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MZ세대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메이크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on makeup behavior against MZ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ith a goal of providing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Advice from Outsiders (β=.457, p<.001)’ and ‘Direct Perception (β=.266,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Pursuit of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Direct Perception (β=.307, p<.001)’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Popularity-seeking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more, ‘Advice from Outsiders (β=.171, p<.05)’ and ‘Direct Perception (β=.256, p<.01)’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ociality-seeking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wearing makeup in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can enhanc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and create a good impress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y results

I. 서 론

현대인들의 사회생활을 위한 외모관리 행동은 자신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필수 요소로서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은 개인의 심리상태와 사회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한 외모관리 행위가 자기만족감을 갖게 하고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여 타인에게 호의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어 사회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에는 이러한 외모 관리 행태가 과학기술과 미디어 산업의 발달을 통해 개성과 다양성을 표출하면서 남성들에게도 나타났고, 이제는 연령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는 추세이다(Han, 2017).
사람들은 타인에게 좋은 이미지를 전달하고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옷, 액세서리, 메이크업 등을 도구로 사용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서로 어우러질 때 토털코디네이션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의 활용은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과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로서 현대인에게는 간과할 수 없는 요소로 외모를 표현하는 모든 코디에 적용되어 개인의 이미지와 전체적인 조화를 연출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는 색과 직결되며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 색을 선택하고 연출함으로써 나만의 스타일을 구축하고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Hong et al., 2012). 아름다움이 사회의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퍼스널 컬러는 개인의 이미지 관리 분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유행하는 색을 무조건 따라하는 것보다는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활용한 이미지 관리 욕구로 변하고 있으며,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환경에 맞춰 메이크업, 헤어, 네일아트, 패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Kim & Youn, 2018).
퍼스널 컬러 시스템은 자신의 신체 색에 부합하는 컬러 진단에서 출발하여 컬러가 적용되는 메이크업 행동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외적으로 변화되고 호감이 가는 이미지를 준다(Park et al., 2019). 메이크업 행동은 개인의 고유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장점을 강조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개성과 아름다움을 부여해 준다(Choi et al., 2017). 이러한 행동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상적인 것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가 작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메이크업 행동과 소비 행동으로 표출된다(Lee & Kim, 2015).
현대의 주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MZ세대는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입하면서 경제활동과 소비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게 될 세대로 많은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ang & Kim(2022)의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Lee(2023)의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여가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Lee et al.(2022)의 MZ세대의 자아존중감, 쇼핑동기 및 쇼핑성향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용 학문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Woo & Kim(2011)은 개성을 표현하고 유행의 영향을 받는 화장품을 구매할 때 마케터들은 이 과정을 주도하는 각 개인의 퍼스널 컬러 인식에 대하여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하였고, Ahn & Im(2022)은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에게 현저하게 대두되는 외모 관리의 차원에서 심리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메이크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와 유행의 첨단 계층인 MZ세대를 대상으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퍼스널 컬러와 메이크업 행동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퍼스널 컬러 컨설팅 업체와 화장품 관련 업체에 마케팅 정보로 도움이 될 것이며, 퍼스널 컬러와 관련한 메이크업 행동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MZ세대의 특징

MZ세대는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Millenial Generation)와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Generation Z)를 아우르는 말이다(Kwon, 2020). 통계청(2022)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MZ세대는 16,299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32. 5%를 차지하며, 이중 M세대는 10,330천 명(20.6%), Z세대는 5,969천 명(11.9%)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향후 베이비붐 세대의 비중이 줄어들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2040년에는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한경 경제용어사전). 이를 통해 많은 업계에서는 MZ세대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에 주목하여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상품, 마케팅 등을 펼치고 있다. MZ세대는 디지털과 모바일에 익숙한 만큼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가치관에 맞는 활동에 참여하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Kim & Jeong, 2022). 이들은 경제활동과 소비활동이 활발한 연령대로 소비시장을 지배하는 새로운 소비 권력이라 할 수 있다(Oh, 2022). 이처럼 MZ세대를 사로잡는 것은 시장의 필수 과제가 되었으며 이들의 소비 성향과 가치관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Lee & Oh, 2022).

2. 퍼스널 컬러의 개념

퍼스널 컬러는 자신의 신체 색과 조화를 이루는 색으로 신체색은 피부색, 모발색, 눈동자 색을 말한다. 현대에는 이러한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이 자신만의 이미지를 만드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Hong et al., 2012). 퍼스널 컬러의 유형은 보편적으로 크게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로 구분된다. 그 중 봄 유형은 활기차고 밝은 이미지의 웜 톤(Warm tone)으로 선명한 원색과 화사한 파스텔 색상이 잘 어울린다. 여름 유형은 부 럽고 우아한 이미지의 쿨 톤(Cool tone)으로 파스텔 계열의 핑크나 블루 등의 색상이 잘 어울린다. 가을 유형 차분하고 고전적인 성숙미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웜 톤(Warm tone)으로 명도와 채도가 낮고 진한 탁색이 잘 어울린다. 겨울 유형은 날카롭고 도시적인 이미지의 쿨 톤(Cool tone)으로 검정이나 흰색 등 명암이 확실한 색이나 대비가 강한 색이 잘 어울린다(Han, 2017). 이러한 퍼스널 컬러 진단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의 이미지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컨설팅을 받으며, 그 결과를 잘 적용하여 긍정적인 이미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메이크업 행동

메이크업은 얼굴이나 신체의 장점을 강조하고 아름답지 않은 부분을 보완하는 행위를 의미한다(Kwak & Kim, 2020). 이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를 표현하게 되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행동은 개인의 이미지와 인상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Seo, 2019). 메이크업은 자신의 개성, 아름다운 외모, 삶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가장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은 메이크업 행동이다(Park & Lee, 2021). Kim & Kim(2019)은 메이크업 행동이란 사람이 자신의 외모를 꾸미기 위해 겪게 되는 일련의 다양한 행동들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Kang(2014)는 메이크업 행동이 인체를 보호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장식 행동이며 나아가 사회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할 때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가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Ahn & Im(2020)은 메이크업 행동은 자신의 이미지를 표출해 내는 수단이 되고 자신의 성격과 선호하는 이미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낸다고 하였다. 즉 메이크업 행동이란 얼굴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여 자신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자아감각을 높이기 위한 행위라고 볼 수 있다(Kim et al., 2019).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이 연구는 광주, 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1980년 이후 출생에 해당하는 MZ 세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네이버 폼을 활용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이며 총 16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설문의 구성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한 설문지는 다음과 같다. 퍼스널 컬러 인식에 관한 문항 17개는 Ahn & Im(2022), Woo & Kim(2011), Lee(2021)의 연구를 참고하였고, 메이크업 행동에 관한 문항 18개는 Kim & Kim(2019), Ahn & Im(2020), Jeong(2022)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일반적 특성 7개 문항은 본 연구자가 위의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거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각 변수들의 구성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문항들이 해당 변수의 개념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셋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메이크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연령은 20대 85명(52.1%), 30대 이상 78명(47.9%)으로 나타났고, 성별은 여성 108명(66.3%), 남성 55명(33.7%)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24명(14.7%), 대학교 재학 및 졸업 112명(68.7%), 대학원 재학 및 졸업 27명(16.6%)으로 나타났고, 결혼상태는 미혼 125명(76.7%), 기혼 38명(23.3%)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전문직 55명(33.7%), 판매, 서비스직 31명(19.0%), 학생 20명(12.3%), 사무직 19명(11.7%)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 36명(22.1%), 100-200만원 미만 21명(12.9%), 200-300만원 미만 56명(34.4%), 300-400만원 미만 23명(14.1%), 400만원 이상 27명(16.6%)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외모관리비용은 5만원 미만 41명(25.2%), 5-10만원 미만 61명(37.4%), 10-15만원 미만 24명(14.7%), 15-20만원 미만 24명(14.7%), 20만원 이상 13명(8.0%)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유값(Eigen value)이 1 이상인 요인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Table 2와 같이 1개의 문항(6번)이 제거, 3개의 요인으로 나뉘어 졌다. 요인들의 중심개념에 따라 ‘직접적 인식’(26.470%)과 ‘외부조언’(23.511%), ‘색채선호 인식’(15.336%)으로 명명하였고, 변수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65.317%로 나타났다. 또한 KMO와 Bartlett의 검정결과 KMO 측도는 0 . 822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검정결과는 1392.833(df=120, p=.000)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 결과 ‘직접적 인식’은 0.890, ‘외부 조언’은 0.894, ‘색채선호 인식’은 0.771로 0.60 보다 높게 나타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2) 메이크업 행동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메이크업 행동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고유값(Eigen value)이 1 이상인 요인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Table 3과 같이 1개의 문항(13번)이 제거, 3개의 요인으로 나뉘어 졌다. 요인들의 중심개념에 따라 ‘만족추구’(30.520%)와 ‘유행추구’(21.497%), ‘사회성추구’(19.220%)로 명명하였고, 변수의 총 누적분산설명력은 71.236%로 나타났다. 또한 KMO와 Bartlett의 검정결과 KMO 측도는 0 . 888로 나타났고, Bartlett의 검정결과는 2088.778(df=136, p=0.000)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 결과 ‘만족추구’는 0.933, ‘유행추구’는 0.888, ‘사회성추구’는 0 . 837로 0 . 60 보다 높게 나타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3. 기술통계적 분석

1)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외부조언’(M=4.1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직접적 인식’(M=3.94), ‘색채선호 인식’(M=3.48)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은 평균 4.02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퍼스널 컬러 인식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Rhie et al.(2012)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고등학교 졸업이나 대학교 재학 및 졸업에 비해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m et al.(2017)의 연구에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은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여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퍼스널 컬러에 대한 지식과 인식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400만원 미만의 경우 400만원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조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외모관리비용에 따라서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 요인별 색채선호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5만원 미만에 비해 5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색채선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위가 높기 때문에 외부조언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외모관리 비용이 높고 외모관리에 영향을 끼치는 색채선호 인식이 높은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이 외에 연령, 결혼상태, 직업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2) 메이크업 행동

메이크업 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성추구’(M=3.94)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만족추구’(M=3.79), ‘유행추구’(M=2.54)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은 평균 3.4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이크업 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만족중시가 가장 높게 나타난 Ahn & Im(2022)의 연구와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나타냈는데,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MZ세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Ahn & Im(2022)의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인 것이라 분석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연령에 따라서는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유행추구, 사회성추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20대의 경우 30대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행추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30대 이상의 경우 2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성추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대학 졸업 후 직장에서 근무하는 여성에게 메이크업 행동은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어 더욱 선호되고 있다는 Suh(2019)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메이크업 행동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사회 내에서 대인관계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별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과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사회성추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과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사회성추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대 여성들이 메이크업 행동을 실시할 때 외모 만족도가 상승되며 화장을 할 경우 이를 가장 중시한다는 Ahn & Im(2020)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과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사회성추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학교 졸업이나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의 경우 대학교 재학 및 졸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과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사회성추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의 경우 대학교 재학 및 졸업에 비해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활동 양상에 따라 개인의 뷰으로 볼 수 있으며,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의 경우 사회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함으로써 메이크업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타인의 인식과 평가를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사회성추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추구, 사회성추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 상태에 따른 메이크업 관리 행동이 유행 선도형, 자기 만족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는 Jung(2022)의 연구와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월 평균 외모관리비용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과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10만원 미만에 비해 1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과 하위요인별 만족추구, 유행추구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화장품을 구매하는 사람이 메이크업 행동에서도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비용에 따라 전반적인 메이크업 행동 요인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Heo & Kim(2022)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외에 직업,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4. 상관관계 분석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r=.520, p<.001), 직접적 인식(r=.380, p<.001), 색채선호 인식(r=.206, p<.01)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r=.334, p<.001), 색채선호 인식(r=.155, p<.05)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유행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r=.231, p<.01), 직접적 인식(r=.310, p<.001), 색채선호 인식(r=.160, p<.05)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사회성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본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의 방향성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5.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메이크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1)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만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만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35.7%로 나타났고, 회귀모형 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9.411, p<.001).
독립변수별로 살펴보면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β=.457, p<.001), 직접적 인식(β=.266, p<.001)이 만족추구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족추구 행동에 있어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 중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Ahn & Im(2022)의 연구에서 퍼스널 컬러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이 만족중시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힌 바와 일치한다. 또한, 메이크업을 하는데 있어 퍼스널 컬러를 인식하고 적용하는 것이 자신감을 높여 이미지 연출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인식하고 메이크업을 하면 자신감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인관계에서도 호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유행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유행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11.8%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7.103, p<.001).
독립변수별로 살펴보면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β=.307, p<.001)이 유행추구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행추구 행동에 있어서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 중 직접적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상을 기준으로 메이크업 행동을 보이며, 자신이 선호하는 색상이 어울리는 색상일수록 유행하는 제품을 구입하고 트렌드에 맞는 메이크업을 시도한다는 Kim(2020)의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o(2010)의 연구에서는 퍼스널 컬러가 유행인식,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직접적 인식이 유행인식과 자기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즉 자신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고 이에 맞는 색상을 선택해 메이크업을 할수록 유행에 민감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사회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사회성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13. 1%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7.998, p<.001).
독립변수별로 살펴보면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β=.256, p<.01), 외부조언(β=.171, p<.05)이 사회성추구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성추구 행동에 있어서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 중 직접적 인식, 외부조언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Ko & Lee(2012)의 연구에 따르면 퍼스널 컬러를 통한 긍정적인 외모의 변화는 정서적, 심리적 변화를 수반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자기의 이미지를 통해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평가를 얻게 되면 이에 따른 자신감 향상과 적극적인 성향으로 인한 자기의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하였다. Kang(2014)의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행동의 목적이 신체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보호하기 위함이며, 사회적,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할 때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가 된다고 하였다. 즉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상으로 메이크업을 할 경우 자신감이 향상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호감도를 높여 신뢰감을 얻으며 사회적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MZ세대를 대상으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과 신체 이미지 향상을 위한 퍼스널 컬러와 메이크업 행동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 전남 지역의 MZ세대를 대상으로 네이버 폼을 활용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은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 인식으로 분류되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최종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행동은 만족추구, 유행추구, 사회성추구로 분류되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연령대, 월 평균 외모관리비용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여성, 기혼의 경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 인식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만족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 인식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유행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별 외부조언, 직접적 인식, 색채선호 인식은 메이크업 행동의 하위요인별 사회성추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알고 적용하는 것이 자신감과 만족도를 높여 이미지 연출과 사회적 관계에 도움이 되며, 유행에 민감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메이크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 메이크업 행동 모두 하위변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즉,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메이크업 행동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의 방향성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은 메이크업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외부조언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다. 이는 MZ세대가 타인의 평가나 조언에 의존하여 자신의 외모나 색채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경향이 있음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와 유행의 첨단 계층인 MZ세대를 대상으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메이크업 행동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 연구로 퍼스널 컬러 컨설팅 및 화장품 관련 업체에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 뷰티 전문가들에게 있어서 퍼스널 컬러의 중요성과 전문성을 제고할 것이라 본다. 또한 MZ세대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식과 메이크업 행동의 관련성에 대해 실증적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광주, 전남 지역의 MZ세대만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Age 20s 85 52.1
Over 30s 78 47.9
Gender Female 108 66.3
Male 55 33.7
Last academic degree High school graduation 24 14.7
University enrollment and graduation 112 68.7
Graduate school enrollment and graduation 27 16.6
Marital status Single 125 76.7
Married 38 23.3
Occupation Student 20 12.3
Professional occupation 55 33.7
Sales/Service Job 31 19.0
An office job 19 11.7
Guitar 38 23.3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36 22.1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21 12.9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56 34.4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23 14.1
More than 4 million won 27 16.6
Average monthly appearance management cost Less than 50,000 won 41 25.2
Less than 50,000-100,000 won 61 37.4
Less than 100,000-150,000 won 24 14.7
Less than 150,000-200,000 won 24 14.7
More than 200,000 won 13 8.0
Total 163 100.0
Table 2.
Valid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cognition of Personal Colors
Question Factor
Direct recognition External advice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8. I know the color of my hair. .823 -.078 .168
12. I think color influences my image. .797 .247 .067
9. I know the color of my skin. .782 -.109 .219
13. I think personal color is important when doing makeup. .760 .308 .048
10. I know the color of my eyes. .751 -.135 .071
17. When evaluating others, I once thought that certain colors did not suit the person. .733 .149 -.044
11. I think I put on makeup considering the color that suits me. .727 .20 .127
3. I am willing to get a personal color diagnosis. .112 .867 -.111
14. I want to use a product that matches my personal color. .062 .853 .132
16. I think it is necessary to know the personal color through expert diagnosis. .071 .824 -.009
2. I am interested in personal colors. .157 .814 .056
1. I've heard of personal colors. -.026 .801 .132
4. I know the color that suits me. .058 -.026 .827
7. The color I prefer matches the color that suits me. .096 .037 .748
5. If I put on makeup in a color that suits me, it looks lively. .201 .203 .742
15. I think other colors look good besides personal colors. .065 -.008 .709
Eigen values 4.235 3.762 2.454
Dispersion explanation (%) 26.470 23.511 15.336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26.470 49.981 65.317
Reliability .890 .894 .771
KMO=.822, Bartlett's test χ²=1392.833 (df=120, p=.000)
Table 3.
Valid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akeup Behavior
Question Factor
Pursuit of satisfaction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sociality
2. I gain confidence when I put on makeup. .906 .043 .211
3. Wearing makeup makes me feel good. .872 .131 .162
6. Makeup highlights advantages and compensates for disadvantages. .849 -.022 .245
7. Makeup is very important in image production. .834 .094 .227
4. I am satisfied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with makeup. .831 .219 .209
5. Wearing makeup makes a better impression on others. .805 .151 .387
1. I tend to put on makeup often. .673 .242 .165
11. Fashionable makeup products tend to be bought even if they are expensive. -.007 .891 .165
9. I aim for fashionable makeup even if it doesn't suit me. .008 .887 .047
12. I tend to buy at least one trendy cosmetic. .123 .843 .079
10. I think the fashionable makeup method is a sophisticated one. .229 .783 .025
8. I have followed the fashionable makeup. .216 .684 .079
16. I think makeup can increase favorabil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42 .061 .854
14. I think I can increase my trust through makeup. .312 .126 .747
17. Due to my personal activities, the need to put on makeup is increasing. .101 .324 .745
15. I think I can increase social competitiveness through makeup. .204 .019 .737
18. I always wear makeup when I attend social activities or important meetings. .273 -.034 .661
Eigen values 5.188 3.654 3.267
Dispersion explanation (%) 30.520 21.497 19.220
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ion (%) 30.520 52.017 71.236
Reliability .933 .888 .837
KMO=.888, Bartlett's test χ²=2088.778 (df=136, p=.000)
Table 4.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ersonal Col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Total
External advice
Direct recognition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M SD M SD M SD M SD
Age 20s 4.14 .707 3.95 .628 3.50 .607 4.03 .476
Over 30s 4.10 .914 3.93 .789 3.46 .745 4.00 .684
t-value (p) .300 (.765) .141 (.888) .302 (.763) .271 (.787)
Gender Female 4.38 .483 4.05 .562 3.55 .690 4.19 .448
Male 3.61 1.054 3.73 .898 3.34 .626 3.68 .671
t-value (p) 5.129*** (.000) 2.396* (.019) 1.916 (.057) 5.037*** (.000)
Last academic degree High school graduation 4.01a .594 3.93a .500 3.33a .670 3.96a .460
University enrollment and graduation 4.08ab .889 3.85a .762 3.39a .630 3.95a .612
Graduate school enrollment and graduation 4.41b .543 4.32b .481 3.98b .654 4.36b .433
F-value (p) 2.206 (.113) 4.945** (.008) 9.956*** (.000) 5.896** (.003)
Marital status Single 4.07 .844 3.93 .695 3.50 .650 3.99 .588
Married 4.31 .662 3.97 .755 3.43 .757 4.11 .563
t-value (p) -1.640 (.103) -.330 (.742) .455 (.651) -1.180 (.240)
Occupation Student 4.01 1.196 4.10 .700 3.68 .654 4.06 .588
Professional occupation 4.09 1.028 4.01 .484 3.45 .707 4.04 .603
Sales/Service Job 4.15 .409 4.01 .624 3.44 .455 4.07 .456
An office job 4.34 .389 3.74 .909 3.43 .807 3.99 .589
Guitar 4.10 .597 3.81 .903 3.49 .730 3.93 .656
F-value (p) .468 (.759) 1.174 (.324) .493 (.741) .334 (.855)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3.99b .950 3.87 .814 3.41 .700 3.92 .608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4.12bc .488 4.01 .632 3.49 .567 4.06 .502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4.48c .433 3.89 .742 3.56 .662 4.13 .542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4.12bc .584 3.99 .640 3.36 .738 4.04 .511
More than 4 million won 3.55a 1.168 4.05 .610 3.52 .710 3.84 .714
F-value (p) 7.379*** (.000) .398 (.810) .487 (.745) 1.475 (.212)
Average monthly appearance management cost Less than 50,000 won 4.13 .781 3.72 .774 3.21a .610 3.89 .614
Less than 50,000-100,000 won 4.11 .878 3.90 .768 3.54ab .678 3.99 .601
Less than 100,000-150,000 won 3.93 1.038 4.08 .590 3.66b .607 4.02 .647
Less than 150,000-200,000 won 4.31 .486 4.10 .545 3.47ab .697 4.19 .447
More than 200,000 won 4.17 .559 4.27 .442 3.79b .728 4.23 .422
F-value (p) .651 (.627) 2.348 (.057) 3.018* (.020) 1.477 (.212)
Total 4.12 .810 3.94 .707 3.48 .674 4.02 .583

* p<.05,

** p<.01,

*** p<.001

Duncan : a<b<c

Table 5.
Differences in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Makeup behavior
Total
Pursuit of satisfaction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sociality

M SD M SD M SD M SD
Age 20s 3.72 .946 2.70 1.012 3.78 .810 3.44 .688
Over 30s 3.86 .861 2.37 1.021 4.12 .666 3.50 .690
t-value (p) -.984 (.327) 2.051* (.042) -2.842** (.005) -.547 (.585)
Gender Woman 4.05 .828 2.64 1.003 4.05 .712 3.64 .647
Man 3.27 .829 2.35 1.051 3.73 .816 3.13 .646
t-value (p) 5.722*** (.000) 1.749 (.082) 2.530* (.012) 4.692*** (.000)
Last academic degree High school graduation 4.07b .785 2.90b .936 4.17b .592 3.75b .603
University enrollment and graduation 3.66a .915 2.34a .971 3.84a .802 3.32a .643
Graduate school enrollment and graduation 4.06b .881 3.09b 1.072 4.16b .637 3.81b .757
F-value (p) 3.643* (.028) 8.186*** (.000) 3.260* (.041) 8.523*** (.000)
Marital status Single 3.69 .932 2.58 .999 3.85 .760 3.41 .680
Married 4.09 .746 2.43 1.118 4.23 .697 3.64 .690
t-value (p) -2.413* (.017) .812 (.418) -2.729** (.007) -1.818 (.071)
Occupation Student 3.50 .982 2.70 1.027 3.86 .787 3.37 .623
Professional occupation 3.77 .917 2.54 .915 3.96 .784 3.47 .728
Sales/Service Job 3.98 .778 2.64 1.038 3.90 .795 3.56 .502
An office job 3.68 1.0 2.35 1.139 3.95 .771 3.37 .751
Guitar 3.86 .899 2.49 1.140 3.99 .714 3.50 .773
F-value (p) .978 (.421) .377 (.825) .126 (.973) .362 (.836)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3.53 1.075 2.78 1.147 3.86 .790 3.41 .712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3.99 .553 2.62 .988 3.74 .630 3.51 .568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3.92 .869 2.36 .913 4.09 .810 3.51 .697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3.71 .826 2.39 1.047 3.83 .744 3.36 .683
More than 4 million won 3.78 .990 2.70 1.072 4.00 .708 3.53 .752
F-value (p) 1.341 (.257) 1.243 (.295) 1.164 (.329) .343 (.848)
Average monthly appearance management cost Less than 50,000 won 3.66a .760 2.06a .855 3.81 .738 3.23a .564
Less than 50,000-100,000 won 3.58a 1.072 2.48ab 1.071 3.84 .808 3.33ab .723
Less than 100,000-150,000 won 3.95ab .777 2.82bc .980 4.08 .664 3.65bc .669
Less than 150,000-200,000 won 4.21b .585 2.94bc .930 4.18 .713 3.83c .562
More than 200,000 won 4.11ab .894 3.17c .912 4.14 .785 3.84c .691
F-value (p) 3.058* (.018) 5.429*** (.000) 1.531 (.196) 5.322*** (.000)
Total 3.79 .906 2.54 1.026 3.94 .761 3.47 .687

* p<.05,

** p<.01,

*** p<.001

Duncan : a<b<c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Makeup behavior
External advice Direct recognition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Pursuit of satisfaction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sociality
External advice 1
Direct recognition .201* 1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114 .255** 1
Pursuit of satisfaction .520*** .380*** .206** 1
Pursuit of fashion .113 .334*** .155* .299*** 1
Pursuit of sociality .231** .310*** .160* .536*** .260** 1

* p<.05,

** p<.01,

*** p<.001

Table 7.
Effects of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on Satisfaction-seeking Behavior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Constant number) -.066 .452 -.146 .884 29.411*** .357 (.345)
External advice .511 .073 .457 7.025*** .000
Direct recognition .341 .086 .266 3.985*** .000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115 .089 .086 1.303 .195
Dependent variable : Pursuit of satisfaction

*** p<.001

Table 8.
Effects of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on Trend-seeking Behavior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Constant number) .188 .599 .314 .754 7.103*** .118 (.102)
External advice .054 .096 .043 .563 .574
Direct recognition .445 .114 .307 3.917*** .000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109 .117 .072 .928 .355
Dependent variable : Pursuit of fashion

*** p<.001

Table 9.
Effects of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on Socialism-seeking Behavior
Division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R² (Adj.R²)
B S.E β
(Constant number) 1.898 .441 4.304 .000 7.998*** .131 (.115)
External advice .161 .071 .171 2.266* .025
Direct recognition .276 .084 .256 3.300** .001
Color preference recognition .085 .086 .075 .978 .329
Dependent variable : Pursuit of sociality

* p<.05,

** p<.01,

*** p<.001

References

Ahn, C. R., & Im, E. J.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6(2), 167-175. doi: 10.15810/jic.2020.16.2.009.
Ahn, C. R., & Im, E. J.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Self-esteem and Body Imag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8(1), 53-64. doi: 10.15810/jic.2022.18.1.007.
Choi, S. K., Gil, M. C., & Kim, M. S. (2017 The Effect of State of Makeup and Makeup Behavior Factor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5), 409-420. doi: 10.35873/ajmahs.2017.7.5.037.
crossref
Gwak, J. S., & Kim, D. G. (2020). The Effect of Face Consciousness on Makeup Behaviors : Focused upon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Concern and Conditional Effect of Self-Appearance Recognitio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5), 1091-1099.
Han, S. J. (2017). The Influence of Personal Color perception, Makeup Behavior, Cosmetic Purchase Behavior on Image Management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15, 18-19.
Hong, S. N., Bang, H. J., & Lee, S. E. (2012). A Study of the Difference in Makeup Use by Personal Color Perceptio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3(3), 133-147.
Kang, M. J. (2014). A Study on the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Self Esteem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1), 1-13.
Kim, E. H., Jeon, H. K., & Kim, S. H. (2019). The Effects of Makeup Behavior Factor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2), 284-295.
Kim, E. H., & Kim, S. H. (2019). The Effects of Makeup Behavior Factors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Women.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3), 702-712.
Kim, H. M., & Youn, C. S. (2018). Study on Validity of Personal Color Self-Diagnosis Measurement Scale.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4), 689-696.
Kim, S. M., & Jeong, C. (2022).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Value of the MZ Generation on th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Fair Tourism.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92:964-968.
Kwon, H. S. (2020).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and Acceptance Factors of e-Book Users: Focusing on MZ Gene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7.
Lee, J. T., & Oh, M. J. (2022 The Impact of SNS Information Quality on Restaurant Image, and Visit Intention: Focus on Women Consumers of MZ Generation.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38(4), 294-305. doi: 10.22793/indinn.2022.38.4.025.
Lee, K. J., & Kim, H. J. (2015). A Study on the Welfare of Esthetician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13(6), 819-826.
Oh, S. H. (2022). A qualitative study on body-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body exposing sportswear consumers : focusing on generation MZ female consu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7.
Park, A. R., & Lee, J. N. (2021 The Influence of Beauty Influencer’s Characteristics on Makeup Behavior and Color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in Young Female Consumers aged 20-30s.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38(4), 1093-1106. doi: 10.12925/jkocs.2021.38.4.1093.
Park, M. J. (2022). Wedding Makeup and Wedding Nail Art Preferences by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ersonal Col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Park, Y. S., Chun, H. K., & Yim, E. H. (2019 Qualitative Research on Motivations, Decision-Makers, and Effects of Personal Color Consul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9(2), 37-56. doi: 10.18652/JKSC.2019.19.2.3.
crossref
Suh, K. Y. (2019 A Study on the Effects of Makeup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Invest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Vocational Competen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4(4), 25-38. doi: 10.21719/IJTMS.34.4.2.
crossref
Yoo, H. W., & Yang, E. J. (2022 The Effect of MZ Generation’s Interest in Beauty Conten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6(3), 91-107. doi: 10.22649/JBAM.2022.16.3.9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