior. The Korean Human Image Design, 3(2), 17-31.
Oh, G. S., & Bae, S. O. (2020). The effects of beauty shop customers' appearance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their make-up perception. J. Kor. Soc. Des. Culture, 26:351-361.
crossref
Park, E. A. (2003). Psychosocial Meaning of Make-up.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4(2), 105-127.
Park, G. H. (2018). A Study o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 Consumption centered on val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1), 83-95.
Park, H. W., Song, S. H., & Yu, H. N.. (2017). Beauty colorology Seoul, Seongandang, p.82.
Park, Y. S., Jeon, H. K., & Im, E. H. (2019). A qualitative study on the motivation, decision-making factors and effects of personal color consulting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9(2), 37-56.
Ryu, H. S., & Han, J. S. (2021). The Effect of Personal Color Recognition on Eyeshadow and Lipstick Color Selection and Makeup Satisfaction -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1(3), 344-360.
Shin, J. E. (2011). A Study on Make-up Trend and Color Preference in Female Undergraduat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Master's Thesis.
Woo, S. J., & Kim, Y. S. (2011). Color Cosmetics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Personal Color Recogni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889-902.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