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2); 2023 > Article
메종 마르지엘라 패션에서 나타난 신 해체주의 특성을 응용한 젤 네일아트 디자인

Abstract

Today's society is in a trend toward external beauty rather than internal beauty due to rapid changes. As of the 21st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technology, humans are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SNS, and the world is sharing with each other and making various exchanges. Among them, with this development, modern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increasing individual values and accelerating the trend cycle, creating new trends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trends. In particular, it is an era in which consumers are centered from Generation Y to Generation Z, which were born and grown together in the digital era, and are highly influential and led. Entering Generation Z, he is leading the era by directly expressing his inner desire and beauty differentiated from free and future-oriented others that deviate from the existing framework of dissolutionism. With this development of the times, new elements are added to the existing disintegrationism, which can be new to the new disintegrationism created by reflecting the needs of consumers. Maison Margiela, a fashion brand that represented the disintegrationism of the past, embraces various cultures and presents creative and interesting designs to the public. Nail art design has an identity as a diversified visual element, and modern people need a new design that fits the trend in a new aspec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duce autonomous,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gel nail art designs as works to satisfy consumers' needs by examining the trend and aesthetic value of the times as a new deconstructionist characteristic of fashion brand Maison Margiela. As a method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neodisintegrationism in Maison Margiela fashion were analyzed through previous studies, books, and the Internet, and based on studies by Kim (2021), Lee (2018), Wu (2021), and Park & Kim (2020) wer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creational gel nail art. The materials for producing the work were gel polish, gel brush, glitter, wire, and full tip No. 3.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design of Maison Martin Margiela, a representative fashion brand of neo-disintegrationism for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and the gel nail art design is presented by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neo-disintegrationism into playfulness, diversity, and reinvention recombination. The research results produced by the work are as follows. First, with Yoo Hee-sung's design, Work 1 first produced a sense of freedom as a design element from a design suppressed by a design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framework of nail art. Work 2 is a design using space, designed for pure purpose, not intentional expression, and produced works in a fun and playful atmosphere. Second, with the diversity design, Work 3 expressed color expression and see-through flowers, and produced works by expressing gender boundaries from a neutral perspective. Work 4 was produced with a design that expresses an open and intriguing inner desire by expressing a part of it in three dimensions. Third, with the reinvention and recombination design, Work 5 was transformed and applied using space in three dimensions to produce works by expressing them in a auditory design. Work 6 was recombined by applying the existing gradation technique and produced a work with a design that gives a familiar image rather than unfamiliarity by using curves to create an integrated harmony of play and d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was produced as a gel nail art work by applying the new deconstructionist Maison Margiela's fashion elements and sublimated into art works, and individual personality and original design showed trends and usability in nail industrial sites, and it is hoped that gel nail design research will be continuously conducted.

I. 서 론

1. 연구의 내용 및 목적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격히 빠른 변화로 인해 내적의 미 보다는 외적의 미를 지향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회생활 내에서 받는 스트레스, 억압, 책임감 등 심리적인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본인의 꾸밈으로 투자가치가 높아지면서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우월감과 자존감의 향상을 위한 외모지상주의의 세상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는 첨단기술의 발달로 이루어진 디지털 시대이다. 인간들에게 인터넷과 SNS에 친숙해지면서 전 세계가 서로 공유하며 다원화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화 시대인 만큼 인간들은 패션과 뷰티산업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개인의 가치를 높여주며 미의 의식을 드러내는 수단과 함께 유행 주기가 가속화 되면서 사회적, 문화적 흐름에 따른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있다. 특히, 디지털시대에 태어나고 함께 성장되어진 Y세대에서 Z세대까지 소비자가 중심이 되면서 영향력이 높으며 주도되어지는 시대이다. Z세대로 접어들면서 해체주의 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는 자유롭고 미래지향적인 타인과의 차별화된 자신의 내면에 있는 욕구와 미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시대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발전으로 기존의 해체주의에 새로운 요소가 더해져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되어 만들어진 신 해체주의로 새로움을 줄 수 있다.
신 해체주의는 해체주의의 견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이념을 받아 다채롭게 새로운 현 시대에 반영되어 지는 것이다. 전 세계가 공유하는 시대는 문화, 나이, 성별 등 융합되면서 미래의 가상세계에 대한 창작된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다.
과거의 해체주의를 대표했던 패션 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giela)는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여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디자인을 대중들에게 선보여지고 있다. 네일아트 디자인은 다양화된 시각적인 요소로 정체성을 가지고 현대인들은 새로운 양상으로 트렌드에 맞게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 건축, 패션 등 다수의 연구 자료가 있지만 미용예술의 한 분야인 네일아트는 신 해체주의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네일아트와 패션은 밀접한 연광성은 가지고 있으며, 패션 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giela)에서 나타나는 신 해체주의 특성으로 시대적 흐름과 미적 가치를 고찰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하고 세분화 된 니즈를 만족시켜 독창적인 예술로 승화시켜 젤 네일아트 디자인을 작품으로 제작하여 네일 산업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이고 네일아트 연구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giela) 패션에서 나타난 신 해체주의의 특성을 선행연구, 단행본, 인터넷을 통해 자료 분석하여 Kim(2021), Lee(2018), Wu(2021), Park & Kim (2020)의 연구를 토대로 유희성, 다양성, 재조합 재창조 특성을 젤 네일아트 디자인에 접목시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을 위한 재료는 젤 폴리쉬, 젤 브러쉬, 글리터, 와이어, 풀 팁3호 사용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giela)

메종마르지엘라는 1988년 8월 파리에서 제니 마이렌스(Jenny Meirens)와 마르탱 마르지엘라가 함께 메종 마르탱 마르지엘라(Maison Martin Margiela)를 설립하여 그 해 10월에 1989S/S 시즌 여성복 첫 컬렉션을 개최하였다.
복식의 구성은 기존의 형식을 파괴하고 그는 복식의 생산 과정을 그대로 노출하고 옷의 솔기와 지퍼를 모두 드러내고 옷의 끝단을 모두 풀어 헤쳐 해체주의 형태로 작품에 나타냈으며, 버려진 빈티지를 수집하여 과거의 시간과 추억을 발견하여 구조적으로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스타일로 재창조되면서 패션계에 혁명을 불러일으켰으며 해체주의를 정립시켰다(Lee, 2021).
해체주의 창시자로서 그 당시에 유행되었던 스타일과 달리 창의적이며 독창적인 형태의 디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집중을 받았지만 미디어에 등장은 회피하고 오로지 작품으로 통해 자신을 알리기를 원했다. 또한 개인으로 유명해지거나 집중 받는 것보다는 팀 구성원이 전체적으로 일하는 것을 부각시켜 디자이너보다는 예술가에 가까운 방식으로 접근되었다.
2008년 20주년 컬렉션을 마지막으로 마르지엘라는 갑작스럽게 은퇴하였고 메종 마르지엘라 크리에이티브 디자인팀(Masion Margiela Creative Design Team)이 운영하다가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가 ‘일상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발표하면서 현재까지 메종 마르지엘라를 이끌어가고 있다.
메종 마르지엘라의 디자인은 옷 자체에서 시작되어 옷 자체로 끝나는 컬렉션으로 기존의 옷의 형태를 해체, 왜곡, 변형 하고 전 세계의 여러 빈티지 샵에서 구매하고 버려진 오래된 재료를 수집하여 재창조하여 그대로의 순수한 상태의 소재와 특성에 초점을 맞춰 세상에 단 하나뿐인 디자인으로 창조해내었다(Kim, 2021).
1989년S/S 여성복 첫 패션쇼에서 선보여진 마르지엘라의 대표적인 타비 부츠(tabi boots)(Fig. 1)는 일본의 길거리의 노동자들이 신고 있는 것에 영감 얻어 선보였고 오늘날까지 인기를 얻어 새롭게 재해석 되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작품에 연속성을 부여시켰다(Lee, 2021).
1995F/W 컬렉션에서 나타나듯이 모델의 얼굴에 베일을 감싸서 연출하는데 모델의 외모나 인지도 보다 익명으로 진행하여 의상에 집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출하였다(Jang & Yang, 2011). 그는 옷을 착용하는 인간에 의해 재창조되며 시간의 흔적으로 옷이 완성된다는 디자인 철학으로 인해 시작되었다(Fig. 2).

2. 신 해체주의 개념

해체주의는 20세기말 자크데리다의 의해 제시되어 예술로서 광범위하게 자리 잡게 되어 현재 21세기 오기까지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시대에 맞게 끊은 없는 변화로 변모되어 2014년 베드멍 대표 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Demna Gvasalia)를 계기로 2014년 이후 신 해체주의로 새로운 용어가 탄생되었다(Lee, 2018).
오늘날의 시대는 디지털시대로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성별, 국가, 연령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서로 노출되어지고 공유하게 되면서 인간들에게 다양한 요소들의 새로움에 대한 가치관을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1인 미디어 매체가 개방되어지면서 인터넷 환경 속에서 스타들과 인플루언서 들의 개성 있는 트렌드를 만들어내어 유행되는 현상으로 대중들은 생활 방식과 패션, 뷰티 등 모방하면서 유행은 빠르게 진화되어가고 있다(Wu, 2021). 인간들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은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로 침투되어 사회생활 속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SNS를 통하여 해방감과 흥미로움으로 수용시켜 사용된다.
인터넷시대에서 태어나 함께 성장되어진 MZ세대와 Z세대의 소비자들은 빠른 소통으로 인해 구매조건과 충동적 구매가 쉽게 해결되는 만큼 순간적인 흥미와 재미를 느끼고 그 감정이 신속히 사라지게 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이러한 세대들에게 신 해체주의는 기존의 해체주의 새로운 해석보다는 동시대적 해석으로 시대의 흐름에 맞는 시각적인 요소로 확대되어 기존의 규칙과 방식을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벗어나 억압된 틀에서 탈피하는데 이와 함께 개인의 가치와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이다.
신 해체주의 특성을 분석하여 젤 네일아트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 해체주의의 특징은 Kim(2021), Lee(2018), Wu(2021), Park & Kim(2020)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신 해체주의 특성을 유희성, 다양성, 재창조 재조합으로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희성은 특별한 목적이 없이 그 자체로의 흥미와 재미를 느끼는 것으로 우습다, 재밌다, 이상하다 등 다양하게 표현된다. 다원주의와 대중문화가 확장되면서 고정된 인식에서 탈피하여 억압된 여러 요소로 부터 벗어나 자유로움을 추구하여 회복시켜 웃음을 자아낸다(Zhai, 2015).
이러한 재미요소는 패션, 건축, 미용, 문학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어 밝은 분위기 조성을 하며, 현실의 생활의 불안함 속에서 유머로 순수하게 순환시켜 자유와 해방감을 실현시키고자 고차원적으로 인간에게 전달하는 효과가 증폭될 수 있다.
둘째, 다양성은 인종, 연령, 성별 등 초기집단 간의 관계 속에서 시작되어 의도적으로 구분되어져 구성원 간의 특징을 식별하여 사회의 정체성에서의 계급사회의 지위 중심에서 벗어나 중립된 관점에서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신 해체주의의 다양성은 인종차별과 성 경계성을 해체하여 인정하거 소외되었던 인간들에게 관심을 주어 기존의 편견을 해지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촉구시켜 표현하는데 상호텍스성과 같은 특성이 나타난다(Kim, 2021).
셋째, 재창조 재조합은 현실의 존재하는 것보다 과거의 흔적을 수용하여 인간의 생활의 관련성을 잃지 않고 의미를 두고 재조합하여 재창조 것이다(Park & Kim, 2020). 인간에게 낯섦과 새로움을 보여주는 것은 감정변화를 발생시켜 기존의 생활을 회상하게 하여 창의성을 찾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통합적으로 유희성, 다양성, 긍정성 등의 성숙된 태도들이 내장되어 해체, 파괴와 달리 포용하여 화합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Lee, 2004).

3. 젤 네일아트

네일아트 분야에서 다양한 기법들 중에서 젤 네일아트는 시술시간이 가장 짧으며 냄새가 미미하고 유지기간이 길어 여러 가지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가있다. 과거의 젤 네일은 투명하게 연장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왔지만 현재는 네일 산업현장에서 대중화되어 다양한 제품과 다양한 컬러들이 출시되어 각광 받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많이 시술되어지고 있는 네일 기법 중에 하나이다.
젤 네일은 자연건조가 아닌 제품으로 굳어지는 방법으로 UV&LED Gel로 자외선램프의 빛을 통과시켜 젤 전체의 밀도가 응집되어 단단하게 굳게 하는 라이트 큐어젤(Light Cure Gel)이다(Han, 2021). 초기에 젤 네일아트 비용은 고가의 관리로 시작이 되었지만 편리성을 위한 젤 팔리시의 출시로 가격은 낮아지면서 지속력과 간편한 관리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네일아트 시술의 목적은 외적으로 자심의 미를 표출하는 수단이지만 자신의 내적의 스트레스 심미적 만족도를 위한 시술이다(Kim, 2020). 또한 네일 산업현장 종사자는 인간의 인체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내면의 욕구와 외면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표현을 다양화된 소재와, 컬러, 장식 등으로 응용하여 손톱 위의 공간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적 행위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유희성1

본 작품은 메종 마르지엘라 2020F/W 컬렉션을 모티브로 작품 제작하였으며, 젤 네일아트를 이용하여 핸드페인팅기법과 철사를 이용해 3D기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과정은 첫째, 베이지 색상으로 바탕을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둘째, 철사를 응용하여 틀은 만든 다음 엠보 젤을 응용하여 두께를 만들고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셋째, 핸드페인팅 기법으로 만들어진 틀 안에 노랑, 주황, 하늘색상을 교차하여 라인을 그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광택부여를 위해 탑 젤을 고르게 바른 후 LED램프에서 1분간 경화시킨 후 미경화 젤은 젤 클렌저로 닦아내고 마무리 한다<Table 1>.

2. 유희성2

본 작품은 메종 마르지엘라 2020S/S 컬렉션을 모티브로 작품 제작하였으며, 드릴과 젤 네일아트를 이용하여 핸드페인팅 기법과 엠보 젤을 이용해 3D기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과정은 첫째, 그린 색상을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기법으로 바탕을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둘째, 드릴을 이용하여 동그란 구멍을 만들어주고 비대칭으로 화이트 색상으로 원형을 그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셋째, 그려진 원형위에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엠보 젤을 올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광택부여를 위해 탑 젤을 고르게 바른 후 LED램프에서 1분간 경화시킨 후 미경화 젤은 젤 클렌저로 닦아내고 마무리한다<Table 2>.

3. 다양성1

본 작품은 메종 마르지엘라 2019S/S 컬렉션을 모티브로 작품 제작하였으며, 젤 네일아트를 이용하여 핸드페인팅기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과정은 첫째, 실버 펄 색상으로 바탕을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둘째, 하늘, 노랑, 연하보라, 진한보라색상을 이용해 다각적인 곡선으로 그려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셋째, 꽃을 그리기 위해 꽃술을 중점으로 그라데이션 기법으로 표현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넷째, 화이트 라인 젤을 이용하여 꽃잎을 그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광택부여를 위해 탑 젤을 고르게 바른 후 LED램프에서 1분간 경화시킨 후 미경화 젤은 젤 클렌저로 닦아내고 마무리 한다<Table 3>.

4. 다양성 2

본 작품은 메종 마르지엘라 2020F/W 컬렉션을 모티브로 작품 제작하였으며, 젤 네일아트와 엠보젤을 이용하여 핸드페인팅기법과 3D기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과정은 첫째, 아이보리 색상으로 바탕을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둘째, 카키, 레드, 네이비 색상을 이용해 직사각형으로 라인을 그려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셋째, 직사각형 위해 엠보 젤을 이용하여 두께 감을 만들어준 다음 같은 색상으로 도포하여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넷째, 스티치 표현을 위해 화이트 라인 젤을 이용하여 그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일 부분은 무광 탑 젤을 도포하고 나머지 부분은 광택부여를 위해 탑 젤을 고르게 바른 후 LED램프에서 1분간 경화시킨 후 미경화 젤은 젤 클렌저로 닦아내고 마무리 한다<Table 4>.

5. 재창조 재조합1

본 작품은 메종 마르지엘라 2018F/W 컬렉션을 모티브로 작품 제작하였으며, 젤 네일아트와 엠보젤을 이용하여 핸드페인팅기법과 3D기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과정은 첫째, 노랑, 그린 색상으로 대각선으로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둘째, 입체적으로 표현하기위해 엠보 젤을 이용하여 그려진 색상위에 올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셋째, 도포되지 않은 공간에 블랙 라인 젤을 이용하여 직성으로 라인을 그려주고 모서리 부분에 작은 원형을 그려준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광택부여를 위해 탑 젤을 고르게 바른 후 LED램프에서 1분간 경화시킨 후 미경화 젤은 젤 클렌저로 닦아내고 마무리 한다<Table 5>.

6. 재창조 재조합2

본 작품은 메종 마르지엘라 2018 S/S 컬렉션을 모티브로 작품 제작하였으며, 젤 네일아트와 글리터를 이용하여 핸드페인팅기법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과정은 첫째, 그린, 분홍, 파랑, 보라 색상의 글리터를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기법으로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둘째, 화이트 색상을 이용해 곡선으로 그려 도포한 다음 LED램프에 1분 동안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광택부여를 위해 탑 젤을 고르게 바른 후 LED램프에서 1분간 경화시킨 후 미경화 젤은 젤 클렌저로 닦아내고 마무리 한다 <Table 6>.

IV. 결 론

과거와 다르게 오늘날은 디지털시대의 발달로 이 시대는 인간들은 인터넷에 익숙해지면서 SNS로 서로 공유하고 개인의 미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뷰티산업 중에서 네일아트는 패션의 하나의 아이템으로 사용되어지고 전문성과 개인의 개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디자인이 꾸준하게 발전되어가고 있지만 디지털 시대인 만큼 유행의 주기가 가속화 되면서 인간들은 빠른 시일에 실증을 내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개인의 자율화, 개성화 된 젤 네일아트의 디자인을 요구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창조는 다른 요소들을 모티브하여 창작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위해 신 해체주의적의 대표적인 패션 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tin Margiela)의 디자인을 모티브하여 신 해체주의 특성을 유희성, 다양성, 재창조 재조합으로 분류하여 젤 네일아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작품으로 제작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희성 디자인으로 먼저 작품1은 기존의 네일아트의 기존에 틀에서 벗어난 디자인으로 억압된 디자인에서 해방감을 디자인 요소로 제작하였다. 작품2는 공간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의도적인 표현이 아닌 순수한 목적으로 디자인하여 재미와 유희적인 분위기로 작품 제작하였다.
둘째, 다양성 디자인으로 작품3은 색감표현과 시스루의 꽃을 표현하여 중립된 관점으로 성 경계성을 표현하여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4는 일부분의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개방적이며 호기심을 자극하는 내적욕구를 표현하는 디자인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셋째, 재창조 재조합 디자인으로 작품5는 입체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여 변형하고 응용하여 청의적인디자인으로 표현해 작품 제작하였다. 작품6은 기존의 그라데이션 기법을 응용하여 재조합하여 통합적으로 유희성과 다양성으로 화합된 연출을 위해 곡선을 이용하여 낯섦보다는 친숙한 이미지를 주는 디자인으로 작품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은 신 해체주의적 메종 마르지엘라의 패션요소를 응용하여 젤 네일아트 작품으로 제작한 결과 네일아트 디자인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켜 이와 함께 개인의 개성과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네일 산업현장에서의 트렌드와 활용성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향후 미용예술의 한 분야로 네일아트의 신 해체주의 특성에 대한 연구 자료로 제공하여 네일아트 영역을 확장시켜 디자인에 관련된 연구 자료로 활용해 젤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 1.
1989S/S Maison Martin Margiela tabi boots.
JKSC-2023-29-2-345f1.jpg
Fig. 2.
Maison Martin Margiela 1995 F/W.
JKSC-2023-29-2-345f2.jpg
Table 1.
Playfulness design 1
Maison Martin Margiela 2020 F/W JKSC-2023-29-2-345i1.jpg Nail work JKSC-2023-29-2-345i2.jpg
Material for work Gel lamp, full tip, base gel, top gel, clear gel, gel color, embossed gel brush, wire
Expression techniques Hand painting, 3D nail
Table 2.
Playfulness design 2
Maison Martin Margiela 2020 S/S JKSC-2023-29-2-345i3.jpg Nail work JKSC-2023-29-2-345i4.jpg
Material for work Gel lamp, drill, full tip, base gel, top gel, clear gel, gel color, embossed gel brush
Expression techniques Hand painting, gradation, 3D nail
Table 3.
Diversity design 1
Maison Martin Margiela 2019 S/S JKSC-2023-29-2-345i5.jpg Nail work JKSC-2023-29-2-345i6.jpg
Material for work Gel lamp, drill, full tip, base gel, top gel, clear gel, gel color, embossed gel brush
Expression techniques Hand painting, gradation
Table 4.
Diversity design 2
Maison Martin Margiela 2020 F/W JKSC-2023-29-2-345i7.jpg Nail work JKSC-2023-29-2-345i8.jpg
Material for work Gel lamp, full tip, base gel, top gel, matte top gel, clear gel, gel color, line gel, embossed gel, gel brush
Expression techniques Hand painting, 3D nail
Table 5.
Re-creation and re-union 1
Maison Martin Margiela 2018 F/W JKSC-2023-29-2-345i9.jpg Nail work JKSC-2023-29-2-345i10.jpg
Material for work Gel lamp, full tip, base gel, top gel, clear gel, gel color, line gel, embossed gel, gel brush
Expression techniques Hand painting, 3D nail
Table 6.
Re-creation and re-union 2
Maison Martin Margiela 2018 S/S JKSC-2023-29-2-345i11.jpg Nail work JKSC-2023-29-2-345i12.jpg
Material for work Gel lamp, full tip, base gel, top gel, clear gel, gel color, line gel, glitter, gel brush
Expression techniques Hand painting, glitter

References

Han, W. G. (2021). Development of wedding nail art design with bouquet flower pattern, Doctoral dissertation, Silla Universy, Busan, 5-6.
Jang, R. Y., & Yang, S. H. (2011). Fashion Communication and Exhibition Project -Focused on Fashion Exhibition Design by Maison Martin Margiela-.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302-1319.
crossref
Kim, S. Y. (2021). Aspects of Time with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Exploring Masion Margiela’s desig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5.
Kim, Y. M. (2020). Study on Consumption Motivation and Management Behaviors of Self-nail Consumers -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 30s, and 40s.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Gyeonggi-do, 6-7.
Kim, Z. Y. (2021).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NeoDeconstructivism Fashion - Comparison of Vetements and Marques’ Almeida -.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5-28.
Lee, H. J. (2004). A Study on A. N. Whitehead's Concept of "Novelt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13.
Lee, H. J. (2021). Creative Direction in Maison Margiela - John Galliano as a case study -.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6-38.
Lee, M. J. (2018).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by Neo-Deconstructivism - Based on Paulo Coelho’s novel ‘eleven minutes’ -.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9-11.
Lee, M. Y. (2018). Maison Margiela space design applying Assemblage techniqu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3-14.
Park, Y. K., & Kim, M. H.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nim Design with 3D Printing and DTP from Neo-Deconstructivism.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60:157-166. doi:10.18555/kicpd.2020.60.15.
crossref
Wu, Y. L. (2021).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Maison Margiela from the Neo-Deconstruction Perspectiv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8-20.
Zhai, J. (2015).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idult Playfulness reflect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8-29.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